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젤루스 실레시우스
Angelus Silesius안젤루스 실레시우스 | |
---|---|
태어난 | 요한 셰플러 1624년 12월 25일 세례를 받았습니다. |
죽은 | 1677년 7월 9일 (만 52세) 브레슬라우, 실레지아, 합스부르크 군주국 |
모교 |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라이덴 대학교 파도바 대학교 |
직업 | 가톨릭 사제, 의사, 신비주의자, 종교시인. |
주목할 만한 작품 | 하일리게 실렌-러스트 (1657) 체루비니셰르 방더스만 (1657) 에클레시오날리아 (1677) |
안젤루스 실레시우스(Angelus Silesius, OFM, 1624년 – 1677년 7월 9일)c.는 요한 셰플러(Johann Scheffler)라는 이름으로 태어난 독일의 가톨릭 사제, 의사, 신비주의자, 종교 시인이었습니다.루터교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는 네덜란드에서 공부하면서 중세 신비주의자들의 작품을 읽기 시작했고 뵈메의 친구인 아브라함 폰 프랑켄베르크를 통해 독일 신비주의자 야콥 뵈메의 작품들을 알게 되었습니다.[1]실레시우스는 자신의 신비로운 믿음을 보여주는 것이 루터교 권위자들과의 긴장을 야기했고 1653년 결국 가톨릭으로 개종하도록 이끌었는데, 그는 안젤루스(Angelus, "천사" 또는 "하늘의 사자"를 뜻하는 라틴어)라는 이름과 실레시우스(Silesius, "실레시아어")라는 별칭을 채택했습니다.[2]그는 프란치스코회 아래에서 신성한 명령을 받았고 1661년에 사제 서품을 받았습니다.10년 후인 1671년, 그는 예수회 집으로 은퇴했고 그곳에서 여생을 보냈습니다.[2]
열성적인 개종자이자 성직자였던 실레시우스는 실레시아의 독일 개신교 신자들이 로마 가톨릭 교회로 돌아가도록 설득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2]그는 개신교를 비난하는 55개의 책과 팜플렛을 작곡했는데, 그 중 몇 권은 에클레시오학(Ecclesiologia, 즉, 에클레시오학)이라는 제목의 2권의 책으로 출판되었습니다.그러나 현재 그는 주로 신비로운 시로 기억되고 있으며, 특히 1657년에 출판된 두 편의 시 작품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가톨릭 신자와 개신교 신자들이 사용해온 200여 편의 종교 찬송가 텍스트를 모은 '하일리제 실렌-루스트'와 알렉산드린 커플렛이 대부분인 1,676편의 짧은 시 모음집 '체루비니셔 완더스만'.그의 시는 신의 위대함, 삼위일체에 대한 신비한 해석, 정숙주의적 관습, 범신론 등의 현대적 주제를 정통 가톨릭의 맥락 안에서 탐구합니다.[2]
인생
어린시절과 교육
그의 정확한 출생일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실레시우스는 실레시아의 수도인 브레슬라우에서 1624년 12월에 태어났다고 믿어집니다.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624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세례를 받았다는 것입니다.그 당시, 실레지아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한 지방이었습니다.오늘날, 이것은 폴란드의 남서부 지역입니다.세례를 받은 요한 셰플러는 세 자녀 중 첫째였습니다.1624년 2월에 결혼한 그의 부모님은 루터교의 개신교 신자였습니다.[3]그의 아버지 스타니슬라우스 셰플러 (1562–1637)는 폴란드 혈통이었고 하위 귀족의 일원이었습니다.스타니슬라우스는 그의 일생을 군대에 바쳤고, 보로비체의 영주(또는 보르비체)가 되었으며 지기스문트 3세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았습니다.[1]그의 아들이 태어나기 몇 년 전, 그는 크라쿠프에서 군복무를 마치고 은퇴했습니다.1624년, 그는 62세였습니다.아이의 어머니 마리아 헤네만 (1600년경–1639년)은 합스부르크 황실과 관련이 있는 지역 의사의 24세 딸이었습니다.[4]
셰플러는 브레슬라우에 있는 엘리자베스 체육관(성 엘리자베스 체육관, 혹은 고등학교)에서 초기 교육을 받았습니다.그의 가장 초기의 시들은 이 형성기 동안 쓰여지고 출판되었습니다.Scheffler는 아마도 시인이자 학자인 Martin Opitz와 그의 스승 중 한 명인 Christoph Köler의 영향을 받았을 것입니다.[4]
그는 그 후 1643년 알자스에 있는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의학과 과학을 공부했습니다.[1]그것은 르네상스 인문주의를 받아들인 학문의 과정을 가진 루터교 대학이었습니다.1644년부터 1647년까지 레이던 대학교에 다녔습니다.이 때, 그는 Jacob Böhme (1575–1624)의 글을 알게 되었고 Böhme의 친구 중 한 명인 Abraham von Franckenberg (1593–1652)와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아마도 그에게 고대 카발리스트의 글, 연금술, 그리고 해석학, 그리고 암스테르담에 살고 있는 신비주의 작가들을 소개했을 것입니다.[1][4][5]프란켄베르크는 셰플러가 네덜란드에 거주할 때 뵈메의 작품 전집을 편찬하고 있었습니다.네덜란드 공화국은 유럽의 다른 곳에서 박해를 받았던 많은 종교 종파, 신비주의자, 학자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했습니다.[4]그 후 셰플러는 이탈리아로 가서 1647년 9월 파도바에 있는 파도바 대학교에 입학했습니다.1년 후, 그는 철학과 의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고국으로 돌아갔습니다.[1]
의사
1649년 11월 3일, 셰플러는 뷔르템베르크-오엘스 공작 실비우스 1세 님로드(1622–1664)의 궁정 주치의로 임명되었고 175 탈러의 연봉을 받았습니다.비록 그가 "그의 좋은 자질과 의학에 대한 경험 때문에 공작에게 추천되었다"[1]고 할지라도, 셰플러의 친구이자 멘토인 아브라함 폰 프랑켄베르크가 공작과 가까운 점을 고려할 때, 그의 임명을 주선했을 것으로 보입니다.프랑켄베르크는 공국 내 오엘스 근처의 루드비히스도르프 마을 출신의 작은 귀족의 아들이었습니다.[5]Frankenberg는 그 전 해에 그 지역으로 돌아갔습니다.[5]셰플러의 처남이자 뷔르템베르크-오엘스 공작의 주치의이기도 했던 토비아스 브뤼크너가 그를 추천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4]루터교 교리에 대한 그의 개인적인 신비주의와 비판적인 견해들(특히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서에 대한 그의 의견 불일치)이 공작과 공작 궁정의 구성원들과 마찰을 일으켰기 때문에 셰플러는 곧 그의 위치에서 행복하지 않았습니다.그 공작은 역사에서 "열혈 루터교 신자이며 매우 편협한" 인물로 특징지어졌습니다.[1]공교롭게도 셰플러가 신비로운 환영을 갖기 시작한 것은 바로 이때였는데, 이는 그의 공개적인 선언과 함께 지역 루터교 성직자들이 그를 이단자로 간주하게 만들었습니다.1652년 6월 프란켄베르크가 선종하자 셰플러는 사임하고 로마 가톨릭교회의 보호 아래 피난처를 찾아 나섰습니다.[6]
사제시인
제국의 개혁주의 국가들의 루터교 권위자들은 셰플러의 증가하는 신비주의에 관대하지 않았고, 그는 이단자라고 비난을 받았습니다.이 시기 합스부르크의 통치자들(가톨릭 신자들)은 반종교 개혁을 추진하고 있었고 유럽의 재가톨릭화를 주장했습니다.[7]1653년 6월 12일 브레슬라우의 성 마티아스 교회에 의해 받아들여졌습니다.그는 그리스어 앙겔로스(ἄγγελος, "전령자")에서 유래한 라틴어 형태인 앙겔로스(Angelus)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고, 그의 별명을 따서 실레시우스(실레시아어, "실레시아어"를 뜻하는 라틴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그가 왜 이 이름을 지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그는 그의 고향인 실레시아를 기리기 위해 또는 가장 좋아하는 학자, 신비주의자 또는 신학자를 기리기 위해 이 이름을 붙였을지도 모릅니다.아마도 스페인 신비주의 작가 후안 데 로스 앙헬레스(사랑의 승리의 저자)나 다름슈타트의 루터교 신학자 요한 안젤루스(Johann Angelus)와 같은 그의 시대의 다른 유명한 작가들과 구별하기 위해서입니다.[1][4]그는 더 이상 셰플러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가끔 그의 이름인 요한을 사용했습니다.1653년부터 죽을 때까지, 그는 안젤루스 실레시우스와 요한 안젤루스 실레시우스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1654년 3월 24일 실레시우스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3세의 궁정 의사로 임명되었습니다.하지만, 실레시우스는 제국의 궁정을 섬기기 위해 비엔나에 가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은 아마도 루터교의 공격자들에 대한 공식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명예로운 자리였을 것입니다.그가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단 한 번도 의술을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1]
1650년대 후반, 그는 빈과 브레슬라우의 가톨릭 당국으로부터 그의 시를 출판하기 시작하는 허가를 구했습니다.[1]그는 어린 나이에 시를 쓰기 시작했고, 1641년과 1642년에 한 남학생이 가끔 몇 편의 작품을 출판했습니다.[4]그는 뷔르템베르크-오엘스 공작을 위해 일하는 동안 시를 출판하려고 시도했지만, 공작의 정통 루터교 궁정 성직자인 크리스토프 프라이탁에 의해 허락을 받지 못했습니다.그러나, 가톨릭 교회의 승인을 얻은 후, 1657년에, 그의 작품들인 Heilige Seelen-Lust (영혼의 성스러운 욕망)과 Der Cherubinische Wandersmann (The Cherubinic Pilgrim)의 두 시집이 출판되었습니다.
1661년 2월 27일 실레시우스는 프란치스코회로서 신성한 명령을 받았습니다.3개월 후, 그는 성공적인 재가톨릭화 지역이자 지역 내 두 개의 교회 국가(즉, 왕자 주교가 통치하는) 중 하나인 실레시아 니세 공국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습니다.그의 친구인 세바스찬 폰 로스토크 (1607–1671)가 브레슬라우의 주교가 되었을 때, 실레시우스는 그의 라툰드 호프마르샬 (상담가이자 체임벌린)로 임명되었습니다.[7]이 기간 동안, 그는 루터교와 종교개혁을 공격하는 50개가 넘는 책을 출판하기 시작했습니다.이 에세이들 중 39편은 나중에 에클레시오학(Ecclesiologia, 1676)이라는 제목의 2권짜리 폴리오 모음집으로 편찬되었습니다.[2]
죽음.
1671년 브레슬라우의 주교가 사망한 후, 실레시우스는 브레슬라우의 성 마티아스 교회와 관련된 예수회 저택인 붉은 별(마티아스스티프트)과 함께 십자가 기사단 호스피스로 은퇴했습니다.[2][4]그는 1677년 7월 9일에 사망하여 그곳에 묻혔습니다.일부 소식통들은 그가 결핵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다른 이들은 그의 질병을 "낭비성 질병"이라고 묘사하고 있습니다.[1]그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 몇몇 개신교 반대자들은 실레시우스가 교수형을 당했다는 사실이 아닌 소문을 퍼뜨렸습니다.[4]그의 유언에 따라, 그는 아버지의 고귀한 사유지로부터 대부분 물려받은 그의 재산을 고아원을 포함한 경건하고 자선적인 기관들에 분배했습니다.[2]
중요성
그의 작품 해석
안젤루스 실레시우스의 시는 바로크 시대 독일 시와 신비주의 문학을 지배했던 스타일인 알렉산드린 커플렛 형태의 경구로 크게 구성되어 있습니다.[1]베이커에 따르면, "단순함과 날카로움에 대한 경향을 가진 경구는 신비주의 경험의 비효율성이라는 미적 문제에 대처하기에 적합한 장르"이기 때문에 이 경구는 신비주의를 전달하는 데 핵심적이었습니다.[8]æ디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은 이 경구들을 랭스프리슈(Rimsprüche) 또는 운율이 있는 방언으로 정의하고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야콥 뵈메와 그의 추종자들의 글을 통해 그려진 이상한 신비주의 범신론을 형상화했습니다실레시우스는 신비주의의 미묘한 역설 속에서 특히 기뻐했습니다.예를 들어 하나님의 본질은 사랑을 유지했습니다. 하나님은 자신보다 열등한 것은 사랑할 수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는 스스로 밖으로 나가지 않고, 말하자면 자신의 무한함을 유한한 형태로 드러내지 않고, 다시 말해서 사람이 됨으로써 자신에게 사랑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그러므로 신과 인간은 본질적으로 하나입니다.[9]
실레시우스의 시는 독자가 물질적 또는 물리적 필요와 인간의 의지를 회피함으로써 원하는 영적 상태, 영원한 정적을 향한 길을 모색하도록 지시합니다.그것은 아포파틱 신학의 사상과 대립과 역설에 의해 정보를 받는 하나님에 대한 이해를 요구합니다.[10]범신론이나 범신론과 경계를 이루는 실레시우스의 몇몇 저술과 신앙은 실레시우스와 지역 개신교 당국 사이의 긴장을 야기시켰습니다.그러나 체루비니셰르 완데르스만의 서론에서 그는 가톨릭 정통주의의 틀 안에서 그의 시(특히 그 역설)를 설명하고 가톨릭 교리에 위배되는 범신론을 부인했습니다.[2]
그의 신비주의는 유명한 작가 마이스터 에크하트 (1260–1327), 요하네스 타울러 (1300–1361), 하인리히 수소 (1300–1366), 얀 반 뤼스브로크 (1293/4–1381)의 영향뿐만 아니라 뵈메와 프랑켄베르크의 영향에 의해 알려졌습니다.[4]비평가이자 문학 이론가인 Georg Ellinger는 Silesius에 대한 그의 연구에서 그의 시는 외로움, (특히 그의 부모님의 죽음과 어린 시절에 고아가 된 것 때문에) 통제되지 않은 충동성, 그리고 개인적인 성취감의 부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고 추측했습니다.그의 시의 많은 부분을 고백하게 만들고 내적인 심리적 갈등을 보여줍니다.[11]
찬송가에 사용
실레시우스의 시들 중 몇몇은 개신교와 가톨릭 예배에서 사용되는 찬송가로 사용되거나 각색되었습니다.초기 루터교와 개신교 찬송가에서 이 가사들은 개신교에 대한 비판과 옹호로 유명한 가톨릭 실레시우스가 쓴 것임을 인정하기보다는 "익명"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6]많은 경우, 실레시우스의 구절은 인쇄물로 "익명"이나 "I.A."에 기인합니다. I.A.가 Iohannis Angelus의 라틴어 이니셜이었던 반면, 그것들은 종종 "알려지지 않은 작가"를 의미하는 Incerti auctoris로 잘못 해석되었습니다.마찬가지로, 몇몇 진짜 익명의 작품들은 같은 애매한 이니셜 덕분에 나중에 실레시우스에게 잘못 귀속되었습니다.[6]실레시우스의 시는 뉘른베르크 게상 부흐(1676), 프레이링하우젠 게상 부흐(1704), 포르스트 게상 부흐(1713), 부르크 게상 부흐(1746)에 발표된 찬송가 가사에 등장합니다.니콜라우스 진젠도르프(Nicolaus Zinzendorf)의 Christ-Catholisches Singe und Bet-Büchlein (1727)에는 그의 구절을 사용한 79곡의 찬송가가 수록되어 있습니다.18세기 동안, 그것들은 루터 교회, 가톨릭 교회, 모라비아 교회에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6]이런 찬송가들 중 많은 것들이 오늘날에도 기독교 교회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습니다.
대중문화에서
- 1934년에 휴고 디스틀러는 케루비닉 순례자의 텍스트를 바탕으로 자신의 토텐탄즈 14개 모테트를 만들었습니다.
- 아르헨티나의 작가이자 시인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1899~1986)는 시에테 노체(Siete Noces, 1980)라는 제목의 강연 시리즈에서 시의 본질은 실레시우스의 한 줄로 요약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보르헤스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나는 17세기에 안젤루스 실레시우스라는 이상하게 현실적이고 시적인 이름을 가져갔던 시인의 위대한 대사로 끝을 맺을 것입니다.이것은 제가 오늘밤에 한 모든 말의 요약입니다 - 제가 추론과 모의 추론을 통해 한 말을 제외하고 말입니다.스페인어로 먼저 말하고 나서 독일어로 하겠습니다.
- 라로에스 신 포르케; 꽃 포르케 꽃.
- Die Rose는 ohne warum이고 sie bluhet weil sie bluhet입니다.[12]
그가 인용한 대사는, Die Rose는 ohne warum이고, sie bluhet, weil sie bluhet...실레시우스의 '케루비닉 순례자'(1657)에서 다음과 같이 번역할 수 있습니다. "장미는 '어디에' 있지 않습니다. 그녀는 꽃을 피우기 때문에 꽃을 피웁니다."신비주의의 영향은 보르헤스의 작품, 특히 실레시우스와 그의 작품을 자주 언급하는 그의 시에서 보입니다.[13]
- 이 같은 대사는 마틴 하이데거(1889-1976)의 작품에서 자주 언급되었는데, 그는 (라이프니츠와 헤겔의 작품을 기반으로) 진리 이론을 경이롭고 이성적인 설명을 거부하는 것으로 정의했습니다.[14]하이데거는 독일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라이프니츠 (1646–1716)의 이성 철학에 대해 언급하고 있었는데, 그는 신비주의의 시를 "아름답지만," "비범하게 대담하다," 라고 평했습니다.실레시우스의 신비주의가 라이프니츠의 적신대화 원리에 반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비유들로 가득 차 있고 거의 무신에 가까울 정도로 기울어 있다,[15][16] 즉 이성의 원리.[16]
- 마틴 스콜세지가 감독한 1991년 미국 영화 케이프 피어에서, 이 영화의 가학적인 적대자 맥스 캐디(로버트 드 니로 분)는 실레시우스의 한 구절을 인용합니다.[17]그 구절은:
10. Ich bin wie Gott, and Gottweich. | 나는 하나님과 같고 하나님은 나와 같습니다. |
—영화에 사용되는 영어 번역 |
하지만 영화 속 이 대사의 맥락은 안젤루스 실레시우스가 의도한 의미와 모순됩니다.맥스 캐디는 신의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으며, 실레시우스의 시를 인용하여 자신이 의도한 희생자들에게 그의 개인적 의지의 힘과 폭력적인 복수를 할 수 있는 신과 같은 능력을 강조합니다.실레시우스가 의도한 맥락은 그가 신비적인 신의 결합 또는 신의 존재, 즉 신앙자와 하나님 사이에 동등한 사랑의 직접적인 교감의 경험의 의미에서 하나님과 동일한 실체라는 것을 완벽함에 대한 그의 영적 잠재력을 통해 깨닫는 것이었습니다.[9]
작동하다
시
- 1642: 보너스 컨실리어스 (트랜스).굿 카운슬러)
- 1657: 하일리게 실렌-루스트, 아이렌 예숨 베를리브텐 프쉬케의 히르텐리데데르 (트랜스).영혼의 거룩한 욕망, 혹은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영혼 속의 목자의 영적 노래)
- 1657: Geistreiche Shin-und-Schlussreime zur Göttlichen Beschaulichkeit (트랜스).1674년 제2판에서 체르비니셰 완데르스만(Der Cherbinische Wandersmann)으로 개명된 "신성한 평온을 향한 종말-림스의 독창적인 격언" 또는 "신성한 평온을 향한 종말-림스의 재치 있는 격언"."체루비닉 순례자")
- 1675: Sinnliche Beschreibung der vierzten Dinge, zu heilsamen Schröken and Auffmunterung aler Menschen in Druckgeben. Mit der himmischen Procession vermehrt, &c."마지막 네 가지를 감각적으로 표현...")
신학문과 논설문
- 1653: 그룬틀리체 우르사헨 폰 모티븐, 워럼 에르 폰뎀 루터툼바게트레텐, 언치 주더 카톨리센 키르첸 베케네 모자. (트랜스)"그가 루터교에서 벗어나 가톨릭 교회에 고백한 동기에 대한 철저한 조사")
- 1663: 튀르켄-슈리프트 폰 덴 우르샤헨데어 튀르키셴 위베르지에흥.(트랜스)터키인에 대한 글: 터키 침공의 원인 중")
- 1664: Kehr-Wisch Zu Abkehrung des Ungeziefers Mitwelchemeine wolgemeint Tückenschrifft Christianus Chemnitius whole verfast machen.(트랜스)"크리스티아누스 켐니티우스가 터키인들에 대한 그의 선의의 글을 채우기 위해 가졌던 헛소리의 소탕")
- 1664: Zerbrochene Triumphs-Wagenauff welchemer Uberdie Luteraner triumphirendeinzufarrenihim im Traumborkmen lassen(트랜스)"꿈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루터교인들에게 의기양양하게 말할 수 있는 부서진 승리의 마차")
- 1664: Christen-Schrifft Von demherrlichen Kennzeichen de Volkes Gottes.(트랜스)"기독교 경전이 하나님 백성의 사랑스러운 흔적이라는 것")
- 1664: 언드 쉐플러 재도착! 다 ß리스트 요하니스 셰플러 슈츠-레드 퓌르시흐와 센 크리스텐-슈리프트."그리고 셰플러는 여전히 말을 합니다!요한 셰플러 자신과 그의 기독교 경전을 위한 수호 연설")
- 1665: Kommether und Sehettit vernünfftigen Augenwie Joseph und die Heiligen beyond den Catholischengehret.(트랜스)"가톨릭 신자들에 의해 요셉과 성자로 합당한 눈으로 미화된, 와서 보라")
- 1665년: 루터교의 지도자 칼빈리스텐 압고트 데어 베르눈펜트블뢰셋 다게스텔트.(트랜스)"루터인과 칼뱅주의자들의 이성의 신은 부인했습니다.")
- 1665: Gülden-Griff Welcher Gestalt alle Kettzer auch von dem Ungellehrtesten leichtlich könenemeisterden.
- 1666: Des Römischen Bapists Oberhauptmannschaft über die gantze algemeine Kirche Christi.(트랜스)"로마 침례교의 그리스도의 교회 전체에 대한 지도력")
- 1667: 요하니스 셰플러 그룬드리체 아우 ß퓌룽 다 ß 사망 루터교 신자 auffeine wezeen Glauben in der Schrifft zeigen vermögen und dihr Gottein blower Wahn Bildoder Dingihr Vernunfftsey.(트랜스)"루터인들은 그들의 하나님을 단지 환각이거나 이성적인 것으로 보여주기 위해 성경에 대한 그들의 믿음으로 가는 길이 없다는 철저한 대처")
- 1670년: 슐레지엔의 쿠르트제 에뢰르테룽 데 프리지 오브디 루터교 인 인 인스트루멘토 파치스덴 아우크스부르크시첸 고백-베르완텐 베를리에넨 종교-프라이하이트 시흐 게트뢰스텐 쾨넨.(트랜스)"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이 평화의 도구로 받아들여진 실레지아의 루터교인들에게 종교적 자유가 존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짧은 논의")
- 1670: Christiani Sendschreiben AnAlle Evangelische Universitäten in welchemer seine Gewissens-Scrupel proponirt.(트랜스)"모든 양심적인 기독교인들께:모든 개신교 대학에 보낸 편지에서 그는 양심의 가책을 제안합니다.)
- 1671: Johann Schefflers Erwei ß Erwei Da ß der gröste Hauffe die rechte Kirchey; Unmansich kurtzumb zu der Catholischen Kirche begeben musse woman ewig Seeligwerden will.(트랜스)"진정한 교회는 가장 위대한 집이라는 요한 셰플러의 지식 - 당신이 영원히 축복받을 가톨릭 교회에 가는 것")
- 1672: J.E. Information Schreiben Wegen des Fegfeuers an E.V. Welchem unüberwindicherwiesen wird da ß merhals zwey Orte der Seelenach dem Todewe unde in Fegfeuersey.(트랜스)"죽은 후 영혼의 두 곳 이상과 연옥을 극복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연옥에 대한 유익한 편지")
- 1673: Hierothei Boranowsky Gerechtfertigger Gewissens-Zwang Oder Erwei ß 다 ß 맨 다이 Ketzer zum wahren Gaubenzwingen kön und sole(트랜스)보라노프스키의 '양심의 정당한 강요', 또는 이단자들을 진정한 신앙에 강요할 수 있고 강요해야 할 것에 대한 지식")
- 1675: Johannis Schefflers Alleiniges Him[m]elreich Dasist Abweisung Deschädlichen Whans da ß man Wol Seeligwerden könwen gleich nicht Catholisch wird.(트랜스)"존 셰플러의 천국은 가톨릭 신자가 아니면 구원받을 수 있다는 해로운 망상을 혼자서 거부합니다.")
- 1675: D. J. Schefflers Vernünfftiger Gottes-Dienst.(트랜스)"J. Scheffler의 신에 대한 합당한 봉사")
- 1675: Der Catholisch gewordene Bauer And Lutherische 닥터 (트랜스)"가톨릭 신자는 농부가 되고 루터교 의사가 됩니다")
- 1677: Ecclesiologia Oder Kirche-Beschreibung.(트랜스) "교회의 말씀, 혹은 교회에 대한 설명")
참고 항목
참고문헌
메모들
- ^ a b c d e f g h i j k l Paterson, Hugh Sinclair; Exell, Joseph Samuel (October 1870). "Angelus Silesius: Physician, Priest and Poet". The British & Foreign Evangelical Review. Vol. XIX. London: James Nisbet & Co. pp. 682–700, based in large part on Kahlert, August (Dr.). Angelus Silesius: Ein literar-historiche Untersuchung (Breslau: s.n., 1853).
{{cite book}}
: CS1 메인 : 포스트스크립트 (링크) - ^ a b c d e f g h i Benedict, Guldner (1907). Catholic Encyclopedia. Vol. 1.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 In Herbermann, Charles (ed.).
- ^ 출처(플리치, 비디오 인프라 포함)에 따르면 그에게는 여동생 막달레나(b. 1626)와 동생 크리스티안(b. 1630)이 있었다고 합니다.그의 여동생 막달레나는 토비아스 브뤼크너라는 이름의 의사와 결혼했습니다.그의 형 크리스찬은 역사에 "마음이 아프다"거나 정신질환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 a b c d e f g h i j "II THE CHERUBINIC WANDERER". www.sacred-texts.com. Translated by Flitch, J. E. Crawford.
- ^ a b c 스탁텀, T.C. 폰.Zwischen Jakob Böhmeund Johannes Scheffler: Abraham von Franckenberg (1593–1652)와 Daniel Czepko von Reigersfeld (1605–1660).(암스테르담:메델링겐더 코닌클리케 네덜란세 아카데미 폰 베텐샤펜, 1967), passim.
- ^ a b c d 해트필드, 에드윈 프랜시스교회의 시인들: 찬송가에 메모를 한 찬송가 작가들의 전기 스케치 시리즈.(뉴욕: 앤슨 D.F. 랜돌프 & Co., 1884), 페이지 530.
- ^ a b c 카루스, 폴.공개법정 제22권 "Angelus Silesius" (시카고:오픈코트 출판사, 1908), 290–297.
- ^ Baker, Christopher (ed.), "Johan Scheffler (Angelus Silesius)" 절대주의와 과학혁명, 1600–1720: 전기사전 (코네티컷주 웨스포트:그린우드 프레스, 2002), 343.
- ^ a b Chisholm, Hugh, ed. (1911),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2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
- ^ 라인하트, 맥스 (ed.)초기근대독일문학 1350-1700. 캄덴하우스 독일문학사제4권 (로체스터, 뉴욕: 캠든 하우스, 2007), 447.
- ^ 엘린저, 게오르그.앙겔루스 실레시우스 (Breslau: W.G. Korn, 1927)
- ^ 보르헤스, 호르헤 루이스.시에테 노체스. (멕시코시: Fondo de Cultura Economica, 1980), 120–121; 와인버거 옮김, 엘리엇.세븐 나이트. (뉴욕: 뉴 디렉션스, 1984), 93–94.강의는 원래 1977년에 이루어졌습니다.
- ^ 예를 들어, Eloro de los tigres (PDF) (1972)의 Borges 시 Alidioma aleman ("독일어로")를 참조하십시오.
- ^ Caputo, John D. (1986) [First edition: 1978, Ohio University Press]. "A Verse from Angelus Silesias". The Mystical Element in Heidegger's Thought. Fordham University Press. pp. 60–66. ISBN 0-8232-1153-3.
- ^ 두텐스, 루도비치 (ed.) 고토프레디 길렐미 라이프니티 오페라 옴니아 (6권) (제네바: s.n., 1768; 힐데스하임 재인쇄:Georg Olms, 1989), VI:56.
- ^ a b 하이데거, 마틴사츠 데어 스톰 그룬드Verlag Gunther Neske, 1957), 68–69; Lilly, Reginald 번역.이성의 원리. (인디애나폴리스:인디애나 대학 출판부, 1991), 36 ff.
- ^ 스트릭, 웨슬리 그리고 웹, 제임스 R.1991년 영화 《케이프 공포》의 각본은 존 D의 소설 처형자들을 각색한 것입니다.맥도날드.
- ^ Silesius, Angelus (1966). Aus dem Cherubinischen Wandersmann. Stuttgart: Reclam. p. 23.
- ^ Silesius, Angelus. "Cherubinischer Wandersmann". Zeno.org. Retrieved 31 December 2014.
추가열람
- 안젤루스 실레시우스.한스 루트비히 헬드(Hans Ludwig Hold)가 편집한 Saemtliche Poetische Werke(뮌헨: 칼 한서르 베를라그, 1952)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2 (9th ed.). 1878. p. 28. .
- 던하우프트, 게르하르트."요하네스 셰플러" 바로크 인쇄 개인 서지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5권: 프래토리우스 – 슈페. (슈투트가르트:Hiersemann, 1991), 3527-3556. ISBN 3-7772-9013-0
- Föllmi, Hugo Czepko 그리고 Scheffler. Angelus Silesius의 "Cherubinischem Wanderer"와 Daniel Czepkos의 "Sexcenta Monodisticha Sapientum"에 관한 연구(논문: Jurich, 1968)
- 하이두크, 프란츠.독일문학사전에 수록된 '셰플러, 요한'. 전기 및 서지 가이드. 14권: 소금칼 – 실링콜시, W. 러프, H. 랭, C.L. 편집자들.(제3판 – 베를린, 드 그뤼터, 1992), 349–359.ISBN 3-317-01649-3
- 키엔즐러, 클라우스."실레시우스 앙겔루스, 본명 "요한 셰플러" (BBKL) 전기 성경 교회 백과사전에서. 제10권. (헤르츠베르크, 바우츠, 1995), 322–324.ISBN 3-88309-062-X
- Lemcke, Louis.General German Biography (ADB)의 "Angelus Silesius" 1권 (라이프치히:Dunker & Humblot, 1875), 453–456.
- 레이허트, 에른스트 오토."존 셰플러 논쟁 신학자 역의 에른스트 오토 라이허트.학파 논쟁적 논문 "에클레시올로지아"에서 제시됨, Geschichte und Geisteswissenschaft 4 (trans.종교, 역사 그리고 인문학에 관한 연구 4) (Gütersloh: Gütersloh 출판사 G.Moon, 1967; Münster and Westphalia:Habil 글꼴).ISSN 0081-718X
- 셰퍼, 레나테.Angelus Silesius (논문) Universität Bon, 1958의 언어에 특히 주의를 기울인 표현 형식으로서의 부정.
- 스탬플러, 볼프강."Angelus Silesius" (뉴 저먼 전기). 1권(베를린:Duncker & Humblot, 1953), 288–291.ISBN 3-428-00182-6
- 웨어, 게르하르트.안젤루스 실레시우스: 미스틱.(Wiesbaden: Marix Verlag, 2011).ISBN 978-3-86539-258-9.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커먼즈의 안젤루스 실레시우스 관련 매체
- 위키쿼트의 안젤루스 실레시우스 관련 인용문
- 이중언어 오디오 녹음이 있는 체루비닉 방랑자 선택
- 실레시우스의 영어 번역본 두 권.
- Silesius, Angelus (1905). Des Angelus Silesius Cherubinischer Wandersmann. Jena und Leipzig: Eugen Diederichs.
- LibriVox의 Angelus Silesius 작품 (퍼블릭 도메인 오디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