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력검사
Hearing test청력검사 | |
---|---|
ICD-10-PCS | F13Z |
ICD-9-CM | 95.41 |
메슈 | D006320 |
청력 검사는 사람의 청력 감도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며 청각학자가 청력계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청력계는 다른 주파수에서 사람의 청력 감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청력 테스트도 있다. 예를 들어, 베버 테스트와 린 테스트.
귀 검사
청력검사 자체에 앞서 의뢰인의 귀에는 보통 청력검사를 통해 왁스가 없는지, 고막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귀는 감염되지 않았는지, 중이에는 수분이 없는지(중귀 감염을 나타냄)를 확인한다. 유전적 장애, 노화 문제, 소음 공해, 감염, 선천성 합병증, 귀에 대한 외상, 특정 약물이나 독소 등에 의한 청력 손실에 걸리는 가장 흔한 이유.
퓨어톤 오디오메트리
표준 및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청력 시험은 순수 톤 청력 측정법으로, 250Hz ~ 8000Hz의 8가지 표준 주파수 집합에서 각 귀의 공기 및 뼈 전도 임계값을 측정한다. 시험은 한 쌍의 폼 인서트 또는 외부 청각계에 연결된 초경막 헤드폰을 사용하여 사운드 부스에서 실시한다. 시험 결과는 시험된 주파수에서 사람의 청력 감도를 나타내는 오디오그램 도표다. 오디오그램에서 "x" 플롯은 왼쪽 귀의 각 특정 주파수에서 들리는 가장 부드러운 임계값을 나타내며, "o" 플롯은 오른쪽 귀의 각 특정 주파수에서 들리는 가장 부드러운 임계값을 나타낸다. 또한 특수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8000Hz~16000Hz 이상의 주파수를 시험하는 고주파 버전도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현장 오디오 측정
스테레오 헤드폰과 스마트폰 또는 음향 재생 시스템이 장착된 태블릿의 가용성은 사람들이 도움 없이 청력 손실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새로운 청각 진단 방법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게는 청각 테스트 기능을 갖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보청기 조절을 위한 보청기가 내장된 보청기 어플리케이션도 있다.
전문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청력 테스트 과정에서 다른 주파수(audiogram)의 음색 신호 인식의 초기 청력 임계값을 파악한다.
청각 임계값은 기존의 오디오 측정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적용과 함께 125Hz ~ 8kHz의 표준 주파수 집합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음향 조건에서 개별적인 소리 및 수치들의 인식의 관련성을 시험하는 기능과 통합될 수 있다.
기술적으로 청력 시험 적용은 다음과 같은 블록으로 구성된다.
- 프로그램 모듈-필요한 주파수의 톤 신호 전달;
- 그래픽 인터페이스 옵션(톤 감지 임계값 초과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수정하기 위한)
- 시험 결과(텍스트 및 그래픽)의 해석자
- 이전 검사의 결과와 청력 연령 규범 매개변수의 데이터베이스
신청을 통해 얻은 청력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청력학자가 실시한 청력검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오류가 발생한다.
- 전문 교정 장비의 사용
- 청각 테스트가 실시되는 방의 방음.
- 스마트폰 및 태블릿,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음향 조절 시스템 매개 변수의 이질성
- 톤 신호의[1] 노이즈 마스킹 효과
전문 응용 프로그램이나 보청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는 청각 측정의 장점은 지원 없이 청각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과 가능성이다.[2]
진단 결과의 오류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응용이나 보청기 응용을 통한 청력 테스트의 확실한 장점에는 보조 없이 청력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청력 테스트의 가용성이 포함된다.[2]
과학자들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청력 테스트가 청각 병리학 식별과 청력 선별 테스트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3][4]
베버와 린느
완전한 청력 평가에는 몇 가지 다른 검사도 포함된다.[5] 어떤 종류의 청력 손상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골격 전도 청력 검사를 실시한다. 이 테스트에서 진동 튜닝 포크는 귀 뒤, 마스토이드 공정 위에 배치된다. 환자가 진동을 더 이상 느끼거나 들을 수 없을 때 튜닝 포크는 귀 앞에 고정된다. 환자는 다시 한번 울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한다. 만약 그들이 할 수 없다면, 그 귀에는 전도성 청력 손실이 있다. 또한 튜닝 포크가 이마 위에 놓여 있다. 그런 다음 환자에게 소리가 머리 중앙에서 국소적으로 들리는지 또는 양쪽 귀에서 소리가 더 큰지 여부를 묻는다. 전도성 청력 손실이 있는 경우, 대상 귀에서 더 크게 들릴 수 있으며, 감지 청각 손실이 있는 경우 대상 귀에서 더 조용해질 수 있다. 이 검사는 청각학자가 청력 손실이 전도성(외측 또는 중이의 문제로 야기됨)인지, 청각 신경 또는 청각 경로/피질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노이즈에서 청력
HINT(Hearing in Noise Test)는 조용하고 소음이 있을 때 사람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6] 시험에서 환자는 조용한 환경에서 그리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경쟁하는 소음으로 문장을 반복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1) 경쟁 소음이 없는 문장, (2) 경쟁 소음이 환자 바로 앞에 나타나는 문장, (3) 환자의 오른쪽 90°에서 나타나는 소음, (4) 환자의 왼쪽 90°에서 나타나는 소음의 네 가지 조건이 있다. 이 테스트는 환자가 시간의 50%를 정확하게 반복할 수 있도록 소음보다 문장을 얼마나 크게 재생해야 하는지에 해당하는 다양한 조건에 대한 신호 대 소음 비율을 측정한다.
Words-in-Noise 테스트
WIN(Words-in-Noise Test)은 7가지 신호에서 마스킹 노이즈(masking) 노이즈(masking) 노이즈(spectrum noise) 노이즈에 대한 노이즈 비율에 제시된 단음절단어를 사용한다.[7] WIN 시험은 시끄러운 배경에서 말하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것이다. 순수 톤의 오디오그램과 달리 WIN 테스트는 발생하기 쉬운 상황에서 사람의 청력에 대한 보다 기능적인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수정운 검정
MRT(Modified Rhyme Test)는 미국 국립 표준 ANSI S3.2 통신 시스템 음성 인식 측정 방법에 정의되어 있다.[8] 이 방법은 초기 또는 최종 자음이 다른 6개의 단음절 단음절 단음절 단음절 단음절 단음절 단음절 단음절(예: tot, got, hot, lot 또는 ray, raze, rate, ray, ray, ray, ray, ray, ray, ray, ray, ray, ray, ray, ray, ray 청취자는 일반적으로 "당신이 __라는 단어를 표시하게 될 것이다"라는 구절 앞에 있는 쿠펠릿의 단어 중 하나를 제시받는다. 운율이 맞는 여섯 단어를 듣는 사람에게 제시하여 정답이라고 믿는 것을 선택한다. MRT는 종종 소음 간섭 요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미 공군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어떤 조건이 80%의 정답 또는 그 이상의 점수를 얻는 경우, 그것은 종종 허용 가능한 성능 수준이 된다.
기타
- 청각학자나 청각기기 전문가도 음성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는 자신이 들은 말을 반복한다.
- 또, 일반적으로 고음부라고 하는 테스트가 행해진다. 이 시험에서 작은 탐침은 귀에 꽂고 귀관의 기압은 다양하다. 이 테스트는 청각학자에게 중이의 고막과 다른 구조들이 얼마나 잘 작용하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귀관 부피는 고막에 천공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중이압은 중이공간에 유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글루귀" 또는 "유출이 있는 오티즘 매체"라고도 한다). 적합성 측정은 고막과 오실(귀뼈 3개)이 얼마나 잘 움직이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 청각학자가 수행할 수 있는 마지막 테스트는 음향 반사 테스트다. 이 테스트에서 프로브를 귀에 꽂고 70dBSPL 이상의 큰 톤이 생성된다. 이 테스트는 고막에서 90dBSPL이 될 수 있는 사람 자신의 언어와 같이 큰 소음으로부터 귀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스테피우스 근육의 반사적 수축을 측정한다. 이 테스트는 전정신경과 안면신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병변이 존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참조
- ^ Kiessling, Jürgen; Leifholz, Melanie; Unkel, Steffen; Pons-Kühnemann, Jörn; Jespersen, Charlotte Thunberg; Pedersen, Jenny Nesgaard (2015). "A comparison of conventional and in-situ audiometry on participants with varying levels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26 (1): 68–79. doi:10.3766/jaaa.26.1.8. ISSN 2157-3107. PMID 25597462.
- ^ a b "In-situ Thresholds for Hearing Aid Fittings". Hearing Review. Retrieved 2019-05-26.
- ^ van Tonder, Jessica; Swanepoel, De Wet; Mahomed-Asmail, Faheema; Myburgh, Hermanus; Eikelboom, Robert H. (2017). "Automated Smartphone Threshold Audiometry: Validity and Time Efficienc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28 (3): 200–208. doi:10.3766/jaaa.16002. hdl:2263/60435. ISSN 2157-3107. PMID 28277211.
- ^ Bright, Tess; Pallawela, Danuk (2016-12-23). "Validated Smartphone-Based Apps for Ear and Hearing Assessments: A Review". JMIR Rehabilitation and Assistive Technologies. 3 (2): e13. doi:10.2196/rehab.6074. ISSN 2369-2529. PMC 5454564. PMID 28582261.
- ^ Yueh, B; Shapiro N; MacLean CH; Shekelle PG (April 2003). "Screening and management of adult hearing loss in primary care: scientif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 (15): 1976–1985. doi:10.1001/jama.289.15.1976. PMID 12697801.
- ^ Nilsson, M.; Soli, S. D.; Sullivan, J. A. (1994). "Development of the Hearing in Noise Test for the measurement of speech reception thresholds in quiet and in nois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5 (2): 1085–1099. Bibcode:1994ASAJ...95.1085N. doi:10.1121/1.408469. PMID 8132902.
- ^ Wilson, Richard H.; Carnell, Crystal S.; Cleghorn, Amber L. (2007). "The Words-in-Noise (WIN) Test with Multitalker Babble and Speech Spectrum Noise Maskers" (PDF). J Am Acad Audiol. 18 (6): 522–529. doi:10.3766/jaaa.18.6.7. PMID 17849640.
- ^ "ANSI/ASA S3.2-2009 (R2014) Method For Measuring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Over Communication Systems".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014.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외부 링크
- 온라인 청력 테스트(Audiogram-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