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타 이사오

Isao Arita
아리타 이사오
태어난1926
로 알려져 있다.천연두 퇴치
수상아사히상(1980년)
일본상(1988)
과학 경력
필드바이러스학, 예방접종, 공중보건
기관세계보건기구.

이사오 아리타(1926년 출생)는 1977-85년 세계보건기구(WHO) 천연두 근절단장을 맡은 일본의 의사, 바이러스학자, 예방접종 전문가다. 이 기간 동안 천연두는 전세계적으로 근절되는 인간의 첫 번째 전염병이 되었다. 이 작품으로 그와 동료들은 1988년 일본상을 받았다. 그는 또한 서태평양 지역에서 소아마비 바이러스를 근절하기 위한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조언했다.

교육과 초기 경력

아리타는 1926년 일본 남부 구마모토에서 태어났다. 1950년 구마모토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일본 후생성에서 감염병관리과에서 의경으로 10년간 근무했다.[1] 이 시기에 그는 독일의 폴 에를리히 연구소에서 훈련을 받은 분야인 백신 통제와 표준화 작업을 했다.[2]

천연두 퇴치 프로그램

세계보건기구의 천연두 퇴치 프로그램을 위한 아리타의 작업은 1962년에 시작되었다.[1][2] 그는 약 2년 동안 아프리카 라이베리아에서 박멸을 위해 일했다. 미국 역학조사관 도널드 A. 헨더슨은 1966년에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아리타는 WHO의 유일한 기술 스태프였다.[3] 그는 1966년 창설 때부터 세계보건기구(WHO) 천연두 퇴치부대의 일원으로 헨더슨 주도로 부국장을 지냈다.[3][4] 그는 프로그램의 "감시 및 봉쇄" 전략 개발(인구 80% 이상 백신 접종을 시도하려는 성공하지 못한 전략을 대체하는 것)[2][5]은 물론, 퇴치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천연두 백신의 공급을 늘리고 백신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일을 담당했다.[1][6] 그는 또한 수두 바이러스,[1] 특히 수두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다.[7]

1976년 또는 1977년 헨더슨이 WHO를 떠난 후 아리타는 계속해서 부대를 지휘했다. 그의 지도하에 에티오피아-소말리 전쟁아프리카 뿔에서 변종 소자 발병이 성공적으로 진압되었고, 천연두가 자연적으로 전염된 마지막 경우는 1977년 10월에 발생했다. 그는 천연두가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1980년 5월에 세계적으로 퇴치된 것으로 공식적으로 증명된 과정을 시행했다.[3][4][5] 인증 후 인증위원회의 권고사항의 이행을 관리했다.[1] 그는 계속해서 부대의 국제 감시 활동을 지휘했다. 그는 또한 진행중인 백신과 변종 바이러스의 실험실 재고와 같은 문제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퇴치 프로그램에 대한 WHO의 데이터를 보관하는 일에 관여했다.[8] 1999년, 그는 변종 바이러스의 남은 주식의 파괴를 주장했던 몇몇 과학자들 중 한 명이었다.[9]

는 1988년 1월에 출판된 1460페이지 분량의 방대한 분량인 천연두와 그 퇴치의 프랭크 페너와 헨더슨과 함께 주요 저자들 중 한 명이었다.[10] 아리타는 2010년 저서 《천두 박멸 사가》에서도 자신의 개인 계정을 썼다. 인사이더의 견해.[11]

후기 경력

1985년 아리타는 WHO를 떠나 1992년 은퇴할 때까지 유지했던 일본 구마모토 국립병원을 지휘했다.[1] 1990년 호소카와 모리히로(당시 구마모토현 지사)에게 국제보건협력국(ACIH)의 창립에 대해 조언하였고,[12] 1993년 회장이 되었다.[13] ACIH의 목표는 개발도상국의 질병 예방을 촉진하는 것이며, 이 단체는 백신과 다른 주제에 관한 국제 회의를 조직했다.[1][13] 1990년대 초 아리타는 개발도상국의 백신 공급과 백신 품질을 둘러싼 문제에 국제적인 관심을 환기시켰고, 이들 국가들이 백신 생산에 자급자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14]

1990년부터 2004년까지 서태평양 지역에서 WHO의 면역 및 폴리오밀염 퇴치에 관한 확대 프로그램 기술 자문 그룹을 맡았다.[15] 그 프로그램은 1997년에 이 지역에서 야생 소아마비 바이러스를 근절하는데 성공했다.[16] 그는 1997년 북미와 남미에서 야생 소아마비 바이러스 퇴치를 인증한 전문가 위원회에서 활동하기도 했다.[17] 이러한 지역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2000년에[16] 계획된 전세계 소아마비 퇴치는 아직 달성되지 못했다. 2006년, 페너, 미유키 나카네와 함께 아리타는 사이언스지에 소아마비를 전세계적으로 근절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서를 발표했고, 통제가 바람직한 선택일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16][18]

그는 또한 심각한 급성 호흡기 증후군, 홍역, B형 간염,[19] C형 간염 그리고 다른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해서도 발표했다.

수상 및 명예

1988년, 아리타는 헨더슨, 페너와 함께 천연두 퇴치에 관한 연구로 일본 노벨상[12] 해당하는 일본상을 받았다.[20] 일본 정부는 그에게 '국보'[12]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선택한 게시물

책들

  • 아리타 이사오 천연두 퇴치 사가. 인사이더의 전망 (오리엔트 롱맨; 2010)
  • 프랭크 페너, 도널드 A. 헨더슨, 이사오 아리타, 즈데넥 예제크, 이반 다닐로비치 라드니. 천연두 퇴치 (WHO; 1988) ([2]에서 다운로드 가능)

기사들

  • Arita Isao (2011). "A personal recollection of smallpox eradication with the benefit of hindsight: in commemoration of 30th anniversary" (PDF). Japanes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64 (1): 1–6. PMID 21266748.
  • Arita Isao, Nakane Miyuki, Fenner Frank (2006). "Is Polio Eradication Realistic?". Science. 312 (5775): 852–54. doi:10.1126/science.1124959. PMID 16690846.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Breman Joel G., Arita Isao (1980). "The Confirmation and Maintenance of Smallpox Eradicat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03 (22): 1263–73. doi:10.1056/nejm198011273032204. PMID 6252467.

참조

  1. ^ a b c d e f g Fenner 2006 페이지 144
  2. ^ a b c Isao Arita (2011), "A personal recollection of smallpox eradication with the benefit of hindsight: in commemoration of 30th anniversary" (PDF), Japanes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64 (1): 1–6, PMID 21266748
  3. ^ a b c 터커 2001, 페이지 61, 115
  4. ^ a b 펜너 2006, 페이지 144, 152–56
  5. ^ a b Frank Fenner (1982), "Global Eradication of Smallpox", Reviews of Infectious Diseases, 4 (5): 916–30, doi:10.1093/clinids/4.5.916, JSTOR 4452859, PMID 6293036
  6. ^ 2013년 화이트, 페이지 43
  7. ^ Arita I, Jezek Z, Khodakevich L, Ruti K (1985), "Human monkeypox: a newly emerged orthopoxvirus zoonosis in the tropical rain forests of Africa", The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34 (4): 781–89, doi:10.4269/ajtmh.1985.34.781, PMID 2992305
  8. ^ 펜너 2006, 페이지 160-64
  9. ^ Jonathan B. Tucker (2006), "Preventing the Misuse of Biology: Lessons from the Oversight of Smallpox Virus Research", International Security, 31 (2): 116–50, doi:10.1162/isec.2006.31.2.116, JSTOR 4137518
  10. ^ Fenner 2006, 페이지 164–66, 168
  11. ^ Vivek Neelakantan (13 April 2011), 'The Smallpox Eradication Saga: An insider's view' by Isao Arita, Wellcome Trust, retrieved 23 August 2016
  12. ^ a b c 무라스킨 1998, 페이지 94
  13. ^ a b 페너 2006년 179페이지
  14. ^ 무라스킨 1998, 페이지 95–97, 103, 121
  15. ^ WPR/RC55.R3: Expression of Appreciation to Dr Isao Arita, former Chairman of the Technical Advisory Group (TAG) on the Expanded Programme on Immunization and Poliomyelitis Eradication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WHO: Western Pacific Region, 16 September 2004, retrieved 23 August 2016
  16. ^ a b c Leslie Roberts (2006), "Polio Eradication: Is It Time to Give Up?", Science, 312 (5775): 832–35, doi:10.1126/science.312.5775.832, JSTOR 3846171, PMID 16690830
  17. ^ Frederick C. Robbins, Ciro A. de Quadros (1997), "Certification of the Eradication of Indigenous Transmission of Wild Poliovirus in the Americas",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75 (suppl 1): S281–85, JSTOR 30129509
  18. ^ Isao Arita, Miyuki Nakane, Frank Fenner (2006), "Is Polio Eradication Realistic?", Science, 312 (5775): 852–54, doi:10.1126/science.1124959, JSTOR 3846184, PMID 16690846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19. ^ PubMed 검색은 2016년 8월 23일에 수행[1]
  20. ^ Laureates of the Japan Prize: The 1988 (4th) Japan Prize, The Japan Prize Foundation, retrieved 22 August 2016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