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시 파팔로풀루

Nancy Papalopulu
낸시 파팔로풀루

N Papalopulu.jpg
2014년 파팔로풀루
태어난
아틀란사 파팔로풀루

(1962-03-26) 1962년 3월 26일 (60세)
국적그리스어
모교아리스토텔레스 데살로니키 대학(BSC)
런던 대학교 (PhD)
수상EMBO 회원(2012년)
과학 경력
필드발달신경생물학
기관맨체스터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논문유전자를 함유한 척추동물의 동식물 분석 (1991)
박사학위 자문위원롭 크룸라우프
웹사이트파팔로풀라브wordpress.com Edit this at Wikidata

Anthanasa Papalopulu (1962년 출생) FMedSci FRSB웰컴 트러스트 선임 연구원이자 맨체스터 대학의 생물과학대학발달 신경과학 교수다.[1][2][3]

교육

낸시 파팔로풀루는 그리스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대학의 약학대학에서 학부과정을 마친 후 1986년 런던으로 건너가 국립 의학연구소에서 박사과정을 밟았고, 그곳에서 롭 크룸라우프의 첫 대학원생 중 한 명이 되었다.[4][5] 그곳에서 그녀는 신경계를 쓰다듬는 데 있어서 홉스 유전자의 역할을 연구했다.[6]그녀는 1991년에 박사과정을 마쳤다.[7]

직업 및 연구

1991년, 그녀는 캘리포니아의 라 졸라로 이사하여 소크 연구소의 크리스 킨트너의 감독하에 박사후 업무를 수행하였다.[8]그곳에서 그녀는 Xenopus를 모델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척추동물 배아의 신경 패터닝을 제어하는 요인을 계속 연구했다.이때부터 그녀는 뉴런 분화의 시기가 어떻게 조절되는가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9]1997년, 낸시는 웰컴 트러스트 경력 개발상을 수상하고 영국으로 돌아와 케임브리지 대학거든 연구소에 자신만의 연구소를 설립하여 이 문제를 추구하였다.캠브리지에서 낸시는 핵 재프로그래밍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뒷받침해 준 제노푸스 배아에 대한 정석적인 연구로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존 거든 경과 연구실을 공유했다.그녀 자신의 연구와 그녀의 연구원들의 연구는 세포 주기, 세포 극성, 위치가 발달하는 척추동물 신경계에서 뉴런 세포 유지분화의 균형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2006년, 그녀는 그녀의 연구실을 맨체스터 대학교로 옮겼고, 그곳에서 그녀는 생명과학부발달 생물 그룹의[3] 연구 그룹 리더가 되었다.맨체스터에서 그녀는 척추동물이 발달하는 동안 신경생물의 발생 시기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계속 연구해왔다.그녀의 그룹은 컴퓨터 모델링과 실험 생물학을 사용하여 마이크로RNA miR-9의 진동이 신경 유전자의 정확한 타이밍 파장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 분화의 중요한 조절기인 HES1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0][11]2011년 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낸시는 개발 생물학을 대표하는 조직 시스템 부서장으로, 생명과학부의 약 40개 연구 그룹인 셀-매트릭스 연구를 위한 웰컴 트러스트 센터였습니다.그녀는 또한 이 대학의 여성 과학 그룹의 활발한 회원이다.

수상 및 명예

참조

  1. ^ 유럽 퍼브메드 센트럴낸시 파팔로풀루 출판물
  2. ^ Nancy Papalopulu 출판물은 Scopus 서지학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색인화되었다.(필요한 경우)
  3. ^ a b 파팔로풀라브wordpress.com Edit this at Wikidata
  4. ^ Graham, Anthony; Papalopulu, Nancy; Krumlauf, Robb (1989). "The murine and Drosophila homeobox gene complexes have common features of organization and expression". Cell. 57 (3): 367–378. doi:10.1016/0092-8674(89)90912-4. ISSN 0092-8674. PMID 2566383. S2CID 22259601.
  5. ^ Giles, Chrissie, ed. (2013). "A brief history of timing" (PDF). Wellcome News (7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0-11-16.
  6. ^ Papalopulu, Nancy; Hunt P; Wilkinson D; Graham A; Krumlauf R. (1990). "Hox-2 homeobox genes and retinoic acid: potential roles in patterning the vertebrate nervous system". Advances in Neural Regeneration Research: 291–307.
  7. ^ Papalopoulou, Athanasia (1991). Analysis of vertebrate homeobox containing genes. ucl.ac.uk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OCLC 1170168705. EThOS uk.bl.ethos.815786. open access
  8. ^ Papalopulu N, Kintner C (1993). "Xenopus Distal-less related homeobox genes are expressed in the developing forebrain and are induced by planar signals". Development. 117 (3): 961–75. PMID 8100768.
  9. ^ Papalopulu, Nancy; Kintner C. (1996). "A posteriorising factor, retinoic acid, reveals that anteroposterior patterning controls the timing of neuronal differentiation in Xenopus neuroectoderm". Development. 122 (11): 3409–3418. PMID 8951057.
  10. ^ Bonev, Boyan; Stanley P; Papalopulu N. (2012). "miR-9 modulates Hes1 ultradian oscillations by forming a double negative-feedback loop". Cell Reports. 2 (1): 10–18. doi:10.1016/j.celrep.2012.05.017. PMC 4103481. PMID 22840391.
  11. ^ Goodfellow, Marc; Phillips N; Manning C; Galla T; Papalopulu N. (2014). "microRNA input into a neural ultradian oscillator provides a mechanism for the timing of differentiation and the emergence of alternative cells states". Nature Communications. 5: 3399. doi:10.1038/ncomms4399. PMC 3959193. PMID 24595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