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데얀 (데스포트)

Dejan (despot)
데얀
세르비아 제국의 세바스토크폭군.
Деспот Дејан и његова супруга, из манастира Белово код Земена.jpg
데얀과 그의 아내, 제멘 수도원에서 온 프레스코.
세르비아 제국 거물
군림하다
  • 세바스토크레이터 (1346–55평)
  • 폭군 (1355–58 이상)
기타 직함
  • Vojvoda(코바사), 일반
  • sevastokrator (севастократор), second-highest court title at that time
  • 당시 최고 법원 직함인 전제군주( (п軍主)
  • (iii) logotet(로고벳), 주정부 장관
태어난세르비아 왕국
죽은1366년에서 1371년 사이
세르비아 제국
귀족 가문데야노비치
배우자테오도라 네만지치
이슈

데얀(세르비안 키릴어: ееаа;[a] fl. 1346–ca. 1366)은 세르비아 황제 스테판 두샨(r. 1331–55)을 세바스토크레이터로, 우로시 5세(r. 1355–71)를 폭군으로 섬긴 거물이었다. 두샨 황제의 누이 테오도라와 결혼하여 스코프스카 크르나 고라 동쪽 쿠마노보 지역에 큰 지방을 소유하고 있었다. 초기에는 에글리고보·프레셰보(스레도렉·코자치자·피친자의 큰 부분을 가진 현대 쿠마노보 지역)의 옛 뤼페(카운티)를 포함했다. 우로시 5세는 이후 데얀에게 벨부아르드(큐스텐딜)와 함께 어퍼 스트루마 강을 주었다. 데얀은 그 중에서도 제멘 수도원을 건설하고, 그의 지방 곳곳에 교회 건물 몇 채를 재건했다.

데얀은 두샨의 통치 기간과 두샨의 죽음 이후 세르비아 제국이 멸망하는 동안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데얀은 데야노비치 귀족 가문의 창시자로, 전제군 요반고스포딘 콘스탄틴이라는 두 아들 역시 세르비아 제국의 몰락과 그에 따른 오스만 시대에 세력이 강해졌다.

인생

기원

데얀은 스테판 두샨 왕의 누이 테오도라와 결혼하여 1346년 스테판 두샨이 황제로 즉위하자 세바스토크레이터라는 칭호를 받았다. 데얀의 기원은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1] 이전의 학자들은 데얀이 마케도니아의 또 다른 거물인 조반 올리버의 친척이라고 믿었지만, 이것은 더 이상 받아들여지지 않는다.[2] K. J. 지레체크는 스테판 두샨이 공식적으로 스톤과 프레블라카를 라구사 공화국에 팔았던 1333년 헌장에서만 언급된 [1]보즈보다 데얀 만작(Vojvoda Dejan Manjak)이라고 제안했다.[1][3]

스테판 두샨의 통치

1346년 4월 16일 부활절, 스테판 두샨은 스코프제에서 세르비아 대주교 조아니키제 2세, 오흐리드 니콜라지 1세 대주교, 불가리아 총대주교 시메온과 아토스 산의 다양한 종교 지도자들이 참석한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세르비아계 대주교는 총대주교의 지위로 격상되었다. 신임 총대주교 조아니키제 2세는 이제 두샨을 엄숙하게 "세르브스로마인황제독재자"로 추대했다. 두샨은 아들 우로시 5세를 왕위에 앉혀 세르비아 땅에 대한 명목상의 통치를 하게 하였고, 두샨이 주 전체를 다스리기는 했지만, 남쪽의 "로마인" 즉 그리스 땅에 대한 특별한 책임을 지고 있었다. 세르비아 궁정의 비잔틴화, 특히 궁중 의식과 직함에서 더욱 증가하였다.[4] 두샨은 새로운 지위에서 전제군, 세바스토크레이터, 치사르와 같은 황제만이 부여할 수 있는 직함을 부여할 수 있었다.[4][5][6] 세르비아의 거물 중에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있었다.[7]

  • 두샨의 이복동생이자 에피루스와 아카나니아의 공작인 데스토 시메온 우로시
  • 독재자 요반 아센 두샨의 처남 알바니아 남부 주지사
  • 폭군 조반 올리버, 두샨의 측근, 보즈보다, 오브체 폴의 주지사, 그리고 바르다르를 떠났다.
  • 두샨의 처남인 세바스토크레이터 데얀, 프친자 총독
  • 두샨의 친척이자 오흐리드 총독인 세바스토크레이터 브란코
  • 두샨의 사위, 보즈보다, 테살리 주지사 챠사르 원장.
  • 두샨의 친척이자 드라마 주지사인 체사르 보지나
  • 두샨의 친척인 치사르 그르구르(브랑코의 아들), 보즈보다(vojvoda)와 폴로그 총독

세르비아 총대주교의 인상은 주교들이 메트로폴리탄인이 되는 결과를 낳았다.[4] 세르비아의 통치자는 광범위한 독재 권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영구적인 거물 회의(벨리카시 또는 벨모시)와 수도원장들에게 둘러싸여 조언을 받았다. 궁정, 운율, 행정은 콘스탄티노플의 그것들의 대략적인 복제품이었다.[4]

세르비아 제국의 지도 (1355년) 데얀은 스코프제 동쪽에서 동쪽으로 시작하여 벨부드 쪽으로 대략 한 지역을 통치했다.

1354년 데얀이 기부금인 하나님의 성모 아힐제비카 교회를 건축하는 것을 마치자, 자신이 다스리는 마을들 중 일부를 교회에 (메토치온으로) 허가해 달라고 부탁했다.[8] 스테판 두샨이 1354년 8월 10일 아르힐제비카에 헌장을 내건 것에 따르면,[8] 그가 동생이라고 부른 세바스토크레이터 데얀("браатирааа""""""""""""""")[9]은 스코프스카 크르나 고라 동쪽의 큰 지방을 소유하고 있었다. 에글리고보와 프레셰보(스레도렉, 코자치자, 프친자의 큰 부분을 가진 현대 쿠마노보 지역)의 옛 츄페(카운티)가 포함되었다.[10] The granted villages included: village Podlešane with hamlets, village Arhiljevica at the church with hamlets, village Izvor, village Ruginci (Ruǵince), selište (arable land) Mokra Poljana (Mokro Polje), village Maistorije, selište Maistorije Krupnici, selište Prusci (Rusce), selište Vrdun, selište Prvevo, selište Deikovo (Dejlovce), selište Vrače (브라체베체), 셀리슈테 세들라, 셀리슈테 메크샤, 마을 글라이제(글라첸자)이다. 총 9개의 마을, 9개의 셀리슈테, 그리고 몇 개의 햄릿이 있다.[8] 이 헌장에 근거하여 아르힐제비카는 포들셰네, 이즈보르, 루치치니의 부여된 마을들이 있는 곳에 제저(쿠마노프스카 크르나 고라)의 비탈에 자리잡고 있었다.[11] 데얀이 그것을 개조하기보다는 아르힐제비카를 지었다는 것은 그의 경제력을 보여주는 증거다.[12] 데얀이 부여한 마을 외에도 두샨은 그를 대신해 고스포지노 폴제(잃어버린[8] 마을), 코즈니카 크리차노프스카(고르나와 돌나 코즈니차), 벨부드 지역에 위치한 스트로즈코보(잃어버린[8] 마을)의 교회와 마을도 선물로 주었다.[8][12]

데얀은 두샨의 치세에 이어 세르비아 제국이 멸망하는 동안 두샨의 사후에도 두샨의 저명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12][13] 두샨 황제 휘하에서 형 보그단, 세바스토크레이터 데얀과 함께 폭군 조반 올리버가 마케도니아 동부 전역을 다스렸다.[14] 데얀은 두샨의 군사적인 노력에서 별로 언급되지 않지만, 그의 명성과 후계자들의 명성은 그가 두샨의 대부분의 성공에 관여했다는 것을 암시한다.[13] 세르비아를 넘어 그의 두각을 나타낸 것은 교황 인노첸시오 6세가 1355년 데얀에게 가톨릭교회와 세르비아 정교회 간의 연합 창설을 지지해 달라고 연설한 것(이러한 서한은 최고 귀족과 교회로 보내졌다)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13][15]

우로시 5세

1360년 세르비아 제국의 지도 지방 통치자들의 영토

데얀은 1355년 12월 20일 사망한 두샨 황제로부터 또는 후계자인 우로시 5세로부터 1355년 8월 이후에 폭군의 칭호를 받았다.[16][12][13] 우로시 5세의 통치 기간 동안 데얀은 남부 모라바, 프친자, 스코프스카 크르나 고라(그의 세습지) 사이의 영토 관리를 위임받았고, 동쪽에서는 두샨의 생전에 그가 소유했던 것보다 현저하게 큰 성 벨부르트(키우스텐딜)[13][17][18]와 함께 어퍼스트 스트루마 강을 관리하였다. 이 지방은 발칸반도의 바로 중심부에 위치했으며,[11] 아드리아 해와 발칸반도의 내부를 연결하는 무역로인 중요한 비아젠타가 그곳을 넘었다. 유일한 폭군으로서 데얀은 제국 최고 타이틀(이전에는 벨리키 보즈보다, 조반 올리버)을 보유하고 있었다.[19] 데얀의 딸 테오도라는 1356년 로어 제타의 영주 쟈르코와 결혼했다.[20]

세르비아 역사학자 M. Blagojevich는 역사학에서 데얀도 남부 달마티아에서 보지슬라프 보지노비치(Vojislav Vojinovichi)와 전쟁을 벌였던 라구사 공화국과의 평화회담에서 시저 그르구르와 함께 우로시 황제의 사절로 언급된 로게트(flogotet, 1362–1365)를 수행했다는 견해를 지지했다.[21] 평화는 1362년 8월 22일 오노고슈트(니크시치)에서 종결되었으며, 황제 헌장은 라구산족에 관한 "구법"과 기타 법률을 확정했다.[21][22][23] 데얀과 그르구르는 각각 100두캣을 받았다.[23]

1363년 12월 보지슬라프가 사망할 때까지 그리스 땅에 있는 세르비아 귀족들은 옛 세르비아 땅의 귀족들과 관련하여 더 많은 직함과 더 큰 독립성(그들의 더 넓은 소유로부터 파생됨, 따라서 부를 얻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더욱 야심을 보였다.[24] 보지슬라프가 살아 있는 동안, 그의 영향력은 옛 세르비아 귀족들의 우월성을 확보했다.[24] 보지슬라브 사후 프릴프의 츄판(카운트, 츄파, '카운티' 또는 '지구'의 소유자)으로 두샨 황제를 섬겼던 부카신 므른자브체비치는 순식간에 우로시 5세 황제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옛 세르비아 땅의 귀족들은 처음에는 이 일에 놀라지 않았지만, 부카신의 야망과 그에 따른 그의 권력 행보는 두 집단 사이의 끓어오르는 적대감을 깨웠다.[24] 그의 성공을 이끈 것은 부카신의 끝없는 야망 때문만은 아니었는데, 그는 그의 덕을 본 다른 귀족들의 많은 지지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24]

데얀의 기부물 중 하나인 제멘 수도원.

데얀이 언제 죽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세르비아인이나 외국 소식통들은 그가 언제 죽었는지 역사가들에게 단서를 줄 수 있는 정보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25] S. 맨디치는 빠르면 1358년이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고, 그때까지 벨리키 보이보다였던 부카신이 데얀의 자리를 전제군으로 차지했고, 결국 조반 우글제샤는 벨리키 보이보다가 되었다고 말했다.[26] V. 조로비치는 보지슬라프(1363년)의 죽음 이후 어느 때였을 것으로 믿었다.[20] M. 라지치치는 조반 올리버가 적어도 1366년까지 자신의 땅을 지켰다고 믿었기 [11]때문에 1366년에서 1371년 사이라고 결론내렸고, 이를 바탕으로 피치냐 포메닉(추모서)은 데얀이 조반 올리버의 뒤를 이어 죽었다고 말했다(S. 맨디치가 반박한다).[27] S. 맨디치 역시 데얀이 아직 자녀들이 어리기 때문에 죽기 전에 수도승 서약을 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믿었다.[27] 그의 아내 테오도라는 에브도키자로 수도 서약을 받고 스트루미카와 벨부아드에서 살았으며, 조반 올리버의 아내 아나-마리자, 폭군 토마 수도원장 주보비치의 아내 마리자, 우글제시스의 아내 제피미자 등처럼 자신의 별명이 있을 때까지 살았다.[28]

데얀은 제멘 수도원, 잃어버린 아르힐제비카 교회[29]자신의 지방 곳곳에 여러 교회와 수도원을 짓고 재건했다. 그의 두 아들 요반콘스탄틴은 후에 그의 영토의 통치자가 되었다.

여파

데얀이 죽은 후, 에글리고보와 어퍼 스트루마의 ofupe를 제외한 그의 지방은 귀족 블라트코 파스카치치치에게 전용되었는데, 그의 세습지는 바로 남쪽의 슬라비슈테였다.[24] 1365년까지 이렇다 할 언급이 없는 부카신 Mrnjavchevich보지슬라프 보지노비치,[24] 데얀, 전제군인 조반 올리버(마케도니아에서 지위가 매우 높았던)의 죽음 이후 이들 남성들의 생전에 부카신 상승은 거의 없을 것이기 때문에 더욱 강력해졌다(마케도니아에서 가장 강력한 귀족이 되었다.[20] 부카신의 동생 조반 우글제샤도 이 기회를 이용해 세르(세레스)의 주(도)에 접해 있는 지방을 차지했기 때문에 데얀 지방의 분할에 참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24] 아무도 나중에 매우 중요하게 될 데얀의 어린 아들들을 바라보지 않았다.[24] 데얀의 죽음은 부카신, 조반 우글제샤에게 혜택을 주었는데, 영토확장에서는 그다지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데얀의 실종은 Mrnjavchevich 가문에 대항할 어떤 강력한 후보라도 종식시켰기 때문이다.[24]

이전의 아버지처럼 데얀의 장남 조반은 우로시 황제로부터 폭군 칭호를 받았다.[30] 그와 그의 형은 나중에 조반 올리버의 땅의 대부분을 받았다.[2] 조반 올리버의 아들들이 왜 그의 땅을 상속받지 않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세르비아의 역사학자 V. 조로비치는 이것이 어느 정도까지 발전했고 그 결과가 무엇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혼란과 무질서에 기인했다.[20] 이전의 학자들은 데야노비치가 조반 올리버의 친척이라고 믿었지만, 이것은 더 이상 받아들여지지 않는다.[2] 데야노비치 형제는 마케도니아 동부,[30] 제국의 남쪽 땅에 있는 넓은 지방을 다스렸고, 우로시 5세가 죽을 때까지 충성을 다했다.[2] 우로시 5세 황제는 그해 초 오스만과의 마릿사 전투에서 세르비아 귀족들의 상당수가 살해된 후 1371년 12월 2일 자식이 없이 죽었다. 이로써 한때 강대했던 세르비아 제국은 막을 내렸다. 일찍이 영왕으로 즉위한 부카신의 아들 마르코는 아버지의 왕위를 물려받게 되어, 세르비아 왕위 계승자의 대열에 서게 되었다. 한편 귀족들은 자기들 이익을 추구하면서 때로는 서로 다투기도 했다. 세르비아는 황제가 없는 상태에서 " 귀족영토의 재벌"이 되었고, 따라서 제국은 지방 영주들인 마르코 므른자브체비치, 데야노비치 형제, 유라히 1세 발시치, 부크 브란코비치, 니콜라 알토마노비치, 라자르 흐레벨야노비치 등으로 나뉘었다.[31] 봉건 권력의 새로운 재분배에서 1371년 이후 형제는 요반과 고스포딘(주군)을 폭군시켰고, 아버지의 지방을 재현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영토를 두 배로 늘렸을 뿐만 아니라, 사방에서 주로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32][33] 형제들은 쿠마노보에서 스트루미카까지 바르다르의 왼쪽 강변에서 다스렸다.[31] 마리차 이후 2년 뒤인 1373년, 데자노비치 형제의 지방에서 일어난 사건들과 그들의 상호 관계에 대한 첫 언급이 이루어진다.[34] 마르코도 그랬듯이 데자노비치 형제들도 오스만 주권을 인정했다.[31] 비록 신하들이지만 그들은 그들만의 정부를 가지고 있었다.[33] 그들의 주 상징은 하얀 양머리 독수리였고 그들은 네만지치 스타일에 따라 동전을 채굴했다.[35]

가족

데얀과 테오도라는 세 아이를 낳았다.

  • 요반(ca. 1343년 – ca. 1378년), 우로시 천황 휘하의 폭군; 1373년부터 1378년 사망할 때까지 오스만 제국의 신하.
  • 우로시 천황 휘하의 고스포딘인 콘스탄틴 (1365–95)은 그의 동생을 1378년부터 1395년 사망할 때까지 오스만 제국의 신하로서 계승했다.
  • 테오도라 (1356–71)는 먼저 고스포딘 제아르코 (1356년)와 결혼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유라셰 1세 발시치 (1371년 이후)와 결혼하였다. 그녀는 샤르코와 함께 아들 Mrksha (1363년생)를 낳았다.

주석

  1. ^
    그의 이름은 데얀(Dejan)이었다. He is usually referred to with his titles despot Dejan (деспот Дејан) and sevastokrator Dejan (севастократор Дејан) in Serbian sources. 그의 아들 조반은 보통 "데스포트 조반 드라고시" 즉 단순히 "데스포트 드라고시"라고 서명했지만, 오직 하나의 문서만이 콘스탄틴을 이 이름으로 언급하고 있다. 드라고시 이름은 이리하여 요반과 콘스탄틴, 그리고 젤레나의 아들 콘스탄티누스 11세가 사용하였다. 데얀도 이 이름을 사용한 적은 없지만, 이 이름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36]

참조

  1. ^ Jump up to: a b c 미할치치치 1989, 페이지 67
  2. ^ Jump up to: a b c d 맑음 1994 페이지 358
  3. ^ 이스토리스코 드루슈트보 NR 스르비제 1953 페이지 16

    Војвода Дејан Мањак је поменут у повељи краља Стесрана Душана којом је овај уступио Дубровчанима Стонски Рат и Превлаку

  4. ^ Jump up to: a b c d 1994년, 페이지 309–310
  5. ^ 조로비치 2001, 3장 7절
  6. ^ 파드리치 2000, 39세
  7. ^ 조로비치 2001, 3장 7절; 파드리치 2000, 39세
  8. ^ Jump up to: a b c d e f 블라고예비치 2007, 페이지 448–449
  9. ^ 맨디치 1986, 페이지 161

    У повељи манастиру Архиљевици, издатој ав- густа 1355. године, Душан на три места каже: „Брат царства ми севастократор Дејан". Именица брат има вишеструко значење. Најодређеније је оно примарно: рођени брат.

  10. ^ 이스토리스코 드루슈트보 NR 스르비제 1951, 페이지 20-21

    према повељи манастиру богоро- дичимог ваведења у Архиљевици,50 држао као своју баштину пространу област иеточно од Скопске Црне Горе. Она је обухватала старе жупе Прешево и Жеглигово (данас кумановски крај са Средореком, Козјачијом...

  11. ^ Jump up to: a b c 나로드니 무제즈브란주 1986, 페이지 169

    Севастократор Дејан, зет цара Душана по сестри Теодори (у калуђерству Евдокији), држао је кумановско-прешевску удолину, а то је део самог језгра Балкана. [...] „Брат царства ми севастократор Дејан"\ Судећи према овој повељи, Архиљевица се налазила тамо где су дарована села Подлешане, Извор и Рућинци, а то је Куманов- ска Црна гора, односно падине Језерске планине. [...] оснивачу државе Дејановића, написао је Миодраг Рајичић и навео сву важнију литературу и изворе.1 Он закључује да је Дејан умро измећу 1366. и 1371. године.2 Дејан је саградио цркву свете Богородице „у својој баштини, ...

  12. ^ Jump up to: a b c d 미할치치치 1989, 페이지 79–81
  13. ^ Jump up to: a b c d e 파드리치 2000, 42세
  14. ^ 소울리스 1984, 페이지 101
  15. ^ 소울리스 1984, 페이지 53
  16. ^ 소울리스 1984, 페이지 190
  17. ^ 미할치치치 1989, 페이지 81

    Дејанова баштина — жупе Жеглигово и Прешево — простиру се између Пчиње, Јужне Мораве и Скопске Црне горе. Источно од Жеглигова и Прешева, око горњег тока Струме са Велбуждом, простирала се „држава" севастократора Дејана

  18. ^ Srpska Akademia nauka i Umetnosti 1952, 페이지 240

    касније државе Дејановића сигурно је обухватало 1355 године старе жупе Жеглигово (са данашњом Козјачијом, Средореком и највећим делом Пчиње) на истоку и Прешево са једним делом Гњиланског Карадага на западу. Оно се није ограничавало само на кумановски крај — Жеглигово —, а допирало све до Штипа и Кратова, као што је веровао Стојан Новаковић, нити се простирало само до висоравни Рујена, као што је писао Константин Јиречек, ...

  19. ^ 맨디치 1986 페이지 143

    То је био дота- дашњи севастократор Дејан. Поставши деспот све српске, поморске и грчке земље (али не велики деспот, јер је после Оливера у Урошевој држави увек био само један деспот, па није ни било усло- ва за великог), ...

  20. ^ Jump up to: a b c d 조로비치 2001, 3장 9절
  21. ^ Jump up to: a b 블라고예비치 2001, 페이지 178

    Логотет Дејан је по свој прилици иста личност позната као Душанов севастокра- тор Дејан и деспот Дејан. Приликом преговора о миру измећу цара Уроша и Дубровника, као цареви посланици помињу се логотет Дејан и Гргур.

  22. ^ 치르코비치 & 미할치치치 1999, 페이지 ?

    За време цара Уроша његов логотет Дејан преговарао је са Дубровчанима о поштовању закона и свега другог што је постало спорно после рата са кнезом Воји- славом Војиновићем.

  23. ^ Jump up to: a b Srpska akademija nauka i umetnosti (1976). Istorijski časopis. 23–24. p. 16.

    кесар Гргур Голубић и логотет Дејан добили су по сто дуката, али они су — то морамо да нагласимо — директно учествовали у прего- ворима. Одређен углед Лазара потврђује његов помен у функцији милосника. Податак је ...

  24.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파드리치 2000, 45세
  25. ^ Istorisko Drushtvo NR Srbije 1953, 페이지 26

    ... ни у страиим изворима није се сачувао никакав пода- тек који нам омогућава да одредимо које је године Дејан умро

  26. ^ 맨디치 1990, 페이지 154

    Тако би 1358. година била прекрет- ничка за неке великаше: те године деспот Дејан је умро,13 на његово место дошао је вероватни дота- дашњи велики војвода Вукашин, а на место вели- ког војводе дошао је Јован Угл>еша.

  27. ^ Jump up to: a b 맨디치 1990, 페이지 154-155
  28. ^ Istorisko Drushtvo NR Srbije 1953, 페이지 20

    Дејаиова жена Тесдсра-Евдокија, као и Ана-Марија, супруга деспота Оливера, и Марија, жена деспота Тохе Прељубовића, па и велгокосхимкица Евпраксија (више позната под мало- схимничким именом Јефимија), жена деспота ...

  29. ^ 페트코비치 1924
  30. ^ Jump up to: a b 사마르디치 1892 페이지 22

    Синови деспота Дејана заједнички су управљали пространом облашћу у источној Македонији, мада је исправе чешће потписивао старији, Јован Драгаш. Као и његов отац, Јован Драгаш је носио знаке деспотског достојанства. Иако се као деспот помиње први пут 1373, сасвим је извесно да је Јован Драгаш ову титулу добио од цара Уроша. Високо достојанство убрајало се, како је ...

  31. ^ Jump up to: a b c 조로비치 2001, 3장, XIII
  32. ^ 미할치치치 1989, 페이지 174
  33. ^ Jump up to: a b Društvo istoričara SR Srbije (1994). Istorijski glasnik. Belgrade. p. 31.
  34. ^ Vizantološki institut, SANU (1982). Zbornik radova Vizantološkog instituta. Srpska akademija nauka i umetnosti. p. 198.
  35. ^ Godišnjica Nikole Čupića, 33, Belgrade: Štampa Državne štamparije Kraljevine Jugoslavije, 1914, p. 228
  36. ^ 오스트로고르스키 1970, 페이지 273–274

원천

법원사무실
선행자
조반 올리버
세르비아 왕국 현재
스테판 두샨의 세바스토크레이터
1346–1355
곁들임: 브란코(1346–?)
성공자
블라트코
선행자
조반 올리버, 조반 아센, 시메온 우로시
우로시 5세의 전제군주
1356년 8월 이후
성공자
부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