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열 가습 고유량 치료
Heated humidified high-flow therapy고유량요법 | |
---|---|
기타 이름 | 고유량 비강 캐뉼라 |
ICD-10-PCS | Z99.81 |
가열 가습 고유량(HHHF) 치료법, 종종 고유량 비강 캐뉼라(e) 또는 고유량 비강 산소(HFNO)도 상기도 세척을 위한 인터페이스(nasal canulae)를 통해 환자에게 고유량(분당 리터)의 의료용 가스를 전달하는 호흡지원법이다. 가스는 인체온도(37°C)에 가장 잘 맞도록 가열하고 이상적인 체내 포화 증기압을 목표로 가습한다. 급성 및 만성 호흡 장애에 사용되며, 중증 또는 중대한 COVID-19 환자의 치료에 적합한 선택이다.[1]
관련 매개변수는 영감을 받은 산소(FiO2)의 분율이다.
의학적 용법
고유량 치료는 자연적으로 호흡하지만 호흡량이 많은 환자에게 유용하다. 일반 호흡부전, 천식 악화, COPD 악화, 기관지염, 폐렴, 울혈성 심부전 등의 질환은 모두 고유량 치료가 나타날 수 있는 가능한 상황이다. HHHF는 기도폐쇄 수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반 마취 중 환자의 자연 호흡에 사용되어 왔다.[2]
신생아
로 삽관을 통해 인공 환기 필요로 하며 FiO2 수준에서 안전하게 호흡기 관리를 허락한 많은 유아들을 예방해High-flow 치료 신생아 집중 치료 환경에서 유아는 호흡 장애 증후 syndrome,[3]과 조숙한 유아들을 위해 유익하고, 따라서 상조와 oxyg의 망막증의 위험을 줄인다 보여 주었다.~t난독성
호흡에 필요한 노력의 스트레스 감소로 인해 신생아 몸은 다른 곳에서 대사 노력을 활용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으며, 이는 기계식 인공호흡기에 대한 일수 감소, 체중 증가 속도 단축, 전반적인 병원 체재 감소 등을 초래한다.[4]
유아와 노년기 어린이들에게 고유량 치료가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캐뉼라는 호흡곤란, 산소 포화, 환자의 편안함을 개선한다. 그것의 작용 메커니즘은 가벼운 양의 기도압과 폐 용적 모집의 적용이다.[5]
혜택들
HFT, 임상의는 비재호흡기 마스크나 기관 삽관을 사용하지 않고도 일반적인 산소 공급 요법으로 가능한 것보다 더 높은 FiO를2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호흡기 가스의 가열 가습은 분비를 용이하게 하고 기관지 과민반응 증상의 발달을 감소시킨다.[6] 호흡기 지원을 필요로 하는 일부 환자들은 추가적인 산소 없이 HFT에 의해 전달된 공기를 사용하여 기관지 공간 혜택을 얻는다.[7] HFT는 수면무호흡증 치료에 유용하다.[8] HFT를 사용하는 동안 환자는 말할 수 있다. 비침습 치료인 만큼 인공호흡기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위험을 피한다.
급성 저산소성 호흡기 장애에 비강 고흐름을 사용하는 것은 사망률이나 병원 또는 중환자실 체류 기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기관 삽관과 산소 공급 및 호흡 지원의 증가 필요성은 15% 감소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연구 결과가 있을 수 있었던 것보다 덜 정밀했기 때문에 이 결과가 신뢰할 수 있다는 확신은 낮다. 콧물이 높은 사람들은 더 편안함을 느끼고, 덜 숨이 차며, 해를 입힌 흔적은 거의 없었다.[9]
메커니즘
산소는 환자에게 공기 흐름에서 증가된 FiO를2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도의 지속적인 플러시는 저장소를 생성해 실내 공기 흡입구를 장치에 의해 설정된 실제 산소 분율이 될 정도로 감소시킨다.
환기
비강 캐뉼러를 통해 고유량 시스템은 총 호흡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흐름을 전달한다.[10] 이 흐름은 작은 직경 전달 시스템과 작은 보어 코 캐뉼라로 전달되어 전통적으로 상기도를 통해 천천히 이동하던 흐름이 빠르게 이동하며 상기도의 죽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씻어내는 신선한 가스의 지속적인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11]
신선한 가스 흐름의 지속적인 흐름은 이 신선한 공기의 저장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뿜는 공기를 밖으로 밀어내서 내쉬는 노력을 돕는 환경을 만든다.
가습
유량이 높을수록 유량의 적절한 가습과 조절이 중요해진다. 습도가 없다면, 고유량 치료의 산소와 환기 효과는 건조한 공기가 폐 조직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의해 빠르게 극복될 것이다.[12][13][14]
역사
의료용 가스 전달에 사용되는 비강 캐뉼러는 보통 분당 1~6리터의 유량을 전달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환자가 흡입한 산소2 비율(FiO)은 보통 캐뉼라로부터 공급되는 순수한 산소가 주변 공기(21% 산소)의 인큐베이터에 의해 희석되기 때문에 약 24~35%의 범위가 된다. 일반적인 비강 캐뉼라를 사용하는 산소 공급 유량은 의료용 산소가 무수이기 때문에 제한되며, 가압원에서 공급될 경우 기체가 대기압으로 떨어지면서 팽창하면서 냉각된다. 냉건성 가스의 전달은 호흡 점막을 자극하고 코 점막의 건조 및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몸을 냉각시켜 대사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다.[15]
조용한 호흡에도 성인 나팔의 영감 유량은 보통 분당 12리터를 넘고, 가벼운 호흡곤란이 있는 사람에게는 분당 30리터를 넘을 수 있다. 전통적인 산소요법은 분당 6리터로 제한되며, 성인의 흡기 수요에 접근하기 시작하지 않으며, 따라서 영감 중에 산소가 실내 공기로 희석된다.
HFT가 등장하기 전에는 호흡기 지원을 위해 FiO가2 증가해야 했을 때, 특수 안면 마스크나 삽관이 필요했다. 고유량 테라피(High Flow Therapy)를 사용하면 환자의 흡기 유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기에 충분한 호흡 가스 유량을 전달하는 것이 목표다. 가스는 가스를 조절하기 위해 가열되고 가습되어 있다. 증가하는 흐름은 건조하고 시원하게 두면 조직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산소의 공급원인 HFT는 보통 압축 공기와 혼합된다. 병원에는 보통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50 psi(350 kPa)의 압축 산소와 공기가 있다. 이것은 산소 믹서를 사용하여 공기 또는 공기와 산소의 혼합물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가스는 일반적으로 약 37 °C까지 가열되고 가습기를 사용하여 거의 100% RH로 가습된다. 가스는 가열된 전달관을 통해 환자에게 이송되어 호흡 가스에 첨가된 수증기가 냉각 및 응결되지 않도록 한다.
HFT는 비강 캐뉼라와 높은 유량 및 이를 위해 발생되는 압력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 동시에 비강 캐뉼라는 50% 이상의 광석을 포함하지 않을 정도로 작아야 하며, 이는 지속적인 기도 플러시 효과를 위해 흐름의 여러 출구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상업개발
Vapotherm은 원래 경주마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후 1999년에 비강 캐뉼라를 통한 가열 가습 고유량 치료의 개념을 도입했다.[16]
참조
- ^ 겐그, 시케, 메이, 칭, 주, 춘얀 등. 고유량 비강 캐뉼라는 COVID-19에 좋은 치료 옵션이다. 심장 폐. 2020;49(5):444-445. doi:10.1016/j.hrtlng.2020.03.018.
- ^ Booth, A. W. G.; Vidhani, K.; Lee, P. K.; Thomsett, C.-M. (2017-03-01). "SponTaneous Respiration using IntraVEnous anaesthesia and Hi-flow nasal oxygen (STRIVE Hi) maintains oxygenation and airway patency during management of the obstructed airway: an observational study".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18 (3): 444–451. doi:10.1093/bja/aew468. ISSN 0007-0912. PMC 5409133. PMID 28203745.
- ^ Shoemaker, M. T.; Pierce, M. R.; Yoder, B. A.; Digeronimo, R. J. (2007). "High flow nasal cannula versus nasal CPAP for neonatal respiratory disease: A ret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inatology. 27 (2): 85–91. doi:10.1038/sj.jp.7211647. PMID 17262040. S2CID 25835575.
- ^ Holleman-Duray, D; Kaupie, D; Weiss, M. G. (2007). "Heated humidified high-flow nasal cannula: Use and a neonatal early extubation protocol". Journal of Perinatology. 27 (12): 776–81. doi:10.1038/sj.jp.7211825. PMID 17855805.
- ^ Spentzas, Thomas; Minarik, Milan; Patters, Andrea B.; Vinson, Brett; Stidham, Greg (2009-10-01).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tress treated with high-flow nasal cannula". Journal of Intensive Care Medicine. 24 (5): 323–328. doi:10.1177/0885066609340622. ISSN 1525-1489. PMID 19703816. S2CID 25585432.
- ^ Roca, O.; Riera, J.; Torres, F.; Masclans, J. R. (2010). "High-flow oxygen therapy in acute respiratory failure". Respiratory Care. 55 (4): 408–413. PMID 20406507.
- ^ Waugh, J. B.; Granger, W. M. (2004). "An evaluation of 2 new devices for nasal high-flow gas therapy". Respiratory Care. 49 (8): 902–906. PMID 15271229.
- ^ McGinley, B. M.; Patil, S. P.; Kirkness, J. P.; Smith, P. L.; Schwartz, A. R.; Schneider, H. (2007). "A Nasal Cannula Can Be Used to Treat Obstructive Sleep Apnea".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76 (2): 194–200. doi:10.1164/rccm.200609-1336OC. PMC 1994212. PMID 17363769.
- ^ Rochwerg, B.; Granton, D.; Wang, D. X.; Helviz, Y.; Einav, S.; Frat, J. P.; Mekontso-Dessap, A.; Schreiber, A.; Azoulay, E.; Mercat, A.; Demoule, A.; Lemiale, V.; Pesenti, A.; Riviello, E. D.; Mauri, T.; Mancebo, J.; Brochard, L.; Burns, K. (19 March 2019). "High flow nasal cannula compared with conventional oxygen therapy for 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nsive Care Medicine. 45 (5): 563–572. doi:10.1007/s00134-019-05590-5. PMID 30888444. S2CID 83463457.
- ^ Frizzola, M; Miller, T. L.; Rodriguez, M. E.; Zhu, Y; Rojas, J; Hesek, A; Stump, A; Shaffer, T. H.; Dysart, K (2011). "High-Flow Nasal Cannula: Impact on Oxygenation and Ventilation in an Acute Lung Model". Pediatric Pulmonology. 46 (1): 67–74. doi:10.1002/ppul.21326. PMC 3332105. PMID 21171186..
- ^ Dysart, K; Miller, T. L.; Wolfson, M. R.; Shaffer, T. H. (2009). "Research in high flow therapy: Mechanisms of action". Respiratory Medicine. 103 (10): 1400–5. doi:10.1016/j.rmed.2009.04.007. PMID 19467849. (재검토).
- ^ Rea, H; McAuley, S; Jayaram, L; Garrett, J; Hockey, H; Storey, L; O'Donnell, G; Haru, L; Payton, M; O'Donnell, K (2010). "The clinical utility of long-term humidification therapy in chronic airway disease". Respiratory Medicine. 104 (4): 525–33. doi:10.1016/j.rmed.2009.12.016. PMID 20144858.
- ^ Solomita, M; Daroowalla, F; Leblanc, D. S.; Smaldone, G. C. (2009). "Y-piece temperature and humidification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Respiratory Care. 54 (4): 480–6. PMID 19327183.
- ^ Hasani, A; Chapman, T. H.; McCool, D; Smith, R. E.; Dilworth, J. P.; Agnew, J. E. (2008). "Domiciliary humidification improves lung mucociliary clearance in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Chronic Respiratory Disease. 5 (2): 81–6. doi:10.1177/1479972307087190. PMID 18539721. S2CID 206736621.
- ^ Waugh, J. B.; Granger, W. M. (2004). "An evaluation of two new devices for nasal high-flow gas therapy". Respiratory Care. 49 (8): 902–906. PMID 15271229.
- ^ Waugh, Jonathan. "Trends in Noninvasive Respiratory Support: Continuum of Care" (PDF). Clinical Foundations. Retrieved 201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