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토스 전쟁

Kitos War
키토스 전쟁
또는
제2차 유대-로마 전쟁
유대-로마 전쟁의 일부
Roman Empire Trajan 117AD.png
트라야누스 치하의 로마 제국의 범위(117년)
날짜.115–117
위치
결과로마의 승리
지역
변화들
벨룸 전 현상
교전국
로마 제국유대인/유대 광신도
지휘관 및 리더

트라야누스 황제
마르키우스 터보

루시우스 퀴에투스

루카스(안드레아스)
율리아누스
빠푸스

아르테미오
사상자 및 손실

Cassius Dio:

키레네와 키프로스에서만 46만 명 이상의 로마인(대부분의 로마 그리스인)이 살해되고 이집트, 리비아 및 지중해 동부에서 알려지지 않은 숫자
20만[2] 명 사망
키프로스, 키레네 및 기타 유대인 커뮤니티는 완전히 인구가 감소하여 제국의 동쪽 가장자리(주로 유대)로 영구 추방된다.

The Kitos War (115–117; Hebrew: מרד הגלויות, romanized: mered ha-galuyot, or מרד התפוצות mered ha-tfutzot; "rebellion of the diaspora" Latin:카람투스 이우다이쿠스)는 유대-로마 전쟁 (66-136년) 중 하나였다.반란은 대부분의 로마군이 로마 제국의 동쪽 국경에서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전쟁을 치르고 있던 115년에 일어났다.키레나이카, 키프로스, 이집트에서 일어난 유대인들의 대규모 봉기는 통제 불능으로 치달았고, 그 결과 유대 반군에 의해 로마 주둔군과 로마 시민들을 광범위하게 학살했다.

유대인들의 반란은 키토스가 나중에 퀴에투스의 부패가 되었기 때문에, 주로 로마의 장군인 루시우스 퀴에투스에 의해 마침내 진압되었다.몇몇 지역들은 완전히 전멸된 채로 남겨져 있어서 로마인들은 그들의 완전한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그 지역들을 정착시키기 위해 이주했다.유대인 지도자 루쿠아스[3]유대로 도망쳤다.마르키우스 터보는 그를 뒤쫓아 반란의 핵심 지도자였던 줄리안과 파푸스 형제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메소포타미아 유대인의 정복자 루시우스 퀴에투스는 현재 유대 로마군을 지휘하고 있으며 율리아누스와 파푸스의 지도 아래 반란군 유대인들이 모여 있던 릿다를 포위했다.다음에 릿다가 함락되었고, 많은 반항적인 유대인들이 처형되었다."리드다의 슬랭"은 종종 탈무드에서 [4]경건한 찬사의 말로 언급된다.반란군 지도자 파푸스와 줄리안은 그 해에 [5]로마에 의해 처형된 사람들 중 하나였다.

유대에서의 상황은 하드리아누스 치하에서 유대의 카이사리아 마리티마로 6차 페라타를 영구히 옮겨야 했던 로마인들에게 긴박하게 남아 있었다.

배경

로마 제국의 유대인 인구와 그리스와 로마 인구 사이의 긴장은 기원후 1세기 동안 고조되었고, 주로 유대 전역에서 다양한 폭력 사건들과 함께 점차 고조되었고, 유대 인구의 일부는 때때로 로마 제국에 대한 폭력적인 반란으로 폭발했다.제국의 다른 지역들, 특히 알렉산드리아 포그롬에서는 이집트 지방의 알렉산드리아라는 큰 유대인 공동체를 목표로 여러 사건들이 일어났다.그러나 알렉산드리아를 제외하고, 유대교 디아스포라는 로마 제국 전역에서 선전했고 그들의 [6]권리를 유지하기 위해 로마 국가에 의존했다.

66년에 시작된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이 발발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초기 교전은 그리스와 유대인의 종교적 긴장 때문이었지만 나중에 세금 반대 시위와 로마 [7]시민들에 대한 공격으로 확대되었다.유대의 로마군 수비대는 반란군에 의해 빠르게 점령되었고 친로마 왕 헤롯 아그리파 2세는 로마 관리들과 함께 예루살렘을 떠나 갈릴리로 갔다.시리아 특사세스티우스 갈루스는 질서를 회복하고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풀미나타 12세를 기반으로 한 시리아군을 데려왔다.그러나 이 군단은 베스호론 전투에서 유대인 반군에 의해 매복당해 패배했고, 이는 로마 지도부를 충격에 빠뜨렸다.

반란 진압은 베스파시아누스 장군과 그의 아들 티투스에게 넘어갔고, 티투스는 서기 67년 갈릴리를 시작으로 전국으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반란은 티투스 휘하의 군단이 서기 70년 예루살렘의 반란군 중심부를 포위하고 파괴한 나중에 남은 유대인 거점을 격파하면서 끝이 났다.

반란과 전쟁

115년, 트라야누스 황제파르티아 제국에 대항하는 동부 원정을 지휘했다.로마의 침략은 파르티아인들이 아르메니아 왕국을 침략한 후 친 파르티아 왕이 아르메니아 왕국에 부과되면서 촉발되었다.로마 제국의 전통적인 영향권에 대한 침해는 필연적으로 전쟁으로 이어졌다.

트라야누스의 군대가 메소포타미아를 통해 승리하면서, 뒤에 있던 유대인 반군들은 남겨진 작은 수비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멀리 떨어진 키레나이카에서 일어난 반란은 곧 이집트와 키프로스로 번졌고 유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리다를 중심으로 한 광범위한 폭동은 이집트에서 전선으로의 곡물 공급을 위협했다.유대인 폭동은 최근 정복된 지방으로 급속히 확산되었다.상당한 유대인 인구를 가진 도시들, 니시비스, 에데사, 셀레우키아 그리고 아르벨라 (현재의 이라크 아르빌)가 반란에 가담하여 그들의 작은 로마 수비대를 학살했다.

키레나이카

키레나이카에서,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우스에 따르면, 반란군은 자신을 "왕"이라고 칭한 루카스나 안드레아스가 이끌었다.그의 집단은 헤카테, 주피터, 아폴로, 아르테미스, 이시스를 포함한 많은 신전들을 파괴했고, 카이사레움, 바실리카,[citation needed] 목욕탕을 포함한 로마의 상징물이었던 민간 건축물들도 파괴했다.

4세기 기독교 역사학자 오로시우스는 폭력사태가 키레나이카 지방을 너무 황폐화시켜 하드리아누스가 새로운 식민지를 건설해야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유대인들은...리비아 전역에서 가장 야만적인 방법으로 주민들과 전쟁을 벌였고, 그 정도로 리비아는 낭비되었고, 그 경작자들은 죽임을 당했고, 그곳의 토지는 완전히 인구가 부족했을 것이다.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다른 곳에서 정착자들을 모아 그곳으로 보내지 않았더라면, 주민들은 [8]전멸했기 때문이다.

디오 카시우스의 유대인 반란군 진술:

한편, 키레네 지역의 유대인들은 안드레아스 한 명을 앞세워 로마인과 그리스인 모두를 파괴하고 있었다.그들은 살을 굽고, 내장으로 허리띠를 만들고, 피로 기름을 바르고, 가죽을 입혀 옷을 입었습니다.많은 것들이 머리부터 아래까지 둘로 잘랐다.다른 것들은 야수에게 주고 다른 것들은 검투사로서 싸우도록 강요할 것이다.결과적으로 모두 22만 명이 죽었다.이집트에서도 비슷한 행동을 많이 했고, 키프로스에서도 아르테미오의 지휘 아래 활동을 했다.거기서도 마찬가지로 24만 명이 죽었다.이 때문에 유대인은 그 땅에 발을 들여놓을 수 없지만, 그들 중 한 명이 바람의 힘으로 섬으로 쫓겨가더라도 그는 사형에 처하게 된다.다양한 사람들이 이 유대인들을 진압하는데 참여했는데,[9] 하나는 트라야누스가 보낸 루시우스였다.

원래 1906년 유대 백과사전에는 키레네 대학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사태로 인해 리비아는 몇 년 후 새로운 식민지를 건설해야 할 정도로 인구가 감소하였다(아르메니아에서 유래한 연대기, 하드리아 14년).5세기 초 키레네 출신인 시네시우스 주교는 유대인들이 겪은 참상에 대해 말했다.[10]

유대인 백과사전은 자료로서 디오 카시우스의 중요성을 인정했지만, 키레네와 키프로스에서의 행동에 대한 그의 설명이 꾸며졌을 수도 있다고 믿었다.

트라야누스와 하드리아 디온 치하의 유대인 전쟁에 대한 설명은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32, 19-14), 키레네와 키프로스 섬에서 유대인들이 저지른 잔혹행위에 대한 그의 서술은 아마도 [11]과장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고고학적 [12]발견에 따르면, 키레네의 물리적 파괴는 하드리아누스가 통치 초기에 도시를 완전히 재건해야 할 정도로 충분히 심각했다.

전쟁이 끝난 후, 렌조펠리체는 "유대인 사회를 하찮게 만들고 불가피한 쇠퇴의 길로 인도했다"고 말했다.De Felice에 따르면 추방된 많은 유대인들은 베르베르 부족, 특히 오늘날의 Sirte [13]주변 부족에 합류했다.

이집트

루쿠아스는 알렉산드리아로 반군을 이끌었다.그는 로마 총독 마르쿠스 루틸리우스 루푸스에 의해 버려진 도시에 들어가 불을 질렀다.이집트 신전과 폼페이의 무덤이 파괴되었다.보도에 따르면 유대 반군은 [14]파피루스에 나타나 있듯이 116년 헤르모폴리스 전투에서도 승리했다.

트라야누스는 프라에펙투스 프라에토리오 마르키우스 투르보 아래에 새로운 군대를 보냈지만, 이집트와 키레나이카는 117년 가을에야 평정되었다.

키프로스

키프로스에서는 아르테미온이 이끄는 유대인 밴드가 섬을 장악하고 수만 명의 키프로스 그리스 민간인을 죽였다.디오에 따르면, 키프로스 유대인들은 117년 트라야누스 치하에서 로마에 대항하는 대봉기에 참여했고 24만 [9][15]명의 그리스인들을 학살했다.로마군이 그 섬에 파견되었고 곧 수도를 탈환했다.반란이 완전히 진압된 후,[16][17] 유대인들이 섬에 사는 것을 금지하는 법이 만들어졌다.이 법은 유대인 난파선 생존자들이 키프로스 [18]해안에서 안전을 추구한 것에 대해 처벌을 받을 정도로 확대되었다.

메소포타미아

트라야누스가 페르시아만에 있는 동안 메소포타미아에서 새로운 반란이 일어났다.트라야누스는 니시비스(터키 누사이빈), 오스로에네의 수도 에데사, 셀레우키아(이라크)를 각각 점령했다.

파르티아 왕 오스로스 1세의 친로마적인 아들인 파르타마스파타는 황제의 수행원으로 원정대에 끌려왔다.트라야누스는 그를 크테시폰에서 파르티아인의 왕으로 왕위에 앉혔다.카시우스 디오는 이 사건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트라잔은 파르티아인들 역시 반란을 일으킬 것을 두려워하여, 그들만의 왕을 주길 원했다.따라서 크테시폰에 왔을 때, 그는 그 당시 그곳에 있던 모든 로마인과 파르티아인을 불러모은 뒤, 높은 연단에 올라 자신이 이룬 것을 웅장한 언어로 설명한 후 파르타마스파테스를 파르티아인의 왕으로 임명하고, 다이아뎀을 자신의 머리에 얹었다."그 후, 트라야누스는 하트라 공성전을 직접 지휘하기 위해 북쪽으로 이동했다.

공성전은 117년 여름 내내 계속되었지만, 타는 듯한 동쪽 열기 속에서 수 년 동안 계속된 원정은 열사병을 앓은 트라야누스에게 피해를 주었다.그는 회복하기 위해 로마로 돌아가는 긴 여정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셀레우키아에서 출항하는 동안 황제의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었다.그는 킬리키아의 셀리누스 해안으로 끌려가 그곳에서 죽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후계자인 하드리아누스가 정권을 잡았다.

유대

유대인 지도자 루쿠아스[3]유대로 도망쳤다.마르키우스 터보는 그를 뒤쫓아 반란의 핵심 지도자였던 줄리안과 파푸스 형제에게 사형을 선고했다.메소포타미아 유대인의 정복자 루시우스 퀴에투스는 현재 유대 로마군을 지휘하고 있으며 율리아누스와 파푸스의 지도 아래 반란군 유대인들이 모여 있던 릿다를 포위했다.그 고통은 너무 커져서 그곳에서 문을 닫고 곧 죽은 랍반 가말리엘 2세는 심지어 샤누카에도 금식을 허락했다.다른 랍비들은 그 [19]조치를 비난했다.

그 후 릿다는 함락되었고, 많은 반항적인 유대인들이 처형되었다. 릿다의 슬라인은 종종 [4]탈무드에서 경건한 찬사의 말로 언급된다.반란군 지도자 파푸스와 줄리안은 그 [5]해에 로마에 의해 처형된 사람들 중 하나였다.

트라야누스가 매우 존경하고 로마를 잘 섬겼던 루시우스 퀴에투스는 하드리아누스가 황제의 칭호를 얻자 조용히 그의 지휘권을 박탈당했다.그는 118년 여름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하드리아누스의 명령에 의해 살해되었다.

하드리아누스는 전쟁을 끝내고, 트라야누스의 많은 동쪽 정복을 포기하고, 동쪽 국경을 안정시키는 인기 없는 결정을 내렸다.그는 메소포타미아 지방을 포기했지만, 돌아오는 오스로에스에 의해 크테시폰에서 쫓겨난 파르타마스파테스를 복원된 오스로에네의 왕으로 임명했다.한 세기 동안, 오스로엔은 두 제국 사이의 완충국으로서 불안정한 독립을 유지할 것이다.

하드리아누스 치하에서 6세 페라타를 유대의 카이사리아 마리티마로 영구히 옮겨야 했던 로마인들에게 유대의 상황은 여전히 긴박했다.

여파

130년, 하드리아누스가 지중해 동부를 방문했을 때, 그리고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폐허가 된 예루살렘을 그의 이름에서 유래한 로마의 식민지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로 재건하기로 결정했을 때, 유대 지방에서 더 많은 발전이 일어났다.유대인에 대한 하드리아의 다른 제재와 함께, 그 결정은 로마의 군사 자원을 한계까지 확장시킨 극도로 폭력적인 봉기인 132 바르 코크바 폭동이 일어난 이유 중 하나였다고 한다.반란은 유대인들의 전례 없는 맹습과 유대인들의 관습에 대한 금지로 끝이 났는데, 이는 하드리아누스가 죽은 138년에야 해제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Malamat, Abraham (1976).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p. 330. ISBN 0674397312.
  2. ^ Beck (2012). True Jew: Challenging the Stereotype. p. 18.
  3. ^ a b Abulfaraj, Münter, "Der Jüdische Krieg", 1821 페이지, 알토나와 리프시치
  4. ^ a b 페스 50a, B. B. 10b, Ecl.R. ix. 10
  5. ^ a b Ta'anit 18b; 예.타니트 66b
  6. ^ Martin Goodman (2008). Rome and Jerusalem: The Clash of Ancient Civilizations. Vintage Books. p. 418. ISBN 978-0-375-72613-2.
  7. ^ 요세푸스, 유대 전쟁 II.8.11, II.13.7, II.14.4, II.14.5
  8. ^ 오로시우스, 이교도에 대항하는 일곱 권의 역사책, 7.12.6.
  9. ^ a b "Dio's Rome, Volume V., Book 68, paragraph 32".
  10. ^ "Cyrene". JewishEncyclopedia.com.
  11. ^ "Dion Cassius". JewishEncyclopedia.com.
  12. ^ Walker, S. (2002). "Hadrian and the Renewal of Cyrene". Libyan Studies. 33: 45–56. doi:10.1017/S0263718900005112. S2CID 164983849.
  13. ^ Felice, Renzo De (2014-11-26). Jews in an Arab Land: Libya, 1835–1970. University of Texas Press. pp. 1–2. ISBN 978-1-4773-0408-2.
  14. ^ "SEDER OLAM REVISITED - Chronology of the Bible and beyond".
  15. ^ "Cyprus". JewishEncyclopedia.com.
  16. ^ Burkiewicz, Lukasz. "The Cypriot Jews under the Venetian Rule (1489-1571), "Scripta Judaica Cracoviensia" 2008, vol. 6, s. 49-61": 50. When in 70 the Romans bloodily suppressed the uprising in Palestine, a large group of Jews moved to nearby Cyprus. In 115 they rose against the Roman power, which ended with an edict banishing all Jews from the island. {{cite journal}}:Cite 저널 요구 사항 journal=(도움말)
  17. ^ Papakyriacou, Marios (2015). "Formulation and definitions of the Greek national ideology in colonial Egypt (1856-1919)". S2CID 140194910. The author of this text referred to a revolt of Jews in Cyprus, which took place in the years 116-117 against the Romans and ended up with the expulsion of Jews from Cyprus. {{cite journal}}:Cite 저널 요구 사항 journal=(도움말)
  18. ^ Derkan, Izzet (2015-12-30). ""Jews in Cyprus and Their Aims"". Jews in Cyprus and Their Aims. At the end of rebellion, according to several laws were enacted which did not allow any Jew to land on Cypriot soil, even in case of shipwreck. After a few years, the Jewish communities began to grow and thrive once again in Cyprus.
  19. ^ 타니트 2세, 10세, 예타니트 266a; Yer. Meg. i. 70d; R. H. 18b

외부 링크

  • 유대 대백과 사전(공공 도메인)에서"BAR KOKBA 및 BAR KOKBA 전쟁"기사.
  • "키프로스:유대 대백과 사전(공공 도메인)에서 로마 Times" 기사에서.
  • 유대 대백과 사전(공공 도메인)에서"키레네"기사.
  • livius.org.에"트라야누스에 대한 반란",
  • 니케아의와 Post-Nicene 교부, 에우세비우스, Ecclesiastical 기록을 뺐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