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소적 이성 비판

Critique of Cynical Reason

냉소적 이성의 비평은 독일의 철학자 피터 슬로터디크가 쓴 책으로 1983년 독일어 제목인 크리틱 데르 지니스첸 베르눈프트(Kritik der Zynischen Verunft)로 두 권으로 출간했다. 유럽 역사의 사회적 현상으로 철학적 냉소주의와 대중적 냉소주의를 논한다.

내용

냉소적 이성 비평 제1권에서는 슬로터디크가 그의 철학적 전제를 논하고 있다. 제2권은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공 담론에 등장하면서 냉소주의의 많은 면들을 통합한 행동현상학을 구축한다. 두 권 모두에서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는 철학적 논의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Sloterdijk는 반복적으로 그의 논문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리스어 용어 쿠니코스의 "K"에서 현대 냉소의 "C"로 어원학적 자음 변화를 지적한다. 원래의 그리스 철학 학파고대 그리스 아카데미의 전복과 힘없는 일반 대중을 위한 배출구로 자리매김한 반면, 현대 산업 및 현대 산업 시스템은 개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주로 사상을 포함한 거래 가능한 상품의 상업적 교환에 적용된다. 슬로터디크가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한 가지 예는 에이전트와 이중첩자의 활동인데, 그에게는 전술적 사고, 실용적 조종, 침묵, 오자극의 화신으로서 동시대의 냉소주의를 통합하고 있다. 임마누엘 칸트의 수필 "계몽이란 무엇인가?"와 영원한 평화: 철학적 스케치는 결코 존재하지 않았다고, 슬로터디크는 결론짓는다.

슬로터디크는 유럽사교육사로부터 끌어내는 부정적인 예를 채택함으로써 중상류층의 의식의 진화를 묘사하고 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을 "충분히 무장하고 영원히 살기를 원하는" "자신을 공동화시키는 제도"(이름, 자본주의)의 첫 절정으로 묘사한다.

슬로터디크가 베를린에서 다다이즘을 예술가들이 실천한 것으로 분석한 것은 두 세계대전의 모든 정치 진영(특히 다다이스트, 사회민주당, 국가사회주의자들, 공산주의자들)이 이들에 대해 지지자들을 선동하려는 조롱하는 시도에서 고용한 모순비아냥의 변형을 폭로한 것과 동반된다. 다른 모든 관점의. He analyzes Nazi texts that - Sloterdijk claims - intend to "rhetorically rescue" the Third Reich, and sets them against the "humanist authors" of the time, like Erich Kästner and Erich Maria Remarque, who — he says — stood in the midst of "a rancorous war of all against all." Passages from the works of these authors, Sloterdijk reveals, clearly p그들 시대의 냉소적인 분위기에 연고하고, 분석 가능하고 예측 가능한 형태를 취하며, 이 형식을 통해 성과를 면밀하게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슬로터디크는 칸트의 세 가지 비평의 접수 내역과 그들의 다양한 해석을 현대까지 추적하려고 시도한다. 그는 '지식이 힘이다'는 프랜시스 베이컨의 격언의 전제를 통해 칸트의 '비판적 무역'이 도구화되었고, 마침내 그것에 의해 전복되고 거세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게다가 그는 고대 그리스 냉소주의중산층 반론과 위대한 철학적 야망을 결합하여 진화한 현대적이고 비인간적인 냉소주의의 포일로 삼고 있다고 슬로터디크는 이렇게 주장한다. 슬로터디크는 고대 그리스판과는 달리, 키니시즘은 더 이상 사람들을 종교적, 경제적으로 유용한 신념 이상으로 묶는 자연적이고 윤리적인 종류의 가치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결론짓는다. 오히려 순전히 물질주의적인 종류의 '최종적 종말'이라는 관점에서 자신의 행동을 규정해 '생각'을 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경제전략으로 축소하는 사고방식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의 냉소주의는 사회, 인류, 이타적인 목표가 원래 냉소주의자들이 추구하던 "좋은 삶"의 "인"과 "포용"과 관련이 있을 때는 침묵을 지키고 있다.

마지막 장에서 슬로터디크는 '좋은 삶'을 단순한 외적인 사실이 아니라 끊임없이 자신을 재편성하고 스스로를 새롭게 하는 'Whole'에 '내재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인간 종류는 그 자신의 이해와 동기로 창조된다고 지적한다. 그는 마틴 하이데거의 매그넘 오푸스 존재와 시간에 대한 정확한 분석으로 결론을 내리고 특히 두 세계 대전 사이의 당시의 사건과 예술적 활동에 적용되는 특별한 창조 행위에 대한 해설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