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로히친
Drohiczyn드로히친 | |
---|---|
좌표: 52°23′50″N 22°39′33″e / 52.39722°N 22.65917°E좌표: 52°23′50″N 22°39′33″E / 52.39722°N 22.65917°E | |
나라 | 폴란드 |
무성음속 | 포들라스키 |
카운티 | 시미아티체 |
지미나 | 드로히친 |
면적 | |
• 합계 | 15.68km2(6.05sq mi) |
인구 (2006) | |
• 합계 | 2,086 |
• 밀도 | 130/km2 (190/sq mi) |
우편번호 | 17-312 |
웹사이트 | https://www.drohiczyn.pl |
드로히친 ([drɔxʲitit͡ʂnn]) (리투아니아어: 드로히치나스/벨로루시아인 드로기치나스: д바스라 гчччччч, 우크라이나인: д바스라 оч,,,, орч,,,,,::, 라틴어: 드로히신)은 폴란드 포들라스키 보이보데슈프 시미아티체 현의 마을이다. 그 마을은 2,110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버그 강둑에 위치해 있다. 드로히친은 과거 포들라치아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던 것처럼 길고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재 로마 가톨릭 드로히친 교구 소재지다.
역사
신석기 시대 정착지, 라테네 문화 화장터, 그리고 고대의 무덤들이 지금 드로히친에서 발견되었다. 포들라시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 중 하나로 여겨지는 드로히친은 고대에 울창한 숲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중세
중세 초에는 이 마을의 영토에 요트빙족 전쟁 부족이 거주하였다. 누가 드로히친 고르드를 설립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1061년 러스 연대기에서 언급된 요트빙족의 방어적 정착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1142년 키예프 대공 브세볼로드 2세는 자신의 영역을 가족으로 나누어 동생 이고르에게 드로히친(도로히친 역)과 브레스트를 허락하였다. 12세기 후반에 드로히친은 폴란드 통치하에 있었다. 1237년 3월 8일 마소비아의 콘라드 1세 공작은 드로히친을 벅과 나레우 사이의 지역과 함께 도브르지뉴 훈장에 넘겼다.
1241년 리투아니아 대공 민두가스는 몽골의 폴란드 침공 이후 일어난 혼란을 틈타 드로히친, 비엘스크 포들라스키, 미엘니크, 브라흐스크, 수라이와 함께 포들라시를 포들라시에 포들라시를 사로잡아 리투아니아의 그랜드 두치(Grand Duchy)에 편입시켰다. 러스 두케스는 이 지역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고, 몇 년 후에 드로히친을 되찾았다. 1251년 드로히친에 모인 러스군이 요트빙족을 침공했다. 승전후 갈리시아의 대니얼 공작의 지위가 크게 높아져 루테니아 왕위에 올랐다. 이것은 1253년 드로히친에서 일어났다.
1274년 다시 드로히친이 리투아니아인들에게 붙잡혔고, 도 전체를 거느린 마을은 1380년대와 1430년대에 드로히친이 마소비아 야누스 공작의 지배를 받았던 것을 제외하고는 루블린 연합(1569년)까지 리투아니아에 남아 있었다.
드로히친은 트라카이, 빌니우스, 나바흐루닥과 함께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이다. 15세기에는 마을 인구의 대부분이 폴란드인, 유대인, 리투아니아인 소수민족과 함께 루테니아인 유산이었다. 1498년 마그데부르크의 권리를 인정받으면서 공식적으로 그 지위를 인정받았다.
초기 근대
지기스문트 1세 시대에 드로히친은 1513년에 설립된 포들라시에 보보데슈프의 수도이자 행정 구역으로 명명되었다. 현지 세미크리가 이곳에서 열렸다. 그 때, 그 마을은 황금기를 경험했다. 1569년 루블린 연합과 함께 드로히친은 폴란드 왕국에 합병되었다. 그 마을은 1624년에 전염병이 발생하여 인구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번창했다. 게다가, 1630년대에 두 건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그 화재에서 여러 채의 집이 불에 탔다. 1630년대 중반부터 드로히친의 인구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더 딜루지
딜루지 (1655–1660)는 광범위한 파괴와 고통을 가져왔고, 그 후 드로히친은 이전의 위대함을 회복하지 못했다. 1655년 8월 마그누스 가브리엘 드 라 가디가 이끄는 스웨덴 군인들이 마을에 나타났다. 그들은 즉시 드로히친을 약탈하여 주민들에게 막대한 기부금을 내라고 명령했다. 1655년 말 폴란드와 연합한 크림 타타르족의 부대가 드로히친 지역에 나타나 이곳에서 겨울을 날며 모든 농장과 마을을 약탈했다.
1657년 5월 3일, 스웨덴인, 코삭스인, 왈라키아인 등으로도 구성된 조지 2세의 트란실바니아군이 드로히친을 포로로 잡았다. 주민 대부분이 잔혹하게 살해되었고, 교구 교회와 성이 함께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생존자들은 근처의 숲으로 도망쳤고, 그 마을은 사실상 사라졌다.
북방 대전
드로히친은 서서히 파괴로부터 회복되었으나, 1699년 다시 불타버렸는데, 이번에는 리투아니아로 가던 작센 병사에 의해 다시 불타버렸다. 북방 대전 동안 이 마을은 굶주림이 만연했고 스웨덴, 작센, 러시아, 폴란드, 리투아니아의 행진하는 군대는 드로히친을 약탈했다.
19세기
폴란드의 제3차 분할에 이어 1795년 새로운 국경이 버그 강을 따라 가면서 드로히친은 합스부르크 제국과 프로이센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1805년 5월 27일 마을 회관에 보관되어 있던 모든 기록물이 영원히 소실되는 큰 화재로 마을이 불탔다. 1807년 바르샤바의 두치족이 만들어졌고 드로히친은 다시 한 번 두치 제국과 러시아 제국으로 분단되었다. 1808년 러시아 당국은 그로드노 주(Grodno Governorate)의 일부인 드로히친 현(Drohiczyn County)을 만들었다. 1861년 드로히친 양 지역의 인구는 1700명으로 폴란드 지역에 1400명이 거주했으며, 루테니아 지역에 300명이 거주했다. 1월 항쟁에는 마을 주민과 주변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인터벨럼
192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이 마을에는 1.972명이 거주했으며, 이 중 950명이 로마 가톨릭, 207명, 복음주의, 814명이었다. 동시에 폴란드 국적을 선포한 주민은 1.165명, 벨라루시인 114명, 유대인 687명, 기타 6명이다. 마을에는 289개의 주거용 건물이 있었다.[1] 폴란드 제2공화국에서 드로히친은 비알리스톡 보이보데스에 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 마을은 폴란드 침공 당시 잠시 베흐마흐트에 점령당했고, 1939년 9월 27일 소련이 점령했다. 1941년 6월까지 드로히친은 국경 도시였다. 소련 정권은 즉시 마을 주민들을 시베리아로 추방하기 시작했다. NKVD에 의해 선발된 사람들은 가방을 들고 20킬로미터 떨어진 시에미아티제 기차역까지 행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곳에서 그들은 화물차에 실려 시베리아로 끌려갔고, 그곳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1940년 봄, 소련의 사령관은 버그가 소련과 제3제국의 경계를 표시했기 때문에 보안상의 이유로 강에서 800미터 이내에 위치한 모든 가옥을 다른 곳으로 옮기라고 명령했다. 이 명령은 대부분의 집들과 다른 건물들이 강가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드로히친의 대부분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 결과 당시 2개의 교회와 17세기 저택 등 여러 개의 역사적 건축물이 파괴되었다. 소련은 국경 순찰에 필요한 집과 장교 가족만 살려주었다. 게다가 소련 거주자들은 마구간으로 변한 지역 교회와 건축자재의 창고 역할을 했던 베네딕타인 사원을 황폐화시켰다. 금과 보석을 찾기 위해 소련 군인들은 묘지의 무덤을 파괴했다. 러시아어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는 지역 학교에서 가르쳤다; 몇몇 교사들은 해고되고 체포되었다.
1939년 11월 부정선거 이후 드로히친은 소련 벨라루스로 병합되었고, 구소련 여권은 지역 주민들에게 넘겨졌다. 이로 인해 10대들이 홍군으로 대거 징집되었고, 14세, 15세의 많은 사람들이 옴스크에 있는 중공업 공장으로 보내졌다. 그들 대부분은 집으로 돌아오지 않았다. 드로히친은 소련군의 중경계 순찰을 경계로 하는 유령도시로 변했다. 소련 통치 몇 달 후 거의 모든 식료품이 부족했고, 현지 주민들은 목숨을 걸고 독일에서 밀반입해야 했다.
1941년 6월 22일 독일군의 공격은 마을 주민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소련 당국도 놀랐지만, 퇴각하기 전에 수도원 지하실에 보관되어 있던 여러 명의 남자들을 간신히 살해할 수 있었다. 포격으로 많은 건물이 파괴되었고, 고대 프란치스코 교회가 피해를 입었다. 드로히친은 재빨리 붙잡혔고, 독일 점령 기간 동안 이 마을은 내무군과 다른 당파 조직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1942년 가을에 현지 유대인들은 시미아티크제의 철도역으로 이송되었고, 그 후 트레블링카 말살 캠프로 이송되었다. 1944년까지 드로히친은 국경도시로 남아 있었다. 드로히친은 베지르크 비알리스토크 전체와 함께 동프로이센에 속했고, 총정부는 버그 반대편에 위치해 있었다. 독일 당국은 지역 폴란드인들이 국경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교회도 재개장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붉은 군대는 1944년 8월 1일 저항 없이 드로히친에 입성했다. 소련 당국은 1939-1941년의 테러 사건을 기억하면서 드로히친이 소련 벨라루스에 다시 붙을 것을 우려해 불안에 떨게 되었다. 폴란드 행정부는 학교 시스템과 함께 만들어졌다. NKVD는 내무군 병사 몇 명을 체포하여 시베리아로 보냈다. 1946년 가을, 자유와 독립의 지역 네트워크는 파괴되었고, 그 지도자들은 사형을 선고받았다. 1950년대 드로히친이 친카톨릭 반공 반작용의 온상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당국은 도시와 그 개발을 소홀히 했다.
최근 기간
1991년, 이 마을은 새롭게 탄생한 비아위스토크 로마 가톨릭 대교구의 일부로 드로히친(Drohiczyn) 교구의 소재지가 되었다.
교회
1392년 브와디스와프 2세는 드로히친에 목조 로마 가톨릭 교회를 세웠다. 교회는 1555년에 벽돌로 교체되었다. 1657년 스웨덴인에 의해 불타 1709년 재건되었다.
참조
- ^ Skorowidz miejscowości Rzeczypospolitej Polskiej: opracowany na podstawie wyników pierwszego powszechnego spisu ludności z dn. 30 września 1921 r. i innych źródeł urzędowych., t. T. 5, województwo białostockie, 1924, s. 19.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드로히친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