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시 파팔로풀루
Nancy Papalopulu낸시 파팔로풀루 | |
---|---|
태어난 | 아틀란사 파팔로풀루 ) 1962년 3월 26일 |
국적 | 그리스어 |
모교 | 아리스토텔레스 데살로니키 대학(BSC) 런던 대학교 (PhD) |
수상 | EMBO 회원(2012년) |
과학 경력 | |
필드 | 발달신경생물학 |
기관 | 맨체스터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
논문 | 유전자를 함유한 척추동물의 동식물 분석 (1991) |
박사학위 자문위원 | 롭 크룸라우프 |
웹사이트 | 파팔로풀라브 |
Anthanasa Papalopulu (1962년 출생) FMedSci FRSB는 웰컴 트러스트 선임 연구원이자 맨체스터 대학의 생물과학대학의 발달 신경과학 교수다.[1][2][3]
교육
낸시 파팔로풀루는 그리스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대학의 약학대학에서 학부과정을 마친 후 1986년 런던으로 건너가 국립 의학연구소에서 박사과정을 밟았고, 그곳에서 롭 크룸라우프의 첫 대학원생 중 한 명이 되었다.[4][5] 그곳에서 그녀는 신경계를 쓰다듬는 데 있어서 홉스 유전자의 역할을 연구했다.[6]그녀는 1991년에 박사과정을 마쳤다.[7]
직업 및 연구
1991년, 그녀는 캘리포니아의 라 졸라로 이사하여 소크 연구소의 크리스 킨트너의 감독하에 박사후 업무를 수행하였다.[8]그곳에서 그녀는 Xenopus를 모델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척추동물 배아의 신경 패터닝을 제어하는 요인을 계속 연구했다.이때부터 그녀는 뉴런 분화의 시기가 어떻게 조절되는가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9]1997년, 낸시는 웰컴 트러스트 경력 개발상을 수상하고 영국으로 돌아와 케임브리지 대학의 거든 연구소에 자신만의 연구소를 설립하여 이 문제를 추구하였다.캠브리지에서 낸시는 핵 재프로그래밍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뒷받침해 준 제노푸스 배아에 대한 정석적인 연구로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존 거든 경과 연구실을 공유했다.그녀 자신의 연구와 그녀의 연구원들의 연구는 세포 주기, 세포 극성, 위치가 발달하는 척추동물 신경계에서 뉴런 세포 유지와 분화의 균형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2006년, 그녀는 그녀의 연구실을 맨체스터 대학교로 옮겼고, 그곳에서 그녀는 생명과학부의 발달 생물 그룹의[3] 연구 그룹 리더가 되었다.맨체스터에서 그녀는 척추동물이 발달하는 동안 신경생물의 발생 시기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계속 연구해왔다.그녀의 그룹은 컴퓨터 모델링과 실험 생물학을 사용하여 마이크로RNA miR-9의 진동이 신경 유전자의 정확한 타이밍 파장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 분화의 중요한 조절기인 HES1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0][11]2011년 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낸시는 개발 생물학을 대표하는 조직 시스템 부서장으로, 생명과학부의 약 40개 연구 그룹인 셀-매트릭스 연구를 위한 웰컴 트러스트 센터였습니다.그녀는 또한 이 대학의 여성 과학 그룹의 활발한 회원이다.
수상 및 명예
- 2013년 맨체스터 대학교 생명과학부 올해의 연구원상
- 2013년 5월, 의학 아카데미(FMedSci, FMedSci)의 회원으로 선출
- 2012년 5월 유럽 분자생물기구(EMBO)의 회원으로 선출
- 2012년 11월~2018년 6월 국제 차별화 협회 이사 선출
- 2012년 11월 영국 세포 생물학 위원회 위원 선출
- 2011년 6월 영국 왕립 생물학회(FRSB) 회원으로 선출
- BSDB 봄 및 가을 회의의 조직을 감독하는 영국 개발 생물학회(BSDB, British Development Biology, BSDB)의 선출된 위원 및 임원(Meetings Officer, 2003–2009)
- 웰컴트러스트 선임연구위원, 2000~2015년 (2회 갱신)
참조
- ^ 유럽 퍼브메드 센트럴의 낸시 파팔로풀루 출판물
- ^ Nancy Papalopulu 출판물은 Scopus 서지학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색인화되었다.(필요한 경우)
- ^ a b 파팔로풀라브
wordpress .com - ^ Graham, Anthony; Papalopulu, Nancy; Krumlauf, Robb (1989). "The murine and Drosophila homeobox gene complexes have common features of organization and expression". Cell. 57 (3): 367–378. doi:10.1016/0092-8674(89)90912-4. ISSN 0092-8674. PMID 2566383. S2CID 22259601.
- ^ Giles, Chrissie, ed. (2013). "A brief history of timing" (PDF). Wellcome News (7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0-11-16.
- ^ Papalopulu, Nancy; Hunt P; Wilkinson D; Graham A; Krumlauf R. (1990). "Hox-2 homeobox genes and retinoic acid: potential roles in patterning the vertebrate nervous system". Advances in Neural Regeneration Research: 291–307.
- ^ Papalopoulou, Athanasia (1991). Analysis of vertebrate homeobox containing genes. ucl.ac.uk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OCLC 1170168705. EThOS uk.bl.ethos.815786.
- ^ Papalopulu N, Kintner C (1993). "Xenopus Distal-less related homeobox genes are expressed in the developing forebrain and are induced by planar signals". Development. 117 (3): 961–75. PMID 8100768.
- ^ Papalopulu, Nancy; Kintner C. (1996). "A posteriorising factor, retinoic acid, reveals that anteroposterior patterning controls the timing of neuronal differentiation in Xenopus neuroectoderm". Development. 122 (11): 3409–3418. PMID 8951057.
- ^ Bonev, Boyan; Stanley P; Papalopulu N. (2012). "miR-9 modulates Hes1 ultradian oscillations by forming a double negative-feedback loop". Cell Reports. 2 (1): 10–18. doi:10.1016/j.celrep.2012.05.017. PMC 4103481. PMID 22840391.
- ^ Goodfellow, Marc; Phillips N; Manning C; Galla T; Papalopulu N. (2014). "microRNA input into a neural ultradian oscillator provides a mechanism for the timing of differentiation and the emergence of alternative cells states". Nature Communications. 5: 3399. doi:10.1038/ncomms4399. PMC 3959193. PMID 24595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