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047A -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 Google Patents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40047A KR20170140047A KR1020160091481A KR20160091481A KR20170140047A KR 20170140047 A KR20170140047 A KR 20170140047A KR 1020160091481 A KR1020160091481 A KR 1020160091481A KR 20160091481 A KR20160091481 A KR 20160091481A KR 20170140047 A KR20170140047 A KR 201701400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glass
- cooking
- base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회전모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동작시 조리용기의 무게를 늘려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 재질의 조리용기로 사용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aratus using a glass cooking vessel capable of improving safety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cooking vessel To a cooking appliance provided with a glass cooking vessel.
최근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야채주스나 해독주스와 같은 건강을 위한 음식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조리기기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s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a number of cooking devices for automatically cooking foods for health such as vegetable juice and detox juice are being developed.
이러한 조리기기는 믹서기와 같이 조리재료를 단순히 분쇄하여 각종 즙이나 주스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조리재료를 분쇄, 혼합, 가열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두유, 두부, 수프 또는 주스와 같은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Such a cooking device is used for grinding, mixing, and heating a cooking material from a simple grinding of a cooking material such as a blender to make various juices or juices, and then various foods such as soybean milk, tofu, soup or juice are cooked And it has been developed and marketed as a variety of product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5838호 (2005.06.08)에는 분쇄 및 가열 기능을 갖추어 두부, 두유, 스프, 죽 또는 식품가공에 유용한 식품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식재료를 분쇄하는 칼날이 저면에 장착된 분쇄실을 가지는 용기부, 용기부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형성된 가열부, 칼날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진 ‘분쇄 및 가열기능을 갖는 식품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95838 (2005.06.08) is equipped with grinding and heating function to provide food processing machine useful for tofu, soy milk, soup, porridge or food processing, and a blade for grinding food ingredients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A food processing machine having a crushing and heating function and a foo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comprising a container portion having a crushing chamber, a main body porti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tainer portion, a heat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 driving portion for driving the blade, Method " is discl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0641호 (2007.10.22)에는 측면에 스크린이 형성된 분리 통, 결합 접점을 가진 손잡이, 감지 센서, 발열량의 조절이 가능한 판형상의 히터, 모터와 제어 장치가 내장된 베이스 및 안전장치로 이루어진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0641 (Oct. 22, 2007) discloses a separator with a screen on its side, a handle with a contact point, a sensor, a plate-type heater capable of adjusting a calorific value, a base with a motor and a control device, An indirect heating type cooking device comprising a safety device is disclosed.
또한, 본 발명과 동일 출원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942호에는 자동 조리기의 상부 하우징(용기부)과 하부 하우징(본체부)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Furth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16942 filed in the same applica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utomatic cooker having an improved safety that can firmly couple an upper housing (container portion) and a lower housing (body portion) of an automatic cooker .
이러한 선행기술들 중 히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사용되는 용기부는 모두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의 조리용기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금속재질의 조리용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조리용기의 밑면에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설치하여야 하며, 필요시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감지하거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이다. Among these prior arts, a cooking vessel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s used for all of the vessels used in cooking appliances having a heater. The reason why the cooking vessels made of metal are used is that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oking vessel A heater for heating must be installed, and a sensor for detecting bubbles or sensing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ontainer must be installed, if necessary.
한편, 이러한 선행기술들 중 야채나 과일을 분쇄하는 믹서 제품들은 용기부를 거의 유리재질의 조리용기를 적용하고 있으며, 그 추세 또한 모터의 회전속도가 3,000 rpm 이상의 고속회전을 갖는 제품들이 인기있는 조리기기로 판매되고 있는 추세이다.Among these prior arts, mixer products for crushing vegetables or fruits use a container made of a glass material and the trend is that products having a high rotation speed of 3,000 rpm or more of the motor rotation speed are used in popular cooking devices .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용기부는 유리재질의 조리용기이면서도 조리재료의 가열이 가능한 히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유리재질의 조리용기를 사용하면서도 거품감지센서나 온도감지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를 조리용기에 설치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such a situation, it has been desired to develop a cooker having a heater capable of heating a cooking material while being a cooking vessel made of a glass material. In particular, a cooker having a glass material is used,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cooking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 sensor in a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회전모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동작시 조리용기의 무게를 늘려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lass cooking vessel capable of increasing the weight of a cooking vessel, And a cook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용기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에서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와, 미리 설정된 하부 임계위치에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조리용기의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각각 설치할 수 있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 foam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bubbles at a predetermined upper critical position in a cooking vessel and an electric wire for supplying power to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at a preset lower critical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glass cooking container which can be installed without being expos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리재료가 투입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측면에 손잡이 베이스(111)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조리재료를 분쇄 또는 혼합하기 위한 칼날(160)이 설치되는 유리조리용기(110)와;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밑면에 상기 조리용기(110)를 가열하기 위해 설치된 히터(170)를 구비하고,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면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볼팅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용기 베이스(bowl base)(120)와;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가 상기 유리 용기부(110)의 손잡이 베이스(111)를 양측면에서 상기 유리 용기부(100)의 외측면의 형상을 따라 밀착되도록 결합 또는 접합되는 손잡이부(130)와;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140)로 이루어진 유리 용기부(100)와;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for feeding at least one cooking material, and a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하단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260)를 구비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상단 외주연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및 일정 두께로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베이스(upper base)(220)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압 변환하여 상기 히터(170)나 상기 동력발생기(260)로 공급하는 제어회로부(270)로 이루어진 본체부(200)으로 구성되며;A
상기 제어회로부(270)는 상기 덮개부(140)가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1차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140)가 결합된 유리 용기부(100)가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 베이스(220)에 2차 결합된 상태를 전원공급 준비상태로 인식하고,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동력발생부(260) 또는/및 상기 히터(17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는, 고속회전모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동작시 조리용기의 무게를 늘려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조립시 유리조리용기와 가열 결합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종래 보다 제품의 신뢰성과 제조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safety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cooking vessel when operating the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high-speed rotation motor,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engaging plate,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e.
또한, 조리용기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에서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와, 미리 설정된 하부 임계위치에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조리용기의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거품감지센서나 온도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전선을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Further, a foam sensor for detecting bubbles at a predetermined upper critical position in the cooking vessel and a wire for supplying power to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emperature at a preset lower critical position are install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vessel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e structure for exposing the electric wir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foam detection sensor or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o the outside or for arranging electric wir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유리용기부의 밑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용기조리용기와 용기 베이스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용기조리용기와 용기 베이스가 볼팅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덮개부가 유리조리용기의 상부에 마그네틱 스위치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덮개부가 유리조리용기의 상부에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일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glass container portion in a cooking device having a glass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view showing that a container cooking vessel and a container base are coupled in a screw-type manner in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B is a view illustrating a cooking device having a glass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ainer cooking container and a container base are coupled in a bolting manner;
5A to 5D are views showing that a lid is fastened to an upper part of a glass cooking container using a magnetic switch in a cooking device having a glass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re views showing that the lid part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using a micro switch in a cooking device provided with a glass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one side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of a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유리용기부의 밑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device having a glass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device having a glass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는, 유리 용기부(100)와 본체부(200)으로 구성된다.1 to 3,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유리 용기부(100)는, 조리재료가 투입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측면에 손잡이 베이스(111)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리조리용기(110)와, 유리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면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볼팅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용기 베이스(bowl base)(120)와;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가 유리 용기부(110)의 손잡이 베이스(111)를 양측면에서 유리 용기부(100)의 외측면의 형상을 따라 밀착되도록 결합 또는 접합되는 손잡이부(130)와; 유리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140)와; 용기 베이스(120)의 밑면에 본체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위해 설치된 접속 플러그(150)와,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에 조리재료를 분쇄 또는 혼합하기 위해 설치되는 칼날(160)과, 유리조리용기(110)의 밑면에 조리용기(110)를 가열하기 위해 설치된 히터(170)와, 용기 베이스(120)을 중심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칼날(160)에 연결 설치된 상부 커플링(180)으로 구성된다. Here, the
여기서, 유리용기부(100)의 용기 베이스(120)의 내부 중간위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베이스(120)의 내부공간을 상부 공간부(120a) 및 하부 공간부(120b)로 구획하도록 일체형으로 원형형상의 구획판(125)이 형성되며, 용기 베이스(120)의 구획판(125)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공(126)의 일측에 형성된 플러그 설치공(127)에 접속 플러그(150)가 본체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위해 삽입 설치되며, 용기 베이스(120)의 내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단차를 갖도록 설치된 구획판(125)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공(126)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접속 감지편(129)이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가 용기부(100)의 상부가 본체부(200)의 하부에 정상적으로 결합될 경우, 접속 감지용 스위치(230)에 접속된다. 3, the inner space of th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유리조리용기(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손잡이 베이스(111)는 귀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손잡이부(13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30)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단 외주면에는 유리조리용기(110)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덜어내기 위해 반원 형상의 주둥이(113)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벽에는 조리재료의 분쇄시 조리재료의 분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분쇄돌기(115)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유리조리용기(1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2, the
여기서, 복수개의 분쇄돌기(115)는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조리재료의 회전시 분쇄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리재료에 포함된 유체의 회전방향을 불규칙하게 바꾸게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유리조리용기(110)의 미끄러운 표면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lurality of crushing
또한, 유리조리용기(110)와 용기 베이스(120)는 나사결합방식으로 또는 볼팅체결방식으로 결합 또는 체결될 수 있는데, 먼저 유리조리용기(110)와 용기 베이스(120)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 나사홈(117)이 형성되고, 용기 베이스(120)의 상단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 나사홈(121)이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유리조리용기(110)와 용기 베이스(120)가 유리조리용기(110)의 하부 내측면과 용기 베이스(120)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가열 받침판(122)이 제1 고무패킹(123a)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유리 용기부(100)의 내부에 들어있는 조리재료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반면, 유리조리용기(110)와 용기 베이스(120)가 볼팅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 밑면에는 유리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연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모듈 받침판(122a)의 밑면에 복수개의 나사홈(128a)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용기 베이스(120)의 밑면에는 복수개의 나사홈(128a)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볼팅홀(128b)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유리조리용기(110)와 용기 베이스(120)가유리조리용기(110)의 밑면에 위치한 모듈 받침판(122a)의 복수개의 나사홈(128a)에 내주연을 따라 제2 고무패킹(123b)이 삽입 설치되고, 용기 베이스(120)의 볼팅홀(128b)이 일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나사(128c)를 나사홈(128a)과 볼팅홀(128b)에 각각 삽입 체결하여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여기서, 모듈 받침판(122a)의 상단 외주부에는 유리조리용기(110) 및 모듈 받침판(122a)를 밀폐하기 위한 환형의 제3 고무패킹(123c)이 삽입 설치되고, 모듈 받침판(122a)의 중심부에는 동력발생기(26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된 칼날(160)에 전달되도록 설치된 상부 커플링(180)이 관통 설치되고, 모듈 받침판(122a)의 밑면에 히터(1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nnular
한편, 덮개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단 외주연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중심부에 관통구(141)가 형성되고, 임의의 일측 외측면에는 핸들(143)이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관통구(141)의 내측면에는 일정 폭을 갖는 한 쌍의 수직 결합홈(144)이 형성되어, 조리시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캡(147)을 결합할 때 캡(147)의 하단 외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148)가 한 쌍의 수직 결합홈(144)에 수직방향으로 끼운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리시 캡(147)이 수직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캡(14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리조리용기(110)의 마개의 기능 뿐만 아니라 하단부가 개방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리재료를 투입할 때 계량컵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계량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he
한편,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단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잠금턱(112a,112b)이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덮개부(140)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턱(112a,112b)에 체결되는 ㄷ자 형상의 잠금고리(146a,146b)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부(140)와 손잡이부(130)의 결합 상태를 보다 안전하게 확인하여 조리기기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때 조리중인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2, at least one pair of
이에 따라, 덮개부(140)가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덮개부(140)의 한 쌍의 잠금고리(146a,146b)가 유리조리용기(110)의 잠금턱(112a,112b)에 체결되면 스위칭 온되며, 덮개부(140)의 한 쌍의 잠금고리(146a,146b)가 유리조리용기(110)의 잠금턱(112a,112b)으로 부터 탈거되면 스위칭 오프되는 제1 접속제어신호를 제어회로부(270)로 전달하는 마그네틱 스위치(330)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340)가 손잡이부(130)의 상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서 덮개부(140)의 파지부(143)에는 ▶기호가 형성되고, 손잡이부(130)의 상부 헤드부(133)의 상면에는 ◀기호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두 기호를 수직방향으로 일치시키도록 덮개부(140)의 파지부(143)와 손잡이부(130)의 잠금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A pair of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의 상부 공간에 제1 고정접점(331)을 갖는 마그네틱 스위치(330)가 고정 설치되는 경우, 덮개부(140)의 외측에 형성된 파지부(143)의 내부 또는 외측에는 제1 가동접점(333)이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덮개부(140)를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1 고정접점(331)과 제1 가동접점(333)이 미리 설정된 일정 간격 내에 있으면 스위칭 온되며, 사용자가 덮개부(140)를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에서 분리시키거나 정상적으로 결합시키지 않으면 제1 고정접점(331)과 제1 가동접점(333)이 미리 설정된 일정 간격 내에 없기 때문에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A and 5B, when the
반면,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의 상부 공간에 제2 고정접점(341)을 스프링(344)을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스위칭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레버(343)를 구비한 마이크로 스위치(340)가 고정 설치되는 경우, 덮개부(140)의 외측에 형성된 파지부(143)의 외측에는 제2 가동부(34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덮개부(140)를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결합시키면 덮개부(140)가 정상적으로 체결되면서 제2 가동부(343)가 스위치 레버(343)를 일정 압력으로 누르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접점(341)와 제2 가동접점(342)이 서로 접속되어 스위칭 온되며, 사용자가 덮개부(140)를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에서 분리시키거나 정상적으로 결합시키지 않으면 제2 가동부(345)가 스위치 레버(343)로부터 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접점(341)와 제2 가동접점(342)이 서로 접속되지 않아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6A to 6D, a
한편, 손잡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조리용기(110)의 임의의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 고정되며,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 온도를 차단하도록 일정 폭과 두께로 형성된 열차단부(131)와, 열차단부(131)의 상부에 상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열차단부(131)의 상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상부 헤드부(133)와, 열차단부(131)의 하부에 하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열차단부(131)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하부 헤드부(135)와, 상부 헤드부(133)의 끝단부와 하부 헤드부(135)의 끝단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면서 수직방향으로 내부공간을 갖는 파지부(137)로 구성된다.2, the
여기서, 손잡이부(130)의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용 나사홈(131a)이 돌출 형성되고,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중 임의의 다른 하나의 외측에 복수개의 볼팅홀(132a)이 형성되어, 열차단부(3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의 형상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밀착 고정되면서 복수개의 볼팅홀(132a)에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132b)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가 손잡이 베이스(111)를 감싸도록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fixing
이때, 상부 헤드부(133)를 구성하는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스위치(330)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34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13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 중 임의의 하나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절곡단(131c)이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부재(130a,130b) 중 임의의 다른 하나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끼움홈(132c)이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의 절곡단(131c)과 끼움홈(132c)이 손잡이 베이스(111)의 양측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urther, a
또한,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길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조리용기(110)와 용기 베이스(120)의 결합시 서로 접하는 부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연장 형성되거나,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길이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조리용기(110)와 용기 베이스(120)의 결합시 서로 접하는 부분을 초과하여 용기 베이스(120)의 상단부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연장 형성되거나,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길이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베이스(120)의 밑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1, the length of the
한편, 손잡이부(130)의 상부 헤드부(13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거품감지센서(310)가 설치되며, 손잡이부(130)의 하부 헤드부(135) 또는/및 가열받침판(122)이나 모듈 받침판(122a)의 밑면에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320)가 설치되어, 제어회로부(270)는 본체부(2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접속 플러그(150) 및 플러그 소켓(250)을 통하여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따라 배치된 전선을 따라 거품감지센서(310) 또는/및 온도감지센서(320)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여기서,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길이가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조리용기(110)와 용기 베이스(120)가 서로 결합되어 접하는 부분을 초과하여 용기 베이스(120)의 상단부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연장 형성되거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길이가 용기 베이스(120)의 밑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부(130)의 상부 헤드부(133)에는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거품감지센서(310)가 유리조리용기(110)의 외벽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손잡이부(130)의 하부 헤드부(135) 또는 가열받침판(122)의 밑면에는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온도감지센서(320)가 유리조리용기(110)의 외벽에 접하거나 가열 받침판(122)의 밑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7A to 7B, the length of the
이때, 본체부(2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5)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따라 배치된 전선을 따라 거품감지센서(310) 또는/및 온도감지센서(320)에 각각 공급된다.The power supplied from the
이때, 거품감지센서(310)는 도 2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손잡이부(130)의 상부에 위치한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단부에 ∪자 형상의 설치홈(119)이 형성되는 경우, 설치홈(119)에 고정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감지성능은 간접센싱방식에 비해 그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2, the
한편, 본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베이스(120)의 하단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260)를 구비한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상단 외주연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및 일정 두께로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베이스(upper base)(220)와,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압 변환하여 히터(170)나 동력발생기(260)로 공급하는 제어회로부(270)와, 결합 베이스(22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유리조리용기(110)가 하우징(210)의 기준 결합위치에 결합되는 경우 스위칭 온되고, 기준 결합위치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 스위칭 오프되는 제2 접속제어신호를 제어회로부(270)로 전달하는 접속감지 스위치(230)와, 하우징(210)의 일측 외표면에 설치되어,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조리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조리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 패널(240)과, 하우징(210)의 상부 공간부(211)의 밑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유리용기부(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 소켓(250)과, 결합 베이스(2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부 커플링(180)에 체결되어 동력발생기(26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부 커플링(280)으로 구성된다.2, the
여기서, 접속감지 스위치(230)는 결합 베이스(22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유리조리용기(110)가 하우징(210)의 기준 결합위치에 결합되는 경우 스위칭 온되고, 기준 결합위치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 스위칭 오프되는 제2 접속제어신호를 제어회로부(270)로 전달하고, 제어회로부(270)는 제1 및 제2 접속신호가 스위칭 온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을 동력발생부(260) 또는 히터(170)로 공급할 수 있다. Here, the
여기서, 기준결합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베이스(120)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된 ▶기호와 하우징(110)의 상단 양측면에 형성된 파지용 돌출부(213,214)의 상부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기호가 수직방향으로 일치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나, 임의의 심볼이나 문자 또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기준결합위치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력을 갖는 임의의 색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 the reference engaging positions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ymbol ▶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또한, 하우징(210)의 상부면과 결합 베이스(220)의 하측 외주연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일정 폭과 깊이를 갖는 환형의 배수홈(215)이 형성되고, 본체부(200)의 후면에 위치하는 하우징(110)의 상단부에는 배수홈(215)와 연결되면서 외측방향으로 배수구(216)가 돌출 형성되어, 임의의 조리를 실행하는 도중에 조리재료가 유리조리용기(110)의 외부로 넘치는 경우 조리재료가 유리조리용기(110)의 외표면을 따라 배수홈(215)에 고이게 되고 넘치는 조리재료의 양이 많은 경우 배수홈(215)을 따라 흐르면서 배수구(2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n annular drainage groove 215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상부면을 평평하지 않고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소켓(250)의 반대방향으로 낮아지게 경사지게 형성하고, 최하위의 경사면을 갖는 하우징(210)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된 관통구에 하우징(210)의 밑면까지 이르는 배구관(290)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owever, as shown in FIG. 8,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본체부(200)의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회로부(27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상용전원을 전압강하한 교류전원을 변환하는 교류전원 공급부와,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전원 공급부를 구비하여, 교류전원 공급부는 교류전원을 본체부(200)의 내부에 설치된 동력발생기(260)에 직접 공급하거나 서로 접속된 접속 플러그(150) 및 플러그 소켓(250)을 통하여 가열받침판(122)의 밑면에 설치된 히터(170)에 공급하며, 직류전원 공급부는 서로 접속된 접속 플러그(150) 및 플러그 소켓(250)을 통하여 직류전원을 손잡이부(130) 또는 가열받침판(122)의 밑면에 설치된 거품감지센서(310) 또는 온도감지센서(320)에 공급한다. Meanwhile, the
여기서, 제어회로부(270)는 손잡이부(130)의 상부 헤드부(133)의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틱 스위치의 고정접점(139)과 덮개부(140)의 외측에 형성된 파지부(143)의 밑면에 설치된 가동접점(149)이 온 상태이며, 동시에 용기 베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된 구획판(125)의 밑면에 고정 설치된 접속 감지편(129)이 접속 감지용 스위치(230)에 접속된 상태이면 전원공급을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여 전원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Th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조리기기의 초기화 동작1. Initializing operation of cooker
사용자는 조리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조리용기(110)의 내부에 필요한 분량의 조리재료를 넣은 후 덮개부(140)를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에 잠금상태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덮개부(140)의 파지부(146)와 손잡이부(130)가 기준 잠금상태가 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user inserts a necessary amount of cooking material into the
이때, 손잡이부(130)의 상부 헤드부(133)에 설치된 마그네틱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스위칭 온상태가 되어, 유리 용기부(100)와 본체부(200)가 결합된 경우, 제어회로부(270)는 전원공급 가능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magnetic switch or the micro switch installed on the
2. 용기부와 본체부의 결합 및 접속 동작2. Coupling and connection opera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이어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용기부(100)의 손잡이부(130)를 들어서 본체부(200)의 상부에 표시된 미리 설정된 기준 결합위치에 놓이도록 본체부(200)의 용기 베이스(220)의 상부에 올려 놓는 방식으로 유리용기부(100)를 본체부(20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2, the user lifts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기준 결합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베이스(120)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된 ▶기호와 하우징(110)의 상단 양측면에 형성된 파지용 돌출부(213,214)의 상부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기호가 수직방향으로 일치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reference engaging position is defined by the symbol ▶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이때, 유리용기부(100)를 본체부(200)의 상부에 결합시키는 경우, 용기 베이스(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접속 플러그(150)의 접속핀(151)이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된 플러그 소켓(250)의 소켓 홈(251)에 일정 깊이로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면서 유리용기부(100)와 본체부(200)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상태가 되는 동시에 (ii) 용기 베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된 구획판(125)의 밑면에 고정 설치된 접속 감지편(129)이 결합 베이스(220)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접속감지 스위치(230)에 결합되어 스위칭 온상태가 된다.The connection pin 151 of the
이에 따라, (i) 손잡이부(130)의 상부 헤드부(133)에 설치된 마그네틱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스위칭 온상태가 되고, (ii) 용기 베이스(120)의 접속 플러그(150)와 하우징(210)의 플러그 소켓(250)가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상태가 되고, (ii) 용기 베이스(120)의 접속 감지편(129)이 결합 베이스(220)의 접속감지 스위치(230)가 스위칭 온상태인 경우를 모두 만족하면, 제어회로부(270)는 전원공급 상태로 판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유리 용기부(100)의 내부에 설치된 거품감지센서(310) 또는 온도센서(320) 그리고 가열 받침판(122)의 밑면에 설치된 히터(17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magnetic switch or the microswitch provided on the
3. 조리기기의 조리동작3. Cooking operation of cooker
이어,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가 잠금상태인 동시에 용기부(100)의 상부가 본체부(200)의 하부에 정상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제어패널(240)을 조작하여 원하는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음식(주스, 죽, 두유, 두부 등등)에 상응하도록 본체부(200)의 제어회로부(270)는 동력발생기(260) 또는 히터(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pper part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고속회전모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동작시 조리용기의 무게를 늘려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조립시 유리조리용기와 가열 결합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품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조리용기의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oking device having the glass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fety of the cooking device including the high-speed rotation motor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cooking container,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glass cooking vessel and the heating coupling plate and to install the electric wire supplying power to the foam detection sensor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without exposing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vessel.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유리용기부
110 : 유리조리용기
111 : 손잡이 베이스
113 : 주둥이
115 : 분쇄돌기
117 : 결합 나사산
119 : 설치홈
120 : 용기 베이스
120a : 상부 공간부
120b : 하부 공간부
121 : 결합 나사홈
122 : 가열받침판
123 : 제1 고무 패킹
124 : 수직 결합돌기
125 : 구획판
126 : 중심공
127 : 플러그 설치공
129 : 접속 감지편
130 : 손잡이부
130a,130b : 좌측, 우측 손잡이부재
131 : 열차단부
133 : 상부 헤드부
135 : 파지부
137 : 하부 헤드부
139 : 자기 스위치의 고정접점
140 : 덮개부
141 : 투입구
142 : 빠짐방지용 리브
143 : 파지부
144 : 연장부
145 : 캡
147: 고무 패킹
149 : 자기 스위치의 가동접점
150 : 접속 플러그
151 : 접속핀
160 : 칼날
170 : 히터
180 : 상부 커플링
190 : 전원 스위치
200 : 본체부
210 : 하우징
211 : 상부 공간부
213,214 : 파지용 돌출부
215 : 배수홈
216 : 배수구
220 : 결합 베이스
223 : 수직 결합홈
230 : 접속 감지용 스위치
240 : 제어 패널
250 : 플러그 소켓
251 : 소켓홈
260 : 동력발생기
270 : 제어회로
280 : 하부 커플링
290 : 배수관
310 : 거품감지센서
320 : 온도감지센서
330 : 마그네틱 스위치
340 : 마이크로 스위치100: glass container part 110: glass cooking container
111: handle base 113: spout
115: crushing protrusion 117: bonded thread
119: installation groove 120: container base
120a:
121: engagement screw groove 122: heating plate
123: first rubber packing 124: vertical engaging projection
125: partition plate 126: center hole
127: Plug installation hole 129: Connection detection part
130:
131: train end portion 133: upper head portion
135: grip part 137: lower head part
139: Fixed contact point of magnetic switch 140:
141: Inlet port 142: Retaining rib
143: grip part 144: extension part
145: cap 147: rubber packing
149: movable contact of the magnetic switch 150: connection plug
151: connecting pin 160: blade
170: heater 180: upper coupling
190: Power switch 200:
210: housing 211: upper space portion
213, 214: projection for gripping 215:
216: drainage hole 220: coupling base
223: Vertical coupling groove 230: Connection detection switch
240: control panel 250: plug socket
251: socket groove 260: power generator
270: Control circuit 280: Lower coupling
290: Water pipe 310: Foam detection sensor
320: Temperature sensor 330: Magnetic switch
340: Micro switch
Claims (18)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하단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260)를 구비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상단 외주연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및 일정 두께로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베이스(upper base)(220)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압 변환하여 상기 히터(170)나 상기 동력발생기(260)로 공급하는 제어회로부(270)로 이루어진 본체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회로부(270)는 상기 덮개부(140)가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1차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140)가 결합된 유리 용기부(100)가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 베이스(220)에 2차 결합된 상태를 전원공급 준비상태로 인식하고,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동력발생부(260) 또는/및 상기 히터(17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A kneading base (111) extending integrally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a blade (160) for crushing or mixing the cooking material, A container 110; And a heater 17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lass cooking vessel 110 for heating the cooking vessel 110. The heater 17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glass cooking vessel 110 in a screw- A bowl base 120 to be fastened; A pair of left and right knob members 130a and 130b are joined or joined so as to closely contact the knob base 111 of the glass container part 110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lass container part 100 A handle 130; A glass container part 100 comprising a lid part 140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 upper part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A housing 210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ase 120 and having a power generator 260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 upper base 220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in size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210 and integrally extend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270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10 to supply power to the heater 170 and the power generator 260. The control unit 270 includes a main body 200, ;
The control circuit part 270 is coupled to the cover part 140 so as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and the glass container part 100 to which the cover part 140 is couple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210 coupled to the coupling base 220 is recognized as a power supply ready state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power generator 260 and / And a heater (170) for heating the glass.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내부 중간위치에,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내부공간을 상부 공간부(120a) 및 하부 공간부(120b)로 구획하도록 일체형으로 원형형상의 구획판(125)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구획판(125)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공(126)의 일측에 형성된 플러그 설치공(127)에 본체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위한 접속 플러그(150)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ircular partition plate 125 is formed at an inner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container base 120 so as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ase 120 into an upper space portion 120a and a lower space portion 120b ;
A connection plug 150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main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tallation hole 127 formed at one side of the center hole 126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artition plate 125 of the container base 120 Wherein the cooking cavity is provided with a glass cooking container.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와 상기 용기 베이스(120)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 나사홈(117)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상단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 나사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하부 내측면과 상기 용기 베이스(120)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가열 받침판(122)이 제1 고무패킹(123a)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glass cooking vessel 110 and the vessel base 120 are coupled in a screw-type manner,
A plurality of engagement screw grooves 117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A plurality of engagement screw grooves 12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ase 120 ,
A heating plate 122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s coupl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lass cooking vessel 110 and the container base 120 using a first rubber packing 123a, And the inside of the cooking cavity is sealed.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와 상기 용기 베이스(120)가 볼팅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 밑면에는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연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모듈 받침판(122a)의 밑면에 복수개의 나사홈(128a)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밑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나사홈(128a)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볼팅홀(128b)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밑면에 위치한 상기 모듈 받침판(122a)의 복수개의 나사홈(128a)에 내주연을 따라 제2 고무패킹(123b)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볼팅홀(128b)이 일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나사(128c)를 나사홈(128a)과 볼팅홀(128b)에 각각 삽입 체결하여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glass cooking vessel 110 and the vessel base 120 are coupled by the bolting method,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128a are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supporting plate 122a having a diameter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And a plurality of bolting holes 128b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ase 1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crew grooves 128a,
A second rubber packing 123b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128a of the module receiving plate 122a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glass cooking vessel 110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screws 128c are inserted into and screwed into the screw groove 128a and the bolting hole 128b to seal the inside of the glass cooking vessel 110 with the tongue hole 128b aligned. Cookware with a container.
상기 모듈 받침판(122a)의 상단 외주부에는 상기 유리조리용기(110) 및 상기모듈 받침판(122a)를 밀폐하기 위한 환형의 제3 고무패킹(123c)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모듈 받침판(122a)의 중심부에는 상기 동력발생기(26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된 칼날(160)에 전달되도록 설치된 상부 커플링(180)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모듈 받침판(122a)의 밑면에는 상기 히터(1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5. The method of claim 4,
An annular third rubber packing 123c for sealing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and the module receiving plate 122a is inserted into the upper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module receiving plate 122a;
An upper coupling 180 installed to transmit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260 to a blade 160 installed in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odule supporting plate 122a;
And the heater (170) i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support plate (122a).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단 외주면에 외측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잠금턱(112a,112b)이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40)의 외주면에 상기 잠금턱(112a,112b)에 체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잠금고리(146a,146b)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40)가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상기 덮개부(140)의 한 쌍의 잠금고리(146a,146b)가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상기 잠금턱(112a,112b)에 체결되면 스위칭 온되며, 상기 덮개부(140)의 한 쌍의 잠금고리(146a,146b)가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상기 잠금턱(112a,112b)으로 부터 탈거되면 스위칭 오프되는 제1 접속제어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부(270)로 전달하는 마그네틱 스위치(330)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340)가 상기 손잡이부(130)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pair of locking protrusions (112a, 112b) are integrally protru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in an outward direction;
At least one pair of lock rings (146a, 146b), which are fastened to the lock tabs (112a, 112b),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art (140)
A pair of locking rings 146a and 146b of the lid unit 140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jaws 146a and 146b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to seal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 When the locking lugs 146a and 146b of the lid unit 140 are detached from the locking tabs 112a and 112b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A magnetic switch 330 or a micro switch 340 for transmitting a first connection control signal to be switched off to the control circuit unit 270 is installed in an upper space of the handle 130. [ Equipped cooking device.
상기 손잡이부(130)의 상부 공간에 제1 고정접점(331)을 갖는 마그네틱 스위치(330)가 고정 설치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140)의 외측에 형성된 파지부(143)의 내부 또는 외측에는 제1 가동접점(333)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접점(331)과 제1 가동접점(333)이 미리 설정된 일정 간격 내에 있으면 스위칭 온되며, 미리 설정된 간격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스위칭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magnetic switch 330 having the first fixed contact 331 is fixedly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of the handle 130, the grip portion 143 is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grip portion 143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ver 140 The first movable contact 333 is fixed,
Wherein the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first stationary contact point (331) and the first movable contact point (333) are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switched off when the first stationary contact point (331) and the first movable contact point (333) are not positioned within a preset interval.
상기 손잡이부(130)의 상부 공간에 제2 고정접점(341)을 탄성적으로 스위칭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레버(343)를 구비한 마이크로 스위치(340)가 고정 설치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140)의 외측에 형성된 파지부(143)의외측에는 제2 가동부(345)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40)가 정상적으로 체결되면서 상기 제2 가동부(343)가 상기 스위치 레버(343)를 일정 압력으로 누르면 스위칭 온되며, 상기 제2 가동부(345)가 상기 스위치 레버(343)로부터 떨어지면 스위칭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micro switch 340 having the switch lever 343 for elastically switching on / off the second fixed contact 341 is fixed to the upper space of the handle 130, A second movable portion 345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grip portion 143,
The second movable part 343 is switched on by pressing the switch lever 343 to a predetermined pressure while the cover part 140 is normally fastened and when the second movable part 345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lever 343, Wherein the cooking cavity is opened and closed.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임의의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 고정되며,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 온도를 차단하도록 일정 폭과 두께로 형성된 열차단부(131)와;
상기 열차단부(131)의 상부에 상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열차단부(131)의 상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상부 헤드부(133)와;
상기 열차단부(131)의 하부에 하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열차단부(131)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하부 헤드부(135)와;
상기 상부 헤드부(133)의 끝단부와 상기 하부 헤드부(135)의 끝단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면서 수직방향으로 내부공간을 갖는 파지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130 includes a handle 130,
A heating end 131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a thickness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lass cooking vessel 1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to block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glass cooking vessel 110;
An upper head portion 133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heat-receiving end portion 131 so as to form an upper sp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heat-receiving end portion 131 in an outward direction;
A lower head portion 135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heat-conducting end portion 131 so as to form a lower space below the heat-conducting end portion 131;
And a grip portion 137 integrally connecting an end portion of the upper head portion 133 and an end portion of the lower head portion 135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in a vertical direction, Equipped cooking device.
상기 손잡이부(130)의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내측에 복수개의 고정용 나사홈(131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중 임의의 다른 하나의 외측에 복수개의 볼팅홀(132a)이 형성되어,
상기 열차단부(3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의 형상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밀착 고정되면서 복수개의 볼팅홀(132a)에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132b)에 의해 상기 좌측 및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가 상기 손잡이 베이스(111)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10. The method of claim 9,
A plurality of fixing screw grooves 131a are protruded and formed inside any one of the left or right knob members 130a and 130b of the knob portion 130. The left or right knob members 130a and 130b, A plurality of bolting holes 132a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any other one of the bolting holes 132a,
A plurality of screws 132b ar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bolting holes 132a whil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t-conducting end 310 are closely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Wherein the left and right knob members (130a, 130b) are fastened to surround the knob base (111).
상기 상부 헤드부(133)를 구성하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330)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34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13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10. The method of claim 9,
An installation groove 133a for fixing the magnetic switch 330 or the micro switch 340 is formed on the inside of any one of the left or right knob members 130a and 130b constituting the upper head portion 133. [ )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handle (2).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 중 임의의 하나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절곡단(131c)이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부재(130a,130b) 중 임의의 다른 하나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끼움홈(132c)이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손잡이 부재(130a,130b)의 절곡단(131c)과 끼움홈(132c)이 상기 손잡이 베이스(111)의 양측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겹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10. The method of claim 9,
A folded end 131c of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s along the outer side of any one of the left or right pull members 130a and 130b and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an arbitrary one of the left and right pull members 130a and 130b A fitting groove (132c)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long the other outer surface;
Wherein a bent end (131c) of the left or right pull member (130a, 130b) and a fitting groove (132c) can be detachably joined to both sides of the pull base (111) by a user. handle.
상기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길이는 (i)상기 유리조리용기(110)와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결합시 서로 접하는 부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연장 형성되거나, (ii)상기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길이는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와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결합시 서로 접하는 부분을 초과하여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상단부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연장 형성되거나, (iii)상기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길이는 상기 용기 베이스(120)의 밑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ngth of the grip portion 137 of the grip portion 130 may be extended to (i) not exceed a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when the container is coupled with the container base 120, or (ii) The length of the grip portion 137 of the grip portion 130 is set such that the length of the grip portion 137 of the grip portion 130 partially overlap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base 120 beyond the portion where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base 120 (Iii) a length of the grip portion 137 of the handle 130 is extend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ase 120.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상기 손잡이부(130)의 상부 헤드부(133)에는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거품감지센서(310)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130)의 하부 헤드부(135) 또는/및 상기 가열받침판(122)이나 모듈 받침판(122a)의 밑면에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32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2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접속 플러그(150) 및 플러그 소켓(250)을 통하여 상기 손잡이부(130)의 파지부(137)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따라 배치된 전선을 따라 상기 거품감지센서(310) 또는/및 상기 온도감지센서(320)에 각각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10. The method of claim 9,
A foam detection sensor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head portion 133 of the handle 130 to detect that the foam generated in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reaches a preset upper critical position;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is provided on the lower head 135 of the handle 130 and / o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122 or the module receiving plate 122a 320 are installe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200 is disposed along the inner spac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grip portion 137 of the handle 130 through the connection plug 150 and the plug socket 250 And is supplied to the foam detection sensor (310) and / or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20) along the electric wire, respectively.
상기 거품감지센서(310)는 상기 손잡이부(13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유리조리용기(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설치홈(119)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oam detection sensor 310 is fixed to an installation groove 119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30. [ .
상기 본체부(200)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 공간부(211)의 밑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유리용기부(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 소켓(250)과;
상기 결합 베이스(2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부 커플링(180)에 체결되어 상기 동력발생기(26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부 커플링(280)과;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 외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조리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조리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 패널(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200,
A plug socket 250 integral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portion 211 of the housing 21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lass container portion 100;
A lower coupling 280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180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base 220 to transmit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260;
And a control panel (240)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210) for selecting one of preset cooking menus using the cooking device and applying a cooking command. Cookware with a cooking vessel.
상기 결합 베이스(22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리조리용기(110)가 상기 하우징(210)의 기준 결합위치에 결합되는 경우 스위칭 온되고, 상기 기준 결합위치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 스위칭 오프되는 제2 접속제어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부(270)로 전달하는 접속감지 스위치(230)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회로부(270)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신호가 스위칭 온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을 상기 동력발생부(260) 또는/및 상기 히터(17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s turned on when the glass cooking container 110 is coupled to the reference coupling position of the housing 210 and is switched off when not connected to the reference coupling position A connection detection switch 230 for transmitting a second connection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unit 270 is formed,
The control circuit 270 may supply power to the power generator 260 and / or the heater 170 only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signals are sensed to be in a switching on state, To the cooking utensil (1).
상기 기준결합위치는,
상기 상부 커플링(180) 및 하부 커플링(280), 상기 접속 플러그(150)과 상기 플러그 소켓(250)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접속감지 스위치(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어회로부(270)가 상기 제1 및 제2 접속신호를 스위칭 온상태로 감지하는 미리 설정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ference coupling position
The upper coupling 180 and the lower coupling 280 and the connection plug 150 and the plug socket 25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detection switch 23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270) is a preset position for sens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signals in a switching on stat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7/007785 WO2018016880A1 (en) | 2016-07-19 | 2017-07-19 | Cooking device having cooking glass bowl and handle structure thereof |
US16/094,327 US11058253B2 (en) | 2016-07-19 | 2017-07-19 | Cooking device having cooking glass bowl and handle structure thereof |
JP2019524103A JP6735920B2 (en) | 2016-07-19 | 2017-07-19 | Structure of cooking equipment with glass cooking container and handle thereof |
CN201780027004.0A CN109152500B (en) | 2016-06-10 | 2017-07-19 | Cooking device with glass cooking bowl and handle structur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72494 | 2016-06-10 | ||
KR1020160072494 | 2016-06-10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1496A Division KR101829813B1 (en) | 2018-01-05 | 2018-01-05 |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40047A true KR20170140047A (en) | 2017-12-20 |
Family
ID=6093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1481A KR20170140047A (en) | 2016-06-10 | 2016-07-19 |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40047A (en) |
CN (1) | CN109152500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98910A1 (en) * | 2018-04-12 | 2019-10-17 | 자이글주식회사 | Blender having magnetic body disposed in blender container thereof |
US20210127905A1 (en) * | 2019-11-04 | 2021-05-06 | Lg Electronics Inc. | Blender and lid for blender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90353Y2 (en) * | 1992-11-30 | 1999-02-10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Handle mounting structure for synthetic resin containers |
EP1396220A1 (en) * | 2002-09-04 | 2004-03-10 | Newway Electrical Industries Limited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ood processors |
FR2856910B1 (en) * | 2003-07-02 | 2005-08-19 | Seb Sa | HOUSEHOLD APPLIANCE FOR FOOD PREPARATION COMPRISING AN IMPROVED HANDLE |
KR200385426Y1 (en) * | 2005-03-14 | 2005-05-27 | (주)유티피전자 | food mixer |
CN201445383U (en) * | 2009-07-15 | 2010-05-05 | 罗全恩 | Automatic power-off protection device used in opening cover of multifunctional household food processor |
JP5509439B2 (en) * | 2010-05-25 | 2014-06-04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Electric cooker |
KR101215223B1 (en) * | 2010-06-17 | 2012-12-24 | 양원준 | A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
KR101183239B1 (en) * | 2010-12-30 | 2012-09-14 | 김홍배 | Automatic Cooker Having Improved Heating and Sealing |
KR101216942B1 (en) * | 2011-07-18 | 2012-12-28 | 김홍배 | Automatic cook with enhanced safety |
FR3003457B1 (en) * | 2013-03-22 | 2015-11-13 | Seb Sa | ELECTRIC CULINARY PREPARATION APPARATUS WITH WORK CONTAINER |
CN203506474U (en) * | 2013-10-11 | 2014-04-02 | 大统营实业股份有限公司 | Stirring soup making machine |
CN204618000U (en) * | 2015-05-11 | 2015-09-09 | 顾宣丰 | A kind of cooking machine jar of electrical heating type |
-
2016
- 2016-07-19 KR KR1020160091481A patent/KR20170140047A/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
- 2017-07-19 CN CN201780027004.0A patent/CN109152500B/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98910A1 (en) * | 2018-04-12 | 2019-10-17 | 자이글주식회사 | Blender having magnetic body disposed in blender container thereof |
US20210127905A1 (en) * | 2019-11-04 | 2021-05-06 | Lg Electronics Inc. | Blender and lid for blender container |
US11779161B2 (en) * | 2019-11-04 | 2023-10-10 | Lg Electronics Inc. | Blender and lid for blender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152500B (en) | 2021-06-29 |
CN109152500A (en) | 2019-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9813B1 (en) |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 |
JP6735920B2 (en) | Structure of cooking equipment with glass cooking container and handle thereof | |
US11471844B2 (en) | Blender apparatus with safety interlock system | |
KR100770641B1 (en) |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 |
CN112167969A (en) | Combined air fryer and slow cooker lid | |
KR102112582B1 (en) | 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 |
KR100768472B1 (en) |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 |
KR20170140047A (en) |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 |
KR101833279B1 (en) | Internal tightening and contact Cookware | |
CN220988449U (en) | Cover capable of pressure cooking and air frying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0431125Y1 (en) |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 |
CN210124596U (en) | Cooking utensil | |
KR102313144B1 (en) | Portable cooking device | |
CN203723980U (en) | Multifunctional foodstuff processing machine | |
KR20110105976A (en) | Automatic cooker having improved sanitation property | |
CN209391783U (en) | Cup cover assembly and food processor | |
KR101874157B1 (en) | food processing machine | |
KR102351746B1 (en) | Portable cooking device | |
KR20150048614A (en) | Multi-functional processing machine | |
KR20170134244A (en) | 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 |
CN217565635U (en) | Fruit juice squeezer with outer cover | |
CN213248388U (en) | Lid and cooking utensil | |
CN215272187U (en) | Food processor | |
CN213757920U (en) | Food processor | |
KR100742606B1 (en) | An Device for Producing Various Fo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