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트로트리아졸론
Nitrotriazolone이름 | |
---|---|
선호 IUPAC 이름 5-니트로1,2-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진-3-1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약어 | NTO |
켐스파이더 | |
ECHA InfoCard | 100.012.050 |
EC 번호 |
|
메슈 | C420648 |
펍켐 CID | |
UN 번호 | 0490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특성. | |
C2H2N4O3 | |
어금질량 | 130.063 g·1998−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
Infobox 참조 자료 | |
니트로트리아졸론(NTO)은 1905년 처음 확인된 고폭약물이지만 폭발성 성질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뤄졌다.[2]NTO는 현재 미군에 의해 군수품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3]
니트로트리아졸론은 점차 새로운 폭발성 제형에 이용되고 있다.[4]
참조
- ^ "Nitrotriazolone". PubChem.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November 2016. Retrieved 16 November 2016.
- ^ Jai Prakash Agrawal (20 November 2015). High Energy Materials: Propellants, Explosives and Pyrotechnics. Wiley. pp. 124–. ISBN 978-3-527-80268-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anuary 2021. Retrieved 20 August 2019.
- ^ Winstead, Bob (26 October 2011). "Nitrotriazolone: An Environmental Odyssey" (PDF). NDIA Systems Engineering Conferenc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3 December 2016. Retrieved 16 November 2016.
- ^ Shree Nath Singh (4 August 2013). Biological Remediation of Explosive Residu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285–. ISBN 978-3-319-0108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anuary 2021. Retrieved 20 August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