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ES
JTESJTES(일본 텔레텍스트 사양)는 일본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수직 블랭크 간격(VBI) 내에서 텔레텍스트 페이지 및 다른 유형의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1986년 국제표준 CCIR 653(현 ITU-R BT.653)에 CCIR 텔레텍스트시스템 [1][2]D로 채택되었습니다.
중국어, 가타카나, 히라가나 문자 표시를 지원합니다.이 서비스는 자막, 순환 텍스트 페이지 또는 의사 인터랙티브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사진, 기하학, 소리 [3][1]등의 프레젠테이션이 지원됩니다.
역사
일본의 [4]텔레텍스트 개발은 1972년에 시작되었고, 영국 BBC가 세계 최초의 텔레텍스트 시스템(Ceefax)을 발표했다.
일본어는 서양의 알파벳과 다르기 때문에, 일본은 구체적인 전송 방법의 연구 개발을 진행했습니다.'패턴 방식'[5]이라고 불리는 이 방식은 팩스와 유사한 스캔 신호를 기존 방식보다 20배 빠른 속도로 전송하지만 대형(당시) 1메가비트 ROM을 가진 문자 생성기가 필요했습니다.이 방법은 1982년에 도입되었습니다.
최초의 리시버 프로토타입은, 1개의 칩에 1258 문자와 48 킬로바이트의 문자 생성 ROM 를 표시할 수 있었습니다.1970년대에는 오류 수정(잘못된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문제가 연구되었다.이러한 문제는 1980년대 초에 해결되어 서비스를 [4]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79년 NHK에 의해 '하이브리드 방식'이라고 불리는 대체 전송 방법이 개발되었다.그것은 더 빠른 전송 정격을 가능하게 했고,[5] 1985년 10월에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1983년 10월 3일, 도쿄와 오사카에서 NHK가 「패턴 방식」[6][3][5]으로 시험 방송을 개시.여기에는 자막과 다른 소위 "보조 프로그램" 또는 "독립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에는 방영 중인 TV 프로그램과 관련 없는 정보가 표시됩니다.[7]예를 들어, 한신 대지진 당시, 긴급 서비스나 희생자 이름에 대한 정보가 [7]며칠간 방송되었습니다.이 시스템의 도입에 수반해, 소니는 11만 9000엔의 디코더 「TXT-10」을, 샤프는 디코더를 내장한 TV 「21C-L1」을 발매했다.
1984년 일본 TV는 3월부터 7월까지 텔레텍스트를 실험했다.
1985년 11월 29일 NHK(텔레모 재팬)와 NTV(AXES4)에 의해 하이브리드 [8][9]방식으로 정규 송출이 개시되었다.
1986년, TV 아사히가 「TV 아사히 데이터 비전」이라고 하는 서비스를 개시해, 2011년 7월 24일까지의 활동을 계속했다.후지 TV나 도쿄 메트로폴리탄 TV와 함께, 「도쿄 데이터 비전」의 「도쿄 방송」이나 「닛케이 텔레 프레스」의 「TV 도쿄」등의 다른 채널도, 텔레 텍스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었다.
NHK는 1985년 동안 뉴스, 날씨, 공보,[5] 자막 등 8개의 다른 프로그램으로 매주 759시간의 텔레텍스트를 방송했다.
1995년 현재 일본 시장에서는 텔레텍스트 수신기를 내장한 TV 모델이 20대 판매되고 있다.
묘사
일반 NTSC 비디오 신호에는 525개의 비디오 신호가 있습니다.이것들은, 「필드」라고 불리는 2개의 하프 이미지로 분할되어 60초마다 송신됩니다.이러한 이미지는 화면과 눈으로 합쳐져 30초마다 갱신되는 단일 비디오 프레임을 형성합니다.각 필드의 각 회선은 송신에 63.5μs가 소요됩니다.각 끝의 비디오는 50.3μs, 「데드 타임」은, 수평 블랭크 간격(HBI)이라고 불립니다.스캔 프로세스가 화면 끝에 도달하면 수직 블랭크 간격(VBI) 동안 맨 위로 돌아갑니다. VBI는 HBI와 마찬가지로 화면에서 신호를 올바르게 프레임화하려면 "데드 타임"이 필요합니다.이 경우 데드타임은 화상신호의 미사용 라인(통상은 프레임의 상위 22라인)으로 표시됩니다.
서비스의 개시시에, JTES는, 이러한 회선 중 4개를 사용해 정보를 송신해, 스캔 회선 마다 176 비트의 데이터가 송신되었습니다.
JTES는 데이터를 5.727272 Mbit/s의 고정 속도로 일련의 점으로 비디오 신호에 인코딩합니다.필드의 각 회선에는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50.3μs의 비디오 영역이 있어 [1]회선당 296비트가 됩니다.
적절한 문자를 표현하거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문자 코드 세트(JIS C 6226 일본 공업 규격, 1978년에 정의된 일본어로 된 텍스트, 지명, 개인명 등에 적합한 6879개의 그래픽 문자를 포함한다)를 변경할 수 있다.문자 다중 텍스트 수신기 문자 생성기에서 문자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DRCS"(Dynamically Redefinable Character Sets)[3][10]를 사용하여 문자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문자는 반문 요소의 모자이크로서 송신할 수 있으며, 각 요소는 8 x 12 [10][11]픽셀의 해상도를 가진다.
YM2413 사운드칩을 [12]사용한 사운드 생성 지원이 있었습니다.그러나 사운드와 이미지는 "BEST"[13]라는 오류 수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PCM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정보 부호화가 가능합니다.[14]
- 모자이크 - 다른 문자 다중 텍스트 시스템에서 그래픽이 구성되는 방식과 유사한 반문 블록 모자이크
- DRCS - 문자 생성기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자 허용
- 단층 사진 - 블록 대신 이미지 데이터(픽셀, 색상 수 제한) 전송 속도 대폭 저하
- 다층 사진 - 많은 색상으로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을 전송하여 속도가 훨씬 느립니다.
- 기하학 - 선, 호, 직사각형 및 폴리곤에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NABTS 텔레텍스트와 유사합니다.
일본의 텔레텍스트 서비스 목록
- 텔레모 재팬 (NHK)
- TV 아사히 데이터 비전 (TV 아사히) (1986년 4월 7일 ~ 2011년 7월 24일)
- AXES4 (일본 TV) (1985년 3월 31일)
- 도쿄 데이터 비전(TBS)
- 후지 TV
- 도쿄 메트로폴리탄 TV
- 닛케이 텔레프레스 (TV 도쿄)
「 」를 참조해 주세요.
- Antiope - 프랑스 텔레텍스트 표준 (CCIR 텔레텍스트 시스템 A)
- NABTS – 북미 방송 텔레텍스트 사양 (CCIR 텔레텍스트 시스템 C)
- 캡틴 - NTT가 개발한 일본어 비디오텍스 시스템
- NAPLPS – 북미 프레젠테이션레벨 프로토콜 구문
- 비디오텍스 문자 집합
- 텍스트 반문자
레퍼런스
- ^ a b c "Recommendation ITU-R BT.653-3 (02/1998) Teletext systems" (PDF). Itu.int. Retrieved 12 February 2022.
- ^ "Norpak - TES3/NABTS". October 10,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October 2006.
- ^ a b c "DBNSTJ : Teletext for Japan". Dbnst.nii.ac.jp.
- ^ a b "Teletext" (PDF). Jstage.jst.go.jp. Retrieved 12 February 2022.
- ^ a b c d Bens, E. de; Knoche, Manfred (December 6, 2012). Electronic Mass Media in Europe. Prospects and Developments: A Report from the FAST Programme of the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9400939493 – via Google Books.
- ^ Akiyama, Takashiro (3 December 1984). Teletext and TV Programs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in Japan – via ERIC.
- ^ a b "Teletext Back in the Limelight Society and Culture Trends in Japan Web Japan". Web-japan.org.
- ^ "歴史 NHK放送文化研究所". Nhk-or-jp.translate.goog.
- ^ "NHK佐賀放送局". Nhk.or.jp.
- ^ a b "(a) Character code set" (PNG). Ddnst.nii.ac.jp. Retrieved 12 February 2022.
- ^ "Characters" (PNG). Ddnst.nii.ac.jp. Retrieved 12 February 2022.
- ^ "Characters" (PNG). Ddnst.nii.ac.jp. Retrieved 12 February 2022.
- ^ "Signal arrangement of error-correction system" (PNG). Ddnst.nii.ac.jp. Retrieved 12 February 2022.
- ^ "Coding table" (PNG). Ddnst.nii.ac.jp. Retrieved 12 February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