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코비치 대 이탈리아 사건
Francovich v Italy프랑코비치 대 이탈리아 사건 | |
---|---|
1990년 1월 8일 제출 1991년 11월 19일 결정 | |
전체 케이스 이름 | 안드레아 프랑코비치, 다닐라 보니파시 등 이탈리아 공화국과 대결. |
케이스 넘버 | C-6/90 |
ECLI | ECLI:EU:C:1991:428 |
사례 유형 | 예비판결참조 |
챔버 | 풀 코트 |
당사자 국적 | 이탈리아 |
절차이력 | Pretura di Bassano del Grappa, Sezione lavoro, ordinanza del 30 December 1989, Pretura di Bassano del Grappa, Sezione lavoro, sentenza del 9 July 1992 3 August 1992 (273/92), Pretura circondariale di Bassano del Grappa, sentenza del 9 December 1993 (162/93), Pretura circondariale di Bassano del Grappa, ordinanza del 21 March 1995 (839 RG 162/93), P레투라 디 비첸차, 세지온느 라베로, 오디난자 델 1989년 7월 9일 (1186/89), 프레투라 서콘돌리 디 비첸차, 세지온 라베로, 오디난자 델 1993년 12월 16일 (206/93년 (1186/89) |
지배하는 | |
1. 1980년 10월 20일 Council Directive 80/987/EEC의 종업원의 권리를 결정하는 고용주의 부실이 발생했을 때 종업원의 보호와 관련된 회원국의 법률 근사치에 관한 규정은 관련 당사자가 그 권리를 강제할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규정된 기간 내에 시행방안이 채택되지 아니한 국가법원에 대하여 진술 2. 회원국은 지침 80/987/EEC를 변경하지 않음으로써 개인에게 좋은 손실과 손해를 입힐 것을 요구한다. | |
궁정구성 | |
판사-보고관 길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이글레시아스 | |
어드바이저 제너럴 장 미초 |
프랑코비치 대 이탈리아 (1991) C-6/90은 유럽 연합 회원국이 회원국이 EU 지침을 국가 법률로 전환하지 않아 손실을 입은 개인에게 배상금을 지불할 책임이 있다는 유럽 사법 재판소의 결정이었다. 이 원리는 때때로 유럽연합법에서 국가책임의 원칙 또는 "프랑코비치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1]
사실들
유럽 연합 회원국들은 80/987(현재의 2008/94/EC)에 따라 고용주가 파산할 경우 임금을 체불한 근로자에 대해 최소한의 보험금을 지급하도록 자국 법률에 규정을 제정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CDN 엘레트로니카 SnC에서 비첸자에서 일했던 프랑코비치 씨는 600만 리라, 보니파시 부인과 33명의 동료들은 회사인 가이아 콘페지오니 스렐이 파산한 후 함께 2억5300만 리라 빚을 졌다. 이 지시는 1983년까지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5년 후 회사 청산인들이 돈이 남아있지 않다고 그들에게 알렸기 때문에, 그들은 아무런 급여도 받지 못했다. 그들은 이탈리아 정부가 이 명령을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의 손실을 대신 보상하기 위해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탈리아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판단
유럽사법재판소는 이탈리아 정부가 의무를 위반했으며, 그 위반으로 인한 노동자들의 손실을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법원은 또한 그러한 위반에 대한 손해는 전국 법원보다 먼저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지시를 이행하지 못한 것에 근거하여 국가 책임을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청구인들은 그 지침이 그들에게 특정한 권리를 부여하고, 그 문구에 식별할 수 있으며, 국가의 명령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시를 이행하지 않아 [2]입은 손실
31 EEC 조약은 회원국의 법 제도에 통합되어 있고 그들의 법정이 적용될 수밖에 없는 자체적인 법 체계를 만들었음을 처음부터 명심해야 한다. 그 법체계의 주체는 회원국뿐만 아니라 그들의 국민이다. 그것이 개인에게 부담을 지우는 것처럼, 공동체 법은 또한 그들의 법적 유산의 일부가 되는 권리를 발생시키려는 의도도 있다. 그러한 권리는 조약에 의해 명시적으로 부여된 경우뿐만 아니라 조약에서 개인과 회원국 및 지역사회 기관 모두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된 방식으로 부과하는 의무에 의해서도 발생한다(사례 26/62 Van Gend en Loose [1963] ECR 1과 사례 6/64 Costa V ENEL [1964] ECR 585의 판결 참조).
32 또한, 관할 구역에 지역사회법의 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임무인 국가 법원은 그러한 규칙이 완전히 효력을 발휘하도록 보장해야 하며, 개인에게 부여하는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특히 사례 106/77 Amministrazione delle Financialze d 참조).Elo Stato v Simenthal [1978] ECR 629, 16항 및 Case C-213/89 Factortame[1990] ECR I-2433, 19항).
33 회원국이 책임을 질 수 있는 지역사회법 위반으로 인해 개인들이 권리를 침해당했을 때 보상을 받을 수 없다면 공동체 규칙의 완전한 효력이 손상되고 그들이 부여하는 권리의 보호가 약화될 것이다.
34 이 경우처럼 공동체 규칙의 완전한 효력이 국가의 일부에 대한 사전 조치의 대상이 되고 결과적으로 그러한 조치가 없는 경우, 개인은 국가 법원 앞에서 그들에게 부여된 권리를 집행할 수 없는 경우, 회원국의 배상금을 받을 가능성은 특히 필수적이다. 공동체의 법률에 의해
35 국가가 책임을 질 수 있는 공동체 법률의 위반으로 인해 개인에게 초래된 손실과 손상에 대해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원칙은 조약의 시스템에 내재되어 있다.
참고 항목
메모들
- ^ 영국 법률, 유럽연합(EU)법 2018, 부칙 1은 2018년 7월 8일에 접속했다.
- ^ 프랑코비치와 보니파시 대 이탈리아 공화국 (C-6, 9/90) [1991] I-5357, para.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