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871A - 감온성 점착제 - Google Patents
감온성 점착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2871A KR20150112871A KR1020150042388A KR20150042388A KR20150112871A KR 20150112871 A KR20150112871 A KR 20150112871A KR 1020150042388 A KR1020150042388 A KR 1020150042388A KR 20150042388 A KR20150042388 A KR 20150042388A KR 20150112871 A KR20150112871 A KR 201501128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chain
- crystalline polymer
- chain crystalline
- sensitive adhesive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J201/02—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Landscapes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감온성 점착제는 점착 부여제 및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점착력이 저하하고, 상기 점착 부여제는 연화점이 140℃ 이상이고, 또한 함유량이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40∼100중량부이다. 이것에 의해, 점착성을 유지하면서 감온성 점착제 중의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비율을 적당한 정도로 적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융점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 점착력이 충분하게 저하해서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온성 점착제에 관한 것이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등의 제조공정이 있어서,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가고정에 점착 시트나 점착 테이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 등에는 일단 부착한 점착 테이프를 재박리하는데 있어서 이박리성이 요구된다.
본 출원인은 가고정에 적합한 점착 테이프로서, 앞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감온성 점착 테이프를 개발했다. 감온성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이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있고,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로까지 냉각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됨으로써 점착력이 저하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와 같은 종래의 감온성 점착 테이프를 사용해도 박리시에 기판을 파손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기판을 파손하지 않고 박리하기 위해서는 실온(23℃)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면 5℃)로까지 냉각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감온성 점착 테이프에는 실온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하는 프로세스가 필요로 되고, 그 결과 설비나 환경이 필요로 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비용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 문제는 감온성 점착 테이프와 함께 100℃ 이상의 고온 분위기 하에 노출된 기판으로부터 감온성 점착 테이프를 박리할 경우에 현저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박리성이 우수한 감온성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감온성 점착제는 점착 부여제 및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점착력이 저하하고, 상기 점착 부여제는 연화점이 140℃ 이상이고, 또한 함유량이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40∼10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리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감온성 점착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감온성 점착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점착력이 저하한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융점을 갖는 폴리머이고, 이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결정화하고, 또한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상전위해서 유동성을 나타낸다. 즉,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온도 변화에 대응해서 결정 상태와 유동 상태를 가역적으로 일으키는 감온성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온도 변화에 대응해서 점착-비점착을 가역적으로 일으키는 물성을 감온성 점착제에 부여할 수 있다.
융점이란, 어떤 평형 프로세스에 의해 최초에는 질서있는 배열로 정합되어 있었던 중합체의 특정 부분이 무질서 상태로 되는 온도이고, 시차열주사열량계(DSC)에 의해 10℃/분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해서 얻어지는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했을 때에 점착력이 저하하는 비율로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측쇄 결정성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착체로부터 감온성 점착제를 박리할 때에는 감온성 점착제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로 냉각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함으로써 점착력이 저하한다. 또한, 감온성 점착제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유동성을 나타냄으로써 점착력이 회복되므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은 2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6℃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실온(23℃)에서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되므로, 실온 박리가 가능해진다. 융점의 상한치로서는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은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조성 등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온도 변화에 대응해서 결정 상태와 유동 상태를 가역적으로 일으키는 감온성을 갖는 중합체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응성 불소 화합물과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감온성 점착제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로 냉각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하는 것에 의한 점착력의 저하에 추가해서, 불소 화합물에 기인하는 이형성도 더해지므로, 점착력을 충분하게 저하시킬 수 있어서 피착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반응성 불소 화합물이란, 반응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갖는 불소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반응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기, 알릴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옥시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기; 에폭시기(글리시딜기 및 에폭시시클로알킬기를 포함함); 메르캅토기; 카르비놀기; 카르복실기; 실라놀기; 페놀기;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불소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식 중, R1은 기: CH2=CHCOOR2- 또는 CH2=C(CH3)COOR2- (식 중, R2는 알킬렌기를 나타냄)을 나타낸다]
일반식(I) 중, R2가 나타내는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메틸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등의 탄소수 1∼6개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Ia), (Ib)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불소 화합물은 시판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의 반응성 불소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모두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 제품의 「Viscoat 3F」, 「Viscoat 3FM」, 「Viscoat 4F」, 「Viscoat 8F」, 「Viscoat 8FM」, KYOEISHA CHEMICAL CO., LTD. 제품의 「LIGHT ESTERM-3F」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6개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극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6개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세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베헤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6∼22개의 선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상술한 각 모노머 중 적어도 탄소수 16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8개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부착성 및 박리성을 밸런스 좋게 얻는 점에서,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탄소수 16개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극성 모노머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로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메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비율이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비율 및 아크릴산의 중합 비율보다 많은 것이 좋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조성은 반응성 불소 화합물과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를 중량비로 1:99∼20:80, 바람직하게는 1:99∼10:90의 비율로 중합시킨 공중합체가 좋다.
또한,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조성은 반응성 불소 화합물을 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0중량부, 탄소수 16개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10∼99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99중량부,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0∼70중량부, 및 극성 모노머를 0∼10중량부의 비율로 중합시킨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반응성 불소 화합물을 1∼10중량부, 탄소수 16개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25∼30중량부,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60∼65중량부, 및 극성 모노머를 1∼10중량부의 비율로 중합시킨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00∼9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00∼600,000인 것이 좋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피착체로부터 감온성 점착제를 박리할 때에 감온성 점착제가 피착체 상에 잔류하여, 소위 점착제 잔사가 많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크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융점 미만의 온도로 해도 결정화되기 어려워지므로, 점착력이 저하하기 어려워진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측정치를 폴리스티렌 환산한 값이다.
(점착 부여제)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상술한 측쇄 결정성 폴리머에 추가해서 점착 부여제를 더 함유한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부여제는 연화점이 14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이다. 연화점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고연화점의 점착 부여제는 조제가 곤란하기 때문에, 통상 170℃ 이하, 바람직하게는 165℃ 이하이다. 연화점은 JIS K 5902에 규정되는 환구법에 따라서 측정되는 값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점착 부여제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40∼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10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이러한 높은 비율로 연화점을 140℃ 이상이라고 하는 고연화점의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면, 피착체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점착성을 유지하면서 감온성 점착제 중의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비율을 적당한 정도로 적게 할 수 있고, 그러므로 융점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 점착력이 충분히 저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박리성이 향상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조성을 변경하지 않고 고연화점의 점착 부여제를 특정 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을 24℃ 이상으로 하면, 실온(23℃)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면 5℃)로까지 냉각하지 않고 실온에서 확실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박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점착한 피착체를 100∼220℃의 온도에 노출했다고 해도, 융점 미만의 온도로 냉각하면, 스무드하게 피착체를 박리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의 조성은 연화점이 140℃ 이상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탄화수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페놀계 수지, 케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예시한 이들 점착 부여제 중, 상술한 측쇄 결정성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로진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로진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로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로진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생 로진)을 알콜류에 의해 에스테르화한 로진의 에스테르 화합물이나, 수첨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의 변성 로진을 알콜류에 의해 에스테르화한 변성 로진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로진 에스테르류; 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이나, 각종 로진 유도체 등의 로진류의 금속염; 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이나, 각종 로진 유도체 등에 페놀을 산촉매에서 부가시켜서 열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로진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예시한 이들 로진 유도체 중, 중합 로진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로진 에스테르는 시판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의 「PENSEL D-160」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
감온성 점착제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을 채용하면, 감온성 점착제의 내열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금속의 아세틸아세톤 배위 화합물,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테르 배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니켈, 크롬, 철, 티타늄, 아연, 코발트, 망간, 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예시한 이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중, 알루미늄의 아세틸아세톤 배위 화합물 또는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테르 배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가 적합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2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을 채용할 경우, 그 함유량은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2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12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12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제)
감온성 점착제는, 예를 들면 가소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감온성 점착제의 제조방법>
감온성 점착제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진 측쇄 결정성 폴리머와 용제를 혼합한 공중합체 용액에 점착 부여제를 첨가해서 도포액을 얻고, 이 도포액을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중합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이 채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용액 중합법을 채용할 경우에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상술한 모노머를 용제에 혼합하고, 40∼90℃ 정도에서 2∼10시간 정도 교반하면 좋다. 용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감온성 점착제에 가교제나 첨가제를 함유시킬 경우, 가교제나 첨가제를 공중합체 용액에 첨가하면 좋다.
<감온성 점착 시트>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 시트는 상술한 감온성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기재리스의 시트상의 형태이다. 감온성 점착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5∼400㎛이다. 감온성 점착 시트의 표면에는 이형 필름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등의 이형제를 도포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감온성 점착 테이프>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 테이프는 상술한 감온성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필름상의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해서 이루어진다. 즉, 감온성 점착 테이프의 구성은 필름상의 기재와 이 기재의 편면에 적층된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성; 또는 필름상의 기재와 이 기재의 양면에 각각 적층된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이다. 필름상이란 필름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필름상 또는 시트상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기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염화 비닐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기재는 단층체 또는 복층체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그 두께는 통상 5∼500㎛ 정도이다. 기재에는 점착제층에 대한 밀착성을 높이는 점에서, 예를 들면 코로나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블라스트 처리, 케미컬 에칭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도포액을 코터 등에 의해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해서 건조시키면 좋다. 코터로서는, 예를 들면 나이프 코터, 롤 코터, 캘린더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어 코터, 로드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5∼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이다.
감온성 점착 테이프가 3층 구성일 경우, 편면의 점착제층과 다른 면의 점착제층은 두께, 조성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다른 면의 점착제층을, 예를 들면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감압성 접착제는 점착성을 갖는 폴리머이고, 예를 들면 천연 고무 접착제, 합성 고무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베이스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감온성 점착 테이프의 표면에는 이형 필름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등의 이형제를 도포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이박리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점착제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LED나 FPD 등에 있어서의 대형화 및 박형화된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가고정에 적합하고, 특히 FPD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기판의 가고정용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점,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 시트 및 감온성 점착 테이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합성예 및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합성예 및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합성예)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를 28부, 메틸아크릴레이트를 62부, 아크릴산을 5부, 및 반응성 불소 화합물(상술한 식(Ia)으로 표시되는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 제품의 「Viscoat 3F」)을 5부의 비율로, 각각 아세트산 에틸:톨루엔=8:2(중량비)의 혼합 용매 200부에 첨가해서 혼합하고, 55℃에서 4시간 교반하여 이들 모노머를 중합시켰다. 얻어진 공중합체인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25,000, 융점은 26℃였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공중합체를 GPC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측정치를 폴리스티렌 환산한 값이다. 융점은 DSC를 이용하여 10℃/분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한 값이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감온성 점착 시트의 제작>
우선, 합성예에서 얻은 공중합체를 아세트산 에틸을 이용하여 고형분이 30중량%가 되도록 조정해서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이 공중합체 용액 100부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점착 부여제(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의 연화점 150℃ 이상의 중합 로진 에스테르 「PENSEL D-160」)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첨가하고,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Kawaken Fine Chemicals Co., Ltd. 제품)를 10부의 비율로 더 첨가해서 도포액을 얻었다.
이 도포액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고, 100℃에서 10분간 가열해서 가교 반응시켜 감온성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두께 25㎛의 감온성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이형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한 두께 50μ의 것을 사용했다.
<평가>
얻어진 감온성 점착 시트에 대해서 180° 박리 강도를 평가했다.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냄과 아울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80° 박리 강도)
얻어진 감온성 점착 시트에 대해서, 50℃ 및 23℃의 각 분위기 온도에 있어서의 180°박리 강도를 JIS Z0237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이형 필름을 제거한 감온성 점착 시트를 통해서 폭 25mm, 두께 25㎛의 폴리이미드 필름(DU PONT-TORAY CO., LTD. 제품의 「100H」)을 이하의 조건에서 유리제의 대좌 상에 점착했다. 이어서, 점착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로드셀을 이용하여 300mm/분의 속도로 180° 박리했다.
(50℃)
50℃의 분위기 온도에서 감온성 점착 시트를 통해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대좌에 점착해서 20분간 정치한 후, 180° 박리하고,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박리 강도의 측정치로부터 부착성을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0.05N/25mm 이상
×: 0.05N/25mm 미만
(23℃)
50℃의 분위기 온도에서 감온성 점착 시트를 통해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대좌에 점착하고, 분위기 온도를 200℃로 승온하고, 이 분위기 온도에서 20분간 정치한 후, 분위기 온도를 23℃로 강온하고, 이 분위기 온도에서 20분간 정치한 후, 180° 박리하고,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박리 강도의 측정치로부터 박리성을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0.4N/25mm 이하
×: 0.4N/25mm보다 높음
표 1로부터 명백해지듯이, 비교예 1, 2는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40중량부 미만이어서,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았기 때문에, 50℃(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부착성을 갖는 한편, 23℃ (실온)에서 박리성을 갖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4는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40∼100중량부이므로, 50℃(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부착성을 가지면서, 23℃ (실온)에서 박리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3은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비율이 지나치게 낮았기 때문에, 50℃(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도 점착되지 않았다고 추찰된다.
또한, 비교예 1에서는 융점(26℃)보다 낮은 23℃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가 융점보다 높은 50℃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것은 주로 앵커 효과의 영향이라고 추찰된다. 즉, 23℃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의 측정에 있어서, 일단 감온성 점착 시트를 고온(200℃)에 노출하기 때문에, 냉각 과정에 있어서 앵커 효과가 발현되어 점착력이 높아진다. 비교예 1에서는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비율이 많고, 그러므로 앵커 효과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상술한 결과가 된 것이라고 추찰된다.
Claims (16)
- 점착 부여제 및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점착력이 저하하는 감온성 점착제로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연화점이 140℃ 이상이고, 또한 함유량이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40∼10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점은 2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중합 로진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반응성 불소 화합물과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는 적어도 탄소수 16개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는 탄소수 16개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극성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는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비율은 상기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비율 및 상기 아크릴산의 중합 비율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00∼6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의 함유량은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8∼12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한 피착체를 100∼220℃의 온도에 노출한 후, 상기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기판의 가고정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제. - 제 1 항에 기재된 감온성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 시트.
- 제 1 항에 기재된 감온성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필름상의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성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65474 | 2014-03-27 | ||
JP2014065474A JP6289960B2 (ja) | 2014-03-27 | 2014-03-27 | 感温性粘着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2871A true KR20150112871A (ko) | 2015-10-07 |
KR102344755B1 KR102344755B1 (ko) | 2021-12-29 |
Family
ID=5416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2388A KR102344755B1 (ko) | 2014-03-27 | 2015-03-26 | 감온성 점착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289960B2 (ko) |
KR (1) | KR102344755B1 (ko) |
CN (1) | CN104946171B (ko) |
TW (1) | TWI646169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694A (ko) * | 2016-06-23 | 2018-01-03 |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 감온성 수지, 감온성 점착제 및 감온성 점착제 조성물 |
KR20180000693A (ko) * | 2016-06-23 | 2018-01-03 |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 감온성 수지, 감온성 점착제 및 감온성 점착제 조성물 |
KR20200081106A (ko) * | 2018-12-27 | 2020-07-07 | (주)이녹스첨단소재 | 감온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온성 점착 테이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98077A (ja) * | 2015-11-24 | 2017-06-01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接続方法 |
US10155062B2 (en) * | 2016-05-24 | 2018-12-18 | The Boeing Company | Thermoresponsive adhesive material, method of making the material and methods of use |
JP6792509B2 (ja) * | 2017-04-21 | 2020-11-25 | ニッタ株式会社 | 感温性粘着剤 |
CN108559425B (zh) * | 2018-05-11 | 2020-01-17 | 华南协同创新研究院 | 一种防fdm打印器件翘曲的无溶剂型胶黏剂、打印平台及其制作方法 |
EP3719547B1 (en) * | 2018-11-12 | 2022-08-24 | Lg Chem, Ltd. | Colour conversion film, and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
JP7460451B2 (ja) * | 2019-06-12 | 2024-04-02 | ニッタ株式会社 | 感温性粘着剤 |
CN110655883B (zh) * | 2019-09-24 | 2021-07-13 | 南京清尚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冷关型粘合剂及其制备方法和一种粘合带的制备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1923A (ja) | 1996-03-15 | 1997-09-22 | Nitta Ind Corp |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積層工程用の仮止め粘着テープ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
KR20110127124A (ko) * | 2009-02-16 | 2011-11-24 |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 감온성 점착제 및 감온성 점착 테이프 |
JP2012102212A (ja) * | 2010-11-09 | 2012-05-31 | Nitta Corp | 易剥離性粘着シートおよび易剥離性粘着テープ |
JP2012158633A (ja) * | 2011-01-31 | 2012-08-23 | Nitta Corp | 易剥離性粘着シートおよび易剥離性粘着テープ |
WO2013048934A1 (en) * | 2011-09-26 | 2013-04-0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a (meth)acrylic-based elastomeric material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97387A (ja) * | 2011-03-23 | 2012-10-18 | Nitta Corp | 耐熱性感温性粘着剤 |
-
2014
- 2014-03-27 JP JP2014065474A patent/JP6289960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3-24 TW TW104109319A patent/TWI646169B/zh active
- 2015-03-26 CN CN201510138016.3A patent/CN104946171B/zh active Active
- 2015-03-26 KR KR1020150042388A patent/KR1023447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1923A (ja) | 1996-03-15 | 1997-09-22 | Nitta Ind Corp |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積層工程用の仮止め粘着テープ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
KR20110127124A (ko) * | 2009-02-16 | 2011-11-24 |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 감온성 점착제 및 감온성 점착 테이프 |
JP2012102212A (ja) * | 2010-11-09 | 2012-05-31 | Nitta Corp | 易剥離性粘着シートおよび易剥離性粘着テープ |
JP2012158633A (ja) * | 2011-01-31 | 2012-08-23 | Nitta Corp | 易剥離性粘着シートおよび易剥離性粘着テープ |
WO2013048934A1 (en) * | 2011-09-26 | 2013-04-0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a (meth)acrylic-based elastomeric materia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694A (ko) * | 2016-06-23 | 2018-01-03 |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 감온성 수지, 감온성 점착제 및 감온성 점착제 조성물 |
KR20180000693A (ko) * | 2016-06-23 | 2018-01-03 |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 감온성 수지, 감온성 점착제 및 감온성 점착제 조성물 |
KR20200081106A (ko) * | 2018-12-27 | 2020-07-07 | (주)이녹스첨단소재 | 감온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온성 점착 테이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540810A (zh) | 2015-11-01 |
CN104946171B (zh) | 2018-12-14 |
JP2015187238A (ja) | 2015-10-29 |
KR102344755B1 (ko) | 2021-12-29 |
TWI646169B (zh) | 2019-01-01 |
CN104946171A (zh) | 2015-09-30 |
JP6289960B2 (ja) | 2018-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7533B1 (ko) | 감온성 점착제 | |
KR102344755B1 (ko) | 감온성 점착제 | |
KR101825980B1 (ko) | 감온성 점착제 | |
JP5714349B2 (ja) | 易剥離性粘着シートおよび易剥離性粘着テープ | |
JP5231775B2 (ja) | 感温性樹脂および感温性粘着剤、並びに感温性粘着テープ | |
JP5639446B2 (ja) | 易剥離性粘着シートおよび易剥離性粘着テープ | |
JP5551959B2 (ja) | 易剥離性粘着シートおよび易剥離性粘着テープ | |
JP6546910B2 (ja) | 感温性粘着剤 | |
JP6479540B2 (ja) | 感温性粘着剤 | |
KR102655512B1 (ko) | 감온성 점착제, 감온성 점착 시트 및 감온성 점착 테이프 | |
JP2018178060A (ja) | 感温性粘着剤 | |
KR20170113269A (ko) | 감온성 점착제 | |
TWI740022B (zh) | 感溫性黏著劑 | |
KR20170113401A (ko) | 감온성 점착제 | |
KR102652136B1 (ko) | 감온성 점착제, 감온성 점착 시트 및 감온성 점착 테이프 | |
TWI853792B (zh) | 感溫性黏著劑、感溫性黏著片及感溫性黏著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