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의 매듭

Austrian knot
1870년 프랑스 장군 펠릭스 두이는 소매에 누드 홍로이스를 입고 있었다.
십자가 모양의 무늬 노에우드 홍로이스를 맨 위에 두고 프랑스 통신원 데 폴리스의 케피(더 이상 사용하지 않음). 1986

오스트리아의 매듭(또는 헝가리의 매듭)은 전사의 매듭 또는 비테슈외테스(Vitézkötés)를 대체하는 것으로, 주로 아랫소매에 드레스 유니폼의 일부로 착용하는 꼬인 코드나 레이스를 정교하게 디자인한 것이다. 그것은 대개 장교들이 입는 구별이다. 주요 예외는 후사인데, 오스트리아 매듭은 모든 계급에 의해 착용된다. 장교 밑에 있는 영국 생도들은 계급장의 일부로 오스트리아 매듭을 쓴다.

역사

헝가리 태생인 "비테스코예스(Vitézkötés)"는 (영어 "warrior's not)"는 헝가리 군대의 후사들 사이에서 계급의 지표로 진화했고, 16세기 이후 헝가리 귀족의 복장의 일부가 되었다. 후에 다른 나라들이 그들의 군대에 후사르를 추가하면서, 그들은 또한 매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후사르 연대가 헝가리 귀족들에 의해 종종 설립되었고, 일부는 그들의 설립자 이름, 예를 들어 라디슬라스 이그나체 드 베르체니(Ladislas Ignace de Berchey)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18세기 오스트리아(나머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에서는 (프랑스 태생 때문에) 외국으로 널리 인식되어 받아들일 수 없었다. 후사 연대의 계급은 소매에 금줄을 땋아 표시하였고, 금줄의 수는 장교의 선배를 나타낸다. 오스트리아 육군의 다른 지부들은 위임된 계급장을 구분하기 위해 허리-사시-칼라 별의 체계를 사용했다.

오스트리아의 매듭은 곧 다른 유럽 국가들의 군대에서 후사르 연대라는 독특한 유니폼의 일부로 등장했지만 19세기 마지막 수십년이 될 때까지 더 큰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처음에는 프랑스군, 다음에는 네덜란드군,[1] 루마니아군, 일본군,[2] 터키군[3], 그리고 몇몇 중남미군이 장교 계급장을 구별하기 위해 이 휘장을 채택했다. 대부분의 연대의 영국 장교들은 1914년 이후 이 유니폼 순서가 일반적으로 더 이상 착용되지 않을 때까지 그들의 완전 드레스 튜닉의[4] 수갑에 금으로 땋은 간결한 무늬의 오스트리아 매듭을 입었다.

다른 대부분의 정교하고 눈에 띄는 계급 지표와 함께 오스트리아의 매듭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사용되지 않고 일상복으로 되살아나지 않았다. 대부분의 장교들이 여전히 착용하고 있는 케피스는 위쪽 왕관 위에 십자가 모양의 오스트리아 매듭을 가지고 있는 프랑스 군대는 예외였다. 주브스와 알제리 티라유르 등 북아프리카 연대의 프랑스 장교들은 1939년까지 화려한 정장 유니폼 소매에 금으로 땋은 오스트리아 매듭을 계속 착용했다. 그것들은 여전히 프랑스에서 일부 퍼레이드 유니폼에 입고 있는데, 그곳에서 그것들은 노우즈 홍로이스("헝가리 매듭")라고 불린다.

미국의 관습

남북전쟁 동안 남부연합 장교들은 종종 제복에 금색 오스트리아 매듭을 입는다. 더 정교한 브레이딩은 더 높은 순위를 가리켰다. 이런 종류의 휘장은 미군 장교들이 1917년까지 허가된 푸른색 풀 드레스 유니폼 소매에 착용했다. 1937년 장교들의 선택적 복장으로 채택된 파란색 메스드 드레스 유니폼의 특징으로, 여전히 공식적인 사교나 저녁의 기능을 위해 착용하고 있다.

메모들

  1. ^ Knotel, Richard (1980). Uniforms of the World. A Compendium of Army, Navy, and Air Force Uniforms 1700-1937. p. 334. ISBN 0-684-16304-7.
  2. ^ Nakanishi, Ritta. Japanese Military Uniforms 1841-1929. p. 44. ISBN 4-499-22737-2.
  3. ^ Drury, Ian (14 November 1994). The Russo-Turkish War 1877. p. F. ISBN 1-85532-371-0.
  4.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 585페이지, 제27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