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모신경절
Ciliary ganglion섬모신경절 | |
---|---|
세부 사항 | |
부터 | 섬모신경절 감각근 섬모신경절 교감근 섬모신경절 부교감근 |
로. | 짧은 섬모 신경 |
식별자 | |
라틴어 | 신경절 섬모 |
TA98 | A14.3.02.003 |
TA2 | 6663 |
FMA | 6964 |
신경해부술의 해부학적 용어 |
섬모 신경절은 뒤쪽 안와 바로 뒤에 위치한 신경 부교감 신경절 다발이다.그것은 직경이 1~2mm이고 인간의 경우 약 2,500개의 [1]뉴런을 포함하고 있다.신경절은 신경절 후 부교감 신경세포를 포함하고 있다.이 뉴런들은 동공을 수축시키는 동공 괄약근과 수정체를 더 볼록하게 만들기 위해 수축하는 섬모근을 공급한다.이 두 근육 모두 자율신경계의 부교감분할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비자발적인 근육이다.
섬모 신경절은 머리의 4개의 부교감 신경절 중 하나이다.다른 것들은 턱밑 신경절, 익상구개 신경절, 그리고 이 신경절이다.
구조.
섬모 신경절은 섬모근과 동공 괄약근에 공급되는 신경절 후 부교감 뉴런을 포함한다.섬모근의 크기가 훨씬 크기 때문에, 섬모신경절에 있는 뉴런의 95%가 동공 괄약근에 비해 섬모신경절을 신경질적으로 자극한다.
뿌리.
3종류의 축삭이 섬모신경절 안으로 들어가지만 그곳에서는 오직 전신경절 부교감 축삭만이 시냅스한다.들어가는 축삭은 신경절 후면에 들어가는 3개의 뿌리로 배열됩니다.
- 감각 뿌리는 비강 신경에서 갈라져 짧은 섬모 신경의 일부를 형성하는 신경절을 통과합니다.이러한 감각 축삭은 각막, 모양체, 홍채에 공급된다.
- 교감근은 자궁경부신경절에 세포체가 있는 내경동맥총에서 유래한다.축삭은 짧은 섬모 신경과 동기화하지 않고 신경절을 통과하여 눈으로 들어간다.교감근은 눈의 혈관에 교감 공급을 제공하는 신경절 후 교감 축삭을 포함합니다.때때로 그들은 동공 확장기 근육을 공급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축삭은 보통 눈으로 들어가기 위해 비강 신경에서 긴 섬모 신경으로 이동합니다.
- 부교감근은 안구운동신경의 하분할에서 분기하여 에딘저웨스트팔핵에서 섬모신경절까지 부교감전 축삭을 운반한다.신경절 안에서 축삭은 신경절 후 부교감 신경세포로 시냅스한다.이 뉴런들은 짧은 섬모 신경을 통해 축삭을 돌출시켜 섬모 근육과 동공 괄약근 근육을 자극한다.
짧은 섬모 신경
섬모신경절의 앞쪽 표면에서 나오는 짧은 섬모신경은 감각, 신경절 후 교감 및 눈에 대한 신경절 후 부교감 축삭을 포함합니다.
임상적 의의
아디에 강장 동공
섬모 신경절의 질병은 빛에 반응하지 않는 눈동자 "강장동자"[2]를 생성하며, 근시(accomodation)에 대한 비정상적으로 느리고 장기적인 반응을 보인다.
아디 동공을 가진 사람이 가까운 물체에 초점을 맞추려고 하면, 동공은 천천히 수축한다.정밀 검사 결과, 수축된 동공은 완전히 둥글지 않습니다.사람이 더 멀리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추면(예를 들어 방의 반대쪽) 동공은 몇 분 동안 수축된 상태로 있다가 예상 크기로 천천히 다시 확장됩니다.
강장성 동공은 꽤 흔하다. 그들은 대략 500명 중 1명꼴로 나타난다.동공이 빛에 반응하지 않는(밝은 빛에 노출되었을 때 수축하지 않는) 무지외반증(Anisocoria)을 가진 사람은 아디 증후군 즉, 섬모 신경절의 특발성 변성일 가능성이 높다.
생리학
강장제 눈동자의 이상한 행동은 1979년 Irene Loewenfeld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다.섬모 신경절은 섬모 근육으로 향하는 신경 섬유가 협착자 번데기로 향하는 신경 섬유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 약 20배 더 많습니다.섬모근은 또한 수축 번데기보다 20배 더 크다.이러한 관찰에 기초하여, 로웬펠트는 강장성 동공에 대한 설명을 제안했다.그녀는 Adie 동공의 모든 사례에서 발견되는 섬모 신경절의 신경세포의 병리학적 파괴에 주목했다.그녀 자신의 표현:[3]
- 신선한 Adie의 동공에서, 섬모 신경절에 있는 세포의 무작위 70%가 작동을 멈춘다고 합시다; 그리고 몇 달 후에, 이 뉴런들은 다시 자라서 무작위로 안구 괄약근(섬모근과 홍채 괄약근) 둘 다에 다시 침입합니다.원래 홍채 괄약근으로 향했던 부교감 광반응 뉴런은 결국 섬모근을 자극하게 될 것이다.하지만 그 큰 근육을 움직일 만큼 충분한 양이 없기 때문에 빛에 노출되는 눈에 띄는 조절장치는 없을 것이다.반대로 말하면, 그것은 다른 이야기이다.홍채 괄약근으로 다시 자라나는 조절 신경세포가 많을 것이고 홍채 괄약근 수축과 같은 작은 근육을 만드는데 많은 신경세포가 필요하지 않을 것입니다.이것은 환자가 가까운 물체에 시선을 맞출 때마다, 섬모근에 대한 신경 일부가 홍채에 흘러들어 동공을 수축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웬펠드의 이론은 현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강장성 동공의 특징에 대해 설명합니다.
- (1) 동공이 빛에 반응하지 않는다.원래의 빛 반응 뉴런은 파괴되었다.
- (2) 근시도를 시도한 강장성 협착.섬모근에 대한 신경섬유의 비정상적인 재생은 동공의 비정상적인 강직성 수축과 조절을 일으킨다.
- (3) 홍채 분할 협착확대하여 주의 깊게 검사하면 홍채는 근시야에서 균일하게 수축하지 않습니다.다시 삽입된 세그먼트만 수축하여 동공에 약간 불규칙한 윤곽을 만듭니다.
- (4) 보존 과민성.다른 탈색된 근육들처럼, 홍채는 정상적인 신경 전달 물질(이 경우, 아세틸콜린)에 대해 극도로 민감해집니다.필로카르핀(일반 홍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과 같은 콜린 작동성 물질의 매우 약한 용액은 변성 홍채를 수축시킵니다.
강장성 동공은 보통 아디 증후군에 의한 것이지만 다른 질병들은 섬모 신경절을 약화시킬 수 있다.말초신경병증(예: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때때로 강장성 눈동자를 만든다.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섬모 신경절을 공격할 수 있다.안와에 대한 외상은 짧은 섬모 신경을 손상시킬 수 있다.섬모 신경절을 변성시키는 것은 비정상적인 신경 재생으로 인해 강장성 동공을 만들어 낼 것이다.
아디에 증후군
아디[4] 증후군은 강장성 동공과 깊은 힘줄 반사가 결여되어 있다.아디증후군은 상당히 흔한 양성 특발성 신경병증으로, 깊은 힘줄 반사 호와 관련된 섬모 신경절과 척수 신경세포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그것은 보통 중년에 발병하지만, 어린이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아디 증후군의 변형인 로스 증후군은 땀에도 영향을 미친다.
아디 증후군의 초기 과정(섬모 신경절의 세포가 파괴되었지만 재생이 일어나기 전에)에서 동공은 고정되고 확장될 것이다.괄약근 번데기가 마비됩니다.적응에 대한 반응이 없을 것이다 – 섬모 근육도 마비된다.
신경이 비정상적으로 재생되면 동공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근시도를 시도하면 수축됩니다.수축은 비정상("강장")입니다.
아디 증후군 말기에는, 모든 학생들이 노년기에 그러하듯이, 동공이 작아진다.여전히 "고정" 상태(밝은 빛으로 수축되지 않음)이며 근시야 시도 시 비정상적인 강장 수축이 계속됩니다.
광근해리
일부 신경학적 질환에서는 동공이 빛에 반응하지 않지만 적응에는 반응한다.이것은 "빛-근접 해리"
아디에 증후군의 경우, 섬모 신경절을 포함한 손상은 가벼운 해리와 (대개 같은 쪽에 있는) 강직하게 확장된 동공을 나타낸다.
광근해리의 다른 원인으로는 뇌간 [citation needed]손상이 있는데, 뇌간에는 강장성 동공이 생성되지 않습니다.광근해리의 뇌간 원인으로는 아가일 로버트슨 동공과 파리노 증후군이 있다.
Irene Loewenfeld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별을 만든 최초의 생리학자이다.
기타 이미지
안구 운동 신경 설계도야
레퍼런스
- ^ Perez, GM; Keyser, RB (September 1986). "Cell body counts in human ciliary ganglia".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7 (9): 1428–31. PMID 3744735.
- ^ Kawasaki, A (December 1999). "Physiology, assessment, and disorders of the pupil".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10 (6): 394–400. doi:10.1097/00055735-199912000-00005. PMID 10662243.
- ^ Thompson, HS; Kardon, RH (June 2006). "Irene E. Loewenfeld, PhD Physiologist of the pupil". Journal of Neuro-Ophthalmology. 26 (2): 139–48. doi:10.1097/01.wno.0000222970.02122.a0. PMID 16845317.
- ^ Thompson, HS (1977). "Adie's syndrome: some new observation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Ophthalmological Society. 75: 587–626. PMC 1311565. PMID 613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