주기성 매미

Periodical cicadas
주기성 매미
뮌헨바이에른 주립 동물학 컬렉션에 있는 마키카다 셉텐데킴 표본 (2015)
M. septendecim, M. cassini, M. septendecula 가 나오는 Magicica 합창곡
과학 분류 Edit this classification
도메인: 진핵생물
왕국: 애니멀리아
문: 절지동물
클래스: 인테오페라속
주문: 헤미프테라
하위 주문: Auchenorrhyncha
가족: 매미과
하위 그룹: 매미과 (Cicadettinae)
부족: Lamotialnini
속: 매직카다
W. T. 데이비스, 1925
종의 종류
마기카다 칠순절[1]

주기적 매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북아메리카 동부의 매미속의 7종 중 하나인 13년생 매미와 17년생 매미를 지칭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들은 지역 인구의 거의 모든 개인들이 발달적으로 동기화되어 같은 해에 나타나기 때문에 주기적이라고 불립니다. 이들을 "로커스트"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매미는 분류학적 종인 Hemiptera (진정한 벌레) 아목에 속하는 반면, 메뚜기는 Orthoptera 목에 속하는 메뚜기이기 때문에 이것은 잘못된 이름입니다.[2] 매미는 매미족 라모티알니니에 속하는데, 매미는 아메리카뿐만 아니라 호주, 아프리카, 아시아에 대표성을 가진 의 집단입니다.[3]

마귀카다 종은 긴 삶의 약 99.5%를 님프라고 불리는 미성숙한 상태에서 지하에서 보냅니다. 땅속에 있는 동안 님프는 미국 동부의 낙엽성 숲 나무 뿌리에서 나온 목부액을 먹고 삽니다.[4] 13년 또는 17년 봄에 성숙한 매미 약충이 4월 말에서 6월 초 사이에 동시에 엄청나게 많이 나타납니다. 성체는 비정상적으로 장기화된 발달 단계 이후 약 4~6주 동안만 활동합니다.[5]

수컷들은 코러스 센터에 모여 짝을 유혹하기 위해 그곳에 전화를 합니다. 교미한 암컷은 목본식물의 줄기에 알을 낳습니다. 처음 출현한 지 두 달 안에 수명 주기가 끝나고 성충 매미가 죽게 됩니다. 같은 해 여름, 알들은 부화하고 새로운 님프들은 앞으로 13년 또는 17년 동안 발달하기 위해 땅 속을 파냅니다.

인도 북동부의 "월드컵 매미" 크레미스타 리브호이([6]4년마다)와 피지의 라이아타나 놀레시(Raitana knowlesi)의 매미 종(8년마다)에도 주기적인 비상사태가 보고됩니다.[7]

묘사

많은 브루드X 주기적 매미 (마술매미) (소리가 나는 영상)

날개 달린 이마고(성체) 주기적 매미는 눈이 빨갛고 등가슴이 검습니다. 날개는 주황색 정맥으로 반투명합니다. 배 아랫면은 종에 따라 검은색, 주황색, 줄무늬에 주황색과 검은색이 있습니다.[8]

성충은 종에 따라 일반적으로 2.4~3.3cm(0.9~1.3인치)이며, 일반적으로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연간 매미 종의 대부분의 크기의 약 75%입니다. 성숙한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큽니다.[9]

마귀 수컷은 일반적으로 수용적인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합창을 하는 큰 집합체를 형성합니다. 종마다 특징적인 노래를 부르는 것이 다릅니다. 십진 주기적 매미의 울음소리는 '위-와' 또는 '파라오'라고 부르는 사람을 닮았다고 합니다.[10] 카시니와 데큘라 주기적 매미(M. tredecula 포함)는 윙윙거리는 소리와 똑딱거리는 소리를 분산시키는 노래를 가지고 있습니다.[9]

매미는 침을 쏠 수 없고 평소에는 물지 않습니다. 다른 Auchenorrhyncha (진정한) 벌레들처럼, 벌레들은 식물을 뚫고 수액을 빨기 위해 사용되는 입 부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입 부분은 약충 단계에서 물, 미네랄 및 탄수화물을 위해 땅속 뿌리를 두드리며 식물 줄기에서 영양소와 물을 얻기 위해 성충 단계에서 사용됩니다. 성체 매미의 주둥이는 취급할 때 사람의 피부를 뚫을 수 있어 고통스럽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해롭지 않습니다. 매미는 이 없거나 이 없으며 매미에게 물린 것이 질병을 옮길 수 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11]

매미는 성숙한 식물에 거의 위협이 되지 않지만, 새로운 나무나 관목을 심는 것은 주기적인 매미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후로 미루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성숙한 식물은 알을 낳는 것으로 인해 가지가 죽거나 깃발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지속적인 손상을 입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12] 어린 나무나 관목은 무명천이나 구멍이 있는 다른 그물망으로 덮일 수 있습니다. 산란기 동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 1.0cm 이하 8인치(1.0cm)입니다. 이는 첫 성충이 출현한 후 약 1주일 후부터 시작하여 모든 암컷이 죽을 때까지 지속됩니다.

라이프 사이클

성숙한 님프에서 성인으로의 변신
최종 몰트의 시간 경과 및 어두워짐, 4.5시간 이상
Animation of molting
등장! 거의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살아남지 못하지만 대량 출현으로 많은 사람들이 다음 세대를 시작하기 위해 성숙기에 도달할 것입니다.
성체 매미와 암컷이 잔가지에 틈을 만들어 알을 삽입합니다. 수천 마리 매미 소리.

거의 모든 매미들은 어릴 때 땅속에서 몇 년을 보내다가 몇 주에서 몇 달 사이의 짧은 성충기 동안 땅 위로 올라옵니다. 7개의 주기적인 매미 종들은 어느 한 장소에서 모든 개체군 구성원들이 발달적으로 동기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그들은 같은 해에 한꺼번에 성충으로 나타납니다. 이 주기성은 수명 주기가 13년 또는 17년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특히 두드러집니다. 세계의 어떤 종의 매미도 (아마도 3,000 종 중에서) 이런 식으로 발달을 동시에 하는 것은 없습니다.

대조적으로, 비주기적인 종의 경우 일부 성충은 매년 여름에 성숙하여 출현하는 반면 나머지 개체군은 지하에서 계속 발달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비주기적인 종들을 매년 여름에 보기 때문에 매미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일부 사람들이 비주기적 매미의 수명 주기가 1년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틀렸습니다. "연간" 종의 몇 가지 알려진 수명 주기는 2년에서 10년 사이이지만 일부는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주기적인 매미의 유충은 땅속에서 살며, 보통 표면으로부터 2피트(61cm) 이내에서 식물 뿌리의 즙을 먹고 삽니다.[14] 주기적인 매미의 유충은 지하에서 발달하는 5령 단계를 거칩니다. 13년과 17년의 생애주기 차이는 2령기가 성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라고 합니다. 땅속에서 님프들은 땅속으로 더 깊이 이동하여 감지하고 성숙하면서 더 큰 뿌리를 먹고 삽니다.[15]

성숙한 5령 약충은 4월 말에서 6월 초에 지표면에 터널을 건설하고 토양 온도가 임계 값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립니다.[5][16] 어떤 상황에서는 님프가 흙 표면 위로 진흙 포탑을 몇 인치까지 확장합니다.[17] 이 포탑의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 현상은 일부 비주기적 매미와 다른 터널링 곤충에서 관찰되었습니다.[18]

약 20cm 깊이의 토양 온도가 17.9°C(64°F) 이상인 봄 저녁에 님프가 처음 나타납니다. 크레퍼스큘러의 출현은 최대 토양 온도가 최대 일사량보다 몇 시간 늦게 나타나서 날지 못하는 님프들에게 새와 같은 주행성 시력 포식자로부터 편리하게 어느 정도 보호를 제공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평생 동안 성숙한 주기적인 매미는 강한 주행성을 보이며, 밤에 노래가 거의 중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에서 대부분의 해 동안 이 출현 신호는 남쪽 먼 곳에서는 4월 말이나 5월 초, 북쪽 먼 곳에서는 5월 말에서 6월 초로 해석됩니다. 신흥 님프는 풀 속에서 털갈이를 하거나 수 센티미터에서 100 피트 (30 미터) 이상으로 올라가 성충으로의 변신을 완료하기 위한 적절한 수직 표면을 찾을 수 있습니다. 나무 줄기, 건물의 벽, 전신주, 울타리 기둥, 매달린 나뭇잎, 그리고 심지어 고정된 자동차 타이어에 자신들을 고정시킨 후, 님프들은 마지막 털갈이를 하고 나서 날개와 외골격이 완전히 굳어지기를 기다리기 위해 약 6일을 나무에서 보냅니다. 마지막 털갈이에서 나온 직후 일반 성인은 흰색이 아니지만 한 시간 이내에 어두워집니다.

성체 주기적인 매미는 몇 주밖에 살지 못하고, 7월 중순까지 모두 죽었습니다. 그들의 일시적인 성인 형태는 번식이라는 한 가지 목적을 위해 각색됩니다. 다른 매미와 마찬가지로 수컷도 심벌을 사용하여 종에 따라 매우 큰 교미 노래를 만들어냅니다. 같은 마키카다 종의 노래하는 수컷들은 집합적인 노래가 암컷들에게 매력적인 합창단이라고 불리는 집합체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합창단의 수컷들은 수용적인 암컷을 찾아 나무에서 나무로의 짧은 비행과 함께 노래를 번갈아 부릅니다.[2] 대부분의 교미는 소위 코러스 트리에서 발생합니다.[8]

수용적인 암컷은 짝짓기를 위해 수컷을 유인하는 시간에 맞춘 윙플릭(수컷의 노래 중간에 시각적 신호가 필수임이 분명함)으로 특정 수컷의 부름에 반응합니다.[19] 코러스 소리는 말 그대로 귀머거리가 될 수 있으며 코러스를 구성하는 수컷의 수에 따라 바로 근처에서 100dB에 이를 수 있습니다. 남성들은 "부르기"나 "응원" 노래 외에도 개별 여성에게 다가갈 때 독특한 구애 노래를 만들어냅니다.[8]

대부분의 암컷은 한 번만[citation needed] 짝짓기를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수컷과 암컷 모두 여러 번 짝짓기를 할 수 있습니다. 짝짓기 후 암컷은 어린 나뭇가지의 껍질에 V자 모양으로 구멍을 내고 각각 20개 정도의 알을 낳아 총 600개 이상의 클러치를 합니다. 약 6-10주 후, 알은 부화하고 약충은 땅으로 떨어져 굴을 파고 13년 또는 17년 주기를 시작합니다.

포식자 만족 생존 전략

님프는 거의 동시에 매우 많은 수로 나타나며, 때로는 에이커당 150만 마리 이상의 개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370/m2).[20] 그들의 대량 출현은 무엇보다도 포식자 만족이라는 생존 특성입니다. 이 전략의 세부 사항은 간단합니다: 출현 후 첫 주 동안 주기적인 매미는 파충류, 새, 다람쥐, 고양이, 개 기타 작고 큰 포유류의 쉬운 먹이입니다.[5][21] 현재 범위에서 주기적인 매미는 효과적인 포식자가 없으며 출현 후 먹이를 먹는 다른 모든 동물은 총 매미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빠르게 무의미한 상태로 사라집니다.

초기 곤충학자들은 매미의 전체적인 생존 메커니즘이 단순히 포식자들을 단순히 그들의 숫자로 압도하는 것이며, 대부분의 개체들의 생존을 보장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나중에, 발달 기간이 모두 소수(13년과 17년)라는 사실은 포식자 회피 전략으로 가정되었는데, 이 전략은 잠재적인 포식자가 매미 출현 기간의 제수에 자신의 세대를 동기화함으로써 주기적인 개체군 증가를 받을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채택되었습니다.

이 소수 가설에서, 특정 연도의 번식 주기와 우연히 일치하는 3년의 번식 주기를 가진 포식자는 다음 번에 번식이 나타날 때까지 4주기 + 1년(12 + 1) 또는 5주기 + 2년(15 + 2)을 겪었을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소수 무리는 그들이 직면할 포식자의 일부가 성적으로 미성숙하여 순간적으로 무한한 먹이 공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없을 때 거의 항상 나타나도록 하는 전략을 보여줍니다.[22]

또 다른 관점은 이 가설을 매미 무리 자체로 되돌립니다. 소수의 발달 시간은 무리 의 교잡을 방지하기 위한 적응을 나타낸다고 가정합니다. 서로 다른 개체군을 시간에 격리하는 이 특이한 방법은 조건이 극도로 가혹할 때 발생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그러한 조건에서 극도로 긴 발달 시간을 생산하는 돌연변이는 매우 가치 있게 되어 그것을 소유한 매미는 오랜 발달 특성이 없는 매미와 짝짓기를 하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오랫동안 발달한 매미는 빙하가 후퇴한 직후의 기간(주기적 매미의 경우 북아메리카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고립되고 감소된 개체수로 인한 심한 선택 압력(즉, 가혹한 조건) 기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특성을 유지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그들의 대량 출현과 이에 따른 포식자 만족 전략은 그들의 장기적인 발달 특성을 희석시킬 수 있는 교잡으로부터 보호하는 훨씬 더 장기적인 생존 전략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23]

이 교잡 가설은 일련의 수학적 모델을 통해 뒷받침되었으며, 이 곤충의 비정상적으로 길고 수학적으로 정교한 생존 전략에 대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명으로 남아 있습니다.[24] 주기의 길이는 13년 주기가 17년 주기보다 우세한 단일 유전자 유전자좌에 의해 제어된다는 가설이 세워졌지만,[25] 이 해석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고 DNA 수준에서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다른 모집단에 미치는 영향

매미 개체군의 주기는 다른 동물과 식물 개체군에 영향을 미칠 만큼 충분히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나무의 성장은 자라나는 님프들에 의해 뿌리를 먹고 사는 것이 증가하기 때문에 무리가 생기기 전 해에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26] 약충을 먹고 사는 두더지는 출현하기 전 1년 동안 잘 사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먹이 공급원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이듬해 개체수가 감소합니다.[27] 야생 칠면조 개체군은 수명 주기가 끝날 때 땅에 있는 매미 성충을 사냥함으로써 먹이 공급의 증가된 영양에 호의적으로 반응합니다. 먹지 않은 주기적인 매미의 사체는 땅에서 분해되어 산림 공동체에 영양분의 자원 펄스를 제공합니다.[26]

매미 무리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암컷 매미의 알 낳는 활동이 다가오는 돛대 작물에 피해를 입혔기 때문에 동부 회색 다람쥐 개체군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citation needed]

브루드스

주기적인 매미는 출현하는 역년을 기준으로 지리적 무리로 분류됩니다. 예를 들어, 2014년에 13살짜리 아기 XX가루이지애나에서 2세가, 일리노이주 서부와 아이오와주 동부에서 17년생 3세가 나타났습니다.

1907년 곤충학자 찰스 레스터 말라트(Charles Lester Marlat)는 로마 숫자를 30개의 주기적 매미 무리에 할당했습니다. 즉, 17년의 수명 주기를 가진 17개의 구별된 무리에 I ~ XVII(신흥기 1893년 ~ 1909년), 그리고 13년 주기를 가진 13개의 무리에 할당했습니다. 1893년부터 1905년까지 18XXX년까지 번식 번호를 부여했습니다.[28] Marlatt는 17년생 무리가 일반적으로 13년생 무리보다 더 북쪽에 있다고 언급했습니다.[29]

이 가상의 30개 무리 중 상당수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Marlatt는 일부 매미 개체군(특히 매사추세츠코네티컷코네티컷 강 계곡에 있는 Brood XI)이 사라지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이 사실은 숲의 감소와 곤충을 잡아먹는 "잉글리시 참새"(House Sparrows, Passer mostimalus)는 북미의 유럽 정착을 따랐던 사람입니다.[30] 말라트가 명명한 두 무리(브루드 XI와 XXI)는 현재 멸종되었습니다. 그의 번호 체계는 편의상 (그리고 그것이 13년과 17년의 수명 주기를 분명히 구분하기 때문에) 유지되었지만, 오늘날 15마리의 번식만이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31]

이름. 닉네임 주기(년) 마지막 출현 다음 출현 정도
브루드 1세 푸른능선새 17 2012 2029 웨스트버지니아 주, 웨스트버지니아 주
브루드 2세 동해안새 17 2013 2030 코네티컷, 메릴랜드, 노스캐롤라이나, 뉴저지, 뉴욕, 펜실베이니아, 델라웨어, 버지니아, 컬럼비아 특별구
브루드 3세 Iowan brood 17 2014 2031 아이오와 주
브루드 4세 간산군 17 2015 2032 네브래스카 동부, 아이오와 남서부, 캔자스 동부, 미주리 서부, 오클라호마, 텍사스[32] 북부
브루드 5세 17 2016 2033 오하이오 동부, 메릴랜드 서부, 펜실베이니아 남서부, 버지니아 북서부, 웨스트버지니아, 뉴욕(서퍽 카운티)[33]
브루드 6세 17 2017 2034 북부 조지아, 서부 노스 캐롤라이나, 북서부 사우스 캐롤라이나
브루드 7세 오논다가 무리 17 2018 2035 뉴욕 중부(오논다가, 카유가, 세네카, 온타리오, 예이츠 카운티)[Note 1]
브루드 8세 17 2019 2036 오하이오 동부, 펜실베이니아 서부, 웨스트버지니아 북부
브루드 9세 17 2020 2037 버지니아주 남서부, 웨스트버지니아주 남부, 노스캐롤라이나주 서부
브루드 엑스 큰동방부계 17 2021 2038 뉴욕, 뉴저지, 펜실베이니아, 델라웨어, 메릴랜드, 컬럼비아 특별구, 버지니아, 웨스트버지니아,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 테네시, 켄터키, 오하이오, 인디애나, 일리노이, 미시간[34][Note 2]
브루드 11세 17 1954 멸종된 코네티컷, 메사추세츠, 로드 아일랜드. 1954년 코네티컷주 애슈퍼드에서 펜턴강변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브루드 13세 북부일리노이주새 17 2007 2024 일리노이 북부와 아이오와, 위스콘신, 인디애나[Note 3] 일부 지역
브루드 14세 17 2008 2025 오하이오 남부, 켄터키, 테네시, 매사추세츠, 메릴랜드, 노스캐롤라이나, 펜실베이니아, 조지아 북부, 버지니아 남서부 및 버지니아 서부, 뉴욕 및 뉴저지 일부
브루드 XIX 그레이트 서던 브루드 13 2011 2024 앨라배마, 아칸소, 조지아, 인디애나, 일리노이, 켄터키, 루이지애나, 메릴랜드, 미주리, 미시시피, 노스캐롤라이나, 오클라호마, 사우스캐롤라이나, 테네시, 버지니아[Note 4]
브루드 XXI 플로리디언 브루드 13 1870 멸종된 1870년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역사적 범위에는 플로리다 팬핸들이[38] 포함되어 있습니다.
Brood XXII 배턴 루즈 브루드[39] 13 2014 2027 루이지애나, 미시시피[Note 5]
Brood XXIII 미시시피 밸리 브루드[40] 13 2015 2028 아칸소, 일리노이, 인디애나, 켄터키, 루이지애나, 미주리, 미시시피, 테네시
  1. ^ M. septendecim으로만 구성됩니다.
  2. ^ 2017년에 조기 출현이 발생했습니다.[35]
  3. ^ 알려진 바로는 크기별로 매미의 출현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0년에 조기 출현이 발생했습니다.[36]
  4. ^ 거의 틀림없이 모든 주기적 매미 무리 중에서 가장 큽니다.[37]
  5. ^ 이 13년 된 무리에는 M. neotredecim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상 시간대를 벗어나 나타나는 주기적인 매미를 낙오자라고 합니다. 그들은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지만, 보통 대부분의 다른 무리가 나타나기 1년 또는 4년 전에 출현합니다.[41] 17년의 수명 주기를 가진 낙오자는 일반적으로 4년 일찍 나타납니다. 13년 주기를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4년 늦게 나타납니다.[42]

세계 어디에서나 알려진 크기로 매미가 가장 많이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17년 매미의 번식 13년과, 거의 틀림없이 모든 주기적인 매미의 번식 13년은 1803년 이후 처음으로 2024년에 함께 출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두 무리는 일리노이 중부와 동부의 얇은 지역(매컨, 상암온, 리빙스턴, 로건 카운티)을 제외하고는 겹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43] 다음 이중 출현은 2024년 이후 221년 뒤인 2235년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44]

번식지 지도

County-by-county map showing the locations of cicada broods, published May 2013
USDA 산림청 군별 주기적 매미 번식지 지도 및 다음 출현 시기(2024년 기준)

분류법

계통발생학

매직카다남미를 제외하고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매미 부족 라모티알니니(Lamotialnini)의 일원입니다. 매직카다북아메리카 동부에서만 발견되지만, 가장 가까운 친척은 호주에서 온 트리엘라알레타 속으로 추정되며, 매직카다트리엘라알레타를 포함하는 계통군자매입니다.[45] 아메리카 대륙 내에서는 과테말라에서 온 크리솔라시아 속이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6]

종.

7종의 인정된 종은 마키카다(Magicada) 안에 있습니다. 3종의 17년생 종과 4종의 13년생 종입니다. 또한 이 7종은 이른바 데킴 종군, 카시니 종군, 데큘라 종군의 세 가지 하위 그룹으로 다르게 분류되기도 하는데, 이는 13년 주기의 17년 종들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들과 강한 유사성을 반영합니다.[47]

17년 주기 종.
그룹.
13년 주기
이미지 학명 공통 이름 분배 이미지 학명 공통 이름 분배
마. 칠순절
(린네우스, 1758)
17년산 메뚜기,
파라오매미
캐나다,
미국
데킴 M. tredecim
(Walsh & Riley, 1868)
동남쪽의
미국
M. neotredecim
2000년 Marshall & Coolley
미국
M. 카시니 [48]
(Fisher, 1852)
17년생 매미,
왜소한 주기성 매미
미국 카시니 M. tredecassini
알렉산더 앤드 무어, 1962
미국
칠순절
알렉산더 앤드 무어, 1962
미국 데큘라 M. tredecula
알렉산더 앤드 무어, 1962
미국

진화와 종분화

주기적인 매미의 수명 주기는 13이나 17이라는 소수를 사용하는 것에 호기심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들의 진화는 그들의 수명 주기의 1년과 4년의 변화와도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23][25] 1년 변화는 4년 변화보다 덜 일반적이며 아마도 지역 기후 조건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4년의 조기 및 후기 응급은 일반적이며 1년의 변화보다 훨씬 더 많은 인구 비율을 포함합니다. 다른 종들은 서로 격리된 종의 하위 집단이 결국 생식적으로 격리되는 [49][50]동종 종분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고 잘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현존하는 주기적 매미에서 13년과 17년의 수명 주기는 지난 400만 년 동안 최소 8번 이상 진화했으며 동일한 수명 주기를 가진 다른 종들은 수명 주기를 기존의 지배적인 개체군과 동기화하여 중첩된 지리적 분포를 발전시켰다고 합니다.[50] 같은 연구는 데킴 종 그룹이 데큘라와 카시니 종 그룹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약 400만 년 전에 갈라졌다고 추정합니다(Mya). 약 2.5 Mya에서 카시니 그룹과 데큘라 그룹은 서로 갈라졌습니다.

Sota et al. (2013) 논문은 또한 17년 매미로부터 현존하는 13년 매미를 최초로 분리한 것은 약 530,000년 전에 남부 M. tredecim이 북부 M. septendecim에서 분리되었을 때 데킴 그룹에서 발생했다고 계산합니다. 두 번째로 주목할 만한 사건은 약 32만년 전 카시니 그룹의 서부 지역이 동족으로 나뉘면서 일어났습니다. 데킴 족과 데큘라 족은 비슷한 서부 분열을 경험했지만, 이러한 분열은 각각 27만 년과 23만 년 전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카시니와 데큘라의 13년과 17년의 분할은 이 사건들 이후에 일어났습니다.

17년 된 매미는 대부분 이전에 빙하가 있던 지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들의 계통학적 관계는 여러 빙하기 동안 빙하 난류지(적절한 서식지의 작은 섬)로의 반복적인 수축과 그에 따른 재팽창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데킴, 카시니 및 데큘라(Decula)의 각 종 그룹에서 빙하기의 특징은 오늘날 애팔래치아 동쪽의 하위 그룹, 중서부 및 그들의 범위의 먼 서쪽 가장자리의 세 가지 계통학적 유전적 하위 그룹으로 나타납니다.

Sota et al. 자료에 따르면 오늘날 볼 수 있는 남부 13년 매미 개체군의 창시자는 Decim 그룹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들은 나중에 서부 카시니 분기군에서 유래한 카시니와 동부, 중부, 서부 데큘라 분기군에서 유래한 데큘라에 의해 합류되었습니다. 카시니와 데큘라가 남쪽으로 침입하면서, 그들은 거주민 M. tredecim과 동기화되었습니다. 오늘날, 이 카시니와 데큘라는 M. tredecassiniM. tredecula로 알려져 있습니다. M. neotredecimM. tredecim과 관련된 보다 최근의 13년 및 17년 분할과 관련된 이 가설 및 기타 가설을 뒷받침하려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분배

17년 주기의 매미는 미국 내 동부, 중서부 상부, 대평원 주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13년 주기의 매미는 남부와 미시시피 밸리 주에서 발생하지만 일부는 약간 겹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부 미주리와 동부 오클라호마에서는 브루드 IV(17년 주기)와 XIX(13년 주기)가 겹칩니다.[51][52] 그들의 출현은 1998년과[53] 마찬가지로 2219년, 2440년, 2661년 등에 다시 일치해야 합니다(비록 분포가 세대에 따라 약간 변하며 오래된 분포 지도는 신뢰할 수 없습니다).[52]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National Geographic Society)가 후원하고 있는 노력은 현재 코네티컷 대학교(University of Connecticut)에서 모든 주기적 매미 무리의 새로운 분포 지도를 생성하기 위해 진행 중입니다(2021년 4월 기준).[54] 이 작업은 곤충학자와 자원봉사자가 수집하는 크라우드소싱 데이터와 기록을 사용합니다.[55]

기생충, 해충 및 병원체

보통 참나무잎갈매기(Polystepha pilulae) 유충과 다른 곤충들을 먹지만, 참나무잎갈매기("Ichit mite") (Pyemotes herfsi)는 주기적인 매미 알의 외부기생충이 됩니다. 매미가 알을 나뭇가지에 심으면 먹이를 주는 진드기가 번식해 개체수가 증가합니다.[56]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서 복부 마조스포라 시카디나 감염이 발생한 브루드X매직카다 (2021년 5월 31일)

매미의 출현이 끝난 후 많은 사람들이 발진, 농포, 심한 가려움증 및 기타 진드기에 물린 후유증이 발생합니다. 발진과 가려움증은 며칠 후에 최고조에 달했지만 길게는 2주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칼라민 로션국소 스테로이드 크림을 포함한 가려움증 방지 치료는 가려움증을 완화시키지 못했습니다.[56]

매서포자충 매미는 13년과 17년 주기의 매미만을 감염시키는 병원성 균류입니다. 감염되면 매미가 살아있는 동안 배 끝을 대신하는 포자의 '플러그'가 생겨 불임, 질병 전염, 결국 매미의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57]

공생

마키카다는 먹이를 먹는 묽은 목부액에서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얻을 수 없고, 대신 성장에 필수적인 비타민과 영양소를 제공하는 내공생 박테리아에 의존합니다.[58] 호지키니아속의 박테리아는 주기적인 매미 내부에 살며, 점박이 매미 번식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 수년 동안 성장하고 분열하여 상호 유익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이 박테리아에 자연 선택을 부과합니다. 그 결과 호지키니아의 유전체는 각각 이 공생에 필수적인 유전자의 하위 집합만을 포함하는 3개의 독립적인 박테리아 종으로 분류되었습니다. 호스트는 이제 세 하위 그룹의 완전한 보완만이 호스트에게 모든 필수 영양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세 하위 그룹의 공생체를 모두 필요로 합니다.[59] 호지키니아-마기카다 공생은 박테리아 내공생이 숙주의 진화를 주도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강력한 예입니다.

역사

매미의 대량 출현에 대한 최초의 알려진 설명은 1620년 미래의 매사추세츠 주 내에 설립된 플리머스 식민지의 주지사 윌리엄 브래드포드의 1633년 보고서에 나타났습니다.[60][61] 보고서는 식민지와 인근 인디언들을 휩쓸고 지나간 '고요한 열기'를 설명한 뒤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병이 나기 전인 봄에, 말벌이나 범벌에게 큰 것 같은 파리 무리가 많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땅의 작은 구멍에서 나와서, 녹색의 것들을 먹어 치우고, 그들의 숲이 울릴 정도로 끊임없이 고함치는 소리를 냈습니다. 그리고 듣는 사람들의 귀를 쫑긋하게 할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그들은 이 시기 이전에는 이 나라의 영국인들에게 보이지도, 듣지도 않았습니다. 하지만 인디언들은 그들에게 병이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고, 그 여름의 6월, 7월, 8월에는 매우 더웠습니다.[62][63]

(Marlatt가 1907년에 보고한 관찰을 자세히 설명하면서,[64] Gene Kritsky는 Bradford의 보고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왜냐하면 브루드 11세와 14세는 각각 1631년과 1634년에 플리머스에서 출현한 반면, 현재 알려진 브루드는 1633년에 그곳에서 출현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65]

역사적인 기록들은 일찍이 1733년에 쓰여진 엄청난 수의 시끄러운 창궐 매미("로커스트")가 15년에서 17년 동안 재발했다는 보고를 인용합니다.[63][66] 필라델피아의 저명한 식물학자이자 원예가인 존 바트람은 이 곤충의 생애 주기, 외모 및 특성을 설명한 초기 작가 중 한 명이었습니다.[67]

1715년 5월 9일, 목사님. 필라델피아의 "글로리아 데이" 스웨덴 루터 교회의 안드레아스 샌델 목사는 그의 일기에서 브루드 10세의 출현을 묘사했습니다.[68] 1749년 스웨덴 왕립과학원을 대표하여 펜실베이니아와 뉴저지를 방문한 핀란드의 박물학자 페어 칼름(Pehr Kalm)은 5월 말에 그 무리의 또 다른 출현을 관찰했습니다.[69][70] 칼름은 스웨덴의 한 학술지가 1756년에 발간한 논문에서 이 사건을 보도하면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대체적인 의견은 이 곤충들이 17년마다 이러한 환상적인 숫자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한편, 여름에 가끔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지하에 남아 있습니다.
이 곤충들이 펜실베니아에서 17년마다 나타난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습니다.[70]

그리고 나서 칼름은 샌델 목사의 보고서와 1732년 5월 초에 필라델피아에 있는 많은 매미의 땅에서 나온 것을 기록한 벤자민 프랭클린으로부터 입수한 보고서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 문서들을 준비한 사람들이 다른 해에는 그런 보고를 하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70]

칼름은 또한 다른 사람들이 1749년 5월 22일 곤충들이 큰 무리를 지어 펜실베니아의 땅에서 나타나기 전에 매미를 가끔 보았다고 그에게 알렸다고 언급했습니다.[70] 그는 또한 1749년에 많이 들었던 같은 달과 지역에서 1750년에 펜실베이니아와 뉴저지에서 매미를 전혀 듣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70] 1715년과 1732년의 보고서는 그 자신의 1749년과 1750년의 관찰 결과와 결합했을 때, 그가 인용했던 이전의 "일반적인 의견"을 지지했습니다.

칼름은 1771년에 영어로 번역되어 런던에서 출판된 책에서 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서 [71]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대략 17년에 한 번 꼴로 엄청난 숫자의 메뚜기들이 이곳에 옵니다... 그 수가 많은 해 사이에는 숲 속에서만 단독으로 보이거나 들립니다.[63][72]

칼 린네는 칼름의 설명과 칼름이 제공한 표본을 바탕으로 1758년 Systema Naturae 10판에서 이 곤충을 Cacada septendecim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8][73]

존 바트람의 아들인 모세 바트람은 칼름이 1766년에 쓴 16년 또는 17년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등장하는 매미,미국의 메뚜기에 대한 관찰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1749년에 관찰한 브루드(브루드 X)의 다음 등장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1768년 런던의 한 저널이 발행한 바트람의 기사는 나무 가지에 쌓인 알에서 부화하자마자 어린 곤충들이 땅으로 뛰어내려 "그들이 발견할 수 있는 첫 번째 구멍으로 들어갔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이들을 수면 아래 10피트(3m) 아래에서 발견할 수 있었지만 다른 사람들은 30피트(9m) 깊이에서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고했습니다.[74]

1775년 토마스 제퍼슨은 자신의 "정원책" 브루드 2세의 17년 주기를 기록하면서 지인이 1724년과 1741년에 "위대한 메뚜기 해"를 기억하고 있으며, 그와 다른 사람들은 1758년에 그러한 해를 떠올렸고, 1775년에 몬티첼로의 땅에서 곤충들이 다시 나타났다고 썼습니다. 그는 암컷들이 땅 위에 있는 작은 나무 가지에 알을 낳는 것에 주목했습니다.[75]

Maryland Takoma Park 복부 Massospora cicadina 감염이 있는 Brood X Magicada (2021년 5월 31일)

1800년 4월, 메릴랜드주 엘리콧 밀스 근처에 살았던 벤자민 배너커(Benjamin Banner)는 자신의 기록 책에서 1749년 "위대한 메뚜기 해"를 떠올렸고, 1766년 두 번째, 1783년 세 번째로 곤충이 "첫 번째만큼 꽉 찬" 것처럼 보였다고 썼습니다. 그는 곤충(Brood X)이 "나에게 세 번째로 나타난 이래로 세븐틴인 1800년에 다시 기대될 수도 있다"고 예측했습니다.[76] 배너커의 기록책은 병원성 균류인 마조스포라 시카디나숙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면서 곤충들이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77]

.... 노래를 부르거나 소리를 내기 시작하고 처음부터 지구 밖으로 나올 때까지 소리를 냅니다. 장애가 되는 부분은 썩어가고, 그들에게는 아무런 고통도 없어 보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죽을 때까지 노래를 계속하기 때문입니다.[78]

1845년 미시시피주 우드빌의 D.L. 파라스 박사는 지역 신문인 우드빌 공화당에 남부 매미 떼의 13년 주기를 발표했습니다.[29] 1858년, 파라스는 신문이 이 주제에 대해 발표한 후속 기사에서 "Cica tredecim"이라는 제목을 달았습니다.[29] 그로부터 10년 후인 1868년 12월, 미국 곤충학자벤자민월시찰스 발렌타인 라일리가 쓴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논문은 남부 매미 무리의 13년 주기도 보고했습니다.[29]

Scientific American이 1869년 1월에 재인쇄한 Walsh's and Riley의 논문은 님프의 출현 구멍과 융기된 포탑의 내외부적 특성을 보여주었습니다.[61] 파라스의 보고서를 인용하지 않은 그들의 기사는 널리 주목받은 남부 매미의 13년 주기를 처음으로 묘사한 것입니다.[29] 라일리는 1885년에 출판한 정기적인 매미에 관한 출판물에서 파라스의 업적을 인정했습니다.[29][79]

가려운 진드기 물린 곳

1998년, 미주리주 서부에서 17년생 매미(Brood IV)와 13년생 매미(Brood XIX)가 출현했습니다. 각 무리는 주에서 가장 큰 종류입니다. 두 무리의 영토가 일부 지역에서 겹치면서(수렴), 1777년 이래로 처음으로 수렴이 이루어졌습니다.[80]

2007년과 2008년에 일리노이 자연사 조사의 연구 과학자인 에드먼드 자보르스키(Edmond Zaborski)는 참나무 잎 갈진드기("itch mite")(피모테스 허프시)가 주기적인 매미 알의 외부 기생충이라고 보고했습니다. 그는 2007년 브루드 13세의 출현이 끝난 후 시카고 교외에서 사람들이 발생하고 있는 신비한 가려운 웰트와 발진을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조사하는 동안, 그 사건은 그 알들에 기생하는 동안 개체수가 빠르게 증가한 진드기에 물린 것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81] 2021년 브루드 X 출현이 끝난 후 워싱턴 D.C. 지역에서도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82]

사람의 음식으로 사용합니다.

매직카다 종은 유사한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가 부족한 사람들을 위해 요리할 때 먹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요리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털갈이 직후 곤충을 부드러운 상태로 수집할 것을 권장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응급 님프나 굳어있는 성인을 선호합니다.[83]

이 곤충들은 역사적으로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먹어왔는데, 그들은 그것들을 튀기거나 뜨거운 오븐에 볶고, 그것들이 잘 갈색이 될 때까지 저었습니다.[84][85] 말라트는 1907년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새로 출현하고 다육이 된 매미를 인간의 식단의 한 기사로 사용하는 것은 이론적인 관심사일 뿐인데, 다른 이유가 없다면 너무 드물게 발생하여 진정한 가치를 갖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든 곤충들이 대부분의 문명 국가들에게 식량의 기사로서 영감을 주는 것처럼 보이는 본능적인 혐오에는 훨씬 더 강력한 반대가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매미는 적절한 시기에 채취되어 적절하게 옷을 입고 제공되는 다소 매력적인 음식이어야 합니다. 유충은 가장 깨끗하고 완전한 종류의 식물성 물질만을 먹고 살아왔기 때문에 강바닥의 진흙투성이에서 사는 청소기 습성으로 인해 굴보다 훨씬 더 입맛에 맞고 음식으로 적합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는 매우 귀중하고 정기적인 매미만큼 깨끗한 기록이 없는 다른 많은 동물들도 있습니다.[85]

메모들

  1. ^ Maxine Shoemaker Heath (1978). Genera of American cicadas north of Mexico (PDF) (PhD thesis). University of Florida. doi:10.5962/bhl.title.42291.
  2. ^ a b "General Periodical Cicada Information". Cicadas. Storrs, Connecticut: University of Connecticut. February 16,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1, 2021. Retrieved May 11, 2021.
  3. ^ Marshall, DC; Moulds, M; Hill, KBR; Price, BW; Wade, EJ; Owen, CO; Goemans, G; Marathe, K; Sarkar, V; Cooley, JR; Sanborn, AF; Kunte, K; Villet, MH; Simon, C (2018).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cicadas (Hemiptera: Cicadidae) with a review of tribe and subfamily classification". Zootaxa. 4424 (1): 1–64. doi:10.11646/zootaxa.4424.1.1. PMID 30313477. S2CID 5297645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3, 2018.
  4. ^ Lloyd, M. & H.S. Dybas (1966). "The periodical cicada problem. I. Population ecology". Evolution. 20 (2): 133–149. doi:10.2307/2406568. JSTOR 2406568. PMID 28563627.
  5. ^ a b c Williams, K.S. & C. Simon (1995). "The ecology, behavior, and evolution of periodical cicadas" (PDF). Annual Review of Entomology. 40: 269–295. doi:10.1146/annurev.en.40.010195.00141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July 29, 2010.
  6. ^ Hajong, Sudhanya Ray; Yaakop, Salmah (August 29, 2013). "Chremistica ribhoi sp. n. (Hemiptera: Cicadidae) from North-East India and its mass emergence". Zootaxa. 3702 (5): 493–500. doi:10.11646/zootaxa.3702.5.8. PMID 26146742.
  7. ^ Simon, Chris; Cooley, John R.; Karban, Richard; Sota, Teiji (January 7, 2022). "Advances in the Evolution and Ecology of 13- and 17-Year Periodical Cicada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67 (1): 457–482. doi:10.1146/annurev-ento-072121-061108. PMID 34623904. S2CID 238529885.
  8. ^ a b c d Alexander, Richard D.; Moore, Thomas E. (1962).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17-Year and 13-Year Cicadas, and Three New Species (Homoptera, Cicadidae, Magicicada)" (PDF).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 2012.
  9. ^ a b Capinera, John L. (2008). Encyclopedia of Entomology. Springer. pp. 2785–2794. ISBN 978-1-4020-624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4, 2016.
  10. ^ Stranahan, Nancy. "Nature Notes from the Eastern Forest". Arc of Appalach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5, 2011. Retrieved June 10, 2011.
  11. ^ 여러 출처:
  12. ^ Cook, William M.; Robert D. Holt (2002). "Periodical cicada (Magicicada cassini) oviposition damage: visually impressive yet dynamically irrelevant" (PDF).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47 (2): 214–224. doi:10.1674/0003-0031(2002)147[0214:PCMCOD]2.0.CO;2. S2CID 450980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ugust 7, 2011.
  13. ^ 여러 출처:
  14. ^ Marlatt, C. L. (1907). "The Habits of the Larva and Pupa.: The Food of the Larva and Pupa.". The Periodical Cicada (71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Bureau of Entomology: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123–125. LCCN agr07001971. OCLC 902809085. Retrieved July 26, 2021 – via Internet Archive.
  15. ^ White, J; Lloyd, M. (1979). "Seventeen year cicadas emerging after eighteen years-a new brood?". Evolution. 33 (4): 1193–1199. doi:10.2307/2407477. JSTOR 2407477. PMID 28563914.
  16. ^ Heath, J.E. (1968). "Synchronization of Emergence in Periodical "17-year" Cicadas (Homoptera, Cicadidae, Magicicada)". American Midland Naturalist. 80 (2): 440–448. doi:10.2307/2423537. JSTOR 2423537.
  17. ^ Marlatt, C.L (1907). "Transformation to the Adult Stage.: Cicada Huts, or Cones.". The Periodical Cicada (71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Bureau of Entomology: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91–98. OCLC 902809085. Retrieved July 26, 2021 – via Internet Archive.
  18. ^ Betard, F. (2020). "Insects as zoogeomorphic agents: an extended review" (PDF).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46: 89–109. doi:10.1002/esp.4944. S2CID 225534427.
  19. ^ "Sexual Signals in Periodical Cicadas" (PDF). Behaviour.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June 16, 2013. Retrieved January 17, 2014.
  20. ^ Dybas, H. S.; Davis, D. D. (1962). "A populations census of seventeen-year periodical cicadas (Homoptera: Cicadidae: Magicicada)". Ecology. 43 (3): 432–444. doi:10.2307/1933372. JSTOR 1933372.
  21. ^ Williams, K. S.; Smith, K. G.; Stephen, F. M. (1993). "Emergence of 13-year periodical cicadas (Cicadidae, Magicicada): phenology, mortality, and predator satiation". Ecology. 74 (4): 1143–1152. doi:10.2307/1940484. JSTOR 1940484.
  22. ^ Goles, E.; Schulz, O.; Markus, M. (2001). "Prime number selection of cycles in a predator-prey model". Complexity. 6 (4): 33–38. Bibcode:2001Cmplx...6d..33G. doi:10.1002/cplx.1040.
  23. ^ a b Cox, R. T. & C. E. Carlton (1988). "Paleoclimatic influences in the evolution of periodical cicadas (Homoptera: Cicadidae: Magicicada spp.)".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20 (1): 183–193. doi:10.2307/2425898. JSTOR 2425898. S2CID 4213280.
  24. ^ Tanaka, Y; Yoshimura, J.; Simon, C.; Cooley, J.; Tainaka, K. (2009). "Allee effect in the selection for prime-numbered cycles in periodical cicad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22): 8975–8979. Bibcode:2009PNAS..106.8975T. doi:10.1073/pnas.0900215106. PMC 2690011. PMID 19451640.
  25. ^ a b Cox, R. T. & C. E. Carlton (1991). "Evidence of genetic dominance of the 13-year life cycle in periodical cicadas (Homoptera: Cicadidae: Magicicada spp.)".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25 (1): 63–74. doi:10.2307/2426370. JSTOR 2426370.
  26. ^ a b Yang, Louie H. (2004). "Periodical Cicadas as Resource Pulses in North American Forests". Science. 306 (5701): 1565–1567. Bibcode:2004Sci...306.1565Y. doi:10.1126/science.1103114. PMID 15567865. S2CID 27088981.
  27. ^ "National Geographic: Cicada Outbreaks Linked to Other Animals' Booms, Bus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2, 2008. Retrieved June 23, 2009.
  28. ^ Marlatt, C. L. (1907). "The Classification of the Broods". The Periodical Cicada (71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Bureau of Entomology: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28–30. LCCN agr07001971. OCLC 902809085. Retrieved July 26, 2021 – via Internet Archive.
  29. ^ a b c d e f Marlatt, C.L (1907). "The Races, Broods, and Varieties of the Cicada: A Seventeen–Year Race and a Thirteen–Year Race". The Periodical Cicada (71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Bureau of Entomology: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14–18. OCLC 902809085. Retrieved July 26, 2021 – via Internet Archive.
  30. ^ Marlatt, C.L (1907). "Summary of the Habi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cada.". The Periodical Cicada (71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Bureau of Entomology: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13–14. OCLC 902809085. Retrieved July 26, 2021 – via Internet Archive.
  31. ^ Post, Susan L. (2004). "A Trill of a Lifetime". The Illinois Stew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0, 2007.
  32. ^ "Brood IV". Cicadas. Storrs, Connecticut: University of Connecticut. February 21,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1, 2021. Retrieved July 25, 2021.
  33. ^ "Periodical Cicada - Brood 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nited States Forest Service. April 15,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7, 2016.
  34. ^ "Brood X (17-year)". Ann Arbor, Michigan: Division of Insects: Museum of Zoology: University of Michigan College of Literature, Science, and the A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7, 2015. Retrieved March 13, 2024.
  35. ^ Sheikh, Knvul (May 27, 2017). "Brood Awakening: 17-Year Cicadas Emerge 4 Years Early". Scientific Americ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5, 2024. Retrieved March 13, 2024.
  36. ^ Schuster, James; Nixon, Philip. "Timed to perfection: Cicada's biological clock determines emergence". Insects: Cicadas. Urbana,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College of Agricultural, Consumer and Environmental Sciences: Illinois Exten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0, 2024. Retrieved March 12, 2024. The northern Illinois brood, which will emerge in late May 2024, has a reputation for the largest emergence of cicadas known anywhere. This is due to the size of the emergence and the research and subsequent reporting over the years by entomologists Monte Lloyd and Henry Dybas at the Field Museum in Chicago. During the 1956 emergence, they counted an average of 311 nymphal emergence holes per square yard of ground in a forested floodplain near Chicago. This translates to 1½ million cicadas per acre. In upland sites, they recorded 27 emergence holes per square yard, translating to about 133,000 per acre. This number is more typical of emergence numbers but is still a tremendous number of insects. .... 2020 Northern Illinois Sub-Brood (part of Marlatt's XIII)
  37. ^ "Brood XIX: The Great Southern Brood". Biodiversity Research Collections: Periodical Cicada Information Pages. Storrs, Connecticut: University of Connecticu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4, 2024. Retrieved March 13, 2024. Brood XIX is arguably the largest (by geographic extent) of all periodical cicada broods, with records along the east coast from Maryland to Georgia and in the Midwest from Iowa to Oklahoma.
  38. ^ Marlatt, C.L. (1907). The Periodical Cicada (71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Bureau of Entomology: Government Printing Office. OCLC 902809085. Retrieved July 26, 2021 – via Internet Archive.
  39. ^ "Brood XXII (13-year) The Baton Rouge Brood". National Geographic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3, 2011. Retrieved August 28, 2011.
  40. ^ "Brood XXIII". February 2021. Retrieved February 24, 2022.
  41. ^ "Stragglers". Biodiversity Research Collections: Periodical Cicada Information Pages. Storrs, Connecticut: University of Connecticu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6, 2024. Retrieved March 13, 2024.
  42. ^ "What are stragglers?". Cicada Mania. June 27,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8, 2024. Retrieved March 13, 2024. Typically cicadas with a 17-year life cycle will emerge 4 years early, and cicadas with a 13-year cycle will emerge 4 years late.
  43. ^ 여러 출처:
    • "2024 Cicada Forecast". Cicada Mania. February 10, 20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8, 2024. Retrieved March 13, 2024. Both Brood XIX and XIII exist in Macon, Sangamon, Livingston and Logan counties in Illinois. The easily accessible place they come closest to overlapping is Springfield, Illinois, which is in Sangamon County.
    • Schuster, James; Nixon, Philip. "Timed to perfection: Cicada's biological clock determines emergence". Insects: Cicadas. Urbana,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College of Agricultural, Consumer and Environmental Sciences: Illinois Exten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0, 2024. Retrieved March 12, 2024. The northern Illinois brood, which will emerge in late May 2024, has a reputation for the largest emergence of cicadas known anywhere. This is due to the size of the emergence and the research and subsequent reporting over the years by entomologists Monte Lloyd and Henry Dybas at the Field Museum in Chicago. During the 1956 emergence, they counted an average of 311 nymphal emergence holes per square yard of ground in a forested floodplain near Chicago. This translates to 1½ million cicadas per acre. In upland sites, they recorded 27 emergence holes per square yard, translating to about 133,000 per acre. This number is more typical of emergence numbers but is still a tremendous number of insects.
    • "The 2024 Periodical Cicada Emergence". Biodiversity Research Collections: Periodical Cicada Information Pages. Storrs, Connecticut: University of Connecticu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2, 2024. Retrieved March 13, 2024. In 2024, 13-year Brood XIX, which is the largest of all periodical cicada broods, will co-emerge with 17-year Brood XIII; these two broods are adjacent (but not significantly overlapping) in north-central Illinois.
    • "Brood XIX: The Great Southern Brood". Biodiversity Research Collections: Periodical Cicada Information Pages. Storrs, Connecticut: University of Connecticu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4, 2024. Retrieved March 13, 2024. Brood XIX is arguably the largest (by geographic extent) of all periodical cicada broods, with records along the east coast from Maryland to Georgia and in the Midwest from Iowa to Oklahoma.
  44. ^ 여러 출처:
  45. ^ Marshall, David C.; Moulds, Max; Hill, Kathy B. R.; Price, Benjamin W.; Wade, Elizabeth J.; Owen, Christopher L.; Goemans, Geert; Marathe, Kiran; Sarkar, Vivek; Cooley, John R.; Sanborn, Allen F. (May 28, 2018).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cicadas (Hemiptera: Cicadidae) with a review of tribe and subfamily classification". Zootaxa. 4424 (1): 1–64. doi:10.11646/zootaxa.4424.1.1. ISSN 1175-5334. PMID 30313477. S2CID 52976455.
  46. ^ says, Dave (January 10, 2019). "Chrysolasia guatemalena (Distant, 1883)". Cicada Mania. Retrieved May 15, 2021.
  47. ^ "Magicicada species". National Geographic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6, 2017. Retrieved June 12, 2011.
  48. ^ Marshall, David C. (April 8, 2022). "On the spelling of the name of Cassin's 17-Year Cicada, Magicicada cassini (Fisher, 1852) (Hemiptera: Cicadidae)". Zootaxa. 5125 (2): 241–245. doi:10.11646/zootaxa.5125.2.8. PMID 36101217. S2CID 248041307. [열린 접근]
  49. ^ 여러 출처:
  50. ^ a b Sota, Teiji; Yamamoto, Satoshi; Cooley, John R.; Hill, Kathy B. R.; Simon, Chris5; Yoshimura, Jin (April 23, 2013). "Independent divergence of 13- and 17-y life cycles among three periodical cicada lineag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0 (17): 6919–6924. Bibcode:2013PNAS..110.6919S. doi:10.1073/pnas.1220060110. PMC 3637745. PMID 23509294.{{cite journal}}: CS1 메인트: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51. ^ "Broods". Cicadas. University of Connecticut. February 27,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1, 2021. Retrieved April 18, 2021.
  52. ^ a b 그림 1, 페이지 107 참조
  53. ^ Omara-Otunnu, Elizabeth (April 26, 2004). "Life cycles Of Cicada Species Are Focus Of Biologist's Research". The UConn Advance. University of Connecticu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2, 2010. Retrieved April 18, 2021.
  54. ^ "Making Modern Maps: A National Geographic Society sponsored project". Cicadas. University of Connecticut. February 18,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7, 2021. Retrieved April 18, 2021. To date, we have surveyed and mapped over 10,000 localities within periodical cicada emergences, using detailed base maps and GPS technology, such as the custom GPS datalogger ... .
  55. ^ 여러 출처:
  56. ^ a b 여러 출처:
  57. ^ Cooley, John R.; Marshall, David C.; Hill, Kathy B. R. (January 23, 2018). "A specialized fungal parasite (Massospora cicadina) hijacks the sexual signals of periodical cicadas (Hemiptera: Cicadidae: Magicicada)" (PDF). Scientific Reports. Springer Nature. 8 (1432): 1432. Bibcode:2018NatSR...8.1432C. doi:10.1038/s41598-018-19813-0. ISSN 2045-2322. PMC 5780379. PMID 2936247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August 30, 2021. Retrieved August 29, 2021.
  58. ^ 힐러리 크리스텐슨 & 마릴린 L. Fogel (2011) 먹이 생태학과 주기적 매미의 아미노산 합성 증거 (Magicacada) 곤충 생리학 저널 57: 211-219
  59. ^ Campbell, Matthew A.; Łukasik, Piotr; Simon, Chris; McCutcheon, John P. (2017). "Idiosyncratic Genome Degradation in a Bacterial Endosymbiont of Periodical Cicadas". Current Biology. 27 (22): 3568–3575.e3. doi:10.1016/j.cub.2017.10.008. PMC 8879801. PMID 29129532.
  60. ^ Bradford, William. "The 10. Chap.: Showing how they sought out a place of habitation, and what befell them thereaboute.". In Davis, William T. (1908) (ed.). Bradford's History of Plymouth Plantation: 1606-1646. Original Narratives of Early American History.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p. 105. LCCN 08007375. OCLC 954260374. Retrieved September 10, 2020 – via HathiTrust Digital Library.{{cite book}}: CS1 메인트: 숫자 이름: 편집기 목록(링크)
  61. ^ a b "Seventeen and thirteen year locusts". Scientific American. New series. New York: Munn & Company. 20 (13): 195–196. March 27, 1869. Retrieved July 24, 2021 – via Google Books.
  62. ^ 여러 출처:
  63. ^ a b c Marlatt, C.L (1898). "The Periodical Cicada in Literature". The Periodical Cicada: An Account of Cicada Septendecim, Its Natural Enemies and the Means of Preventing its Injury, Together with a Summary of the Distribution of the Different Broods (14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Division of Entomology: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112–118. OCLC 1039550735. Retrieved July 29, 2021 – via Internet Archive.
  64. ^ Marlatt, C.L (1907). "Brood XIV—Septendecim". The Periodical Cicada (71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Bureau of Entomology: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58. OCLC 902809085. Retrieved July 26, 2021 – via Internet Archive.
  65. ^ Kritsky, Gene (July 1, 2001). "Periodical Revolutions and the Early History of the "Locust" in American Cicada Terminology". American Entomologist. 47 (3): 186–188. doi:10.1093/ae/47.3.186. OCLC 5710011450.
  66. ^ 더들리, 폴 (1733). 주기적인 혁명. 추가 원고 4433, 폴리오스 4-11, 영국 도서관 원고 부서, 런던. 에서 인용됨
  67. ^ Kritsky, Gene (2004). "John Bartram and the Periodical Cicadas: A Case Study". In Hoffmann, Nancy E.; Van Horne, John C. (eds.). America's Curious Botanist: A Tercentennial Reappraisal of John Bartram 1699-1777. Philadelphia: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p. 44. ISBN 978-0-87169-249-8. LCCN 2003050212. OCLC 891409264. Retrieved July 29, 2021 – via Google Books.
  68. ^ Sandel, Andreas (January 1906). "Extracts from the Journal of Rev. Andreas Sandel, Pastor of "Gloria Dei" Swedish Lutheran Church, Philadelphia, 1702-1719: May 9, 1715". The Pennsylvania Magazine of History and Biography. Vol. 30. Philadelphia: The Historical Society of Pennsylvania. pp. 448–449. ISSN 0031-4587. JSTOR 20085357. OCLC 1762062. Retrieved October 7, 2020 – via Google Books.
  69. ^ Kalm, Peter (1772). "Preface". Travels into North America; Containing Its Natural History, and a Circumstantial Account of Its Plantations and Agriculture in General, with the Civil, Ecclesiastical and Commercial State of the Country, the Manners of the Inhabitants, and Several Curious and Important Remarks on Various Subjects. Translated into English by John Reinhold Forster. Vol. 1 (2nd ed.). London: Printed for T. Lowndes, No. 77, in Fleet-street. pp. v–vii. ISBN 978-0-665-51501-9. LCCN 02013569. OCLC 1042021758. Retrieved August 24, 2021 – via Internet Archive.
  70. ^ a b c d e Davis, J.J. (May 1953). "Pehr Kalm's Description of the Periodical Cicada, Magicicada septendecim L., from Kongl. Svenska Vetenskap Academiens Handlinger, 17:101-116, 1756, translated by Larson, Esther Louise (Mrs. K.E. Doak)" (PDF). The Ohio Journal of Science. 53: 139–140. hdl:1811/402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May 29, 2019. 재발행인
  71. ^ Kalm, Peter (1771). Travels into North America: Translated into English, By John Reinhold Foster. Vol. 2. London: T. Lowndess. pp. 212–2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5, 2012. Retrieved September 10, 2020 – via Google Books..
  72. ^ Kalm, Peter (1771). Travels into North America: Translated into English, By John Reinhold Foster. Vol. 2. London: T. Lowndess. pp. 6–7. Retrieved September 10, 2020 – via Google Books.
  73. ^ Linnaei, Caroli (1758).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Insecta. Hemiptera. Cicada. Mannifera. septendecim. Vol. 1 (10 ed.). Stockholm, Sweden: Laurentii Salvii. pp. 436–43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5, 2017. Retrieved May 24, 2017 – via Biodiversity Heritage Library (BHL).
  74. ^ Bartram, Moses (1766). "Observations on the cicada, or locust of America, which appears periodically once in 16 or 17 years. Communicated by the ingenious Peter Collinson, Esq.". The Annual Register, or a View of the History, Politicks, and Literature, for the Year 1767. London: Printed for J. Dodsley (1768). pp. 103–106. OCLC 642534652. Retrieved May 21, 2017 – via Google Books.
  75. ^ Jefferson, Thomas (1775). Betts, Edward Morris (ed.). "Thomas Jefferson's garden book, 1766-1824, with relevant extracts from his other writings". Memoir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2: 68. LCCN 45001776. OCLC 602659598. Retrieved May 20, 2017 – via Google Books. Dr. Walker sais he remembers that the years 1724 and 1741 were great locust years. we all remember that 1758 was and now they are come again this year of 1775. It appears that they come periodically from the ground once in 17 years. They come out of the ground from a prodigious depth. It is thought they eat nothing while in this state, laying their eggs in the small twigs of trees seems to be their only business. The females make a noise well known. The males are silent.
  76. ^ 여러 출처:
  77. ^ Cooley, John R.; Marshall, David C.; Hill, Kathy B. R. (January 23, 2018). "A specialized fungal parasite (Massospora cicadina) hijacks the sexual signals of periodical cicadas (Hemiptera: Cicadidae: Magicicada)" (PDF). Scientific Reports. Springer Nature. 8 (1432): 1432. Bibcode:2018NatSR...8.1432C. doi:10.1038/s41598-018-19813-0. ISSN 2045-2322. PMC 5780379. PMID 2936247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August 30, 2021. Retrieved August 29, 2021.
  78. ^ 여러 출처:
  79. ^ Riley, Charles V. (1885). "The Periodical or Seventeen–Year Cicada And Its Thirteen-Year Race". The Periodical Cicada. An Account of Cicada Septendecim And Its Tredecim Race. With A Chronology of All Broods Know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Division of Entomology. Bulletin No. 8 (Second ed.).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5–6. LCCN unk82081627. OCLC 868033643. Retrieved July 26, 2021 – via Internet Archive.
  80. ^ 여러 출처:
  81. ^ 여러 출처:
  82. ^ 여러 출처:
  83. ^ 여러 출처:
  84. ^ Davis, J.J. (May 1953). "Pehr Kalm's Description of the Periodical Cicada, Magicicada septendecim L., from Kongl. Svenska Vetenskap Academiens Handlinger, 17:101-116, 1756, translated by Larson, Esther Louise (Mrs. K.E. Doak)" (PDF). The Ohio Journal of Science. 53: 141. hdl:1811/402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May 29, 2019. 재발행인
  85. ^ a b Marlatt, C. L. (1907). "The Cicada as an Article of Food". The Periodical Cicada (71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Bureau of Entomology: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102–104. LCCN agr07001971. OCLC 902809085. Retrieved July 26, 2021 – via Internet Archive.

참고문헌

추가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