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코 크르스티치
Micko Krstić해당 기사를 세르비아어로 번역한 텍스트로 이 기사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14년 12월) 중요한 번역 설명서를 보려면 [show]를 클릭하세요.
|
미코 크르스티치 | |
---|---|
닉네임 | 포레치키 |
태어난 | c. 1855 오스만 제국 모나스티르의 산작 라토보 (오늘날의 북마케도니아 마케돈스키 브로드) |
죽은 | 1909년 10월 29일 오스만 제국 모나스티르 주 이 ž슈테 |
얼라이언스 |
|
근속연수 | 1876–81, 1904–09 |
순위 | vojvoda, harambaša |
구성 단위 |
|
미코 크르스티치 포레치키(, 1855년 ~ 1909년 10월 29일)는 세르비아의 반군이자 군사 지도자로, м ицко к рстић에서 활동했습니다.
기원과 초기생활
크르스티치는 오스만 제국의 모나스티르 산야크(Sanjak of Monastir, 현재의 북마케도니아) 지역의 포레체 지역의 마케돈스키 브로드(Makedonski Brod) 근처의 라토보(Latovo)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가족은 인근 트레비노 출신입니다. 그의 출생연도는 대부분 1855년으로 주어지고 1840년까지는 거의 주어지지 않습니다.[1] 그는 세르비아인의 정체성을 지지했습니다. 라토보에서 그의 스승은 오브라도비치였습니다.[2]
세르비아-오스만 전쟁(1876-78)과 그 여파
그는 세르비아-오스만 전쟁(1876-78)에 자원했습니다.[3] 그 후 구마노보 봉기(1878년 1월 20일 ~ 5월 20일)에 참여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세르비아 군사 정부는 코소보와 마케도니아의 반군에게 무장과 원조를 보냈습니다.[4] 전 지역에 기독교 반군 밴드가 형성되었습니다.[4] 민간 자금과 정부의 지원을 받은 많은 밴드들이 세르비아에서 설립되어 오스만 영토로 건너갔습니다.[4] 그런 식으로 1879년 니시에서 니콜라 라시치와 브란제 군정의 도움을 받아 반란군을 결성했습니다.[4]
미코의 밴드들은 브란제에서 무기와 탄약을 받았습니다.[5] 국경을 넘어 크리바 팔란카 주변에서 오스만 제국과 충돌했고, 그곳에서 많은 전투원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5] 단 한 명의 동지와 함께 미코는 포레체로 가서 같은 해에 설립된 스테반 페트로비치-포레차닌 밴드에 합류했습니다.[5]
브르작 반란
1880년 10월 14일, 브르작 반란으로 알려진 포레체에서 봉기가 일어났습니다.[6] 미코는 일리야 델리야, 리스타 코스타디노비치, 안젤코 타나세비치와 함께 지도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7] 이 봉기는 1년 이상 지속될 것입니다.[6]
1881년 봄, 미코 크르스티치는 13명의 전사, 친구, 혈육 형제, 추종자들을 모아 1881년 봄에 세르비아를 떠났습니다.[8] 멤버 중 한 명은 차크르파샤였습니다.[9] 그들의 첫 스승이자 지도자는 체르케즈 일리야였습니다.[8] 1881년 4월, 체르케즈 일리야와 미코의 밴드는 크리바 팔랑카 근처에 포위되었습니다.[9] 이 악단은 오스만 군대와 알바니아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고, 체르케즈 일리야와 그의 악단은 모두 사망했고, 미코와 생존자들은 안전을 위해 도망쳤습니다.[9] 그 싸움에서 미코의 밴드 절반이 떨어졌습니다.[8] 미코와 생존자들은 포레체로 향하는 산을 건넜고,[8] 차크르파샤는 코즈작에 머물렀습니다.[9]
그는 리스타가 전사했을 때 리스타 코스타디노비치의 체타(반군)를 이끄는 데 성공했습니다.[when?][8] 그는 은과 진주로 장식된 리스타의 총을 받았습니다.[8] 그는 밤중에 비밀리에 키체보의 재단사들에 의해 빨간 보즈보다 민탄(자켓 안에 있는 옷)과 어울렸습니다.[8]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 지역에서 은밀하고 치밀하게 기독교인들을 도왔으나, 1881년 말 브르작 반란에서 오스만 제국 정부의 개입으로 원조가 중단되었습니다.[10] 1880/1881년 겨울 오스만 군대는 반란을 진압하는 데 성공했고, 많은 지도자들은 추방당했습니다.[11] 데미르히사르에서 반란이 진압되었을 때, 미코는 자신을 포기하기를 거부했습니다.[8] 브르작 반란과 쿠마노보의 이전 반란인 크리바 팔란카와 크라토보는 모두 세르비아인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고, 세르비아인의 대의명분으로 계획되어 있었고, 성공적이지 못한 결과는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세르비아인에 대한 박해로 이어졌고, 이 지역의 기독교 슬라브계 주민들의 불가리아화가 증가했습니다.[12]
감금
크르스티치는 1882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투옥되어 비톨라 감옥에 수감되었습니다. 그는 20년 징역형을 선고 받았습니다.[13] 그는 밀로코 베셀리노비치(Milojko Veselinović)의 비톨라(Bitola)에 있는 세르비아 영사관에 9통의 편지를 썼습니다.[14] 1897년 그리스-튀르크 전쟁에서 불가리아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감옥에 수감된 불가리아인들에게 사면을 해주었으며, 미코는 불가리아인임을 밝히기를 거부하고 감옥에 머물렀습니다.[13] 마침내, 1901년, 세르비아 영사관은 그가 비톨라에서 가택 연금 상태였고, 매일 마을 정부에 연락해야 했지만, 겨우 그를 석방할 수 있었습니다.[15]
한편 최초의 세르비아 게릴라 밴드는 벨레스와 함께 불가리아의 폭력에 가장 많이 노출된 포레체, 쿠마노보, 크라토보 지방의 세르비아계 마을들을 자체 조직하여 결성되었습니다.[15] 1904년 4월 4일, 비톨라 영사관의 사바티제 밀로셰비치, 메트로폴리탄 폴리카르프의 비서 요반 치르코비치, 키체보의 학교 관리자 라자르 쿠준드 ž치, 마르코 세리치 등이 탈출을 조직했습니다. 세르비아 밴드의 존재는 곧 그 지역에서 느껴졌습니다.[15] 포레체의 40개 마을 중 단 한 마을인 로크비차만이 불가리아 엑사르키타를 고수했습니다.[15]
세르비아 체트니크 기구
미코 크르스티치는 포레체의 최고 보즈보다(사령관)로 선정되었습니다.[15] 보이보다 미코의 체타 (밴드)의 첫 번째 성공은 포레체 마을들을 불가리아 엑사르카테에게 폭력적으로 돌려주고 그로 인해 그 마을들에서 불가리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고 했던 데메 그루에프가 이끄는 8개의 연합 불가리아 밴드에 대한 분쟁과 함께 이루어졌습니다.[15] 분쟁은 1904년 10월 5일 포레체의 슬라틴 근처에서 일어났습니다.[15] 불가리아 밴드는 포레체 입구에 위치한 모브나타크에서 오스만 군대와 충돌한 후 협곡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습니다.[15] 40명의 전투원을 거느린 세르비아계 체트니크들은 묵묵히 그들을 포위했고, 기습으로 5배나 더 큰 적을 격파했습니다.[15] 그 때 불가리아 사령관 두르친과 불가리아 전투원 4명이 전사하고, 다수가 부상을 입었으며, 나머지는 도망쳐 흩어졌습니다.[15] 부상자 중에는 미코가 생포한 그루에프도 있었습니다.[15] 내무장관 니콜라 파시치의 명령으로 그루예프는 석방되었습니다.[15] 그는 스코페 근처 솔른제 마을로 호송되었고, 그곳에서 소피아로 이동했습니다.[15]
1904년 말, 늙고 지친 미코는 세르비아 위원회의 비용으로 살았던 크라구예바크로 이사했습니다.[15] 자피르 프렘체비치는 그의 조수였습니다.
1909년 9월 터키 정부는 루멜리아의 반군 진압에 관한 법률을 발표했습니다.
죽음.
1909년 10월 29일 브로드-키체보 도로에서 이 ž슈테에서 암살당했습니다. 반란군의 활동이 다시 활성화되었습니다.
레거시
화가 나데 ž다 페트로비치 (1873–1915)는 그의 삶에 대한 드라마를 썼습니다.
그는 "세드날 미 ž모", "미코쿠미타", "포레치코모메", "믈라디 미코", "이즐골 미쿠오드 진단"의 세르비아 민요의 주인공입니다.
참고 항목
주석
- 그의 이름은 미코 크르스티치(세르비아 키릴 문자: м ицко к рстић, 마케도니아어: м ицко к рстиќ)입니다. 그의 성은 때때로 크르스테비치(к рстевић)로 철자되고, 그의 전체 이름은 때때로 파블로스키(sr)의 이름을 포함합니다. Павловски, mk. Павлевски).
- 노래 "Sednal mi D žemo"와 "Mico kumita"도 불가리아어 버전입니다.
참고문헌
- ^ Marinko Paunović (1998). Srbi: biografije znamenitih : A-Š. Emka. ISBN 9788685205040.
- ^ Jovan Hadži-Vasiljević (1928). Prosvetne i političke prilike u južnim srpskim oblastima u XIX v: (do srpsko turskih ratova 1876-78). Društvo Sv. Save. p. 422.
... и тамо се настанио. Обрадовић је био свршио четири разреда гимназије у Београду и Богословију. Између осталога. учитељевао је и у селу Латову у Поречу. У њега је учио Мицко Крстић, познати наш усташ и четнички војвода ...
- ^ Aleksa Jovanović Kodža (1930). Четнички споменик, Војвода Мицко, живот и рад. Skoplje.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a b c d Had ži-Vasiljević 1928, 8쪽.
- ^ a b c Had ži-Vasiljević 1928, 9쪽.
- ^ a b Had ži-Vasiljević 1928, 10쪽.
- ^ ž디-바실예비치 1928, 10쪽, 요바노비치 1937, 237쪽 하브엔 : 표적 CITEREF (도움말)
- ^ a b c d e f g h Jurich & Mijovich 1993, 페이지 61.
- ^ a b c d 크라코프 1990, 페이지 28.
- ^ Matica srpska (1992). Zbornik Matice srpske za istoriju 45–48 (in Serbian). Novi Sad: Matica srpska. p. 55.
- ^ Koliševski, Lazar (1962). Aspekti na makedonskoto prašanje (in Macedonian). Kultura. p. 499.
- ^ Georgevitch, T. R. (1918). Macedonia. Forgotten Books. p. 183. ISBN 9781440065194.
- ^ a b Đorđe N. Lopičić (2007). Konzularni odnosi Srbije: (1804-1918). Zavod za udžbenike. p. 207. ISBN 978-86-17-34399-4.
Најбо- љи пример је војвода Мицко Крстић из Пореча, који је био осуђен на 20 година затвора, али није хтео да се изјасни као Бугарин да би био обухваћен амнестојом и ослобоћен даљег издржавања казне.
- ^ "Мицко Крстевић: писма из битољског затвора (1897-1899)". Мешовита грађ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Ilić, Vladimir (March 4, 2003). "Srpski četnici na početku dvadesetog veka (6): Pogibija na šupljem kamenu". Glas Javnosti.
- ^ "Прво јавно читање драме Надежде Петровић "Војвода Мицко Поречанин"". Влада Републике Србије.; Надежда Петровић (2005). Војвода Мицко Поречанин. Библиотека града Београда. ISBN 978-86-7191-071-2.
원천
- Milojko V. Veselinović (1905). Brsjačka buna godine 1880 u bitoljskom vilajetu i vojvoda Micko. Narodna Štamp. Obilićev.
- Krakov, Stanislav (1990) [1930]. Plamen četništva. Belgrade: Hipnos.
- Hadži-Vasiljević, Jovan (1928). Četnička akcija u Staroj Srbiji i Maćedoniji. Belgrade: Sv. Sava.
- Đurić, Veljko Đ.; Mijović, Miličko (1993). Ilustrovana istorija četničkog pokreta. Narodna knj.
- Надежда Петровић (2005). Војвода Мицко Поречанин. Библиотека града Београда. ISBN 978-86-7191-071-2.
- Miloš Jagodić. "МИЦКО КРСТЕВИЋ: ПИСМА ИЗ БИТОЉСКОГ ЗАТВОРА (1897-1899)" (PDF). Miscellanea. XXXIII: 349–36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7-05-10. Retrieved 2016-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