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메르와 아카드 왕
King of Sumer and AkkadKing of Sumer and Akkad (Sumerian: 𒈗𒆠𒂗𒄀𒆠𒌵 lugal-ki-en-gi-ki-uri[2], Akkadian: šar māt Šumeri u Akkadi)[3] was a royal title in Ancient Mesopotamia combining the titles of "King of Akkad", the ruling title held by the monarchs of the Akkadian Empire (2334–2154 BC) with the title of "King of Sumer".이 호칭은 아카드(기원전 2334년–2279년)의 사르곤이 세운 고대 제국의 유산과 영광에 대한 주장을 동시에 제시하면서 하층 메소포타미아(남쪽의 수메르 지역과 북쪽의 아카드 지역을 합친 것) 전체를 통치하자는 주장을 표현했다.수메르의 왕과 악카드의 왕이라는 두 호칭이 모두 악카디안 왕들에 의해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통치하에 메소포타미아의 남부와 북부를 통일하기 위한 노력으로 만든 네오수메르 왕 우르남무(c.기원전 2112~2095년)가 통치할 때까지 이 호칭은 결합 형태로 도입되지 않았다.나이든 악카디안 왕들 스스로가 그런 식으로 수메르와 악카드를 연결시키는 것에 반대했을지도 모른다.
주요 왕국이 아시리아와 바빌론이었던 후세기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이 호칭은 하위의 메소포타미아를 다스리기 때문에 바빌론의 군주들이 주로 사용하였다.아시리아 왕들에게 있어서, 그 칭호는 바빌로니아와 그 주변 지역에 대한 공식적인 권위를 주장하는 것이 되었다; 바빌로니아를 실제로 지배했던 아시리아 통치자들만이 그 칭호를 사용했고 아시리아가 네오바빌론 제국에 바빌로니아에 대한 지배권을 영구적으로 잃자, 그 제국의 통치자들은 대신 그것을 사용하기 시작했다.수메르와 아크카드의 왕이라고 주장할 마지막 왕은 아차메니드 제국의 키루스 대왕(기원전 559년–530년)으로 기원전 539년 바빌론을 정복한 후 여러 전통적인 메소포타미아 왕을 가임하였다.
역사
배경(BC 2334–212)
기원전 24/23세기에 아카드 사르곤은 수도 아카드 다음으로 아카드 제국으로 알려진 최초의 위대한 메소포타미아 제국을 세웠다.그의 제국은 멀리까지 뻗어있었지만,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는 도시국가들이 수 세기 동안 보편적인 지배를 위해 서로 경쟁했던 메소포타미아의 남쪽 지역인 수메르였다.[4]이와 같이 사르곤과 그의 아카디안 후계자들이 사용한 왕명은 아카드 왕(아카디안: 샤르마트 아크카디)과 수메르 왕(아카디안: 샤르마트 슈메리)이었다.[3]악카디안 왕들은 사르곤의 '우주왕'(샤르키샤딤)과 나람신(사르곤의 손자)의 '세계 네 귀퉁이의 왕'(샤르 키브라트 에베티) 등 일부 명예 왕명도 추가로 소개했다.[5]세계가 아직 보지 못한 가장 큰 제국인 아카드 제국 하의 수메르와 아크카드의 정치적 결합은 현대에도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비쳐졌는데, 사르곤과 나람신 둘 다 곧 이후의 메소포타미아의 역사 토론에 자주 등장할 전설적인 인물이 되었다.[6]
나람신의 아들 샤르칼리샤리(기원전 2217년–2193년)의 통치 기간 동안 악카디안 제국은 광범위한 가뭄과 유목민 구티안의 침략으로 무너지기 시작했다.[7][8]기원전 2100년대에 구티안들은 아카드 시를 멸망시키고 지배적인 사르고닉 왕조를 그들만의 수메르 왕조로 대체했다.소위 구티안 왕조는 기원전 2112년에 완전히 쫓겨난 뒤 우르의 제3왕조 또는 신수메르 제국으로 일컬어지는 수메르 문명의 새로운 시대를 세운 우르 왕들에 의해 수메르의 전반적인 통치자로 교체되어 오래가지 못했다.[9]
제목 작성(BC 2112–1717)
제3왕조 우르의 설립자인 왕 우르남무(r. C. 2112–2095 BC) 위한 노력 시간에 그의 통치하에서 낮은 메소포타미아의 남쪽과 북쪽 부분을 통합하는 데에"왕 수메르와 아카드의"(:šar mātŠumeri 너 Akkadi'[3]아카드)의 복합적인 제목을 만들도록 그 노인 아카드 왕의 제목"왕 아카드의"과"왕 수메르의"을 결합한 것이다."Akkad"는 폐허가 된 도시만이 아니라 북부와 결부되어 수메르와 아크카드의 통일을 선언했을 것이다.[10]통합 타이틀을 형성한 두 개의 타이틀은 모두 아카드 왕들이 사용했지만, 더블 타이틀은 새로운 것이었다.일부 학자들은 아카드 왕 사르곤이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명백히 그러한 방식으로 수메르와 아크카드를 연결하는 것에 반대했다고 주장한다.[11]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이런 종류의 더블 타이틀이 우선이었다.Early Dynastic III 말기에는 수메르 전체에 대한 통제권을 표현하기 위해 더블 타이틀이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 타이틀들은 보통 우륵과 우르 시를 포함하거나 암시한다.이때 증명된 '수메르의 왕과 나라의 왕'과 같은 특별 호칭은 대개 한 명의 통치자에게만 고유한 것이었으며, 대부분의 경우 증명된 '우륵왕과 우르왕'에서 루갈키니데우두와 루갈키살시(BC 2400년 모두 2400년)가 사용하는 것과 같이 '왕'(또는 이에 상당하는 왕)이라는 말이 반복되었다.[11]왕 수메르 왕은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은 포 코너스 세계와 킹 유니버스 같은 좀 더 자랑스러우 honoraries 같은 제목들의 창조 전에는 명칭은 없고는 도시의 통치자보다 강력한 그를 지정하여 지역 통치자 지정,""King of"도시 이름+"의 형식에 따라 대부분의 직함들이었습니다.[12]
우르남무는 차라리 우르남무의 통치 직전인 수십 년 동안 수바르투의 땅에서 다스렸을 후리아 왕 아탈센으로부터 통합 칭호의 사상을 차용했을지도 모른다.아탈선의 호칭은 '우르키스와 나와르의 왕'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도시의 이름을 합쳐 (예: 수바르투) 사이에 있는 전 국토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는 호칭이다.우르남무는 종교적으로 중요한 도시인 니푸르에서 사제들에게 '수메르와 악카드의 왕'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니푸르를 둘러싼 두 땅의 주권자로 '좌우'로 등극했다.[11]우르남무와 그의 아들 슐기(기원전 2094년–2047년)에게만 이 호칭이 잘 지켜지지만,[11] '우르왕조'의 호칭과 함께 우르 제3왕조의 제1차 왕칭이었다.이 호칭은 우르 제3왕조가 멸망한 후 많은 통치자들이 이 호칭을 사용하고 있는 다음 왕조인 이신 왕조(c.기원전 1953~1717년)의 통치 기간 내내 중요한 왕칭으로 계속 작용하였다.[13]그것의 지속적인 사용은 메소포타미아의 북부 아카드 지역이 수메르 남부 지역에 비해 사회경제적 이점을 어느 정도 얻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10]
바빌로니아 왕과 아시리아 왕 (기원전 1728~539년)
이신 왕조가 멸망한 후, 라르사 왕 림신(재위 1758–1699 BC)은 그 유산을 주장하였으나, 곧 림신이 지배한 상당한 왕국을 정복한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재위 1728–1686 BC)[14]에게 패배하였다(우륵과 이전 수도인 이신 등).함무라비는 완전한 정복이나 다른 주들에 대한 헌사를 강요함으로써 바빌로니아 지배를 메소포타미아 전역에 확장시켰고, 그의 초기 통치는 수메르와 아카드 모두를 다소 별개의 실체로 지배하면서, 그의 북동쪽과 북쪽으로의 정복은 진정한 제국의 형성을 보았다.그의 후계자들 밑에서 온전하게 머물지 [14]못할거야함무라비는 그의 제국 형성의 일환으로 수메르 왕과 악카드의 전통적인 통치 칭호를 취했는데, 그의 통치 후 기원전 8세기까지 바빌로니아 왕들의 십일조에 산발적으로 나타나게 된다.[13]
바빌로니아 왕들과 별도로 바빌로니아와 수메르를 정복하고 지배하는 데 성공한 아시리아 통치자들 역시 수메르 왕과 아카드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이것에 성공한 최초의 아시리아 왕은 중간 아시리아 투쿨티-니누르타 1세(기원전 1244–1208년)이다.그의 통치 후, 바빌론은 재빨리 독립을 되찾았고, 그와 같은 호칭은 바빌론이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기원전 745–727년)에 의해 재조명되기 전까지는 (바빌론을[15] 실제로 지배하지 않은 기원전 824–811년에 의해 주장된 것을 제외하고) 500년 동안 아시리아 통치자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티글라스빌레세르 3세의 통치 후, 바빌론은 다시 반란을 일으켰고 그의 아들 사르곤 2세(기원전 722년–705년)도 그의 승리에 따른 칭호만을 사용하면서 다시 한번 그것을 다시 꾸밀 수밖에 없었다.알 수 없는 이유로 사르곤 2세의 후계자인 세나체립은 그 타이틀을 포기했지만, 그것은 세나체립의 후계자인 에사르하돈에 의해 다시 소개되었다.[13]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남부 정복에 비추어 볼 때, 지배권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수메르 왕과 악카드 왕을 포함한 남쪽의 칭호와 비문이 중요했을 것이다.이 칭호는 아시리아 왕에게 아크카디안과 수메르 문화 둘 다에 자신을 맞출 수 있게 했다.남부 메소포타미아 해안 지역과 남부 북부 아크카드의 해안 지역을 지칭하는 '수머'가 메소포타미아 하부의 모든 지역을 지배하고 있다는 타이틀이다.[16]아시리아인들에게 그 칭호는 아카드와 악카디아 제국의 사르곤의 위신과 유산에 대한 주장일 뿐만 아니라 바빌론에 대한 통치권에 대한 공식적인 주장이기도 했다.[13]네오아시리아 제국이 네오바빌론 제국의 건국과 함께 영원히 바빌론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자 아시리아 왕들은 그 칭호를 사용하는 것을 중단했다."수메르와 악카드의 왕"은 대신 최초의 네오바빌론 왕인 나보폴라사르(기원전 626–605년)[17]에 의해 채택되었다.이 호칭은 네오바빌론 제국의 군주들이 멸망할 때까지 계속 사용하였다.[3]
키루스 대왕 (기원전 539년)
기원전 539년 아차메니드 제국의 창시자인 키루스 대왕이 바빌론을 정복하고 네오바빌론 제국을 정식으로 멸망시켰다.그의 정복의 일환으로 키로스는 현재 키루스 실린더로 알려진 바빌론 성벽에 묻힐 기초 퇴적물을 만들었고, 악카디안 쐐기풀 문자로 텍스트가 적혀 있었다.[18]실린더의 본문에서 키로스는 '바빌론의 왕', '수메르와 악카드의 왕', '세계의 네 모퉁이의 왕'[19][20] 등 여러 전통적인 메소포타미아 왕명을 상정하고 있다.
키로스가 채택한 메소포타미아의 호칭은 '바빌론 왕'[21]의 호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자신의 치세를 넘어 사용되지 않았지만, 다른 비슷한 메소포타미아의 호칭은 계속 채택되었다.근대까지 이란의 군주들이 사용했던 인기 있는 왕호 '왕들의 왕'(아카디안에서는 샤르 샤라니로 개칭)은 원래 바빌론을 최초로 정복한 아시리아 왕인 기원전 13세기에 아시리아 투쿨티-니누르타 1세가 소개한 호칭이었다.[22]적어도 샬마네세르 3세(기원전 859년–824년) 이후 아시리아 군주들도 사용했던 '땅의 왕'이라는 호칭도 키루스 대왕과 그의 후계자들에 의해 채택되었다.[23][21]
수메르와 아크카드의 왕 목록
우르 제3왕조의 수메르와 아크카드의 왕:
우르남무가 소개한 수메르와 악카드의 호칭은 우르 제3왕조 때의 중요한 왕칭이었다.[13]
- 우르남무(기원전 2112–2095년)[13][11]
- 슐기(기원전 2094–2047년)[13][11]
- 아마르신 (기원전 2046–2038년)[13]
- 슈신 (기원전 2037–2029년)[13]
- 입비신 (기원전 2028–2004년)[13]
이신 왕조의 수메르와 아크카드의 왕들:
수메르 왕과 아크카드는 계속해서 이신 왕조에서 메소포타미아를 왕으로 칭했다.[13]
- 이스비 에라 (기원전 1953–1920년)[13]
- 슈이리수 (기원전 1920–1900년)[13]
- 이딘-다간(기원전 1900–1879년)[13]
- 이스메-다간 (기원전 1879–1859년)[13]
- 리핏-에슈타르 (기원전 1859–1848년)[13]
- Ur-Ninurta(기원전 1848–1820년)[13]
- 부르수엔 (기원전 1820–1799년)[13]
- 리핏-엔릴(기원전 1799–1794년)[13]
- 에라-이미티 (기원전 1794–1786년)[13]
- 엔릴바니 (기원전 1786–1762년)[13]
- 잠비아 (기원전 1762년–1759년)[13]
- 이터피샤(기원전 1759–1755년)[13]
- 우르두쿠가(기원전 1755–1751년)[13]
- 수엔마기르 (기원전 1751년–1740년)[13]
- 다미크-일리슈 (기원전 1740–1717년)[13]
라사의 수메르와 아카드 왕들:
바빌론의 수메르와 아카드 왕들:
그가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한 후 함무라비가 주장한 이 호칭은 기원전 700년대까지 바빌로니아 왕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사용되었다.[13]이 칭호를 사용한 몇몇 왕들은 다음과 같다.
중간 아시리아 제국의 수메르와 아크카드의 왕들:
투쿨티-니누르타 1세는 바빌론을 사로잡은 유일한 중간 아시리아 왕이었고, 그 칭호를 맡은 유일한 왕이었다.[13]
- 투쿨티-니누르타 1세(기원전 1244–1208년)[13]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수메르와 아크카드의 왕:
샴시-아다드 5세를 제외하고, 이 호칭은 바빌론을 실제로 지배했던 네오아시리아 통치자들만이 사용하였다.[13]
- 샴시-아다드 5세(기원전 824–811년)[15]
- 티글라스-필레세르 3세(기원전 745–727년)[13]
- 샬마네세르 5세(기원전 727–722년)[26]
- 사르곤 2세(기원전 722–705년)[13]
- 에사르하돈(기원전 681년–669년)[13]
- 아슈르바니팔(기원전 669–631년)[27]
- 샤마쉬숨우킨(바빌론의 네오아시리아 왕, 기원전 668–648년)[28]
네오바빌론 제국의 수메르와 아크카드의 왕:
독립을 되찾은 후에도 바빌론의 통치자들은 그 칭호를 계속 사용하였다.[3]
- 나보폴라사르(기원전 626–605년)[3][17]
- 네부카드네자르 2세(기원전 605–562년)[3]
- 아멜-마두크 (기원전 562–560년)[3]
- 네리글리사르(기원전 560–556년)[3]
- 라바시-마두크 (기원전 556년)[3]
- 나보니두스 (기원전 556년–539년)[3]
아케메니드 제국의 수메르와 아크카드의 왕:
참조
인용구
- ^ 에드자드 2003, 페이지 36.
- ^ 마에다 1981년, 페이지 4.
- ^ a b c d e f g h i j k 다 리바 2013, 페이지 72.
- ^ Liverani 2013, 페이지 120–121.
- ^ 레빈 2002 페이지 362.
- ^ Charpin 2011, 페이지 810.
- ^ 레빈 2002, 페이지 360.
- ^ 바흐바로바 2012, 페이지 102.
- ^ De Mieroop 2004, 페이지 67.
- ^ a b 마에다 1981년, 페이지 5.
- ^ a b c d e f 한로192 페이지
- ^ 마에다 1981년, 페이지 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포터 1994, 페이지 79.
- ^ a b c Charpin 2011, 페이지 817.
- ^ a b Karlsson 2016, 페이지 151.
- ^ 2017년, 페이지 21.
- ^ a b 다 리바 2013, 페이지 12.
- ^ 사이러스 실린더.
- ^ a b 새로운 사이러스 실린더 번역.
- ^ a b 사이러스 실린더 번역.
- ^ a b 1989년 Peat 199 페이지.
- ^ 핸디 1994 페이지 112.
- ^ 밀러 1986, 페이지 258.
- ^ 한로 1967, 페이지 97.
- ^ 괴체 1964, 페이지 98.
- ^ 1925, 164페이지.
- ^ Karlsson 2017, 페이지 10.
- ^ Karlsson 2017, 페이지 11.
참고 문헌 목록
- Bachvarova, Mary R. (2012). "From "Kingship in Heaven" to King Lists: Syro-Anatolian Courts and the History of the World". Journal of Ancient Near Eastern Religions. 12 (1): 97–118. doi:10.1163/156921212X629482.
- Charpin, Dominique (2011). "The History of Ancient Mesopotamia: An Overview". The Cambridge World History. Vol. 4.
- Da Riva, Rocío (2013). The Inscriptions of Nabopolassar, Amel-Marduk and Neriglissar. Walter de Gruyter. ISBN 978-1614515876.
- De Mieroop, Marc Van (2004).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 - 323 BC. Blackwell Publishing. ISBN 978-1405149112.
- Edzard, Dietz Otto (2003). Sumerian Grammar. BRILL. p. 36. ISBN 978-90-474-0340-1.
- Goetze, Albrecht (1964). "The Kassites and near Eastern Chronology".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18 (4): 97–101. doi:10.2307/1359248. JSTOR 1359248.
- Hallo, William W. (1967). "New Texts from the Reign of Sin-iddinam".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21: 95–99. doi:10.2307/1359363. JSTOR 1359363.
- Hallo, William W. (1980). "Royal Titles from the Mesopotamian Periphery". Anatolian Studies. 30: 189–195. doi:10.2307/3642789. JSTOR 3642789.
- Handy, Lowell K. (1994). Among the host of Heaven: the Syro-Palestinian pantheon as bureaucracy. Eisenbrauns. ISBN 978-0931464843.
- Hill, Jane A.; Jones, Philip; Morales, Antonio J. (2013). Experiencing Power, Generating Authority: Cosmos, Politics, and the Ideology of Kingship in Ancient Egypt and Mesopotam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SBN 9781934536643.
- Karlsson, Mattias (2016). Relations of Power in Early Neo-Assyrian State Ideology.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ISBN 9781614519683.
- Karlsson, Mattias (2017). Assyrian Royal Titulary in Babylonia (Manuscript). Uppsala University. S2CID 6128352.
- Levin, Yigal (2002). "Nimrod the Mighty, King of Kish, King of Sumer and Akkad". Vetus Testamentum. 52 (3): 350–366. doi:10.1163/156853302760197494.
- Liverani, Mario (2013). The Ancient Near East: History, Society and Economy. Routledge. ISBN 978-0415679060.
- Luckenbill, Daniel David (1925). "The First Inscription of Shalmaneser V".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41 (3): 162–164.
- Maeda, Tohru (1981). ""King of Kish" in Pre-Sargonic Sumer". Orient. 17: 1–17. doi:10.5356/orient1960.17.1.
- Miller, James Maxwell (1986). A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Judah. Westminster John Knox Press. ISBN 978-0664223588.
- Peat, Jerome (1989). "Cyrus "King of Lands," Cambyses "King of Babylon": The Disputed Co-Regency".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41 (2): 199–216. doi:10.2307/1359915. JSTOR 1359915.
- Porter, Barbara N. (1994). Images, Power, and Politics: Figurative Aspects of Esarhaddon's Babylonian Policy.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ISBN 978-0871692085.
- Soares, Filipe (2017). "The titles 'King of Sumer and Akkad' and 'King of Karduniaš', and the Assyro-Babylonian relationship during the Sargonid Period" (PDF). Rosetta. 19: 20–35.
웹사이트
- "British Museum - The Cyrus Cylinder". www.britishmuseum.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anuary 2019. Retrieved 19 January 2019.
- "Livius - Cyrus Cylinder Translation". www.liviu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anuary 2019. Retrieved 19 January 2019.
- Farrokh, Kaveh. "A New Translation of the Cyrus Cylinder by the British Museum". kavehfarrokh.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anuary 2019. Retrieved 19 January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