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457A -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7457A KR20210107457A KR1020200022499A KR20200022499A KR20210107457A KR 20210107457 A KR20210107457 A KR 20210107457A KR 1020200022499 A KR1020200022499 A KR 1020200022499A KR 20200022499 A KR20200022499 A KR 20200022499A KR 20210107457 A KR20210107457 A KR 202101074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disposed
- force
- force sensor
- side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001045744 Sus scrofa Hepatocyte nuclear factor 1-bet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21 foa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elastic deformation of gauges, e.g. of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3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pushing for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는, 판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센서, 및 일측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스 센서의 센싱면 전방에 배치되는 변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와 입력 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디자인과 방수와 방진 등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기계적 버튼 대신 포스 센싱 장치를 입력 수단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는, 판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센서, 및 일측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스 센서의 센싱면 전방에 배치되는 변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2 측벽을 구비하는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 내에 삽입 배치되는 포스 센싱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 센싱 장치는, 일면이 상기 제1 측벽에 접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센서, 및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스 센서의 센싱면 전방에 배치되는 변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측벽과 함께 휘어지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센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스 센서의 센싱면 전방에 배치되는 변위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버튼 외부면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프레임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변위부 외부면 까지의 수직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는 변위부를 구비하여 포스 센서와 구조물 간의 거리 변화를 증폭할 수 있으므로,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스 센싱 장치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포스 센싱 장치가 탑재된 전자 기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스 센싱 장치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포스 센싱 장치가 탑재된 전자 기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스 센싱 장치의 상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100)는 센서부(140), 프레임(110), 및 변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센서(120)를 구비하며 포스 센싱 장치(100)가 탑재되는 전자 기기와 포스 센서(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0)로는 FPCB나 PCB와 같은 회로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포스 센서(120)는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연결부(130)에 실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100)는 센싱 코일을 이용하는 포스 센서(12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스 센서(120)는 센싱 코일과 변위부(160)와의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센싱 코일의 형태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으며 원 또는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코일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PCB나 FPCB에 배선 패턴의 형태로 센싱 코일을 형성하거나, 칩 인덕터의 형태로 센싱 코일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스 센서(120)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케이스(예컨대 금속 케이스)를 누르는 힘에 의해 케이스가 변형되는 것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케이스를 가압하게 되면 케이스는 휘게 되고, 이에 후술되는 변위부가 변형되어 공진용 센싱 코일과 전도성 물체인 변위부 간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상기한 거리 변화에 의해, 변위부(160)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가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센싱 코일의 인덕턴스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에 포스 센싱 장치(100)는 상기한 인덕턴스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입력 신호로 인지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센서부(140)를 지지하는 부재로, 편평한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10)은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제1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센서(1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회로 기판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일면 전체에 배치되며, 포스 센서들(120)은 다수 개가 연결부(130) 상에 이격 배치된다.
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위부(160)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110)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포스 센서(120)의 센싱면(120a)을 적어도 일부 덮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포스 센서들(120)은 전체 또는 일부가 프레임(110)과 변위부(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변위부(160)는 적어도 일부가 포스 센서(120)의 센싱면(120a)과 마주보도록 센싱면(120a)의 전방에 배치되며, 지지부(150)를 통해 프레임(110)과의 이격 거리가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변위부(160)는 프레임(110) 또는 포스 센서(120)의 센싱면(120a)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150)는 일측이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변위부(160)에 연결되어 프레임(110)과 변위부(16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변위부(160)와 지지부(150)는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재질을 부분적으로 절곡하여 지지부(150)와 변위부(160)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50)와 변위부(160)는 프레임(110)과 유사하게 편평한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50)와 변위부(160)를 각각 별도로 마련한 후, 서로 결합하여 프레임(110)과 일체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변위부(160)는 일측만 지지부(150)에 연결되므로, 외팔보 또는 캔틸레버(cnatilever) 형태로 지지부(150)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위부(160)가 포스 센서(120)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변위부(160)는 지지부(150)와 연결되는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탄성 변형된다.
변위부(16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65)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65)는 포스 센서(120)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65)는 변위부(160)와 포스 센서(120)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65)는 변위부(160)가 변형되었을 때 포스 센서(120)와 접촉하지 않는 범위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65)는 변위부(160)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포스 센서(120)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는 가압면(예컨대, 전자 기기의 케이스)과의 거리 변화를 기반으로 입력신호를 감지하게 되므로, 거리 변화가 클수록 센싱 감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포스 센싱 장치(100)는 상기한 거리 변화를 증폭시키기 위해 변위부(160)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3의 포스 센싱 장치가 탑재된 전자 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도 5에 도시된 전자 기기는 포스 센싱 장치(100)가 수용되는 수용 부재(10)만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수용 부재(10)는 포스 센싱 장치(10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 공간은 제1 측벽(14), 그리고 제1 측벽(14)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2 측벽(15)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포스 센싱 장치(100)는 도 4의 P1 방향을 따라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수용 부재(10)에 삽입 배치된다.
포스 센싱 장치(100)가 수용 부재(10) 내에 삽입되면, 프레임(110)의 외부면인 제2면은 수용 부재(10)의 제2 측벽(15)에 접촉하고, 변위부(160)의 외부면은 수용 부재(10)의 제1 측벽(14)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가압면(예컨대 제1 측벽)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수용 부재(10)의 제1 측벽(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고, 휘어진 제1 측벽(14)은 변위부(160)를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변위부(160)는 지지부(15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변위부(160)는 지지부(150)와 연결되는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며, 이에 변위부(160)의 돌출부(165)는 포스 센서(120)와 가까워 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가압면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수용 부재(10)의 제1 측벽(14)은 변위부(160)의 중심이 아닌, 지지부(150)와 인접한 부분(예컨대 돌출부와 회전축 사이)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변위부(16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축과 멀리 배치된 부분에서 이동 거리가 커지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 측벽(14)을 D1의 거리만큼 변형시키는 경우, 돌출부(165)가 배치된 변위부(160)의 단부는 D2의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수용 부재(10)가 이동하는 거리에 비해, 변위부(160)의 이동 거리가 크게 증폭될 수 있다.
한편, 변위부가 없는 경우, 포스 센서(120)는 제1 측벽(14)과의 거리 변화를 센싱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1 측벽(14)을 변형시키는 거리만큼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거리가 증폭되는 본 실시예에 비해 센싱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스 센싱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70,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170)은 연결부(130) 상에 실장될 수 있으며, 포스 센서(120)와는 또 다른 입력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버튼(170)은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푸시 버튼(Push button)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방식의 버튼이나 휠(wheel)을 이용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등 외부에서 입력되는 다양한 신호를 감지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버튼(170)은 제1 측벽(14)을 관통하여 전자 기기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직접 버튼(170)과 접촉하여 버튼(170)을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 부재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버튼(170)은 두께가 포스 센서(12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포스 센싱 장치(100)는 버튼(170)이 실장된 부분의 제1 두께(T1)가 변위부(160)가 배치된 부분의 제2 두께(T2)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제1 두께(T1)는 프레임(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버튼(170) 외부면까지의 수직 거리로 규정되고, 제2 두께(T2)는 프레임(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변위부(160) 외부면까지의 수직 거리로 규정될 수 있다.
제1 두께(T1)와 제2 두께(T2)가 동일한 경우, 버튼(170)은 수용 부재(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측벽(14)을 가압하여 상기 버튼(17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두께(T1)가 제2 두께(T1)보다 큰 경우, 버튼(170)은 수용 부재(10)의 제1 측벽(14)을 관통하여 전자 기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버튼(170)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170)을 구비하는 경우, 버튼(170)의 크기로 인하여 포스 센서(120)와 제1 측벽(14)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100)는 상기한 빈 공간에 변위부(160)가 배치되므로, 포스 센서(120)가 배치된 부분도 유격(裕隔) 없이 수용 부재(10) 내에 견고하게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는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수용 부재(1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전자 기기에 결합된다. 따라서 조립 및 결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포스 센싱 장치는 변위부(160)를 구비하여 포스 센서(120)와 구조물 간의 거리 변화를 증폭할 수 있으므로,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스 센싱 징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수용 부재에 결합된 포스 센싱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포스 센싱 장치의 경우 도 1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200)는, 지지부(150)를 구비하지 않으며, 변위부(160)가 프레임(110)에 직접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위부(160)는 편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포스 센서(120)의 센싱면(120a)이나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과 예각을 이루는 경사진 형태로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이에, 변위부(160)는 일측이 프레임(110)의 상단 측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프레임(110)에서 멀어지는 형태로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포스 센서(120)의 센싱면(120a)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변위부(160)는 프레임(110)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일면 중 일부가 포스 센서(120)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스 센서(120)는 변위부(16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센싱면(120a)의 일측 모서리가 변위부(160)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포스 센서(120)는 변위부(160)와 접촉할 뿐, 서로 접합되지는 않는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변위부(160)는 탄성 변형되며 프레임(110)과 이격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에 따른 복원력을 통해 포스 센서(12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포스 센싱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수용 부재(10)의 제1 측벽(14)에 프레임(110)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은 외부면 전체가 제1 측벽(14)에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측벽(14)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결합된 포스 센서(120)는 제1 측벽(14)과 함께 휘어지며 변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 제1 측벽(14)과 프레임(110)은 호 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10)의 변형으로 인해, 프레임(110)의 상단에 체결된 변위부(160)는 단부가 포스 센서(120)의 센싱면(120a)과 멀어지는 형태로 회전된다. 이때, 변위부(160)는 프레임(110)의 상단이 휘어지는 정도에 대응하여 일정 부분 회전하기 되므로, 회전축과 멀리 배치된 부분일수록 변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포스 센싱 장치(200)는 사용자가 제1 측벽(14)을 D3의 거리만큼 변형시키는 경우, 변위부(160)의 단부는 D4의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수용 부재(10)를 변형시키는 거리에 비해 변위부(160)의 이동 거리가 크게 증폭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포스 센싱 장치(200)는 프레임(110)이 제1 측벽(14)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하며, 변위부(160)는 제2 측벽(15)과는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레임(110)과 제1 측벽(14) 사이에는 접착 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접합 부재(180)가 개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단면도로, 수용 부재에 결합된 포스 센싱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포스 센싱 장치의 경우 도 1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포스 센싱 장치(300)는 도 6에 도시된 포스 센싱 장치(200)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탄성 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90)는 프레임(110)과 제2 측벽(15)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110)을 제1 측벽(14)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프레임(110)은 제1 측벽(14)과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190)로 외팔보 형태의 판 스프링을 이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탄성 부재(190)는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재질을 부분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90)는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임(110)과 별도로 탄성 부재(190)를 마련한 후, 탄성 부재(190)를 프레임(110)과 제2 측벽(15) 사이에 개재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경우 탄성 부재(190)로는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 발포 고무와 같은 탄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 부재(190)는 프레임(110) 중 포스 센서(120)가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탄성 부재(190)는 프레임(110) 중 포스 센서(12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 즉, 포스 센서들(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더하여 각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변위부들은 하나의 포스 센싱 장치에 서로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 전자 기기의 수용 부재
100, 200, 300: 포스 센싱 장치
110: 프레임
120: 포스 센서
130: 연결부
140: 센서부
150: 지지부
160: 변위부
170: 버튼
100, 200, 300: 포스 센싱 장치
110: 프레임
120: 포스 센서
130: 연결부
140: 센서부
150: 지지부
160: 변위부
170: 버튼
Claims (16)
- 판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센서; 및
일측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스 센서의 센싱면 전방에 배치되는 변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포스 센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휘어지며 변형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일면 중 일부가 상기 포스 센서와 접촉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탄성 변형에 따른 복원력을 통해 상기 포스 센서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포스 센서의 센싱면 모서리와 접촉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스 센서는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2 측벽을 구비하는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 내에 삽입 배치되는 포스 센싱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 센싱 장치는,
일면이 상기 제1 측벽에 접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센서; 및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스 센서의 센싱면 전방에 배치되는 변위부;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측벽과 함께 휘어지며 탄성 변형되는 전자 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측벽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프레임과 예각을 이루도록 일측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일면 중 일부가 상기 포스 센서와 접촉하는 전자 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센싱 장치는,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전자 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센싱 장치는,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제1 측벽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센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스 센서의 센싱면 전방에 배치되는 변위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버튼 외부면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프레임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변위부 외부면 까지의 수직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포스 센싱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포스 센서 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포스 센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2499A KR20210107457A (ko) | 2020-02-24 | 2020-02-24 |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US16/999,467 US11378470B2 (en) | 2020-02-24 | 2020-08-21 | Electronic device with force-sensing apparatus |
CN202011221398.3A CN113296626A (zh) | 2020-02-24 | 2020-11-05 | 力感测设备和具有力感测设备的电子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2499A KR20210107457A (ko) | 2020-02-24 | 2020-02-24 |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7457A true KR20210107457A (ko) | 2021-09-01 |
Family
ID=7731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2499A KR20210107457A (ko) | 2020-02-24 | 2020-02-24 |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378470B2 (ko) |
KR (1) | KR20210107457A (ko) |
CN (1) | CN11329662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49894A1 (en) * | 2022-02-04 | 2023-08-10 | Google Llc | A squeeze detec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83948B2 (en) * | 2001-04-13 | 2007-02-27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Tangential force control in a touch location device |
JP4090939B2 (ja) * | 2002-05-29 | 2008-05-28 | ニッタ株式会社 | 静電容量式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514509B2 (ja) | 2004-05-14 | 2010-07-28 | アップサイド株式会社 | 力センサー、力検出システム及び力検出プログラム |
GB2446702A (en) * | 2007-02-13 | 2008-08-20 | Qrg Ltd | Touch Control Panel with Pressure Sensor |
US20150362389A1 (en) * | 2014-06-17 | 2015-12-17 | EZ as a Drink Productions, Inc. | Pressure sensing apparatus |
GB2540768A (en) * | 2015-07-27 | 2017-02-01 | Touchnetix Ltd | Capacitiv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s |
KR101804297B1 (ko) | 2016-02-23 | 2017-12-04 | (주)아이투에이시스템즈 | 변위증폭 메카니즘을 이용한 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중량측정장치 |
KR20210099946A (ko) * | 2020-02-05 | 2021-08-13 | 삼성전기주식회사 |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
2020
- 2020-02-24 KR KR1020200022499A patent/KR2021010745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8-21 US US16/999,467 patent/US11378470B2/en active Active
- 2020-11-05 CN CN202011221398.3A patent/CN113296626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378470B2 (en) | 2022-07-05 |
US20210262870A1 (en) | 2021-08-26 |
CN113296626A (zh) | 2021-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6100377B4 (en) | Biometric sensor stack structure | |
CN108885481B (zh) | 用于电子设备的传感器组件 | |
EP3598723B1 (en) | Terminal with casing for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and flexible display screen | |
JP2011248439A (ja) | 静電容量式入力装置 | |
US20140285955A1 (en) | Electronic device | |
KR102694244B1 (ko) |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10107457A (ko) |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
US11756752B2 (en) | Electronic device | |
US20060225996A1 (en) | Movable contact element and panel switch formed using the same | |
US11428587B2 (en) | Force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rce sensing device | |
CN106775118B (zh) | 一种压力感应装置及设备 | |
WO2019095100A1 (zh) | 侧键装置及电子终端 | |
KR20200001221A (ko) | 안테나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
KR102345111B1 (ko) |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
JP5932594B2 (ja) | 荷重検出装置及び前記荷重検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 |
CN111834149B (zh) | 按键模块及电子装置 | |
KR102404331B1 (ko) | 포스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
CN105867538B (zh) | 一种电子设备 | |
CN105760001A (zh) | 触控装置以及采用该触控装置的电子设备 | |
CN221978921U (zh) | 感应模组、按键组件及电子设备 | |
CN217360751U (zh) | 用于触摸显示屏的主动笔 | |
KR101149798B1 (ko) | 휴대단말기용 사이드 키 모듈 | |
KR20240145726A (ko) | 통합형 조작 모듈 | |
KR20240002648A (ko) | 마이크의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40146468A (ko) | 통합형 조작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