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수(생리학)
Compliance (physiology)준수란 팽창 또는 압축력을 적용할 때 원래 치수 쪽으로 후퇴하는 것을 저항하는 중공 기관(용기)이나 투과압력이 증가하면서 부피를 확장하고 증가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그것은 "탄력"의 역수이므로 탄성은 팽창력이나 압축력을 제거할 때 원래 치수 쪽으로 후퇴하는 중공 장기의 경향을 측정한 것이다.
혈관
탄력성과 준수라는 용어는 심혈관계 생리학과 호흡기 생리학에서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해당 선박의 압력이 증가하면 선박의 부피 증가는 발생한다. 압력에 반응하여 동맥과 정맥이 늘어나는 경향은 관류 및 혈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물리적으로 컴플라이언스가 높은 혈관이 동일한 압력 및 볼륨 조건에서 컴플라이언스 혈관이 낮은 혈관에 비해 쉽게 변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1] 정맥 순응은 동맥 순응보다 약 30배 크다.[2] 적합성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여기서 ΔV는 부피 변화(mL), ΔP는 압력 변화(mmHg)이다.[3]
생리학적 준수는 일반적으로 위와 일치하며 폐조직과 심장조직 모두의 공통적인 학문적 생리학적 측정으로 dP/dt를 추가한다. 고무와 라텍스에 처음 적용된 방정식의 적응을 통해 폐와 심장 조직 적합성의 역학을 모델링할 수 있다.
정맥은 동맥보다 훨씬 높은 순응도를 가지고 있다(벽이 얇아진 탓이 크다). 비정상적으로 순응하는 정맥은 부종과 연관될 수 있다. 압력 스타킹은 외부적으로 컴플라이언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 따라서 피가 다리에서 뭉치는 것을 막는다.
혈관수축과 혈관수축은 복잡한 현상이다; 그것들은 압력과 조직탄력의 유동역학뿐만 아니라 신체가 혈관의 준수를 수정하기 위해 내생적인 혈관수축기와 혈관수축기를 생산하는 호르몬과 세포신호작용과 함께 능동적인 동태적 조절의 기능이다. 예를 들어 튜니카 매체의 매끄러운 근육 조직의 근육 톤은 레닌-안지오텐신 계통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내생적 동태 조절이 잘 되지 않는 환자에게는 역시 혈관 활성인 약제 수십 개를 추가할 수 있다. 그러한 혈관 활성 물질에 대한 혈관의 반응을 vasoactivity(또는 때로는 vasoreactivity)라고 한다. Vasoactivity는 유전적 차이와 후생적 차이 때문에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병증과 연령에 따라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혈액역학적 대응(혈관 준수 및 혈관 저항 포함)의 주제를 단순한 유압적 고려사항(자체적으로 충분히 복잡함)을 넘어 의학적, 약물학적 복잡성의 문제로 만든다.
혈관 준수, 압력 및 유량 간의 관계는 Q=C(dP/dt) Q=유량(cm3/sec)이다.
동맥 준수
MP Spencer와 AB Denison of compliance(C)의 고전적 정의는 동맥 혈압(ΔP)의 특정 변화에 따른 동맥혈량(ΔV)의 변화다. 그들은 1963년 "혈관 계통의 맥동유동"이라는 제목의 작품에서 이것을 "생리의 수기"에 썼다. 따라서 C = ΔV/ΔP.[4]
동맥 준수는 흉부 대동맥과 같은 큰 동맥의 탄력성을 지수화한 것이다. 동맥 순응은 중요한 심혈관 위험 요인이다. 순응은 노령과 폐경기에 따라 감소한다. 동맥 적합성은 초음파로 압력(탄산동맥)과 체적(대동맥으로 유출) 관계로 측정한다.[5]
간단히 말해서 준수 수준은 컨테이너가 중단 없이 압력이나 힘을 경험하는 수준이다. 그것은 동맥 경직의 표시로 사용된다. 나이와 수축기 혈압(SBP)의 증가는 동맥 순응의 감소를 동반한다.[6]
내피 기능 장애는 특히 작은 동맥에서 준수를 감소시킨다(동맥 경직 증가). 이것은 고혈압 환자의 특징이다. 그러나 임상 고혈압이 나타나기 전에 정상 혈압이 있는 환자에게서 볼 수 있다. 동맥 순응 감소는 당뇨병 환자와 흡연자에게도 나타난다. 사실 혈압을 더욱 높이고, 아테롬성 동맥경화증(동맥 경화증)을 악화시키며, 심혈관 위험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한 부분이다. 동맥 적합성은 몇 가지 기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대부분은 침습적이고 임상적으로 적절하지 않다. 맥박 등고선 분석은 동맥 탄력성을 쉽게 측정하여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있는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비침습적 방법이다.[7]
참고 항목
참조
- ^ Nosek, Thomas M. "Section 3/3ch7/s3ch7_10". Essentials of Human Physiology.[데드링크]
- ^ Gelman, Simon (2008). "Venous Function and Central Venous Pressure". Anesthesiology. 108 (4): 735–48. doi:10.1097/ALN.0b013e3181672607. PMID 18362606.
- ^ 혈관 준수
- ^ Tozzi, Piergiorgio; Corno, Antonio; Hayoz, Daniel (2000). "Definition of arterial complianc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78 (4): H1407. doi:10.1152/ajpheart.2000.278.4.H1407. PMID 10787279.
- ^ Nestel, P. J.; Pomeroy, S; Kay, S; Komesaroff, P; Behrsing, J; Cameron, JD; West, L (1999). "Isoflavones from Red Clover Improve Systemic Arterial Compliance but Not Plasma Lipids in Menopausal Women".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84 (3): 895–8. doi:10.1210/jcem.84.3.5561. PMID 10084567.
- ^ "Arterial Compliance Experts". Retrieved 2011-11-09.
- ^ Cohn, J (2001). "Arterial compliance to stratify cardiovascular risk: More precision in therapeutic decision making".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14 (8): S258–S263. doi:10.1016/S0895-7061(01)02154-9. PMID 11497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