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360 Sila–Nunam

79360 Sila–Nunam
79360 Sila–Nunam
2004년 허블 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실라-눈
디스커버리
에 의해 발견됨J. X. 루우
D. C. 쥬잇
C. A. Trujillo
J. 첸 [1]
디스커버리 사이트마우나 케아 오브스.
발견일자1997년 2월 4일
지명
(79360) Sila–Nunam
발음/ˈslə ˈnnəm/[2]
1997년29 CS
TNO (cubewano)[3][4]
형용사Silaupian, Nunaupian[5]
궤도 특성[6]
2016년 1월 13일 Epoch (JD 2457400.5)
불확정성 파라미터3
관측호6940일(19.00년)
아펠리온44.8452 AU (6.70875 Tm)
근일점43.3862 AU (6.49048 Tm)
44.1157 AU (6.59961 Tm)
편심0.016536
293.02 yr (107026 d)
331.884°
0.00336367°/day
성향2.240951°
304.34152°
≈ 2055년[7] 10월 20일
±3개월
222.597°
알려진 위성1 at 2, 777 ± 19 km (1,725 ± 10 mi)
지구 MOID42.3938 AU (6.34202 Tm)
주피터 MOID37.9599 AU (5.67872 Tm)
물리적 특성
치수250±30km(Sila)
235±28km(눈암)
(합계 335+41-42km
)[8][9][10]
덩어리1.084±0.022x10kg(combined)
0.72g+0.37
−0.22
/cm3
300.24시간(12.510d)
12.50995 ± 0.00036 d[11]
0.086+0.026
−0.017
[8]
온도~42 K (−384 °F)
U-B=0.73
B-V=1.08
V-R= 0.66±0.04
B-R=1.74
V-I=1.25±0.03
R-J=1.4
V-J=2.06±0.03
J-H=0.38±0.08
V-H=2.45±0.08
21.54–21.78 (2014–2015)
(combined) 5.5,[12]
(개별) 6.2 & 6.3 (diff) = 0.12),[8]
5.2[6]

79360 Sila–Nunam, 가칭 1997 CS29 차가운[9] 고전 카이퍼 벨트 천체(큐브와노)이자 거의 같은 크기의 구성 요소로 구성된 쌍성계로, 태양계 해왕성 너머를 돌고 있습니다. 이 체계의 이름은 실라와 누남이라는 두 몸의 이름을 합친 것입니다.[13]

디스커버리

실라누남은 1997년 2월 4일 제인 X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데이비드 C. 하와이 마우나케아 천문대에 있는 주이트, 채드 트루히요, 준1997년29 CS로 잠정 명칭을 부여했습니다. 2002년 10월 22일 데니스 C에 의해 허블 관측에서 쌍성계로 확인되었습니다. 스티븐스키스 놀은 2005년 10월 5일에 발표했습니다.

이름.

두 가지 구성 요소는 이누이트 신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실라 "공기"(Inupiaq si a [si ʎə], 이누크티투트 실라)는 하늘, 날씨, 생명력의 이누이트 신입니다. 누나 "지구"(, Inupiaqamn Inuktitut nuna-m [nun əm])는 어떤 전통에서는 사일라의 아내인 지구의 여신입니다. 누나는 육지 동물들을 만들었고, 어떤 전통에서는 이누이트족(다른 전통에서는 사일라족이 젖은 모래로 최초의 사람들을 창조했습니다). 실라는 이누이트에 생명을 불어넣었습니다.[6]

궤도

Sila–Nunam은 동적으로 차가운 고전계(큐브와노)입니다. 행성은 해왕성과 4:7 평균 운동 공명에 매우 가깝게 공전하고 있습니다.[10]

물리적 특성

2010년, 원적외선의 실라-누남의 열 유속이 허셜 우주 망원경에 의해 측정되었습니다. 그 결과, 그것의 크기는 단일 몸체로 추정되었지만, 250에서 420 km (155에서 260 mi) 범위 내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10] 이제는 한 물체가 다른 물체의 95% 크기인 쌍성계로 알려졌기 때문에 지름은 243km와 230km(151마일과 143마일)로 추정됩니다.

Sila–Nunam은 가시광선에서 매우 붉고 근적외선에서 평평한 특징이 없는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습니다.[15][16] 익시온과 비슷한 근적외선 스펙트럼에는 물 얼음 흡수 밴드가 없습니다.[17]

Sila–Nunam은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하며, 이는 궤도 쌍성 주기와 같습니다(아래 참조). 광 곡선은 전체 주기의 절반과 같은 2차 주기로 이중 정점을 찍습니다. 시스템의 두 구성 요소의 회전은 궤도 운동과 동시에 잠기고 두 물체는 긴 축이 서로를 가리키며 길게 늘어집니다.[11] 2009년부터 2017년까지 Sila-Nunam은 상호 잠입 사건을 경험했습니다.[9]

이중계

Sila와 Nunam은 크기가 5% 이내로 매우 가깝기 때문에 더블 큐브와노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실라의 지름은 약 250km, 누남은 236km입니다. 그들의 알베도는 약 9%입니다. 이들은 12.51일마다 2,777 ± 19 km (1,726 ± 12 mi) 거리에서 공전합니다.[9][11]

반 장축: 2, 777 ± 19 km
궤도 주기: 12.50995 ± 0.00036 d
편심도: 0.020 ± 0.015°
기울기: 103.51 ± 0.39°

각각은 다른 쪽에 대한 충격으로 인한 분출물로 다시 표면화된 것으로 보입니다.[18]

참고문헌

  1. ^ "List of Transneptunian Objects". IAU Minor Planet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October 2008. Retrieved 2 August 2010.
  2. ^ 영어에는 이 이름들의 정해진 발음이 없지만, 아마도 이것이 그것들을 말하는 가장 쉬운 방법일 것입니다. 방언과 억양에 따라 이누이트어 모음 iu는 영어 봉인정오 또는 실과 누크와 유사할 수 있습니다. a는 영어의 'a'가 하는 방식을 연상시키는 방식으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소파의 'a'부터 고양이의 'a'까지). 마찬가지로, 이누이트 언어들은 독특한 강세가 없기 때문에 강세가 있는 음절도 다양합니다. 따라서 다양한 영어 발음이 에스키모어와 유사할 수 있습니다.알류트어.
  3. ^ "MPEC 2009-R09 :Distant Minor Planets (2009 SEPT. 16.0 TT)". IAU Minor Planet Center. 4 September 2009. Retrieved 4 October 2009.
  4. ^ Marc W. Buie.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79360" (2 February 2009 using 142 observation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Retrieved 4 October 2009.
  5. ^ Technocrats에 대한 Mallon(2000) Inuktitut 언어학 참조: 형태학
  6. ^ a b c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79360 Sila-Nunam (1997 CS29)" (2014-01-28 last obs). Retrieved 25 March 2016.
  7. ^ JPL 호라이즌스 관측자 위치: @sun (근일점은 deld가 음에서 양으로 변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근일점 시간의 불확실성은 3-시그마입니다.)
  8. ^ a b c d e f g h i j k l m "(79360) Sila-Nunam". Wm. Robert Johnston. 11 Jan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12. Retrieved 12 January 2012.
  9. ^ a b c d e f W.M. Grundy; S.D. Benecchi; D.L. Rabinowitz; et al. (2012). "Mutual events in the Cold Classical transneptunian binary system Sila and Nunam". Icarus. 220: 74–83. arXiv:1204.3923. Bibcode:2012Icar..220...74G. doi:10.1016/j.icarus.2012.04.014.
  10. ^ a b c Muller, T.G.; Lellouch, E.; Stansberry, J.; et al. (2010).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I. Results from the Herschel science demonstration phase (SDP)". Astronomy and Astrophysics. 518: L146. arXiv:1005.2923. Bibcode:2010A&A...518L.146M. doi:10.1051/0004-6361/201014683.
  11. ^ a b c David L. Rabinowitz; Susan D. Benecchi; William M. Grundy; Anne J. Verbiscer (2014). "The rotational light curve of (79360) Sila–Nunam, an eclipsing binary in the Kuiper Belt". Icarus. 236: 72–82. arXiv:1404.0244. Bibcode:2014Icar..236...72R. doi:10.1016/j.icarus.2014.03.046.
  12. ^ a b c Stephen C. Tegler. "Kuiper Belt Object Magnitudes and Surface Col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September 2006. Retrieved 1 August 2010.
  13. ^ 실라-누남 상호 이벤트(로웰)
  14. ^ 누남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주어/소유 접미사 -m을 포함하는 반면, 실라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누이트에는 그런 구분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nuna-m-i는 육지에 있는 반면, sila-m-i는 "밖에 있는" 것입니다.
  15. ^ Grundy, W.M.; Buie, M.W.; Spencer, J. R. (2005). "Near-Infrared Spectrum of Low-Inclination Classical Kuiper Belt Object (79360) 1997 CS29". The Astronomical Journal. 130 (3): 1299–1301. Bibcode:2005AJ....130.1299G. doi:10.1086/431958.
  16. ^ Fornasier, S.; Barucci, M.A.; de Bergh, C.; et al. (2009). "Visible spectroscopy of the new ESO large programme on trans-Neptunian objects and Centaurs: final resul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8 (1): 457–465. arXiv:0910.0450. Bibcode:2009A&A...508..457F. doi:10.1051/0004-6361/200912582.
  17. ^ Boehnhardt, H.; Bagnulo, S.; Muinonen, S.; et al. (2004). "Surface characterization of 28978 Ixion (2001 KX76)". Astronomy and Astrophysics. 415 (2): L21–L25. Bibcode:2004A&A...415L..21B. doi:10.1051/0004-6361:20040005.
  18. ^ 라비노위츠 외. (2009). "이진 카이퍼 벨트 물체의 최근 재면화에 대한 증거 1997 CS2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