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노세포세포
Magnocellular cell마그노세포세포 | |
---|---|
세부 사항 | |
시스템. | 시각계 |
위치 | 시상외측유골핵 |
식별자 | |
NeuroLex ID | nifext_42 |
신경해부술의 해부학적 용어 |
M세포라고도 불리는 마그노셀라 세포는 시상 외측 유전핵의 아디나 마그노셀라 층 안에 위치한 뉴런이다.세포는 시각 시스템의 일부입니다.그것들은 파세포 세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 때문에 "마그노셀룰러"라고 불린다.
구조.
시력을 경험하게 하는 뇌의 시각 피질로의 신호 흐름의 전체 세부 사항은 불완전하게 이해되고 있다.많은 측면들이 활발한 논쟁과 새로운 [1][2]증거의 파괴의 대상이다.
시각 시스템에서 신호는 대부분 망막에서 측면 유전핵(LGN)으로 이동한 다음 시각 피질로 이동합니다.인간에서 LGN은 보통 6개의 구별되는 층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안쪽의 2층(1과 2)은 마그노셀(M셀)층이고 바깥쪽의 4층(3,4,5,6)은 파셀(P셀)층입니다.M세포와 P세포 [2][3]: 227ff [4]층의 복부에서 K세포 층으로 알려진 추가 뉴런 세트가 발견됩니다.이 레이어들은 LGN의 M 레이어에 있는 셀이 [3]: 228 [5]P 레이어에 있는 셀보다 크기 때문에 이렇게 명명되었습니다.
LGN의 M 세포는 파라솔 [3]: 226 신경절 세포로부터 입력을 받고, P 세포는 미젯 망막 신경절 세포로부터 입력을 받습니다.[3]: 226 [6][7]
LGN에서 M 경로는 "스트라이티드 피질"[6]이라고도 불리는 시각 피질의 V1 영역의 4Cα 층의 블랍 간 영역으로 정보를 계속 보냅니다.스트라이트의 다른 세포는 P세포로부터의 시그널링과 K세포로부터의 시그널링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신호가 피질의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면서, 신호는 덜 분리되고, 더 통합되고, 뇌의 다른 부분에서 오는 신호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기 시작합니다.고전적으로 M 경로를 통한 신호는 결국 등쪽 흐름을 통해 시각 피질에서 나오고 P 경로를 통한 신호는 궁극적으로 복부 스트림으로 흐른다고 하지만, 후속 연구는 두 경로가 양쪽 [3]: 236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기능.
마그노세포 경로는 미세하게 상세하거나 색칠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지만 유용한 정적,[8][9] 깊이 및 움직임 정보를 제공합니다.M 경로는 명암 대비 [10]검출이 높고 공간 주파수가 높을 때보다 공간 주파수가 낮을 때 민감합니다.이 대조도 정보 때문에 M셀은 휘도 변화를 감지하고 시각적 검색 작업 및 [11]가장자리 검출에 필수적입니다.
M 경로는 또한 물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중요합니다.M 셀은 공간 [12]내 물체의 방향과 위치, 등줄기를 [13]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이 정보는 또한 양안 깊이 [14]지각에 중요한 도구인 각 눈의 망막에 있는 물체의 위치 차이를 감지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M 경로의 세포는 높은 시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7]물체의 위치에서의 빠른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이것은 [10][15]동작을 검출하는 기초입니다.후두정피질의 두정내구(IPS)로 전송되는 정보는 M 경로가 주의를 유도하고 시야에서 [8][16][17]중요한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가도록 성막 안구 운동을 유도하도록 합니다.IPS는 눈으로 물체를 추적하는 것 외에도 손과 팔이 크기, 위치 및 [13]위치에 따라 물체를 올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전두엽의 일부에 보냅니다.이러한 능력으로 인해 일부 신경과학자들은 M 경로의 목적이 공간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18]물체의 위치와 움직임과 관련된 행동을 이끄는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다.
또한 M 경로가 안면 [19]처리를 위해 필요하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몇 가지 정보도 발견되었다.
임상적 의의
비정상적인 마그노세포 경로와 마그노세포 세포는 난독증,[8][15][19] 프로오파그노시아 및 정신분열증을 포함한 다양한 장애와 안구 장애와 관련될 수 있다.
난독증
난독증은 개인의 독서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이다.그것은 종종 어린 시절에 처음 나타나지만, 난독증은 성인기에 뇌종양이나 M세포의 [15]병변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난독증에서 M세포와 마그노세포 경로에 대한 명확한 생각은 없다.
한 이론은 M세포의 작은 눈동자 움직임의 비선형성, 크기, 보정이 모두 하나의 표적에 초점을 맞추고 주변을 흐리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하는데, 이는 읽기에 매우 중요하다.이것은 M세포가 많은 난독증 환자들에게서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다는 것을 암시한다.이것은 유전학, 자가면역성 또는 영양성 때문일 수 있다.6번 염색체의 KIAA0319 유전자는 LGN으로의 세포 이동을 조절하며, 유전자 변환 생쥐와 죽은 후 검사한 난독증 환자의 뇌 연구는 LGN의 기형과 KIAA0319가 잘못된 [8]장소에서 자라는 것을 보여준다.M세포는 마그노세포 경로에서 그들을 공격하고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항체 항체에 취약하다.이것은 왜 난독증 환자들이 더 약한 면역 [8]체계를 가질 가능성이 높은지에 대한 원인일 수 있다.
또 다른 연구는 M세포에 의해 야기된 눈의 움직임이 난독증의 원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마그노셀 시스템은 이미지 움직임에 민감하고, 난독증은 M세포의 이상에 의해 유발된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난독증 환자들은 단어에 더 오래 집중하고, 읽을 때 더 짧은 스캔을 하고, 한 줄에 더 자주 멈추는 경향이 있다.이 연구는 이것이 난독증에 의한 것이 아니라 M세포의 비정상적인 안구 움직임을 야기하는 텍스트의 낮은 이해에 의한 것이라고 가정한다.따라서 이 [15]연구로 난독증에서 M세포의 중요성을 단정짓기는 어렵다.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은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지 못하는 정신질환이다.마그노세포 경로는 아이들의 얼굴 인식과 차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지만, 이 경로가 완전히 또는 올바르게 발달되지 않으면, 얼굴 처리는 나중에 사람들에게 더 어려워진다.이는 정신분열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며 M세포와 P세포 경로의 정보 통합에 문제가 있어 정신분열증 환자는 현실과 [19]환각을 구별하기 어렵다.
레퍼런스
- ^ Freud, E; Plaut, DC; Behrmann, M (October 2016). "'What' Is Happening in the Dorsal Visual Pathway".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20 (10): 773–84. doi:10.1016/j.tics.2016.08.003. PMID 27615805.
- ^ a b Wallace, DJ; Fitzpatrick, D; Kerr, JN (25 January 2016). "Primate Thalamus: More Than Meets an Eye". Current Biology. 26 (2): R60–1. doi:10.1016/j.cub.2015.11.025. PMID 26811887.
- ^ a b c d e Brodal, Per (2010). The central nervous system : structure and function (4th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8115-3.
- ^ Carlson, Neil R. (2007). Physiology of behavior (9th ed.). Boston: Pearson/Allyn & Bacon. ISBN 978-0205467242.
- ^ NB: "Parvus"는 라틴어로 "작은"을 의미하며, "magnus"는 라틴어 사전에서 "큰"을 의미합니다.
- ^ a b Callaway EM (July 2005). "Structure and function of parallel pathways in the primate early visual system". The Journal of Physiology. 566 (Pt 1): 13–9. doi:10.1113/jphysiol.2005.088047. PMC 1464718. PMID 15905213.
- ^ a b Nassi JJ, Callaway EM (May 2009). "Parallel processing strategies of the primate visual system".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0 (5): 360–72. doi:10.1038/nrn2619. PMC 2771435. PMID 19352403.
- ^ a b c d e Stein J (2014-01-01). "Dyslexia: the Role of Vision and Visual Attention". Current Developmental Disorders Reports. 1 (4): 267–280. doi:10.1007/s40474-014-0030-6. PMC 4203994. PMID 25346883.
- ^ Jeffries, AM; Killian, NJ; Pezaris, JS (February 2014). "Mapping the primate lateral geniculate nucleus: a review of experiments and methods". Journal of Physiology, Paris. 108 (1): 3–10. doi:10.1016/j.jphysparis.2013.10.001. PMC 5446894. PMID 24270042.
- ^ a b Pokorny J (July 2011). "Review: steady and pulsed pedestals, the how and why of post-receptoral pathway separation". Journal of Vision. 11 (5): 7. doi:10.1167/11.5.7. PMID 21737512.
- ^ Cheng A, Eysel UT, Vidyasagar TR (October 2004). "The role of the magnocellular pathway in serial deployment of visual attention". The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 20 (8): 2188–92. doi:10.1111/j.1460-9568.2004.03675.x. PMID 15450098.
- ^ Skottun BC, Skoyles JR (January 2011). "On identifying magnocellular and parvocellular responses on the basis of contrast-response functions". Schizophrenia Bulletin. 37 (1): 23–6. doi:10.1093/schbul/sbq114. PMC 3004196. PMID 20929967.
- ^ a b Hebart MN, Hesselmann G (June 2012). "What visual information is processed in the human dorsal stream?". The Journal of Neuroscience. 32 (24): 8107–9. doi:10.1523/JNEUROSCI.1462-12.2012. PMC 6703654. PMID 22699890.
- ^ Poggio GF, Poggio T (1984). "The analysis of stereopsis".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7: 379–412. doi:10.1146/annurev.ne.07.030184.002115. PMID 6370081.
- ^ a b c d Vidyasagar TR (January 2004). "Neural underpinnings of dyslexia as a disorder of visuo-spatial attention". Clinical & Experimental Optometry. 87 (1): 4–10. doi:10.1111/j.1444-0938.2004.tb03138.x. PMID 14720113.
- ^ Jayakumar J, Dreher B, Vidyasagar TR (May 2013). "Tracking blue cone signals in the primate brain" (PDF). Clinical & Experimental Optometry. 96 (3): 259–66. doi:10.1111/j.1444-0938.2012.00819.x. hdl:11343/39658. PMID 23186138.
- ^ Burr DC, Morrone MC, Ross J (October 1994). "Selective suppression of the magnocellular visual pathway during saccadic eye movements". Nature. 371 (6497): 511–3. doi:10.1038/371511a0. PMID 7935763.
- ^ Goodale MA, Westwood DA (2004). "An evolving view of duplex vision: separate but interacting cortical pathways for perception and action".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14 (2): 203–11. doi:10.1016/j.conb.2004.03.002. PMID 15082326.
- ^ a b c Bortolon C, Capdevielle D, Raffard S (June 2015). "Face recognition in schizophrenia disorder: A comprehensive review of behavioral, neuroimaging and neurophysiological studie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53: 79–107. doi:10.1016/j.neubiorev.2015.03.006. PMID 25800172.
외부 링크
- NIF 검색 - 신경과학 정보 프레임워크를 통한 자기 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