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601A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8601A KR20170058601A KR1020150162381A KR20150162381A KR20170058601A KR 20170058601 A KR20170058601 A KR 20170058601A KR 1020150162381 A KR1020150162381 A KR 1020150162381A KR 20150162381 A KR20150162381 A KR 20150162381A KR 20170058601 A KR20170058601 A KR 201700586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imaging
- refractive power
- diaphragm
- lens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실시예는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n imaging lens.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메라 또는 감시용 카메라에 채용되는 광학계는 전방, 측방 및 후방등의 영상을 보다 넓은 범위를 촬영하기 위하여 수평화각이 일정각도 이상의 넓은 화각을 갖는 광각렌즈를 요구함과 동시에 광학계에 채용되는 렌즈의 소형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an optical system employed in a vehicle camera or a surveillance camera requires a wide-angle lens having a wide viewing angle with a horizontal viewing angle of at least a certain angle in order to photograph a wide range of images such as front, Has been required to be smaller and lighter.
이러한 추세에 있어서, 소형화 촬상 장치에 탑재되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수광소자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촬상 장치에서 가장 부피를 차지하는 부분은 촬상 렌즈 부분이다.In this trend, the miniaturization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mounted on the miniaturized image pickup apparatus is progressing, but the portion occupying the largest volume in the image pickup apparatus is the image pickup lens section.
따라서, 상기 촬상 장치에서 소형화, 박형화에 가장 이슈가 되는 구성요소는 대상물의 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이다.Therefore, a component that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downsizing and thinning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is an image pickup lens that forms an image of the object.
그러나, 넓은 화각을 갖는 광학계를 구현하는 경우, 광학계의 광축방향 길이가 길어지고, 주변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렌즈의 지름을 크게 해야만 하기 때문에 광학계의 콤팩트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implementing an optical system having a wide angle of view, the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has become long and the diameter of the lens has to be made large in order to secure the amount of ambient light.
실시예는 고성능이면서도 초박형의 사이즈를 가지는 촬상 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intends to provide an imaging lens having a high-performance and ultra-thin size.
실시예는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내지 제3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군과, 제4 렌즈 내지 제6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과 상기 제2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4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6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대상면의 곡률반경은 3.1 보다 크고 4.4 보다 작은 촬상 렌즈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ens group including a first lens to a third lens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object side in the image forming side direction and a second lens group including the fourth lens to the sixth lens, Wherein the first lens has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the third lens has positive refractive power, the fourth lens has positive refractive power, the fifth lens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the sixth lens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positive refracting power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 surface of the third lens is larger than 3.1 and smaller than 4.4.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는 대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의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may have the shape of a meniscus convex to the object side.
그리고, 상기 제3 렌즈의 결상면의 곡률반경은 -8.0 보다 크고 -4.0 보다 작을 수 있다.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maging plane of the third lens may be greater than -8.0 and less than -4.0.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예를 들어, 상기 조리개와 상기 제4 렌즈는 25㎛ 내지 70㎛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aphragm and the fourth lens may be disposed at a distance of 25 mu m to 70 mu m.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and the sixth lens may be made of glass.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의 결상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5 렌즈의 대상면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object surface of the fifth lens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mage-forming surface of the fourth lens.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의 결상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6 렌즈의 대상면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object surface of the sixth lens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maging surface of the fifth lens.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촬상 렌즈; 상기 촬상 렌즈를 통과한 빛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수용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is an imaging lens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imaging lens; A filter that selectively transmits light passing through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a wavelength;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receiv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filter.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를 제공한다.Yet another embodiment provides a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described above.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6매의 렌즈로 넓은 화각을 가지면서 촬상 렌즈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켜 소형화가 가능하며, 저왜곡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miniaturized by reducing the total length of the imaging lens while having a wide angle of view with six lenses and realizing a low distortion image.
도 1은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촬상 렌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imaging lens.
2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3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4 is a graph showing aberration diagram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and is a graph showing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c field curves, and distortion in order from the left.
5 is a graph showing the aberration diagram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and is a graph showing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c field curves, and distortion in order from the left.
FIG. 6 is a graph showing aberration diagram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and is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spherical centers, astigmatism, and distortion aberration in order from the left.
7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대상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대상측(object side)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하며, '결상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결상측(image side)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object surface' means a surface of a lens facing the object sid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the term 'imaging surface' Means a surface of the lens facing the image side.
또한, 본 발명에서 렌즈의 "+ 파워"는 평행광을 수렴시키는 수렴 렌즈를 나타내며, 렌즈의 "- 파워"는 평행광을 발산시키는 발산 렌즈를 나타낸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 power" of the lens represents a converging lens for converging parallel light, and "-Power" of the lens represents a diverging lens for emitting parallel light.
도 1은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imaging lens, Fig. 2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대상측에서부터 결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110) 내지 제3 렌즈(130)를 포함하는 제1 렌즈군(I)과, 제4 렌즈(140) 내지 제6 렌즈(160)를 포함하는 제2 렌즈군(II)을 포함한다.1 to 3,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imaging lens include a
그리고, 제1 렌즈(110)의 전면에는 셔터(Shutter)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렌즈군(I)의 제3 렌즈(130)와 제2 렌즈군(II)의 제4 렌즈(140) 사이에 조리개(AS)가 배치될 수 있는데, 조리개(AS)는 가변 조리개일 수 있다.A shutter may be inclu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또한, 필터(170)와 수광소자(180)가 순서대로 포함되어 카메라 모듈 내의 촬상 렌즈를 이룰 수 있으며, 필터(170)와 수광소자(180)의 사이에는 커버 유리(cover glass)가 포함될 수 있다.The
여기서, 필터(170)는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 부재가 배치되며, 수광소자(180)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적층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술한 실시예와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화소 및/또는 화소수가 높은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촬상 렌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카메라 모듈은 화소 및/또는 화소수가 높은 이미지센서 또는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provide an imaging lens that can be applied to a camera module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and / or a large number of pixels, and the above-described camera module includes an image sensor or a light receiving element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and / can do.
도 1 내지 도 3에서, 'S11'은 제1 렌즈(110)의 대상면, 'S12'는 제1 렌즈(110)의 결상면이고, 'S21'은 제2 렌즈(120)의 대상면, 'S22'는 제2 렌즈(120)의 결상면이며, 'S31'은 제3 렌즈(130)의 대상면, 'S32'는 제3 렌즈(130)의 결상면이다. 그리고, 'S41'은 제4 렌즈(140)의 대상면, 'S42'는 제4 렌즈(140)의 결상면이고, 'S51'은 제5 렌즈(150)의 대상면, 'S52'는 제5 렌즈(150)의 결상면이며, 'S61'은 제6 렌즈(160)의 대상면, 'S62'는 제6 렌즈(160)의 결상면이다.1 to 3, 'S11' is a target surface of the
또한, 제1 렌즈군(I)의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는 대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의 형상일 수 있는데,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는 대상면(S11, S21)이 볼록하며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렌즈(130)는 대상면(S31)과 결상면(S32)이 모두 볼록하거나, 대상면(S31)이 볼록하며 결상면(S32)은 플랫하거나 오목할 수 있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The
또한, 제2 렌즈군(II)에서 제4 렌즈(140)는 대상면(S41)과 결상면(S42)이 모두 볼록하거나, 대상면(S41)이 볼록하고 결상면(S42)이 플랫하거나 오목하며,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5 렌즈(150)는 대상면(S51)과 결상면(S52)이 모두 오목하거나, 대상면(S51)이 플랫하거나 오목하고 결상면(S52)이 볼록하며,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6 렌즈(160)는 대상면(S61)과 결상면(S62)이 모두 오목하거나, 대상면(S61)이 오목하고 결상면(S62)이 플랫하거나 볼록하며, 양의 굴졀력을 가질 수 있다.Further, in the second lens group II, the
그리고, 제1 렌즈(110) 내지 제6 렌즈(160)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실시예들에서 제1 렌즈(110)와 제3 렌즈(130)가 유리 렌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110)의 대상면(S11)은 대상측으로 볼록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제1 렌즈(110)가 유리 렌즈로 구비되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해 제1 렌즈(110)의 대상면(S11)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또한, 제2 렌즈(120)의 외구경(B) 크기는 제1 렌즈(110)의 결상면(S12)의 내구경(A) 크기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렌즈(110)를 투과한 빛이 제2 렌즈(120)의 대상면(S21)으로 빛이 입사되고, 제2 렌즈(120)를 투과하는 빛이 보다 많은 광량으로 제3 렌즈(130)에 입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outer diameter B of the
그리고, 제3 렌즈(130)는 제2 렌즈(120)의 구경보다 구경이 작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사이에 조리개(AS)가 배치될 수 있는데,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에서 조리개(AS)까지의 거리(d7)는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1)에서 조리개(AS)까지의 거리(d6)보다 작을 수 있다.The
여기서, 조리개(AS)에서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까지의 거리(d7)는 25㎛ 내지 70㎛ 일 수 있다.Here, the distance d7 from the diaphragm AS to the object surface S41 of the
또한, 제4 렌즈(140)의 결상면(S4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5 렌즈(150)의 대상면(S51)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고, 제5 렌즈(150)의 결상면(S5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6 렌즈(160)의 대상면(S61)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object surface S51 of the
즉, 제4 렌즈(140)의 결상면(S42)이 볼록하게 형성되면 제5 렌즈(150)의 대상면(S51)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4 렌즈(140)의 결상면(S42)이 오목하게 형성되면 제5 렌즈(150)의 대상면(S51)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렌즈(150)의 결상면(S52)이 볼록하게 형성되면 제6 렌즈(160)의 대상면(S61)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5 렌즈(150)의 결상면(S52)이 오목하게 형성되면 제6 렌즈(160)의 대상면(S61)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maging surface S42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렌즈(140) 내지 제6 렌즈(160)가 배치되는 구조는 저분산(Low Dispersion) 성능을 높일 수 있어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6장으로 구성되는 촬상 렌즈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촬상 렌즈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n which the
한편,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110~160)의 렌즈들은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는데, 렌즈들의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되면, 각종 수차, 예를 들면 구면 수차, 코마 수차 및 왜곡 수차 등의 보정에 우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enses of the first to
또한,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110~160)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서는 제1 렌즈(110)와 제3 렌즈(130)가 유리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 렌즈는 전이점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경시 변화에도 굴절률의 변형 및 초점거리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서 제3 렌즈(130)는 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유리로 이루어지면 촬상 렌즈의 광학적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여기서,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110~160)이 모두 유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렌즈가 유리로만 제작될 경우 촬상 렌즈의 제조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와 제3 렌즈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면 외부 환경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촬상 렌즈가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으면서 촬상 렌즈를 제조하는데 드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all of the first to
그리고,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는 반사 방지 또는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하여 렌즈의 표면이 코팅처리 될 수 있다.The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coated with the surface of the lens to prevent reflection or improve surface hardness.
한편,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제3 렌즈(130)의 대상면(S31)의 곡률반경은 3.1 보다 크고 4.4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의 곡률반경은 -8.0 보다 크고 -4.0 보다 작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 surface S31 of the
표 1은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의 각 렌즈들의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및 아베수를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r distance, refractive index, and Abbe number of each len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표 1에서 제1 렌즈(110) 내지 제3 렌즈(130), 조리개(AS) 및 제4 렌즈(140) 내지 제6 렌즈(16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곡률이 양(+)인 경우 물체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고 음(-)인 경우 수광소자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다. 곡률이 무한(Infinity)인 경우 플랫(flat)한 경우이고,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In Table 1, the curvatures of the object surface and the image plane of the
도 1을 참조하면,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과 조리개(AS) 간의 거리(d6)는 0.799219mm이고, 조리개(AS)와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 간의 거리(d7)는 0.067433mm로 d6보다 d7이 작을 수 있다. 즉, 제4 렌즈(140)가 제3 렌즈(130)보다 조리개(AS)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AS)가 광경로를 제어하여 제3 렌즈(130)의 구경보다 구경이 작은 제4 렌즈(140)에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1, the distance d6 between the imaging surface S32 of the
그리고, 제4 렌즈(140)의 결상면(S42)와 제5 렌즈(150)의 대상면(S51)과의 거리(d9)와, 제5 렌즈(150)의 결상면(S52)와 제6 렌즈(160)의 대상면(S61)과의 거리(d10)이 각각 0.030529mm, 0.1487mm로 렌즈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깝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렌즈 간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되면 저분산(Low Dispersion) 성능을 높여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복수의 렌즈로 구비된 촬상 렌즈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하여 최소형의 촬상 렌즈를 구현할 수 있다.The distance d9 between the imaging surface S42 of the
제1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의 굴절력은 -0.145이고, 제2 렌즈(120)의 굴절력은 -0.450이고, 제3 렌즈(130)의 굴절력은 0.337이다. 그리고, 제4 렌즈(140)의 굴절력은 0.718이고, 제5 렌즈(150)의 굴절력은 -0.648이며, 제6 렌즈(160)의 굴절력은 0.235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fractive power of the
그리고,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는 -6.875이고,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는 -2.222이고,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는 2.969이다. 또한,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는 1.394이고, 제5 렌즈(150)의 초점거리는 -1.543이며, 제6 렌즈(160)의 초점거리는 4.252이다. 여기서, 초점거리가 +인 경우 실초점이고 -인 경우는 허초점을 의미하고,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The focal length of the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는 1.13mm 이다.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1.13 mm.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렌즈는 표면에 반사 방지 또는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해 코팅처리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each lens can be coated on the surface for anti-reflection or surface hardness enhancement.
표 2는 제1 실시예에서 각 렌즈면의 코닉상수(k) 및 비구면계수(A 내지 G)를 나타낸다.Table 2 shows the conic constant (k) and the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s (A to G) of each lens surface in the first embodiment.
제2 렌즈(120), 제4 렌즈 내지 제6 렌즈(140~160)의 렌즈들의 양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제2 렌즈(120), 제4 렌즈 내지 제6 렌즈(140~160)의 렌즈들의 양면이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되면, 각종 수차, 예를 들면 구면 수차, 코마 수차 및 왜곡 수차 등의 보정에 우수할 수 있다.And the lenses of the
도 4는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4 is a graph showing aberration diagram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and is a graph showing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c field curves, and distortion in order from the left.
도 4에서, Y축은 이미지의 크기를 의미하고, X축은 초점거리(mm 단위) 및 왜곡도(% 단위)를 의미하며, 곡선들이 Y축에 접근될수록 수차 보정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종구면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435.80nm, 486.13nm, 546.07nm, 587.56nm 및 656.28nm인 광에 대한 종구면수차를 나타내며, 비점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56nm인 광에 대한, 구결면(S: Sagittal surface) 및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수차를 나타낸다. 또한, 왜곡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56nm인 광에 대한 왜곡을 나타낸다.In FIG. 4, the Y axis means the size of the image, the X axis means the focal length (in mm) and the distortion degree (in%), and the closer the curves are to the Y axis, the better the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velengths of 435.80 nm, 486.13 nm, 546.07 nm, 587.56 nm and 656.28 nm, and the graph relating to astigmatism shows a spectrum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87.56 nm (S: Sagittal surface) and a meridional surface (T: tangential surface). Also, the graph relating to the distortion aberration shows a distortion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87.56 nm.
표 3은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의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및 아베수를 나타낸다.Table 3 shows the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r distance, refractive index and Abbe nu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표 3에서 제1 렌즈(110) 내지 제3 렌즈(130), 조리개(AS) 및 제4 렌즈(140) 내지 제6 렌즈(16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곡률이 양(+)인 경우 물체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고 음(-)인 경우 수광소자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다. 곡률이 무한(Infinity)인 경우 플랫(flat)한 경우이고,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In Table 3, the curvatures of the object surface and the imaging surface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과 조리개(AS) 간의 거리(d6)는 0.75875mm이고, 조리개(AS)와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 간의 거리(d7)는 0.03mm로 d6보다 d7이 작을 수 있다. 즉, 제4 렌즈(140)가 제3 렌즈(130)보다 조리개(AS)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AS)가 광경로를 제어하여 제3 렌즈(130)의 구경보다 구경이 작은 제4 렌즈(140)에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2, the distance d6 between the imaging surface S32 of the
그리고, 제4 렌즈(140)의 결상면(S42)와 제5 렌즈(150)의 대상면(S51)과의 거리(d9)와, 제5 렌즈(150)의 결상면(S52)와 제6 렌즈(160)의 대상면(S61)과의 거리(d10)이 각각 0.05mm, 0.2mm로 렌즈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깝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렌즈 간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되면 저분산(Low Dispersion) 성능을 높여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복수의 렌즈로 구비된 촬상 렌즈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하여 최소형의 촬상 렌즈를 구현할 수 있다.The distance d9 between the imaging surface S42 of the
제2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의 굴절력은 -0.203이고, 제2 렌즈(120)의 굴절력은 -0.394이고, 제3 렌즈(130)의 굴절력은 0.333이다. 그리고, 제4 렌즈(140)의 굴절력은 0.783이고, 제5 렌즈(150)의 굴절력은 -0.745이며, 제6 렌즈(160)의 굴절력은 0.262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efractive power of the
그리고,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는 -4.933이고,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는 -2.537이고,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는 3.004이다. 또한,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는 1.277이고, 제5 렌즈(150)의 초점거리는 -1.342이며, 제6 렌즈(160)의 초점거리는 3.820이다.The focal length of the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는 1.13mm 이다.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1.13 mm.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렌즈는 표면에 반사 방지 또는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해 코팅처리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each lens can be coated on the surface for anti-reflection or surface hardness enhancement.
표 4는 제2 실시예에서 각 렌즈면의 코닉상수(k) 및 비구면계수(A 내지 G)를 나타낸다.Table 4 shows the conic constant (k) and the aspheric coefficient (A to G) of each lens surface in the second embodiment.
제2 렌즈(120), 제4 렌즈 내지 제6 렌즈(140~160)의 렌즈들의 양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제2 렌즈(120), 제4 렌즈 내지 제6 렌즈(140~160)의 렌즈들의 양면이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되면, 각종 수차, 예를 들면 구면 수차, 코마 수차 및 왜곡 수차 등의 보정에 우수할 수 있다.And the lenses of the
도 5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aberration diagram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and is a graph showing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c field curves, and distortion in order from the left.
도 5에서, Y축은 이미지의 크기를 의미하고, X축은 초점거리(mm 단위) 및 왜곡도(% 단위)를 의미하며, 곡선들이 Y축에 접근될수록 수차 보정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종구면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435.80nm, 486.13nm, 546.07nm, 587.56nm 및 656.28nm인 광에 대한 종구면수차를 나타내며, 비점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56nm인 광에 대한, 구결면(S: Sagittal surface) 및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수차를 나타낸다. 또한, 왜곡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56nm인 광에 대한 왜곡을 나타낸다.5, the Y axis means the size of the image, the X axis means the focal length (in mm) and the distortion degree (in%), and the closer the curves approach the Y axis, the better the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The graphs relating to the number of centroids in FIG. 5 show the difference in the center-of-curvature for light with wavelengths of 435.80 nm, 486.13 nm, 546.07 nm, 587.56 nm and 656.28 nm, and the graph regarding astigmatism shows that the light with a wavelength of 587.56 nm (S: Sagittal surface) and a meridional surface (T: Tangential surface). Also, the graph relating to the distortion aberration shows a distortion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87.56 nm.
표 5는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의 각 렌즈들의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및 아베수를 나타낸다. Table 5 shows the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r distance, refractive index, and Abbe number of each len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maging lens.
표 5에서 제1 렌즈(110) 내지 제3 렌즈(130), 조리개(AS) 및 제4 렌즈(140) 내지 제6 렌즈(16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곡률이 양(+)인 경우 물체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고 음(-)인 경우 수광소자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다. 곡률이 무한(Infinity)인 경우 플랫(flat)한 경우이고,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In Table 5, the curvatures of the object surface and the imaging surfac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과 조리개(AS) 간의 거리(d6)는 0.75877mm이고, 조리개(AS)와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 간의 거리(d7)는 0.055473mm로 d6보다 d7이 작을 수 있다. 즉, 제4 렌즈(140)가 제3 렌즈(130)보다 조리개(AS)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AS)가 광경로를 제어하여 제3 렌즈(130)의 구경보다 구경이 작은 제4 렌즈(140)에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3, the distance d6 between the imaging surface S32 of the
그리고, 제4 렌즈(140)의 결상면(S42)와 제5 렌즈(150)의 대상면(S51)과의 거리(d9)와, 제5 렌즈(150)의 결상면(S52)와 제6 렌즈(160)의 대상면(S61)과의 거리(d10)이 각각 0.124355mm, 0.073027mm로 렌즈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깝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렌즈 간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되면 저분산(Low Dispersion) 성능을 높여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복수의 렌즈로 구비된 촬상 렌즈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하여 최소형의 촬상 렌즈를 구현할 수 있다.The distance d9 between the imaging surface S42 of the
제3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의 굴절력은 -0.142이고, 제2 렌즈(120)의 굴절력은 -0.403이고, 제3 렌즈(130)의 굴절력은 0.307이다. 그리고, 제4 렌즈(140)의 굴절력은 0.704이고, 제5 렌즈(150)의 굴절력은 -0.745이며, 제6 렌즈(160)의 굴절력은 0.346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refractive power of the
그리고,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는 -7.034이고,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는 -2.482이고,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는 3.258이다. 또한,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는 1.420이고, 제5 렌즈(150)의 초점거리는 -1.343이며, 제6 렌즈(160)의 초점거리는 2.889이다.The focal length of the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는 1.13mm 이다.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1.13 mm.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렌즈는 표면에 반사 방지 또는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해 코팅처리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each lens can be coated on the surface for anti-reflection or surface hardness enhancement.
표 6은 제3 실시예에서 각 렌즈면의 코닉상수(k) 및 비구면계수(A 내지 G)를 나타낸다.Table 6 shows the conic constant (k) and the aspheric coefficient (A to G) of each lens surface in the third embodiment.
제2 렌즈(120), 제4 렌즈 내지 제6 렌즈(140~160)의 렌즈들의 양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제2 렌즈(120), 제4 렌즈 내지 제6 렌즈(140~160)의 렌즈들의 양면이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되면, 각종 수차, 예를 들면 구면 수차, 코마 수차 및 왜곡 수차 등의 보정에 우수할 수 있다.And the lenses of the
도 6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aberration diagrams of an imaging le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nd is a graph showing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c field curves, and distortion in order from the left.
도 6에서, Y축은 이미지의 크기를 의미하고, X축은 초점거리(mm 단위) 및 왜곡도(% 단위)를 의미하며, 곡선들이 Y축에 접근될수록 수차 보정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종구면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435.80nm, 486.13nm, 546.07nm, 587.56nm 및 656.28nm인 광에 대한 종구면수차를 나타내며, 비점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56nm인 광에 대한, 구결면(S: Sagittal surface) 및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수차를 나타낸다. 또한, 왜곡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56nm인 광에 대한 왜곡을 나타낸다.6, the Y axis means the size of the image, the X axis means the focal length (in mm) and the distortion degree (in%), and the closer the curves are to the Y axis, the better the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can be.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velengths of 435.80 nm, 486.13 nm, 546.07 nm, 587.56 nm and 656.28 nm, and the graph relating to the astigmatism shows a spectrum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87.56 nm (S: Sagittal surface) and a meridional surface (T: tangential surface). Also, the graph relating to the distortion aberration shows a distortion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87.56 nm.
도 7은 촬상 렌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도 7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렌즈 배럴(30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100~160)와 복수의 렌즈(100~160)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210~240)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그리고, 복수의 렌즈는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렌즈 내지 제n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disposed sequentially from the object side in the image forming side direction, and may include a first lens to an n-th lens, wherein n may be an integer of 2 or more.
제1 렌즈(110)의 대상면은 대상측으로 볼록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해 제1 렌즈(110)의 대상면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해 제1 렌즈(110)는 유리 렌즈로 구비될 수 있다.The object surface of the
그리고, 제1 렌즈(110)의 결상면과 제2 렌즈(120)의 대상면이 마주하도록 제2 렌즈(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렌즈는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110~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의 대상면이 이웃하는 렌즈의 결상면과 마주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렌즈 배럴(300)에 배치될 수 있다.The
아울러, 이웃하는 렌즈 사이에는 간격 유지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간격 유지 부재는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 주는 제1 간격 유지 부재(210),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간격 유지 부재(220), 제4 렌즈(140)와 제5 렌즈(15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간격 유지 부재(230), 제5 렌즈(150)와 제6 렌즈(160) 사이에 배치되는 제4 간격 유지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간격 유지 부재(210)는 제1 렌즈(110)의 결상면과 제2 렌즈(120)의 대상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제1 간격 유지 부재(210)가 제2 렌즈(120)의 외측부에서 제1 렌즈(110)의 결상면(111)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해 줄 수 있도록 렌즈 배럴(300)의 상단면을 따라 제1 간격 유지 부재(210)가 배치될 수 있는 홈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A gap hold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lenses, and the gap hold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실시예에서, 제1 간격 유지 부재(210)는 오링(O-ring)으로 구비되어 촬상 렌즈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방수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그리고, 제1 렌즈(110)의 결상면의 내구경 크기(A)는 제2 렌즈(120)의 외구경 크기(B)와 같거나 제2 렌즈(120)의 외구경 크기(B)보다 클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size A of the image forming surface of the
이러한 구조는 제1 렌즈(110)를 투과한 빛이 제2 렌즈(120)의 대상면으로 빛이 입사되고, 제2 렌즈(120)를 투과하는 빛이 보다 많은 광량으로 제3 렌즈(130)에 입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structur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또한, 제2 렌즈(120)의 가장자리에는 렌즈 배럴(300)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연장부가 연장 두께(C)만큼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of the
제2 간격 유지 부재(220)는 렌즈 배럴(300)의 내주면(310)에 접하는 외주면(221)을 가지고,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간의 간격을 유지해 줄 수 있다. 또한, 제2 간격 유지 부재(220)는 제3 렌즈(130)의 결상면과 접하는 제1 결합부(222)와 제4 렌즈(140)의 대상면과 접하는 제2 결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그리고, 제1 결합부(231)와 제2 결합부(232)는 각각 제3 렌즈(130)과 제4 렌즈(140)에 결합되어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 줄 수 있다.The
여기서, 간격 유지 부재(220)의 중앙부에는 제3 렌즈(130)를 투과한 빛이 제4 렌즈(140)로 입사할 수 있도록 광경로를 형성해 주는 상광하협의 관통홀(224)이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한편, 제2 결합부(223)는 제4 렌즈(140)의 대상면과 면접촉을 하도록 결합면(223)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면(223)에는 관통홀(224)과 연결되도록 단차(2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224)의 하단은 제3 렌즈(130)를 투과하여 제4 렌즈(140)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해 줄 수 있는 조리개가 될 수 있다.The
여기서, 단차(225)의 높이(D2)는 관통홀(224)의 높이(D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제4 렌즈(140)의 대상면으로부터 조리개까지의 거리가 제3 렌즈(130)의 결상면에서 조리개까지의 거리보다 가깝도록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height D2 of the
또한, 제2 간격 유지 부재(220)에 형성된 단차(225)는 제4 렌즈(140)의 결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고, 제4 렌즈(140)의 중앙부가 배치될 공간이 확보해 줄 수 있다.The stepped
제3 간격 유지 부재(230)는 제4 렌즈(140)의 결상면과 제5 렌즈(150)의 대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4 렌즈(140)과 제5 렌즈(15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 줄 수 있다.The third
그리고, 간격 유지 부재(230)는 제4 렌즈(140)의 결상면과 접하는 제1 결합부(231)와 제5 렌즈(150)의 대상면과 접하는 제2 결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231)에 접하는 제4 렌즈(140)의 제1 접면(141)과 제1 결합부(231)가 결합되고, 제2 결합부(232)에 접하는 제5 렌즈(150)의 제2 접촉면(151)과 제2 결합부(232)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231)와 제2 결합부(232)는 각각 제4 렌즈(140)의 결상면과 제5 렌즈(150)의 대상면과 면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제4 간격 유지 부재(240)는 제5 렌즈(150)의 결상면과 접하는 제1 결합부(241)와 제6 렌즈(160)의 대상면과 접하는 제2 결합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241)에 접하는 제5 렌즈(150)의 제1 접촉면(151)과 제1 결합부(241)가 결합되고, 제2 결합부(242)에 접하는 제6 렌즈(160)의 제2 접촉면(161)과 제2 결합부(242)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241)와 제2 결합부(242)는 각각 제5 렌즈(150)의 결상면과 제6 렌즈(160)의 대상면과 면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The fourth
제3 및 제4 간격 유지 부재(230, 240)는 상하면이 평평한 링형태로 배치되어 제3 간격 유지 부재(230)와 접촉하는 제4 렌즈(140)의 결상면과 제5 렌즈(150)의 대상면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4 간격 유지 부재(240)와 접촉하는 제5 렌즈(150)의 결상면과 제6 렌즈(160)의 대상면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and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6매의 렌즈로 넓은 화각을 가지면서 촬상 렌즈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켜 소형화가 가능하며, 저왜곡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length of the imaging lens while having a wide angle of view with six lenses, and to realize a low distortion image.
상술한 촬상 렌즈는 촬상 렌즈를 통과한 빛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수용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The imaging len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amera module including a filter that selectively transmits light passing through an imaging lens according to a wavelength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that receives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filter.
그리고, 상술한 촬상 렌즈가 포함된 카메라 모듈은,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및 테블렛(tablet) PC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digital device)에 내장될 수 있다. 특히, 광각을 구현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에 내장되어 촬영된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imaging lens described above may be embedded in various digital devices such as a digital camera, a smart phone, a notebook, and a tablet PC. In particular, it is embedded in a digital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by implementing a wide angle, thereby minimizing the distor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10: 제1 렌즈
120: 제2 렌즈
130: 제3 렌즈
140: 제4 렌즈
150: 제5 렌즈
160: 제6 렌즈
170: 필터
180: 수광소자
210, 220, 230, 240: 간격 유지 부재
300: 렌즈 배럴
AS: 조리개110: first lens 120: second lens
130: third lens 140: fourth lens
150: fifth lens 160: sixth lens
170: Filter 180: Light receiving element
210, 220, 230, 240: spacing member 300: lens barrel
AS: Aperture
Claims (10)
상기 제1 렌즈과 상기 제2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4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6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대상면의 곡률반경은 3.1 보다 크고 4.4 보다 작은 촬상 렌즈.A first lens group including a first lens to a third lens which are arranged sequentially from the object side in the image forming side direction and a second lens group including a fourth lens to a sixth lens,
Wherei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have a negative refracting power, the third lens has a positive refracting power, the fourth lens has a positive refracting power and the fif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ng power, The lens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 surface of the third lens is larger than 3.1 and smaller than 4.4.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는 대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의 형상인 촬상 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have a shape of meniscus convex to the object side.
상기 제3 렌즈의 결상면의 곡률반경은 -8.0 보다 크고 -4.0 보다 작은 촬상 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adius of curvature of an image-forming surface of the third lens is larger than -8.0 and smaller than -4.0.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촬상 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상기 조리개와 상기 제4 렌즈는 25㎛ 내지 70㎛ 이격되어 배치되는 촬상 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aphragm and the fourth lens are disposed at a distance of 25 mu m to 70 mu m.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촬상 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and the sixth lens is made of glass.
상기 제4 렌즈의 결상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5 렌즈의 대상면의 형상이 형성되는 촬상 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hape of the object surface of the fifth lens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maging surface of the fourth lens.
상기 제5 렌즈의 결상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6 렌즈의 대상면의 형상이 형성되는 촬상 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hape of the object surface of the sixth lens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maging surface of the fifth lens.
상기 촬상 렌즈를 통과한 빛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수용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An imaging le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filter that selectively transmits light passing through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a wavelength; And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receiv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fil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381A KR102568944B1 (en) | 2015-11-19 | 2015-11-19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381A KR102568944B1 (en) | 2015-11-19 | 2015-11-19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8601A true KR20170058601A (en) | 2017-05-29 |
KR102568944B1 KR102568944B1 (en) | 2023-08-21 |
Family
ID=5905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2381A KR102568944B1 (en) | 2015-11-19 | 2015-11-19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894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6529A (en) | 2018-09-28 | 2020-04-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Image Capturing Lens System |
WO2021223238A1 (en) * | 2020-05-08 | 2021-11-11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Imaging lens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image processing-based distortion correction, camera module and imaging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49373A (en) * | 1975-10-15 | 1977-04-20 | Mitsubishi Rayon Co | Manufacture of shed unwoven fabrics |
KR20090030155A (en) * | 2007-09-19 | 2009-03-24 | 삼성전기주식회사 | Super wide angle optical system |
KR20090106242A (en) * | 2008-04-04 | 2009-10-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Optical system for super wide angle |
-
2015
- 2015-11-19 KR KR1020150162381A patent/KR10256894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49373A (en) * | 1975-10-15 | 1977-04-20 | Mitsubishi Rayon Co | Manufacture of shed unwoven fabrics |
KR20090030155A (en) * | 2007-09-19 | 2009-03-24 | 삼성전기주식회사 | Super wide angle optical system |
KR20090106242A (en) * | 2008-04-04 | 2009-10-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Optical system for super wide angl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6529A (en) | 2018-09-28 | 2020-04-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Image Capturing Lens System |
US11360285B2 (en) | 2018-09-28 | 2022-06-1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Optical imaging system and camera module |
WO2021223238A1 (en) * | 2020-05-08 | 2021-11-11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Imaging lens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image processing-based distortion correction, camera module and imag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8944B1 (en) | 2023-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34096B (en) | Optical imaging lens system | |
US9791667B2 (en) | Lens module | |
US11733479B2 (en) | Imaging lens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 |
KR20160004578A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50070858A (en) | Imaging lens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
TWI424214B (en) |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 |
TW201411180A (en) | Image-capturing lens | |
US10656410B2 (en) |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comprising same | |
KR20180070870A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89743A (en) |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20080099031A (en) | Compact imaging lens | |
KR20140056494A (en) | Optical system | |
KR102599615B1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150717B1 (en) | Image pickup lens | |
KR20160109473A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69391A (en) | Photographing lens system | |
KR20150012372A (en) | Image pickup lends | |
KR102568944B1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71015A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22780B1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90053067A (en) | Optical Imaging System | |
KR102599618B1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91911B1 (en) | High definition lens system | |
KR102528499B1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70047B1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