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구속 융합

Magnetic confinement fusion
영국 Culham Centre for Fusion Energy에 있는 MAST 구형 토카막 기계의 전형적인 플라즈마.

자기구속융합(MCF)자기장이용해 플라즈마 형태로 핵융합 연료를 가두는 열핵융합력 생성 방법입니다.자기 구속은 관성 구속 융합과 함께 통제된 융합 연구의 두 가지 주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원자로의 핵융합 반응은 보통 중수소삼중수소가벼운 원자핵을 결합하여 알파 입자(헬륨-4 핵)와 중성자를 형성하고, 여기서 에너지는 반응 생성물의 운동 에너지의 형태로 방출됩니다.핵 사이의 정전기적 반발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연료가 완전히 이온화되어 플라즈마가 되는 수억도의 온도를 가져야 합니다.또한, 플라즈마는 충분한 밀도를 가져야 하고, 에너지는 Lawson 기준(삼중 생성물)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충분한 시간 동안 반응 영역에 남아 있어야 합니다.융합 플라즈마의 고온은 직접적인 격납을 위해 재료 용기를 사용하는 것을 방해합니다.자기 구속 융합은 강한 자기장을 가하여 대전 입자 운동의 물리학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입자를 담으려고 시도합니다.

토카막스스텔라레이터는 현재 가장 유력한 MCF 장치 후보입니다.핵융합 플라즈마를 가두기 위해 다양한 자기 구조를 사용하는 연구는 1950년대에 시작되었습니다.초기의 단순 거울과 토로이드 기계는 구속력이 낮은 실망스러운 결과를 보였습니다.1958년 미국, 영국, 소련에 의해 핵융합 연구가 기밀 해제된 후, 1968년 쿠르차토프 연구소에 의해 토카막의 온도가 1 킬로 전자볼트 (약 1,160만 도 켈빈)이고 감금 시간이 밀리초임을 보여준 토카막이 보고되었습니다.그리고 Thomson 산란 [1][2]기법을 사용하여 Culham Laboratory의 방문팀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그 이후, 토카막스는 JET, TFTR, JT-60과 같은 대형 토카막들이 건설되고 운영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연구의 주요 라인이 되었습니다.과학적 손익분기점을 입증하기 위해 건설 중인 ITER 토카막 실험은 세계 최대의 MCF 장치가 될 것입니다.1950년대에 낮은 구속 상태의 초기 항성들이 토카막스의 초기 성공에 의해 가려졌던 반면, 항성들에 대한 관심은 토카막스와 구별되는 안정적인 상태와 중단 없는 작동을 위한 그들의 내재적인 능력에 기인하여 다시 나타났습니다.Wendelstein 7-X는 2015년에 세계에서 가장 큰 별똥별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현재 MCF 장치에서 발생하는 핵융합 전력 기록은 JET가 보유하고 있습니다.1997년 JET는 Q = 0.62의 이득률로 16 메가와트의 과도 핵융합 전력을 기록했으며 4초 동안 Q = 0.18의 정상 상태 핵융합 전력을 기록했습니다.2021년 JET는 Q = 0.33을 5초 동안 유지하고 59 메가 줄의 에너지를 생산하여 1997년에 발표된 기록인 21.7 메가 줄을 약 4초 동안 능가했습니다.

MCF 연구의 과제 중 하나는 발전소 조건에 대한 플라즈마 시나리오의 개발 및 외삽입니다. 여기서 좋은 융합 성능과 에너지 제한이 유지되어야 합니다.다른 문제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인 방향전환기 전력 배기, 과도(중단, 폭주 전자, 에지-국소화 모드) 완화, 중성자 플럭스 처리, 삼중수소 번식 및 플라즈마 연소 물리학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MCF 연구에서 플라즈마 진단, 실시간 제어, 플라즈마 대면 재료, 고출력 마이크로파 소스, 진공 엔지니어링, 극저온초전도 자석의 새로운 기술 개발은 필수적입니다.

종류들

자기거울

핵융합 에너지 연구 초기 몇 년 동안의 주요 연구 분야는 자기 거울이었습니다.대부분의 초기 거울 장치는 관의 양 끝에서 자기장 강도가 증가하는 솔레노이드에서 발생하는 비평면 자기장의 초점 근처에 플라즈마를 가두기 위해 시도했습니다.구속 영역을 벗어나기 위해서 핵들은 각각의 자석 근처에 있는 작은 고리 모양의 영역으로 들어가야 했습니다.핵이 이 지역을 통해 빠져나간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연료를 계속 넣고 가열함으로써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느꼈습니다.

1954년 에드워드 텔러는 플라즈마가 또한 감금장을 통해 옆으로 빠르게 빠져나올 것을 시사하는 이론적인 문제의 개요를 설명하는 강연을 했습니다.이러한 현상은 미러 영역의 중앙에 존재하는 볼록 자기장을 가진 모든 기계에서 발생합니다.기존의 기계들은 다른 문제들을 겪고 있었고 이것이 일어나고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았습니다.1961년, 소련 팀은 플루트 불안정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증명했고, 미국 팀이 이 문제를 보고 있지 않다고 말하자, 소련은 그들의 실험을 조사했고, 이것이 단순한 계측 오류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소련 팀은 또한 "Ioffee bars" 형태의 잠재적인 해결책을 소개했습니다.이것들은 텔러가 지적한 문제를 피하면서 플라즈마를 모든 점에서 오목한 새로운 모양으로 구부렸습니다.이것은 감금에 있어서 분명한 개선을 보여주었습니다.그 후 영국 팀은 그들이 "테니스 볼"이라고 부르는 자석들의 더 간단한 배열을 소개했고, 이것은 미국에서 "야구"라고 불렸습니다.여러 대의 야구 시리즈 기계들이 테스트를 거쳤고, 훨씬 향상된 성능을 보였습니다.하지만, 이론적인 계산은 그들이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에너지 양이 자석을 작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거의 같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전력을 생산하는 기계로서 거울은 막다른 길로 보였습니다.

1970년대에 해결책이 개발되었습니다.대형 솔레노이드의 양 끝에 야구 코일을 배치하면 전체 조립체가 훨씬 더 큰 부피의 플라즈마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이 "탠덤 미러(tandem mirror)" 디자인의 대형 장치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이 장치는 미러 퓨전 테스트 설비(MFTF)가 되었습니다.이전에 이 레이아웃을 시도해 본 적이 없었던 더 작은 기계인 Tandem Mirror Experiment (TMX)가 이 레이아웃을 테스트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TMX는 MFTF가 성능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는 새로운 일련의 문제를 보여주었고, 건설 중에 MFTF는 MFTF-B로 수정되었습니다.그러나 예산 삭감으로 인해 MFTF 건설이 완료된 지 하루 만에 중단되었습니다.그 이후로 거울은 거의 발달하지 않았습니다.

토로이드 기계

토로이드 핵융합로의 개념

지핀치

제어 융합 원자로를 만들기 위한 첫 번째 실제 노력은 토로이드 용기에 핀치 효과를 사용했습니다.용기를 감싸는 대형 변압기는 내부 플라즈마에 전류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이 전류는 플라즈마를 얇은 고리로 압박하는 자기장을 형성하여 플라즈마를 "핀칭"합니다.전류에 의한 줄 가열과 핀치에 의한 단열 가열의 결합은 수천만도 켈빈에서 플라즈마의 온도를 필요한 범위로 상승시킵니다.

1948년 영국에서 처음 제작된 후 영국과 미국에서 점점 더 크고 강력한 기계들이 차례로 제작되었으며, 초기의 모든 기계들은 플라즈마의 강력한 불안정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그 중 눈에 띄는 것은 꼬인 불안정으로, 끼인 고리가 필요한 온도에 도달하기 훨씬 전에 용기의 벽에 부딪히고 부딪히게 했습니다.그러나 개념은 매우 간단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것은 "안정화된 핀치" 개념으로 이어졌는데, 이것은 플라즈마가 압축되는 동안 "백본을 주기 위해" 외부 자석을 추가했습니다.그러한 기계 중 가장 큰 것은 1957년에 완공된 영국의 ZETA 원자로였는데, 이 원자로는 성공적으로 만들어낸 것으로 보입니다.1958년 1월에 발표된 후 불과 몇 달 후에, 이러한 주장들은 발견되는 중성자들이 플라즈마 질량의 새로운 불안정성에 의해 생성되었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철회되어야 했습니다.추가적인 연구에 따르면 그러한 설계는 유사한 문제를 안고 있으며 z-pinch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는 대부분 끝이 났습니다.

스텔라레이터

1951년 라이먼 스피처가 도입한 항성계는 자기 구속 시스템의 초기 시도였습니다.기본적으로 항성 생성기는 반으로 잘라진 토러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후 직선의 "교차" 부분과 함께 다시 붙어 그림-8을 형성합니다.이것은 장치의 궤도를 돌 때 핵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전파되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최소한 핵이 충분히 빠르게 회전한다면, 축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것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가장 초기의 그림-8 기계가 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양쪽에 나선형으로 감긴 두 번째 자석 세트를 추가하면 완전히 원형 배열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이 배열은 플라즈마 내부로 일부만 확장되는 장을 생성했고, 이는 플라즈마의 난류를 억제하는 "전단"을 추가하는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했습니다.그러나 이 모델에 더 큰 장치가 만들어짐에 따라 플라즈마가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시스템에서 빠져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1960년대 중반까지 스텔라레이터 접근법은 막다른 길에 접어든 것처럼 보였습니다.연료 손실 문제 외에도,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발전기는 1000피트 길이의 더 나은 부분인 거대할 것으로 계산되었습니다.1968년 토카막이 도입되었을 때, 별똥별에 대한 관심은 사라졌고, 프린스턴 대학의 최신 디자인인 모델 C는 결국 대칭형 토카막으로 개조되었습니다.

이후 토카막에서 발견되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피하기 때문에, 항성 관측자들은 천년이 지난 후부터 새로운 관심을 보여왔습니다.더 새로운 모델들이 만들어졌지만, 이것들은 최신 토카막 디자인보다 약 2세대 뒤에 남아있습니다.

토카막스

토카막 자기장.

1950년대 후반, 소련 연구자들은 경로의 뒤틀림이 충분히 강하여 입자가 챔버 길이 주변보다 챔버 내부 둘레를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면 꼬임 불안정성이 강하게 억제될 것임을 발견했습니다.이를 위해서는 핀치 전류를 줄이고 외부 안정화 자석을 훨씬 강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1968년토로이드 토카막에 대한 러시아의 연구가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었는데, 자기적이든 아니든 경쟁적인 디자인에서 기존의 노력을 훨씬 능가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그 이후로 자기 구속에 대한 대부분의 노력은 토카막 원리에 기초해 왔습니다.토카막에서 전류는 주기적으로 플라즈마 자체를 통해 구동되어 토로이드 장과 결합하는 장 "주변"을 만들어 내며, 적어도 핵이 주변을 흐를 때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현대의 항성계와 유사한 방식으로 권선장을 생성합니다.

1991년최초구형 토카막으로 영국 컬햄에 START가 건설되었습니다.이것은 근본적으로 중앙 막대가 삽입된 구면막이었습니다.START는 β 값이 약 40% - 당시 표준 토카막에 의해 생성된 것의 3배로 인상적인 결과를 만들었습니다.이 개념은 현재 NSTX(미국), MAST(영국), Globus-M(러시아) 실험이 진행 중이며, 더 높은 플라즈마 전류와 더 큰 크기로 확장되었습니다.구형 토카막은 기존 토카막에 비해 안정성이 향상되어 상당한 실험적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그러나, 지금까지 구형 토카막은 낮은 토코이달 장(toroidal field)에 있었기 때문에 핵융합 중성자 장치에는 비현실적입니다.

콤팩트 토로이드

소형 토로이드(예: 구면 및 필드 반전 구성)는 폐쇄형 자성 표면 구성의 양호한 구속과 중앙 코어가 없는 기계의 단순성을 결합하려고 시도합니다.1970년대에 이런[dubious ] 유형의 초기 실험은 트리솝스였습니다. (트리솝스는 서로를 향해 두 개의 세타핀치 고리를 발사했습니다.)

다른.

토로이드 기계에서 생성되는 몇 가지 새로운 구성은 역방향 필드 핀치와 공중부양 쌍극자 실험입니다.

미 해군은 또한 2018년 미국 특허 출원에서 TW 전력 레벨이 가능한 "플라즈마 압축 융합 장치"를 주장했습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킬로와트 내지 메가와트 범위의 입력 전력으로 기가와트 내지 테라와트 범위(이상)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플라즈마 압축 융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5]

하지만, 그 이후로 특허는 포기되었습니다.

자기융합에너지

이 모든 장치들은 규모가 커지고 Lawson 기준에 대한 접근 방식에서 상당한 문제에 직면했습니다.한 연구자는 자기 구속 문제를 풍선을 쥐어짜는 것에 비유하는 간단한 용어로 설명했습니다. 공기는 항상 다른 곳으로 "튀어나오려고" 시도할 것입니다.플라즈마의 난류가 주요 문제임이 입증되어 플라즈마가 구속 영역을 벗어나 용기 벽에 닿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이렇게 되면 용기에서 나온 고질량 입자(종종 강철 및 기타 금속)가 융합 연료에 혼합되어 온도가 낮아져 "스푸터링"이라고 알려진 과정이 발생합니다.

1997년, 영국의 유럽 공동 토러스 (JET) 시설의 과학자들은 16 메가 와트의 핵융합 에너지를 생산했습니다.과학자들은 이제 오랫동안 플라즈마의 피할 수 없고 다루기 힘든 특징으로 여겨졌던 플라즈마 난류와 그로 인한 에너지 누출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이제 플라즈마를 분해하는 플라즈마 압력이 발전소가 [6]수용할 수 있는 핵융합 반응 속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만들 수 있다는 낙관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전자기파는 플라즈마 입자의 경로를 조작하기 위해 주입되고 조종되며,[7] 그 후 플라즈마를 가두기 위해 자기장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큰 전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제어 능력 및 기타 제어 능력은 플라즈마 난류, 플라즈마 거시 안정성 및 플라즈마 파동 전파와 같은 분야에서 플라즈마 과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의 발전에서 비롯되었습니다.이러한 진전의 대부분은 토카막에 특히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습니다.

최근의 상황

SPARC 원자로의 현재 설계도 절개도

SPARC는 중수소-트리튬(DT) 연료를 사용하는 토카막으로, 가까운 미래에 실용적인 원자로 설계를 목표로 현재 MIT 플라즈마 과학 및 핵융합 센터에서 공동으로 설계되고 있습니다.2020년 말,[8] Journal of Plasma Physics 호의 특별호에는 원자로의 작동과 용량에 대한 예측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원자로 설계의 효과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는 7개의 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한 연구는 원자로에서 자기유체역학(MHD) 조건을 모델링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이 상태의 안정성은 다양한 자기장 [9]압력 하에서 달성할 수 있는 플라즈마 압력의 한계를 정의합니다.

SPARC를 통해 이루어진 진전은 ITER 프로젝트에 대한 이전의 작업을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고온 초전도체(HTS)의 신기술을 보다 실용적인 소재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HTS는 원자로 자석이 더 큰 자기장을 생성하고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수송 과정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가장 큰 재료적 고려 사항 중 하나는 내벽이 생성될 열량(플라즈마에서 나오는 열 유속이 제곱미터당 10GW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이 물질은 생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코어 플라즈마가 오염되지 않도록 충분히 손상을 견뎌야 합니다.이와 같은 과제는 설계 [10]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모델/예측 계산에서 적극적으로 고려되고 설명되고 있습니다.

DIII-D 국가 핵융합 시설에서 미래 핵융합로의 핵심 첨단 통합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진전이 이루어졌습니다.연소하는 핵융합 플라즈마를 위해서는 원자로 벽을 손상시키지 않고 태양 표면보다 더 뜨거운 플라즈마 코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플라즈마와 파워 배기 영역(Divertor)에 플라즈마 입자보다 무거운 불순물을 주입하는 것은 융합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플라즈마 경계를 냉각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기존의 실험은 기체 불순물을 사용하였으나, 붕소, 질화붕소, 리튬을 분말 형태로 주입하는 것도 [11][12]실험이 되었습니다.실험 결과, 고정밀 모드 플라즈마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플라즈마 경계면의 효과적인 냉각을 보여주었습니다.이 접근 방식은 ITER와 같은 대규모 융합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향후 융합 [13][14]발전소에서 코어 엣지 통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최근의 실험은 또한 중단 예측, ELM 제어 및 재료 마이그레이션에 있어서도 진전을 이루고 있습니다.이 프로그램은 토카막 작동을 최적화하기 위한 추가 도구를 설치하고 에지 플라즈마와 재료 상호 작용을 탐색하고 있습니다.미래 [15][16][17]핵융합로의 성능과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대적인 업그레이드가 고려되고 있습니다.

독일 막스플랑크 플라즈마물리연구소웬델슈타인 7-X 항성기는 첫 번째 플라즈마 캠페인을 마쳤고 혈관 벽을 보호하고 더 긴 플라즈마 [18][19][20]방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8,000개 이상의 흑연 벽 타일과 10개의 디버터 모듈 설치를 포함한 업그레이드를 거쳤습니다.이 실험은 발전소에서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항성기 융합 장치로서 최적화된 Wendelstein 7-X의 개념을 테스트할 것입니다.섬 방향전환기는 플라즈마 순도와 밀도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Wendelstein 7-X는 플라즈마 난류와 자기 구속 및 단열의 효과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이 장치의 마이크로파 가열 시스템은 또한 더 높은 에너지 처리량과 플라즈마 밀도를 달성하도록 개선되었습니다.이러한 발전은 연속적인 핵융합 [21][22][23][24]발전을 위한 항성의 적합성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TAE Technologies는 최초로 자기적으로 제한된 융합 플라즈마에서 수소-붕소 융합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2022년 중요한 연구 이정표를 달성했습니다.실험은 일본 국립핵융합과학연구소와 공동으로 프린스턴 플라즈마물리연구소[25][26]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이 개발한 붕소 분말 주입 시스템을 이용해 진행됐습니다.TAE의 수소-붕소 융합 추구는 청정하고 비용 경쟁력이 있으며 지속 가능한 핵융합 연료 사이클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이 결과는 수소-붕소 연료 혼합물이 실용적인 규모의 핵융합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TAE테크놀로지스는 2030년대 중반까지 청정전기를 [27]생산할 융합발전소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민간 핵융합 회사인 헬리온 에너지가 마이크로소프트와 약 5년 만에 전력을 공급하는 계약을 맺었는데, 이는 핵융합 발전을 위한 첫 번째 계약입니다.2028년까지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는 헬리온의 발전소는 50 메가와트 이상의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이 회사는 희귀 가스인 헬륨-3[28]연료원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크로노스 퓨전 에너지가 청정하고 무한한 국방 [29]전력을 위한 전자융합 에너지 발전기 개발을 발표했습니다.

2023년 5월, 미국 에너지부(DOE)는 미국을 청정 핵융합 에너지의 선두주자로 세우는 것을 목표로, 7개 주에 걸쳐 8개 회사가 핵융합 발전소의 설계와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4,600만 달러의 보조금을 발표했습니다.마일스톤 기반 융합 개발 프로그램의 자금 지원은 10년 내에 시범적 규모의 융합을 입증하고 2050년까지 순제로 경제를 달성하는 목표를 지원합니다.보조금 수혜자들은 향후 5-10년 내에 실행 가능한 융합 시범 플랜트 설계를 만들기 위해 과학적, 기술적 장애물과 씨름할 것입니다.수상자로는 커먼웰스 퓨전 시스템즈, 포커스 에너지 주식회사, 프린스턴 스텔라레이터 주식회사, 리얼타 퓨전 주식회사, 토카막 에너지 주식회사,Type One Energy Group, Xcimer Energy Inc., Zap Energy Inc.[30]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Peacock, N. J.; Robinson, D. C.; Forrest, M. J.; Wilcock, P. D.; Sannikov, V. V. (November 1969). "Measurement of the Electron Temperature by Thomson Scattering in Tokamak T3". Nature. 224 (5218): 488–490. doi:10.1038/224488a0. ISSN 0028-0836.
  2. ^ Holloway, Nick (2019-11-22). "Mission to Moscow: 50 years on". Culham Centre for Fusion Energy. Retrieved 2023-08-22.
  3. ^ Keilhacker, M; Gibson, A; Gormezano, C; Rebut, P.H (December 2001). "The scientific success of JET". Nuclear Fusion. 41 (12): 1925–1966. doi:10.1088/0029-5515/41/12/217. ISSN 0029-5515.
  4. ^ Gibney, Elizabeth (2022-02-09). "Nuclear-fusion reactor smashes energy record". Nature. 602 (7897): 371–371. doi:10.1038/d41586-022-00391-1.
  5. ^ "Plasma Compression Fusion Device".
  6. ^ ITER Physics Basis Editors (1999). "Chapter 6: Plasma auxiliary heating and current drive". Nucl. Fusion. ITER Physics Expert Group on Energetic Particles, Heating and Current drive. 39 (12): 2495–2539. Bibcode:1999NucFu..39.2495I. doi:10.1088/0029-5515/39/12/306. {{cite journal}}: author=일반 이름(도움말)이 있습니다.
  7. ^ "Radio-frequency wave scattering improves fusion simulations". Mit New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Retrieved 2022-01-25.
  8. ^ Scott, S. D.; Kramer, G. J.; Tolman, E. A.; Snicker, A.; Varje, J.; Särkimäki, K.; Wright, J. C.; Rodriguez-Fernandez, P. (2020). "Fast-ion physics in SPARC". Journal of Plasma Physics. 86 (5): 865860508. Bibcode:2020JPlPh..86e8608S. doi:10.1017/S0022377820001087. ISSN 0022-3778. S2CID 224975897.
  9. ^ Sweeney, R.; Creely, A. J.; Doody, J.; Fülöp, T.; Garnier, D. T.; Granetz, R.; Greenwald, M.; Hesslow, L.; Irby, J.; Izzo, V. A.; La Haye, R. J. (2020). "MHD stability and disruptions in the SPARC tokamak". Journal of Plasma Physics. 86 (5): 865860507. Bibcode:2020JPlPh..86e8607S. doi:10.1017/S0022377820001129. ISSN 0022-3778. S2CID 224869796.
  10. ^ Kuang, A. Q.; Ballinger, S.; Brunner, D.; Canik, J.; Creely, A. J.; Gray, T.; Greenwald, M.; Hughes, J. W.; Irby, J.; LaBombard, B.; Lipschultz, B. (2020). "Divertor heat flux challenge and mitigation in SPARC". Journal of Plasma Physics. 86 (5): 865860505. Bibcode:2020JPlPh..86e8605K. doi:10.1017/S0022377820001117. ISSN 0022-3778. S2CID 224847975.
  11. ^ Casali, L; Eldon, D; et al. (2022). "Impurity leakage and radiative cooling in the first nitrogen and neon seeding study in the closed DIII-D SAS configuration". Nucl. Fusion. 62 (2): 026021. Bibcode:2022NucFu..62b6021C. doi:10.1088/1741-4326/ac3e84. OSTI 1863590. S2CID 244820223.
  12. ^ Effenberg, F; Bortolon, A; Casali, L; Nazikian, R; et al. (2022). "Mitigation of plasma–wall interactions with low-Z powders in DIII-D high confinement plasmas". Nucl. Fusion. 62 (10): 106015. arXiv:2203.15204. Bibcode:2022NucFu..62j6015E. doi:10.1088/1741-4326/ac899d. S2CID 247778852.
  13. ^ Andrei, Mihai (2021-11-08). "Fusion breakthrough brings us one step closer to solving key challenges". ZME Sci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1-08. Retrieved 2021-11-08.
  14. ^ "Integrating hot cores and cool edges in fusion reactors". ZME Science. American Physical Society. 2021-11-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3-04-29. Retrieved 2021-11-08.
  15. ^ "DIII-D National Fusion Facility Begins Transformation to Prepare for Future Reactors" (Press release). 18 May 2018. Retrieved 15 May 2023.
  16. ^ "Creating a star on Earth: Nuclear fusion program at General Atomics gets 5-year extension". 12 November 2019. Retrieved 15 May 2023.
  17. ^ "M. E. Fenstermacher et al 2022 Nucl. Fusion 62 042024". doi:10.1088/1741-4326/ac2ff2. hdl:1721.1/147629. S2CID 244608556. {{cite journal}}:저널 요구사항 인용 journal=(도움말)
  18. ^ "Wendelstein 7-X: Second round of experimentation started". 6 December 2016. Retrieved 11 September 2017.
  19. ^ Sunn Pedersen, T.; Andreeva, T.; Bosch, H. -S; Bozhenkov, S.; Effenberg, F.; Endler, M.; Feng, Y.; Gates, D. A.; Geiger, J.; Hartmann, D.; Hölbe, H.; Jakubowski, M.; König, R.; Laqua, H. P.; Lazerson, S.; Otte, M.; Preynas, M.; Schmitz, O.; Stange, T.; Turkin, Y. (November 2015). "T. Sunn Pedersen et al 2015 Nucl. Fusion 55 126001". Nuclear Fusion. 55 (12): 126001. doi:10.1088/0029-5515/55/12/126001. hdl:11858/00-001M-0000-0029-04EB-D. S2CID 67798335.
  20. ^ "S. BrezƖnsek et al 2022 Nucl. Fusion 62 016006". doi:10.1088/1741-4326/ac3508. S2CID 240484560. {{cite journal}}:저널 요구사항 인용 journal=(도움말)
  21. ^ Pedersen, T. Sunn; Otte, M.; Lazerson, S.; Helander, P.; Bozhenkov, S.; Biedermann, C.; Klinger, T.; Wolf, R. C.; Bosch, H. -S.; Abramovic, Ivana; Äkäslompolo, Simppa; Aleynikov, Pavel; Aleynikova, Ksenia; Ali, Adnan; Alonso, Arturo; Anda, Gabor; Andreeva, Tamara; Ascasibar, Enrique; Baldzuhn, Jürgen; Banduch, Martin; Barbui, Tullio; Beidler, Craig; Benndorf, Andree; Beurskens, Marc; Biel, Wolfgang; Birus, Dietrich; Blackwell, Boyd; Blanco, Emilio; Blatzheim, Marko; et al. (2016). "Confirmation of the topology of the Wendelstein 7-X magnetic field to better than 1:100,000". Nature Communications. 7: 13493. Bibcode:2016NatCo...713493P. doi:10.1038/ncomms13493. PMC 5141350. PMID 27901043.
  22. ^ "Tests confirm that Germany's massive nuclear fusion machine really works". ScienceAlert. 6 December 2016. Retrieved 7 December 2016.
  23. ^ Wolf, R. C.; et al. (27 July 2017). "R.C. Wolf et al 2017 Nucl. Fusion 57 102020". Nuclear Fusion. 57 (10): 102020. doi:10.1088/1741-4326/aa770d. S2CID 1986901.
  24. ^ Wolf, R. C.; Alonso, A.; Äkäslompolo, S.; Baldzuhn, J.; Beurskens, M.; Beidler, C. D.; Biedermann, C.; Bosch, H.-S.; Bozhenkov, S.; Brakel, R.; Braune, H.; Brezinsek, S.; Brunner, K.-J.; Damm, H.; Dinklage, A.; Drewelow, P.; Effenberg, F.; Feng, Y.; Ford, O.; Fuchert, G.; Gao, Y.; Geiger, J.; Grulke, O.; Harder, N.; Hartmann, D.; Helander, P.; Heinemann, B.; Hirsch, M.; Höfel, U.; Hopf, C.; Ida, K.; Isobe, M.; Jakubowski, M. W.; Kazakov, Y. O.; Killer, C.; Klinger, T.; Knauer, J.; König, R.; Krychowiak, M.; Langenberg, A.; Laqua, H. P.; Lazerson, S.; McNeely, P.; Marsen, S.; Marushchenko, N.; Nocentini, R.; Ogawa, K.; Orozco, G.; Osakabe, M.; Otte, M.; Pablant, N.; Pasch, E.; Pavone, A.; Porkolab, M.; Puig Sitjes, A.; Rahbarnia, K.; Riedl, R.; Rust, N.; Scott, E.; Schilling, J.; Schroeder, R.; Stange, T.; von Stechow, A.; Strumberger, E.; Sunn Pedersen, T.; Svensson, J.; Thomson, H.; Turkin, Y.; Vano, L.; Wauters, T.; Wurden, G.; Yoshinuma, M.; Zanini, M.; Zhang, D. (1 August 2019). "Performance of Wendelstein 7-X stellarator plasmas during the first divertor operation phase". Physics of Plasmas. 26 (8): 082504. Bibcode:2019PhPl...26h2504W. doi:10.1063/1.5098761. S2CID 202127809.
  25. ^ "TAE makes world-first readings of magnetically-confined hydrogen-boron fusion". 28 February 2023. Retrieved 15 May 2023.
  26. ^ Nagy, A.; Bortolon, A.; Mauzey, D. M.; Wolfe, E.; Gilson, E. P.; Lunsford, R.; Maingi, R.; Mansfield, D. K.; Nazikian, R.; Roquemore, A. L. (2018). "A. Nagy et al Rev Sci Instrum 89, 10K121 (2018)". The Review of Scientific Instruments. 89 (10): 10K121. doi:10.1063/1.5039345. PMID 30399718. S2CID 53225855.
  27. ^ "Google and Chevron invest in nuclear fusion startup that's raised $1.2 billion". CNBC. 20 July 2022. Retrieved 15 May 2023.
  28. ^ Gardner, Timothy (10 May 2023). "Microsoft signs power purchase deal with nuclear fusion company Helion". Reuters. Retrieved 15 May 2023.
  29. ^ "Kronos Fusion Energy Aims for Fully Commercialized Fusion Generators by 2032" (Press release). 10 August 2022. Retrieved 15 May 2023.
  30. ^ "US announces $46 million in funds to eight nuclear fusion companies" (Press release). 31 May 2023. Retrieved 13 June 202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