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림 강 전투
Battle of Slim River슬림강 전투는 1942년 1월 말라야 서부 해안에서 일본 제국군과 영국 인도군 사이에 벌어진 말레이 전역 중 발생했다.
배경
일본군은 1941년 12월 11일 태국 남부, 12월 7일 동부 말라야에서 코타 바루에서 북서 말라야를 침공했다. 태국에서 그들은 그들을 막으려는 영국의 모든 시도를 물리치고 무자비하게 말라야 서쪽 해안을 운전해 왔다. 크리스마스까지 일본인들은 북서 말라야를 모두 열었다. 영국군이 일본 전술을 상대로 어떤 형태의 효과적인 방어를 가할 수 있었던 몇 안 되는 순간 중 하나가 디팡 강의 캄파르 근처에서 일어났다.[2] 영국 포병의 효용성이 두드러진 캄파르 전투에서 일본군은 큰 인명피해를 입었다.[1] 그러나 1월 2일, 인도 11사단은 캄파르 진지의 남쪽 해안에 상륙하여 수적으로 우세했으며, 일본군이 싱가포르로 가는 길에서 사단을 차단하려 하자 슬림 강에서 북쪽으로 5마일 떨어진 트롤락에서 준비된 진지로 철수했다.[2]
트롤라크의 영국직위
트롤락으로 가는 길의 방어선은 거의 관통할 수 없는 정글을 지나 64마일 기둥까지 뻗어 있는 60마일 기둥의 4마일 복도에서 시작되었는데, 마을을 지나면 슬림강 철교에 도달하기 전에 그 도로는 클루니 러버 사유지의 보다 개방된 지형을 통과한다. 그 도로는 동쪽으로 구부러져 6마일을 더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다가 도로 다리에서 슬림 강을 건넌다. 영국군 사령관 대행인 파리 12보병여단(일반적으로 인도 12보병여단 사령관)은 캄파르 전투 후 3개 여단 중 1개 여단을 잃었고, 합병된 5/16여단은 12여단을 거쳐 후퇴한 뒤 사단의 서쪽 측면을 방어하기 위해 더 남쪽으로 해안 방어 위치로 이동했다. 휴식을 취하고 재편성할 것이다. 이것은 파리를 중위와 함께 떠났다.아이언 스튜어트 대령의 12번째 인도 여단과 중위.레이 셀비 대령의 28 구르카 여단은 강 북쪽 둑을 방어하기 위해 캄파르와 그리크 로드에서 있었던 전투에서 모두 큰 사상자로 인해 전력이 감소되었다.[1]
스튜어트의 대대는 길 양쪽에 늘어선 줄에 서서 클루니 러버 영지가 시작되고 스튜어트가 본부를 배치한 트롤락 북쪽 복도의 두꺼운 정글 부분을 통해 다시 퍼져나가고 있었다. 제4·19 하이데라바드 연대는 대전차 장애물과 도로 봉쇄로 전진 위치를 지켰다. 그 다음이자 마지막으로 준비된 자리는 제5·2 펀자브 연대가 맡았다. 제2의 아질(Argyll)과 서덜랜드(Sutherland) 하이랜더(Highlanders)는 방어적인 자세로 그룹화되었지만 대전차 장애물이나 도로 블록이 고정되지 않았다. 셀비의 구르카스는 철거 준비를 마친 두 다리까지 이어지는 도로와 철도를 따라 펼쳐졌다.[2]
일본군의 공격력
일본군의 공격력은 캄파르 포병대의 포병 매복공격으로 큰 사상자를 낸 오카베 연대(41보병연대)로부터 넘겨받은 안도 대령의 전투집단(주로 42보병연대)에서 나왔다.[1] 공격력은 시마다 도요사쿠 소령(ja:島田豊作)의 지휘 아래 약 17식 97식 중전차와 3식 95식 하고 경전차로 구성되었다.[1] 시마다씨는 제2차 세계대전 때와는 달리 탱크를 이용한 야간 공격 계획을 내놓았는데, 이는 탱크들에게는 매우 낮은 가시성 요인으로 선원들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위험한 제안이다.[2][3]
전투
1942년 1월 5일 오후 제5/16여단의 후위병이 12여단의 진지를 통해 철수했다. 곧이어 안도 대령의 42연대에서 파견된 선발대가 하이데라바드 진지에 도착하여 탐문 공격에 나섰고, 이 공격에서 일본인 60명이 사망하면서 격퇴되었다. 안도는 또 다른 공격을 감행하기 전에 갑옷 지원을 보류하고 기다리기로 했다. 1월 6일 시마다 소령의 탱크 회사가 도착했고 시마다 소령이 영국군의 진지를 편승하는 통상적인 일본 전술을 따르는 대신 안도에게 도로 바로 공격을 허용해 달라고 간청했다.
12여단 진지
1942년 1월 7일 새벽 3시 30분 폭우 속에서 시마다의 부대는 영국군 제1진지(알란 데이비슨 브라운 소령 휘하의 제4·19 하이데라바드 연대 점령)에 박격포와 포격을 개시했다.에릭 윌슨-하펜든 대령은 앞서 공습으로 부상을 입은 적이 있었다.)[2] 탱크들은 하이데라바드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는 영국의 방어 장애물들을 뚫고 움직이기 시작했는데, 그들은 탱크 한 대를 파괴한 일부 포격을 부를 수 있었다. 하이데라바드족은 포병지원과 연락이 끊겼고 일본 전차를 방어하기 위한 대전차 무기도 없이 자신의 3대대대 42연대 소속 안도의 보병들은 하이데라바드족의 도로 차단벽에 구멍을 뚫을 수 있었다. 15분도 되지 않아 일본 기술자들은 도로 블록을 해체하고 있었고 안도의 보병들은 이제 흩어진 집단으로 전락한 하이데라바드들을 밀어내고 있었다. 보병대는 곧바로 시마다의 전차가 뒤따랐는데, 시마다의 전차는 남아 있는 하이데라바드를 쉽게 뚫고 정글 속으로 흩어졌고 새벽 4시가 되자 다음 영국 부대를 향해 가고 있었다.[2]
몇 명의 하이데라바드들이 다시 다음 대대(Lt.세실 디킨 대령의 5/2 펀자브 연대)는 자신들의 위치를 향해 향하는 탱크를 향해 펀자브에게 경고한다.[2] 시마다 전차는 더욱 노련한 펀자비 진지 앞에서 지뢰와 보이즈 대전차 소총에 두 대의 선두 전차를 빼앗겼다. 그러자 푼자비스는 화염병으로 다른 탱크에 불을 지르는 데 성공해 도로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일본기둥을 거의 범퍼에 가깝게 쌓아 올려놓았다. 이 전투에서 (통신선이 끊겨 연락을 받지 못한) 영국 포병들이 현시점에서 출동했더라면, 시마다의 기둥은 좁은 도로의 두꺼운 정글에 둘러싸인 채 쌓여있고 취약한 위치 때문에 쉽게 멈출 수 있었을 것이다. 영국인에게 이 황금 같은 기회는 없어졌고 시마다 보병대는 디아킨의 푼자비스(Punjabis)를 밀고 들어갈 수 있었고, 탱크들은 파괴된 탱크를 우회할 수 있는 방비가 되지 않은 루프 도로를 발견했다. 푼자비스는 오전 6시경까지 시마다를 중전(重戰)했다. 데킨과 그의 남은 푼자비스 한 줌은 간신히 슬림 강을 건너 탈출했지만, 그의 대대의 대부분은 42연대에 의해 소탕되었다.[2]
오전 6시 30분이 되자 시마다의 탱크가 다음 대대인 중령 휘하의 제2대 bn, 아르길, 서덜랜드 하이랜더스에 접근하고 있었다. 린제이 로버트슨 제2 아질스는 트롤락 마을 그 자체 주위에 배치되어 스튜어트의 12여단 H.Q.를 보호했다.[2] 이것은 영국 육군 정규 대대였으며, 매우 경험이 많은 대대로, 영국인들이 말라야에 가지고 있던 최고의 정글전투 부대 중 하나로 여겨졌다.[2] 아질스 호는 방어적인 위치에 있었지만 대전차 장애물이나 기뢰가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 그들은 하이데라바드로부터 공황에 시달리는 세포이 몇 마리가 도착하여 도로 봉쇄를 구축한 덕분에 빠르게 다가오는 일본인에 대한 약간의 경고만 받았을 뿐이었다. 그 경고에도 불구하고 시마다의 전차 4대는 펀자브 브렌 캐리어로 오인되어 아질스호를 직진하여 대대를 깔끔하게 나누었다. 이 네 대의 탱크는 그 후 철교로 향했다. 시마다의 본대와 안도의 보병 중 나머지가 도착한 것은 얼마 지나지 않아 아질족을 완전히 분열시켜 도로와 단절시켰다.[2] 아르기엘 부대는 많은 소그룹으로 줄어들었지만 그들은 격렬하게 싸웠고 간신히 일본 보병을 다른 2개 대대보다 더 오래 지연시켜 오전 7시 30분쯤까지 버텼다. 도로의 동쪽(C, B 회사)에 있는 C.B. 로버트슨은 고무지로 진입해 밀림 내륙을 통해 남쪽으로 향하며 소규모 파티로 해산하는 등 일본군의 진격을 저지하려 했다. 6주가 지난 후에도 이 병사들 중 일부는 여전히 정글에 있을 것이다. A 회사(중위 명령). 도로 서쪽 [2]찰스 네이피어 영국 장군의 후손인 도널드 네이피어는 포위된 일본인을 가까스로 탈출해 철교가 폭파되기 전에 강을 건넜다. 네이피어의 회사보다 더 북쪽에 있는 D 회사는 로버츠온의 아르킬스 일행과 같은 운명을 겪었고, 정글 속으로 흩어져 영국 노선에 도달하려고 시도해야 했다. D사의 대부분은 강에 도착하기 전에 잡힐 것이다.[2] 1월 8일 94명의 Argylls만이 Napier's A Company에서 롤콜에 응답했다.[4]
잔학 행위
트롤락 주변의 고무나무 지역에서 일본인의 잔혹행위가 자행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아르기엘과 하이데라바드가 부상을 입었다. 이안 프림로즈 중위는 전투 중 부상으로부터 의식을 되찾은 후 일본인들이 부상자들을 걸을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과 걸을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로 나누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보고한다.[2] 프림로즈는 걸을 수 있다고 결정했는데, 일본 군인들이 총을 쏘고 총검을 쏘기 시작했기 때문에 다행이었다. 그 후, 생존자들은 죽은 사람들을 위해 무덤을 파야 했고, 그리고 나서 일본인 부상자들을 데리고 가라고 말했다.[2]
28여단 진지
제28구르카 여단 시마다의 전차에는 중령 형태의 완벽한 표적이 제시되었다. 트롤락으로 가는 길 양쪽에서 행군 순서(서로 따라가는 긴 부대 기둥)를 하고 있던 시릴 라이베시 로렌스 스톡스의 5/14번 펀자비스. 스톡스의 펀자비스(Punjabis)는 스튜어트의 여단을 보강하기 위해 올라가고 있었다.[2] 시마다의 선두 전차 3대를 지휘하는 것은 중장이었다. 스톡스의 푼자비스(Punjabis)를 통해 곧장 탱크를 지휘한 와타나베 사다노부는 줄 서 있는 병사들이 제시한 완벽한 목표물을 향해 기관총을 발사한다. 중령 스톡스는 1942년 1월 7일 루이스 소령과 함께 전선으로 진격할 때 탱크의 공격을 받아 부상을 입었다.[5] 중령 스톡스는 1942년 2월 15일 감금되어 죽었다.[6] 그의 대대는 와타나베의 탱크가 도로 다리로 이동하기 전에 많은 사상자를 냈다. (5/14 5/14 펀자비스 전차는[7] 1월 8일까지 146명의 장교와 군인들을 소집했다. 오전 8시까지 선두적인 일본 전차는 셀비의 여단 H.Q. 지역에 있었다.[2] 28여단은 스튜어트의 여단 전체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전혀 모르고 있었고 일본인들은 그들을 더 빨리 뚫고 들어가 셀비의 여단 H.Q. 주변에 흩어져 있던 2/2와 2/9 구르카스를 모두 흩뜨렸다. 비록 그들은 큰 인명피해를 입었지만, 이들 2개 대대의 많은 병사들은 일본 주력부대가 그들의 위치에 오르기 전에 철교를 건너갔다.[citation needed]
셀비 여단의 마지막 대대인 푼자비스처럼 중령 휘하의 2/1 구르카스 2/1. 잭 오스왈드 풀턴은 일본 탱크가 그들에게 도달했을 때 도로 양쪽으로 진군 중이었다.[3] 그러나 이번에는 구르카스의 행진 기둥이 다가오는 일본인들을 외면하고 있었고, 와타나베의 탱크가 그들을 뒤에서 붙잡았다. 즉, 사망자는 푼자비스 기단보다 훨씬 더 많았다. 장교 1명과 계급 27명이 다음날 출석을 불렀다. 복부에 상처를 입고 포로로 잡혀간 풀턴은 두 달 후 감금되어 죽곤 했다.[2]
다리들
시마다의 탱크는 지금쯤 양쪽 여단을 뚫고 11사단 후방으로 들어가 두 다리를 향하고 있었다. 와타나베 중위는 시마다와 일본군 주력부대로 철교를 떠나 6마일 떨어진 더 중요한 도로교 쪽으로 향했다.[3] 이 공격에서 와타나베는 도로교 앞의 포병, 의료, 기타 지원 부대를 돌파했다. 영국 포병대장 2명이 이 번개 공격을 받고 도로를 달리다가 놀라 숨졌다.[3] 아침 8시 30분에 도로 다리에 도착하자마자. 와타나베는 싱가포르와 홍콩 포병 연대의 40mm 대공포 포병 전지로 방어하는 것을 발견했다. 포탄 중 두 발이 탱크에 발사될 정도로 빠른 속도로 통을 내리긴 했지만, 총탄은 탱크의 갑옷에 손상을 입히지 않았고 포병들은 도망쳤다. 와타나베 자신도 칼로 다리의 철거부담금 전선을 끊었다.[2][8] 아직 이른 아침이었고 일본의 공격은 겨우 11 인도 사단 전체를 산산조각 냈고, 생존자 대부분은 슬림 강을 건너 도망치려 했다.[2]
이 25킬로미터(16마일) 블리츠크리그 같은 공격의 마지막 부분에서, 와타나베는 지금 도로 다리를 통제하고 있는, 사토 엔신 토이체로의 지휘를 받아 3대의 탱크를 보내 강 건너편을 탐색했다. 사토 전 총리는 4km(3마일)를 여행한 뒤 영국군 포병대 155 야전포병연대 소속 4.5인치 하비츠 2명의 포병대를 만났다.[9] 사또의 탱크가 첫 번째 총에 포문을 열어, 그것을 뒤집고 길을 막았다. 두 번째 총에서 나온 포병들은 공전거리에서 탱크에 발포하기 위해 제때에 통을 내리는데 성공했다. 사토의 탱크가 부딪혀 파괴되어, 그를 죽이고, 그의 부대에 있던 다른 두 탱크를 도로 다리로 후퇴시키도록 강요했다.[2]
여파
이번 전투에서 그토록 큰 피해를 본 영국인 중 일부라도 이번 공격에 감명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3] 중령 와타나베의 탱크에 맞아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영국 포병 사령관 아서 해리슨은 감탄한 듯 말했다.
그들은 위험과 고립에 아랑곳하지 않고 사단을 산산조각 냈다. 그들은 그들의 무모하고 용감한 결심으로 슬림 다리를 사로잡았다.[2]
중령 스튜어트는 전쟁이 끝난 후 공식 역사학자에게 편지를 쓸 때 이 전투에 대해 말했다.
여단 사령부의 위치나, 전장 포병을 대전차 역할로 사용하지 않은 것에 대해 나는 당연히 비판을 받고 있다...변명의 여지가 없지만, 나는 연합된 대전차 방어나 이런 종류의 공격을 구체화하는 연습에 참가한 적이 없었다. 밤에 도로에서 탱크를 사용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1]
11 인도 보병사단은 엄청난 사상자를 냈지만, 일부는 결국 싱가포르를 위해 싸우기 위해 다시 돌아가겠지만, 항복 후에도 더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밀림 속에 있을 것이다. 이 생존자들 중 많은 수가 잡힐 것이다. 중위와 같은 소수의 생존자들만 잡힐 것이다. 린제이 로버트슨 대령(항복에 대한 견해가 강했던)[2]과 아질스 일행은 포획을 회피하려 했으나 일본군의 빠른 진격을 앞설 수 없었다. 로버트슨은 1942년 1월 20일에 살해되었다.[10] 두 여단으로부터 남은 생존자들은 말레이 반도 전역에 흩어져 있었다.[2] 1945년 8월까지 몇몇 아질스 호는 여전히 일반에 남아 있었다. 1949년 10월 말레이 비상사태 때 구르카 NCO인 나이크 나카암 구룽이 발견돼 1942년부터 밀림에서 생활하고 있다.[1] 인도 12여단은 사실상 존재 자체가 중단됐고 28여단은 그림자에 불과했다.[1]
스튜어트의 12여단은 아질스 출신 장교와 남성 94명을 거느린 430명 이상의 장교와 남성을 소집할 수 없었다.[2] 셀비의 여단은 다음날 750명의 응답 점호를 받으며 약간 더 나아졌다. 11사단은 모두 3,200명으로 추정되는 병력과 대체 불가능한 많은 장비를 잃었다.[2] 일본인들은 점심시간 전에 19마일에 걸친 사단을 뚫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교량 두 개를 가져갈 수 있었다.[3] 웨이벨 장군은 전투의 생존자들을 만난 후, 그들이 처한 조건에 경악하여 11 인도 사단을 최전방 밖으로 나가라고 명령했다.[11] 영국인에 대한 이 패배로 인해 일본인들은 쿠알라룸푸르를 무단으로 점령할 수 있게 되었고,[12] 웨이벨은 페르시발에게 말라야 중앙을 포기하고 남부 말라야로 후퇴할 것을 명령한 다음 호주 8사단이 일본군에 대항하여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기회를 허용하게 되었다.[3][2]
이 짧은 전투로 인한 참상은 또한 페르시발 중장이 방어 준비 태세 전술의 변화를 꾀하고 남쪽으로 신속히 후퇴를 명령하는 결과를 낳았는데, 그 곳에서 호주인들이 제멘사 대교에서 복병을 준비하게 된다.[2][3]
참고 항목
- 말라야 전투
- 일본의 말라야 침공
- 일본의 태국 침략
- 지트라 전투
- 무아르 전투
- 싱가포르 전투
- 태평양에서의 동아시아 전쟁
- 말라야 사령부 - 전투훈장
- 일본 전투훈장, 말레이 전역
- 크로콜 작전
- 마타도르 작전
- 태평양 전쟁
각주
- ^ a b c d e f g h i Warren, Alan (2006). Britain's Greatest Defeat: Singapore 1942 (Illustrated ed.).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ISBN 1-85285-597-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Smith, Colin (2006). Singapore Burning. Great Britain: Penguin Group. ISBN 978-0-14-101036-6.
- ^ a b c d e f g h Taylor, Ron. "Slim River". FEPOW-Community. Retrieved 6 April 2009.
- ^ Moffatt, Jonathan. "2nd Argylls in Malaya". COFEPOW 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y 2009. Retrieved 11 May 2009.
- ^ "The 5th Battalion (Punjab Regiment) in Malaya COFEPOW". www.cofepow.org.uk. Retrieved 16 August 2020.
- ^ Stokes, Cyril Lovesy Lawrence. "Commonwealth War Graves". Commonwealth War Graves.
- ^ Harpham, H. "5/14th Punjab Regiment in Malaya". COFEPO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09. Retrieved 11 May 2009.
- ^ Payne, Harold; Robert Hartley. "Slim River (Payne)". Retrieved 10 May 2009.
- ^ Hack, Karl; Kevin Blackburn (2004). Did Singapore have to Fall (Illustrated ed.). Routledge. pp. 72–73. ISBN 0-415-30803-8.
- ^ Taylor, Ron; John Weedon. "Singapore Memorial". FEPOW-Community. Retrieved 7 April 2009.
- ^ Ward, Ian. "Battlefield Guide: The Japanese Conquest of Malaya and Singapore". ABC. Retrieved 6 April 2009.
- ^ 제프리스와 앤더슨 페이지 39
책들
- Colin Smith (2006). Singapore Burning. England: Penguin Books. ISBN 978-0-14-101036-6.
- Alan Warren (2006). Britain's Greatest Defeat-Singapore 1942.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ISBN 1-85285-597-5.
- Alan Jeffreys, Duncan Anderson (2005). British Army in the Far East 1941-45. Osprey Publishing. ISBN 1-84176-790-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