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샤르
Abarshahr아바샤르 | |||||||||||||
---|---|---|---|---|---|---|---|---|---|---|---|---|---|
사사니아 제국의 현 | |||||||||||||
c. 240–651 | |||||||||||||
사산 후기 아바샤르 지도(극우)와 그 주변 환경 | |||||||||||||
자본 | 니사푸르[1] | ||||||||||||
역사 | |||||||||||||
역사시대 | 후기 고대 | ||||||||||||
• 확립됨 | c. 240 | ||||||||||||
• 설정되지 않음 | 651 | ||||||||||||
| |||||||||||||
오늘의 일부 |
아바르샤르는 고대의 후기 사사니아 지방으로, 호라산 유역에 있었다. 지방은 서쪽으로는 미디어, 북쪽으로는 히르카니아, 동쪽으로는 마르기아나, 남쪽으로는 하레브와 접해 있었다. 아바샤르 총독은 국경 지방의 총독들에게 주어지는 마즈반이라는 칭호와 구별되는 독특한 카나랑이라는 칭호를 지녔음을 증명한다.
어원
그 지방의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어법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중세 시대에 아랍 지리학자들은 그 이름이 "클라우드 도시"[2]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것은 또한 "상위 국가"[3]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아바샤르가 아판-x샤르에서 유래했다는 보다 최근의 어원은 '아파르니의 땅'이 가장 정확한 것으로 평가된다.[4]
역사
The province was formed during the reign of Shapur I as part of his efforts to establish greater centralisation in the empire, and was made up of the vassal kingdom of Satarop, who had declared fealty to Shapur's father, Ardashir I, after his victory over the last Parthian king, Artabanus V, at the Battle of Hormozdgān in 224 AD.[5] 니샤푸르 시(중간 페르시아어: Nēw-S̲̲ahpur "좋은 도시 샤푸르")는 샤푸르 1세가 아바르샤흐르의 행정수도로 설립하거나 재건한 것으로, 조로아스터교도들이 신성시하는 3개의 '위대한 불' 중 하나가 있는 아두르 부르젠-미르의 신전에 인접해 있다.[6] 니사푸르는 유목민족의 습격에 대항하여 옛 수도였던 투스보다 더 안전한 지역으로 여겨졌다.
마니차이즘의 창시자인 마니의 제자 마르 암모는 260년대 파르티아 왕자 아르다반 등과 함께 아바샤르로 사명을 이끌었다. 마르 암모가 파르티아 귀족들 사이에서 설교하고 마니차이즘을 전파할 수 있도록 아르다반이 파르티아 엘리트들의 일원으로서 도움을 줬다는 설이 제기된다.[8]
629년, 628-632년 사사니아 내전 중 아바샤르는 잠시 사사니아인 외침공 호스로 3세의 지배를 받았다. 651년 마지막 사산 왕 야즈데게르드 3세가 자신의 장군 마회수리의 명에 의해 살해되었는데, 이는 사산 왕조의 종말을 알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아바샤르는 더 이상 사사니아의 지배하에 있지 않은 카나랑의 지배를 계속 받았다. 그러나, 이것은 곧 끝나게 되었다: 652년 아바샤르는 아랍의 장군 압둘라 이븐 아미르에게 침공을 당했고, 그는 가나드박 카나랑과 조약을 맺었다. 조약에서 카나드박은 여전히 투스의 영토를 장악하고 있는 동안 아랍인들에게 경의를 표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동시에 부르진 샤(Burzin Shah)와 사와르 카린(Sawar Karin) 휘하의 니샤푸르 카렌족들은 가나드박(Kanadbak)과 압둘라(Abula)를 위협하고 있었고, 한때 그들의 지배하에 있던 니샤푸르(Nisapur)와 같은 도시들이 포함된 호라산의 영토를 되찾는데 성공했다.[9] 압둘라는 그 후 카렌 반군에 대한 원조의 대가로 카나드박에게 잃어버린 영토를 돌려주겠다고 약속했다. 그 후, 니샤푸르 주변 지역을 약탈하기 시작했고, 도시를 점령하기 위해 격렬하게 싸웠다.
그 후 사와르는 압둘라와 화해하려 했고, 후자가 그를 사면 니시푸르 성문을 열겠다고 말했다.[10] 그러나 압둘라는 성문이 열리자 군대와 함께 성문 안으로 들어가 시민들을 약탈하기 시작했고, 가나드박은 그에게 "오 아미르, 일단 승리하고 승리한 용서는 복수와 보복보다 더 높은 것이다."라고 말했을 때, 압둘라는 후자의 말대로 하고 도시를 복구했다.라시둔의 신하로서 계속 통치했던 오 카나드박.[11]
참조
- ^ 이란 백과사전: BORZUYA
- ^ 워커, J. "아바르샤르" 이슬람 백과사전, 제2판 편집자: P. 베어만, Th. Bianquis, C.E. Bosworth, E. van Donzel, W.P. Heinrichs. 브릴 온라인, 2015
- ^ 이란 백과사전: ABARSHAHR
- ^ 다래이, 투라지. "아바르샤르." 이슬람 백과사전, 3 편집자: 케이트 플리트, 구드런 크래머, 데니스 매트링게, 존 나와스, 에버렛 로우슨. 브릴 온라인
- ^ Ehsan Yarshater (1968).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d Periods. p. 729. ISBN 9780521246934.
- ^ 호니그만, 보즈워스, C.E. "Nīs̲h̲āpūr." 이슬람 백과사전, 제2판 편집자: P. 베어만, Th. Bianquis, C.E. Bosworth, E. van Donzel, W.P. Heinrichs. 브릴 온라인, 2015
- ^ "stamp-seal; bezel British Museum". The British Museum.
- ^ 스즈사나 굴라시, 마니의 그림: 사사니아 메소포타미아에서 위구르 중앙아시아 및 탕밍 중국까지의 마니차이족의 교훈적 이미지[1], 페이지 74-75 [1]
- ^ 푸샤리아티(2008), 페이지 274
- ^ 푸샤리아티(2008), 페이지 273
- ^ 푸샤리아티(2008), 페이지 272, 275–276
원천
- Gaube, H. (1982). "ABARŠAHR". Encyclopaedia Iranica, Vol. I, Fasc. 1. p. 67.
- Pourshariati, Parvaneh (2008). Decline and Fall of the Sasanian Empire: The Sasanian-Parthian Confederacy and the Arab Conquest of Iran. London and New York: I.B. Tauris. ISBN 978-1-84511-6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