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2세의 바리 원정 (866–871)
Louis II's campaign against Bari (866–871)바리포획 | |||||||
---|---|---|---|---|---|---|---|
871년 바리 함락 당시 루이 (19세기 석판화) | |||||||
| |||||||
Belligerents | |||||||
프랑크 제국 | 바리 토후국 | ||||||
지휘관 및 지도자 | |||||||
루이 2세 | 사단(Sawdan)POW |
프랑크 왕국의 황제 루이 2세는 866년부터 871년까지 계속해서 바리 토후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습니다. 루이는 처음부터 남부 이탈리아의 롬바르드 공국들과 동맹을 맺었지만, 869년 비잔티움 제국과의 공동 행동 시도는 실패했습니다. 871년 바리 시의 마지막 포위전에서 루이는 아드리아해 건너편에서 슬라브 함대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도시가 함락되고 토후국이 포로가 되어 토후국은 멸망했지만, 타란토에는 사라센족이 남아 있었습니다. 루이 자신도 승리한 지 6개월 만에 롬바르드 동맹군에게 배신당했고, 이탈리아 남부를 떠나야 했습니다.
866년 ~ 867년의 군사 행동
루이 2세는 848년에서 849년 사이에 사라센의 습격에 대항하기 위해 그의 아버지 로타어 1세에 의해 이탈리아 남부로 보내졌습니다.[1] 그는 852년에 [1]바리를 공격하는데 성공하지 못했고, 855년과 857년에 다시 공격을 시작했습니다.[2] 865년, 그는 남부 이탈리아에서 사라센족을 완전히 몰아내기 위한 캠페인을 계획하기 시작했습니다. 그해 866년 봄, 그는 루세라에 모일 군대를 소집하여 이탈리아 북부에 수도를[a] 세웠습니다.[4] 수도는 공격적인 행동 이상을 요구하며, 또한 팰리세이드, 아웃워크, 해자, 성벽을 갖춘 성(카스테라)을 건설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이곳은 사람들이 피신할 수 있는 곳이었고, 아마도 그들이 습격을 저지하기를 바랐을 것입니다.[2]
루세라에 집결한 군대가 벌인 작전에 대해서는 어떤 소식통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866년 6월, 루이 2세는 카푸아의 주교이자 백작인 란둘프 2세를 폐위시키고 자신의 대표자인 스폴레토 공작 람베르 1세를 임명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군대를 동원해야 했지만, 루이는 다음 6개월 동안 평화롭게 캄파니아의 롬바르디아 공국들을 둘러보며 바리를 상대로 다음 행동을 취하기 전에 그들의 충성을 확신했습니다. 동시대의 목격자 에르켐페르트에 따르면 베네벤토, 살레르노, 카푸아의 왕자들은 모두 황제에게 바리를 공격하라고 촉구했습니다.[4]
루이는 866년에서 867년 겨울을 베네벤토에서 보냈습니다. 봄이 되자, 그는 바리와 타란토 사이에 있는 성읍들인 마테라와 오리아를 점령했습니다. 마테라는 분노했고, 바리와 타란토 사이의 통신을 끊었거나 심하게 방해했을 수도 있습니다.[5] 오리아와 마테라의 다른 대우는 미래에 적에게 거부될 것을 요구하는 마테라의 전략적 위치 때문일 수도 있고, 11세기 연대기 작가 아히마즈 벤 팔티엘이 사라센 통치하에서 쇠퇴를 겪었음을 암시하는 오리아 주민들의 도움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6] 루이는 또한 롬바르드-사라센 국경의 마을인 카노사에 수비대를 설치했습니다. 수도가 1년밖에 복무하지 않았기 때문에 루이가 866년에 소집된 군대를 이 캠페인에 사용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5]
869년 합동 공격 실패
868년 3월, 루이는 베네벤토에 있었습니다. 약 1세기 후에 쓰여진 살레르노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비잔티움의 새로운 황제 바실 1세에게 해군의 도움을 구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협상의 일환으로 루이의 딸 에르멩가르드와 바질의 장남 콘스탄틴 사이에 결혼이 제안되었을 수도 있습니다.[7] 나중에 비잔티움의 소식통인 "제국을 관리하다"에 따르면, 루이와 처음 접촉한 사람은 바질이었다고 합니다. 그는 바리 시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었고 아드리아해의 반대편에 있는 비잔티움 달마티아를 위협하는 토후국의 패배에 대한 전략적 이해관계가 있었습니다. 바리에 대한 합동 공격은 869년 여름 늦게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8]
루이는 869년 6월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베네벤토에 있었습니다.[b] 북쪽의 소식통에 따르면, 400척의 배로 이루어진 비잔틴 함대가 그 해 말에 바리 앞바다에 도착했다고 합니다.[8] 다른 정보원들은 배의 수를 훨씬 줄였습니다.[8] 이것은 아마도 사라센의 라구사 포위를 완화한 함대였을 것이고, 라구사 포위를 완화한 함대였을 것이고,[9][1] 시라쿠사에 대한 사라센의 압력을 완화한 함대였을 것입니다.[10] 비잔티움의 사령관 니케타스 오리파스는 루이의 딸을 양육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것이 거절되자 항해를 떠났습니다.[c] 루이 [d]2세는 바실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니케타스가 오만하고 모욕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고 비난합니다. 869년 공동행동이 실패한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양측의 오해가 있었을 것입니다. 니케타스의 말에 따르면, 그는 루이의 군대가 작고, 훈련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며, 싸울 수 있는 조건도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루이는 편지에서 니케타스의 함대가 너무 늦게 도착했기 때문에 실제로 겨울을 나기 위해 주력 부대를 이미 해산했다고 주장했습니다.[11]
870년 ~ 871년 공성전 성공
869년 생베르탱 실록에 따르면 비잔티움 함대가 떠난 후 바리의 에미르가 침입자들을 가르가노로 보냈습니다. 대천사 성 미카엘의 사당이 약탈당했습니다. 이에 맞서 870년 루이는 아풀리아 깊숙한 곳까지 쳐들어왔습니다. 몇몇 마을들이 함락되었습니다.[13] 이 성공적인 습격 이후, 루이는 프랑크족과 롬바르드족을 모두 포함하는 군대와 함께 바리 자신을 투자했습니다.[13] 그는 해군의 도움을 받았고, 크로아티아 함대와[e] 비잔티움 함대도 있었을 것입니다.[2][13] 살레르노 연대기에는 둘 다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제국 관리론에서는 비잔티움 함대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비잔티움 제국이 870년에서 871년 사이의 전쟁에 개입했다는 다른 증거는 없습니다.[12] 비잔티움의 두 자료인 제국과 황제 바질의 생활 관리에 관한 것은 라구사의 함대에 의해 포위된 슬라브 부대를 말합니다.[14]
베르가모의 앤드루에 따르면, 칼라브리아 사람들은 포위전 동안 루이에게 사절을 보내, 사라센 사람들로부터 보호를 받는 대가로 충성과 공물을 바쳤다고 합니다. 루이는 칼라브리아로 분견대를 보냈고, 그곳에서 아만테아 근처의 사라센 군대를 격파했습니다. 이것은 아글라비드 시칠리아의 반응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시칠리아 무슬림 지원군이 바리로 파견되었지만 루이는 이들을 가로채 패배시켰습니다.[15] 그 도시는 871년 2월에 항복했습니다. 에미르 소단은 베네벤토에 포로로 끌려갔습니다.[13] 루이는 즉시 타란토를 포위할 준비를 시작했습니다.[15] 그는 바리를 담당하는 롬바르드 가스타드를 배치했습니다.[16]
후폭풍
루이 2세가 바실리 1세에게 보낸 편지는 871년 2월에서 8월 사이에 작곡되었으며, 아마도 아나스타시우스 비블리오테카리우스의 도움으로 작곡되었을 것입니다.[17] 869년 프랑스와 비잔티움의 협력이 실패한 것은 이 칭호에 대한 논쟁이 원인이 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주로 루이가 "로마의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하는 것을 옹호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18] 루이는 또한 타란토에 대한 위협에 대응한 것으로 보이는 시칠리아와 아프리카에서 적의 증원군이 도착한 것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으며, 나폴리의 세르지오 2세 공작이 아글라비족과 공모했다고 비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군대는 바리를 탈환하기 위해 이동한 것이 아니라, 시칠리아와 더 가까운 이탈리아 반도의 일부와 칼라브리아에서 그들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살레르노를 포위했습니다.[19]
루이 2세와 사단 사이의 갈등은 바리의 몰락과 후자의 포로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모든 자료는 포로로 잡힌 에미르가 베네벤토에서 인기가 있고 많은 방문객을 받고 있다고 제시합니다. 그러나 루이가 베네벤토에 계속 주둔한 것은 롬바르드인들에게 짜증이 되었고, 871년 8월 13일 그와 그의 아내 엥겔베르가, 그리고 그의 딸 에르멩가르드는 아델키스 왕자에 의해 체포되었습니다. 살레르노 연대기에 따르면 왕자는 사전에 자신의 계획에 대해 사단과 상의했다고 합니다. 생베르탱 실록에는 루이가 아델치스를 망명시킬 계획이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제국 관리론은 이것이 사단이 퍼뜨린 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20] 동시대의 시, '루이 황제의 포로에 대하여'는 투옥된 에미르를 "도망자[혹은 선동자]"(칼리두스 무뢰한)라고 부릅니다.[21]
이번 체포는 일부 폭력을 동반한 것으로 보입니다.[20] 루이스가 죽었다는 소문이 알프스 북쪽으로 퍼졌습니다. 그의 삼촌 대머리 찰스는 소문의 거짓을 알기 전에 이탈리아를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22] 루이와 그의 가족들은 베네벤토 주교의 중재로 9월 17일에 석방되었습니다. 유일한 조건은 베네벤토에 다시는 돌아오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는 것이었습니다.[f] 사단은 875년 루이가 사망할 때까지 베네벤탄족의 포로로 남아있다가 풀려나 타란토의 사라센족에 합류했습니다. 동시대의 연대기 작가인 집사 요한에 따르면, 나폴리의 세르지오 2세와 살레르노의 과이퍼 왕자는 루이의 감옥에서 아델키스를 묵인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비잔티움 제국이 개입했다는 소문은 거짓이었던 것 같습니다.[20] 스폴레토 공작 램버트도 이 음모에 가담했습니다. 루이는 그를 폐위시키고 대신에 수포를 공작으로 임명했습니다.[23]
루이 사후 비잔티움 제국이 바리를 점령하면서 롱고바르디아라는 주제가 세워졌습니다.[1]
메모들
- ^ Constituio de expeditione Beneventana라는 제목의 수도는 몬테카시노 성 베네딕토 연대기에서 866년으로 추정되지만, 이 자료에는 날짜의 오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3]
- ^ 루이가 교황과의 만남에 로타이어를 수행하는 대신 그의 형 로타이어 2세가 베네벤토로 와 루이의 아내 엥겔베르가와 상의해야 했다는 사실에서 바리에 대한 집착의 증거가 발견됩니다.[8]
- ^ 869년 말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참석한 아나스타시우스 비블리오테카리우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있는 동안 루이와 바실리의 결혼 협상을 재개하려고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11]
- ^ 이 편지는 오직 살레르노 연대기에 복사되었기 때문에 살아남습니다.[12]
- ^ 루이는 편지에서 "그들의 배와 함께하는 우리의 슬라베니"를 언급했습니다.[12] 프라이어와 제프리스는 869년 바리에 비잔티움 함대를 배치했지만 871년 크로아티아 함대만 배치했습니다.[1]
- ^ 사실 그는 872년에 돌아왔습니다.[23]
참고문헌
- ^ a b c d e Pryor & Jeffreys 2006, 페이지 49.
- ^ a b c Purton 2009, 페이지 99.
- ^ 크로이츠 1996, 171쪽.
- ^ a b 크로이츠 1996, 40쪽.
- ^ a b 크로이츠 1996, 41쪽.
- ^ 크로이츠 1996, 172쪽
- ^ 크로이츠 1996, 42쪽
- ^ a b c d 크로이츠 1996, 43쪽.
- ^ Curta 2010, p. 276.
- ^ Pryor & Jeffreys 2006, 64쪽.
- ^ a b 크로이츠 1996, 44쪽
- ^ a b c 크로이츠 1996, p. 173
- ^ a b c d 크로이츠 1996, p. 45
- ^ 스테보비치 2001, 169쪽.
- ^ a b Bondioli 2018, p. 487.
- ^ 크로이츠 1996, 57쪽.
- ^ Kreutz 1996, pp. 45–46.
- ^ 부채질 1994, 6쪽.
- ^ Bondioli 2018, p. 488.
- ^ a b c Kreutz 1996, pp. 46–47, 174n.
- ^ 히스 2015, 36-37쪽.
- ^ Musca 1964, 페이지 127.
- ^ a b 위컴 1981, 페이지 62–63.
서지학
- Bondioli, Lorenzo M. (2018). "Islamic Bari between the Aghlabids and the Two Empires". In Glaire D. Anderson; Corisande Fenwick; Mariam Rosser-Owen (eds.). The Aghlabids and Their Neighbors: Art and Material Culture in Ninth-Century North Africa. Brill. pp. 470–490.
- Curta, Florin (2010). "A Note on Trade and Trade Centers in the Eastern and Northern Adriatic Region Between the Eighth and the Ninth Century" (PDF). Hortus artium medievalium. 16: 267–276.[데드링크]
- Fanning, Steven (1994). "Imperial Diplomacy Between Francia and Byzantium: The Letter of Louis II to Basil I in 871". Cithara. 34 (1): 3–17.
- Gay, Jules (1904). L'Italie méridionale et l'empire byzantin depuis l'avènement de Basile Ier jusqu'à la prise de Bari par les Normands (867–1071). Albert Fontemoing.
- Granier, Thomas (2007). "La captivité de l'empereur Louis II à Bénévent (13 août–17 septembre 871) dans les sources des IXe–Xe siècles: l'écriture de l'histoire, de la fausse nouvelle au récit exemplaire". Faire l'événement au Moyen Âge. Presses universitaires de Provence. doi:10.4000/books.pup.5703.
- Heath, Christopher (2015). "Third/Ninth-Century Violence: 'Saracens' and Sawdān in Erchempert's Historia". Al-Masāq. 27 (1): 24–40. doi:10.1080/09503110.2015.1002231.
- Kislinger, Ewald (2013). "Erster und zweiter Sieger. Zum byzantinisch-karolingischem Bündnis bezüglich Bari 870–871" [First and second victor: On the Byzantine–Carolingian alliance regarding Bari, 870–871]. Зборник радова Византолошког института (in German). L: 245–258. doi:10.2298/ZRVI1350245K.
- Kreutz, Barbara (1996). Before the Normans: Southern Italy in the Ninth and Tenth Centur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Moravscik, Gyula; Jenkins, R. J. H., eds. (1967).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Dumbarton Oaks.
- Musca, Giosuè (1964). L'emirato di Bari, 847–871. Edizioni Dedalo.
- Pryor, John H.; Jeffreys, Elizabeth M. (2006). The Age of the Δρομων: The Byzantine Navy, ca 500–1204. Brill.
- Purton, Peter Fraser (2009). A History of the Early Medieval Siege, c. 450–1220. Boydell Press.
- Stevović, Ivan D. (2001). "Byzantium, Byzantine Italy and Cities on the Eastern Coast of the Adriatic: The Case of Kotor and Dubrovnik" (PDF). Zbornik radova Vizantološkog instituta. 39: 165–182.
- Wickham, Chris (1981). Early Medieval Italy: Central Power and Local Society, 400–1000.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