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렘린학
Kremlinology크렘린학은 소련의[1] 정치와 정책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고, 소련의 학문은 소련의 정치와 정책에 관한 학문이며 구 공산국가의 정치와 정책에 대한 연구다.[2] 이 두 용어는 소련이 해체되기 전까지는 동의어였다. 대중문화에서 이 용어는 때때로 간접적인 단서를 해석함으로써 다가오는 상품이나 행사의 계획과 같은 비밀스러운 조직이나 과정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의미하기도 한다.[citation needed]
크렘린학의 창시자는 알렉산더 지노비예프라고 여겨진다.[3][4] 이 용어는 옛 소련 정부의 자리였던 크렘린궁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크렘린학자는 크렘린학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학계, 언론계, 해설 전문가를 말한다. 올바른 용어는 단순히 러시아 법학자일 뿐이지만 러시아 법률에 특화된 서양의 학자들을 묘사하기 위해 이 용어가 때때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소련학자나 크렘린학자도 공산주의에서 시장자본주의로의 법적, 경제적, 사회적 전환을 연구하는 운송학자, 학자들과 구별되어야 한다.
역사학
제2차 세계대전 이후와 냉전 중 학구적 소련학은 소련의 '전체주의적 모델'이 지배하면서 [5]요셉 스탈린 권력의 절대성을 강조했다. '전체주의적 모델'은 1950년대에 정치학자 칼 요아힘 프리드리히에 의해 처음 윤곽이 잡혔는데, 그는 소련을 비롯한 공산국가는 전체주의 체제라고 주장하면서 스탈린과 같은 '위대한 지도자'의 인격 숭배와 거의 무한한 힘을 지니고 있었다.[6]
1960년대에 시작된 "개정주의 학교"는 보다 높은 수준의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기관에 초점을 맞췄다.[7] 맷 레노는 "개정주의 학교"를 "세계 지배에 골몰한 전체주의 국가로서의 소비에트 연방의 오래된 이미지가 지나치게 단순화되거나 단지 명백한 잘못"이라고 주장한 사람들을 대표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사회사에 관심을 갖고 공산당 지도부가 사회 세력에 적응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말했다.[8] J. Arch Getty, Lynne Viola와 같은 이러한 "개정주의 학교" 역사가들은 소련 역사에 대한 "전체주의적 모델" 접근법에 도전했고 소련 문서보관소에서 가장 활동적이었다.[7][9]
기술
냉전 기간 동안, 이 나라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하여 서방 분석가들은 "선들 사이를 읽어야 했다" 그리고 초상화의 제거, 의자의 재배열, 레드 스퀘어에서의 퍼레이드 심사대에서의 위치, "첫 번째 세컨드"와 같은 문구의 대문자 또는 작은 초기 글자의 선택과 같은 가장 작은 편지의 사용을 강요했다.에타리"는 당내 소비에트 정치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기 위해 당 신문 프라브다 페이지에 기사를 배열한 것과 다른 간접적인 신호들이다.
공산주의 형제국들 간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크렘린학자들은 목표 순서에서 누락과 불일치를 찾으면서 각각의 국가 공산당이 발표한 성명서를 비교했다. 공산당 기관지에서의 국가 방문에 대한 설명과 고위 인사들에게 빌려주는 환대의 정도도 면밀히 조사되었다. 크렘린학도 의례를 강조했는데, 이는 특정 기념일이나 공휴일에 정책 성명이 이례적으로 불참한 데 의의를 부여했다는 것이다.[10]
독일어에서는 그러한 시도들이 다소 조롱하는 이름인 "크렘-아스트도리" (크렘린 점성술)를 획득하여, 그 결과가 완전히 틀리지는 않더라도 종종 모호하고 결론을 내리지 못한다는 사실을 암시했다.
냉전 후
크렘린학이라는 용어는 러시아 연방의 정치에서 의사 결정 과정을 연구하는 데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1] 대중문화에서 이 용어는 때때로 간접적인 단서를 해석함으로써 다가오는 상품이나 행사의 계획과 같은 비밀스러운 조직이나 과정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소련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북한과 같은 다른 비밀스러운 국가들은 여전히 그렇게 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크렘린학 같은 접근법이 서방 언론들에 의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2] 이러한 연구는 수도 평양의 이름을 따서 "평양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3]
저명한 크렘린학자와 소련학자
- 알렉산더 지노비예프, 소련학(크렘린학) 창시자
- 앤 애플바움
- KGB Today의 저자 존 배런
- 마크 R. 베이싱어
- 즈비그뉴 브르제진스키
- 핼렌 카르에르 앙카우세
- 월터 클레멘스
- 스티븐 F. 코언
- 로버트 정복
- 마셜 골드만
- 도널드 그레이브스
- 조너선 해슬람
- 윌리엄 G. 하이랜드
- 조지 F. 케난
- 후르시드 카수리
- 마이클 코트
- 볼프강 레온하르트
- 윌리엄 만델
- 잭 F. 매틀록 주니어
- 시몬 세백 몬테피오레
- 마크 파머
- 리처드 파이프스
- 콘돌리자 라이스
- 마이런 러시
- 마크 사로얀
- 스티븐 세스타노비치
- 디미트리 시임스
- 마샬 D. 슐먼
- 티모시 D. 스나이더
- Llewelyn Thompson, Robert F. 케네디의 크렘린학자
- 로버트 C. 조지프 스탈린의 전기 작가인 터커 전 프린스턴의 러시아학 프로그램 책임자
- 스타니스와프 울람의 동생이자 하버드대 러시아연구센터장 애덤 울람.
- 도널드 S. 자고리아[필요하다]
참고 항목
- 소련-미국 관계
- 러시아-미국 관계
- B팀
- 소련 해체 전망
- 중국 감시원
- 케난 연구소
- 슬라브어학
- 러시아학
- 러시아의 법사학자 목록
- 러시아 법학자 목록
- 바티칸학
- 소련과 공산주의 연구
- 스몰렌스크 아카이브
참조
- ^ ""Kremlinology" definition". merriam-webster.com. Merriam-Webster Online. Retrieved 16 February 2015.
Definition of KREMLINOLOGY: the study of the policies and practices of the former Soviet government
- ^ ""Sovietology" definition". thefreedictionary.com. The Free Dictionary. Retrieved 16 February 2015.
- ^ Yury Solodukhin (2009). "The Logical Doctrine of Alexander Zinoviev" (Alexander Alexandrovich Zinoviev). Moscow: ROSSPEN. p. 133-152.
- ^ Karl Kantor (2009). "The Logical Sociology of Alexander Zinoviev as a Social Philosophy" (in Russian).
- ^ Sarah Davies; James Harris (8 September 2005). "Joseph Stalin: Power and Ideas".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 ISBN 978-1-139-44663-1.
Academic Sovietology, a child of the early Cold War, was dominated by the 'totalitarian model' of Soviet politics. Until the 1960s it was almost impossible to advance any other interpretation, in the USA at least.
- ^ Sarah Davies; James Harris (8 September 2005). "Joseph Stalin: Power and Ideas".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4. ISBN 978-1-139-44663-1.
In 1953, Carl Friedrich characterised totalitarian systems in terms of five points: an official ideology, control of weapons and of media, use of terror, and a single mass party, 'usually under a single leader'. There was of course an assumption that the leader was critical to the workings of totalitarianism: at the apex of a monolithic, centralised, and hierarchical system, it was he who issued the orders which were fulfilled unquestioningly by his subordinates.
- ^ Jump up to: a b Sarah Davies; James Harris (8 September 2005). "Joseph Stalin: Power and Ideas".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5. ISBN 978-1-139-44663-1.
Tucker's work stressed the absolute nature of Stalin's power, an assumption which was increasingly challenged by later revisionist historians. In his Origins of the Great Purges, Arch Getty argued that the Soviet political system was chaotic, that institutions often escaped the control of the centre, and that Stalin's leadership consisted to a considerable extent in responding, on an ad hoc basis, to political crises as they arose. Getty's work was influenced by political science of the 1960s onwards, which, in a critique of the totalitarian model, began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relatively autonomous bureaucratic institutions might have had some influence on policy-making at the highest level.
- ^ Lenoe, Matt (2002). "Did Stalin Kill Kirov and Does It Matter?".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74 (2): 352–380. doi:10.1086/343411. ISSN 0022-2801. S2CID 142829949.
- ^ Sheila, Fitzpatrick (2007). "Revisionism in Soviet History". History and Theory. 46 (4): 77–91. doi:10.1111/j.1468-2303.2007.00429.x. ISSN 1468-2303.
[...] the Western scholars who in the 1990s and 2000s were most active in scouring the new archives for data on Soviet repression were revisionists (always 'archive rats') such as Arch Getty and Lynne Viola.
- ^ Lawson, Eugene K. (1984). The Sino-Vietnamese Conflict. Praeger. pp. 8–9.
- ^ 폴란드는 유라시아 연합에 속해있다: 러시아-폴란드 관계의 신화. East Aurasian Club - West, 2012년 10월 Wayback Machine에 2012-12-07 보관
- ^ Salmon, Andrew (2 January 2012). "'Kremlinology' used to watch North Korea". The Washington Times. Retrieved 10 January 2019.
- ^ Nakagawa, Ulara (29 September 2010). "The Art of 'Pyongyangology?'". The Diplomat. Retrieved 25 January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