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553A - Gas-liquid separator and refrigerat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 Google Patents
Gas-liquid separator and refrigerat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9553A KR20110119553A KR1020110038326A KR20110038326A KR20110119553A KR 20110119553 A KR20110119553 A KR 20110119553A KR 1020110038326 A KR1020110038326 A KR 1020110038326A KR 20110038326 A KR20110038326 A KR 20110038326A KR 20110119553 A KR20110119553 A KR 201101195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pipe
- gas
- container
- pipe
- t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7—Siz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냉동 사이클이나 증기 사이클 등의 열 기관 및 기액 2 상류를 취급하는 유체 기계 장치의 기액 분리 장치 및 오일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층 더 고성능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gas-liquid separator and oil separator of the fluid mechanical apparatus which handles heat engines, such as a refrigeration cycle and a steam cycle, and gas-
예를 들어, 기액 2 상류를 취급하는 유체 기계로, 냉동 사이클에서는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 장치, 수증기와 물 혹은 공기와 물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 장치 및 오일과 기체를 분리하는 오일 세퍼레이터 등의 기액 분리 장치(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기액 분리 장치라고 함)는, 중력에 의해 액 혹은 오일을 저류하는 탱크를 이용하거나, 선회류의 원심력에 의해 액 혹은 오일을 벽면에 부착되게 한 후에 중력에 의해 액 혹은 오일을 회수하는 기액 분리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For example, a fluid machine that handles gas-liquid upstream, in a refrigeration cycle, a gas-liquid separator that separates gaseous and liquid refrigerants, a vapor-liquid separator that separates water and water or air and water, and an oil that separates oil and gas. Gas-liquid separators, such as separator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gas-liquid separators), use a tank for storing liquids or oils by gravity, or use gravity to cause liquids or oils to be attached to a wall by centrifugal force.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which collect | recovers a liquid or oil by this is used.
이러한 구성의 기액 분리 장치에서는, 기본적으로 중력이나 원심력 등의 체적력에 의해 밀도가 큰 액상을 분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통 형상 용기의 상부 벽면 옆에서 용기의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2 상류의 입구관을 마련하고, 용기의 상단부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한 기상 출구관을 마련하고, 용기의 하단부에 액상 출구관을 마련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입구관으로부터 용기로 유입된 2 상류는 용기 내벽면을 따라서 선회함으로써 원심력의 작용으로 액상을 용기 내벽면에 부착시킴으로써,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되어, 기상은 기상 출구관으로부터 유출되고, 액상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용기의 하방에 모이게 되어, 액상 출구관으로부터 취출된다.In the gas-liquid separator of such a structure, it has a structure which isolate | separates a liquid density with a high density basically by volume force, such as gravity or centrifugal force. For example, by the upper wall surface of a cylindrical container, it shift | deviates from the centerline of a container, the inlet pipe of 2 upstream is provided, the gaseous-phase outlet pipe which penetrate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part of the container perpendicularly, and the liquid outlet at the lower end of a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gas-liquid separation device provided with a pipe, the two upstream flows from the inlet pipe into the container are separated into the gas phase and the liquid phase by attaching the liquid phase to the container inner wall surface by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by turning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It flows out from the tube, and the liquid phase collects under the container by the action of gravity, and is taken out from the liquid outlet tube.
또한, 용기의 상단부에 기상 출구관을 마련하고, 용기의 하단부에 액상 출구관을 마련하고, 2 상류의 입구관을 기상 출구관과 액상 출구관의 중간 높이 위치에 마련하고,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입구관으로부터 용기로 유입된 2 상류는 용기 내벽면을 따라 선회함으로써 원심력의 작용으로 액상을 용기 내벽면에 부착시킴으로써,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되어, 기상은 기상 출구관으로부터 유출되고, 액상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용기의 하방에 모이게 되어, 액상 출구관으로부터 취출된다.In addition, a gas phase outlet tub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a liquid outlet tub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and an inlet tube of two upstreams is provided at a middle height position between the gaseous outlet tube and the liquid outlet tube. The upstream flowed into the vessel from the inlet pipe is rota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to attach the liquid phase to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y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so it is separated into the gaseous phase and the liquid phase. By gathering under the container by the action of, it is taken out from the liquid outlet tube.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2 상류의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의 관 지름에 대하여 용기 지름이 충분히 큰 경우이며, 용기 지름이 작아진 경우의 문제에는 배려되어 있지 않다. 즉, 냉동 사이클 유닛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부품의 부착 공간도 제약을 받아 각 부품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기액 분리 장치도 소형 소경화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기액 분리 장치가 소형 소경화되어도, 기액 분리 장치로의 입구관 및 기상 출구관의 지름은 냉동 장치 등 제품 소정의 냉동 능력, 즉 냉매 유량에 의해 결정되어, 입구관 및 기상 출구관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관점에서, 기액 분리 장치의 소형 소경화에 맞추어 관 지름을 작게 할 수 없으므로, 분리 장치의 용기와 출구관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분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said conventional structure, it is a case where a container diameter is large enough with respect to the pipe diameter of an upstream inlet pipe and a gas phase outlet pipe, and it does not consider the problem when the container diameter becomes small. That is, with the miniaturiz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unit, the space for attaching parts is also restricted, and miniaturization of each part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gas-liquid separator is small and small, the diameters of the inlet tube and the gas-phase outlet tube to the gas-liquid separator are determined by the product's predetermined refrigeration capacity such as a refrigeration apparatus, that is, the refrigerant flow rate. In view of the pressure loss, the tube diameter cannot be made small in accordance with the small size reduction of the gas-liquid separator,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vessel and the outlet tube of the separator is narrowed and the separa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예를 들어, 최근 냉동 사이클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냉동 부하에 따라서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인버터 방식이 주류이며, 냉동 부하가 작아지면 압축기 회전수를 낮추어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냉매 유량을 감소시킨다. 압축기로부터 냉매와 함께 토출되는 냉동기유를 회수하기 위해, 압축기 토출관에 오일 세퍼레이터를 설치하는 경우,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냉매 유량이 감소되면 입구관으로부터 용기로 유입된 2 상류의 선회 유속이 저하되므로 원심력의 작용이 약해져, 입구관으로부터 용기로 유입될 때에 발생하는 미세 액적 미스트를 용기 내벽면에 충분히 포착할 수 없게 되어, 탱크식처럼 용기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기액 분리를 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For example, the compressor used in the recent refrigeration cycle, the mainstream is the inverter system that changes the rotation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refrigeration load, and when the refrigeration load is reduced, the compressor rotation speed is lowered to reduce the discharge refrigerant flow rate from the compressor. In order to recover the refrigeration oil discharged with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when the oil separator is installed in the compressor discharge pipe, when the discharge refrigerant flow rate from the compressor decreases, the turning flow rate of the two upstream flows from the inlet pipe into the vessel is lowered. The effect of weakening, and it is impossible to sufficiently capture the fine droplet mist generated when flowing into the vessel from the inlet tube to the vessel inner wall surface. There was.
또한, 압축기 회전수가 올라갔을 때에는,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냉매 유량이 증가되어, 입구관으로부터 용기로 유입된 2 상류의 선회 유속이 높아져 원심력의 작용은 강해지지만, 입구관으로부터 용기로의 유입 속도가 빨라지면, 미세 액적 미스트가 발생하기 쉬워져, 용기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으면 미세 액적 미스트가 기류를 타고 기상 출구관으로 흡입되기 쉬워져, 효율적인 기액 분리를 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compressor rotation speed is increased, the discharge refrigerant flow rate from the compressor is increased, so that the upstream swirl flow rate flowing from the inlet pipe to the container is increased, so that the 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is stronger, but the flow rate from the inlet pipe to the container is faster. On the other hand, fine droplet mist tends to be generated, and if the size of the container is not sufficient, the fine droplet mist easily enters the gaseous outlet pipe through the airflow,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fficient gas-liquid separation cannot be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 소경화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기액 분리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그 기액 분리 장치를 공기 조화기, 냉장고, 냉동고, 제습기, 쇼 케이스, 자동 판매기, 차량용 냉동 공조기 및 기액 2 상류를 취급하는 유체 기계 장치 등에 채용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fficient gas-liquid separation device while maintaining a small size, and furthermore, the gas-liquid separation device is an air conditioner, a refrigerator, a freezer, a dehumidifier, a show case, It is proposed to employ a vending machine, a vehicle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a fluid mechanical device that handles gas-
2 상류가 입구관으로부터 용기 내로 유입됨으로써 발생하는 미세 액적 미스트가, 기상 출구관으로 흡입되기 어렵게 하는 수단의 사고 방식은 2가지이며, 그 첫 번째는 입구관으로부터 용기 내로 유입된 2 상류의 액상 성분인 미세 액적 미스트가 용기의 중심측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2 상류의 액상 성분이 용기의 내벽면에 부착되기 쉽게 하는 수단이며, 두 번째는 입구관으로부터 용기 내로 유입되는 입구관 선단부 위치를 최대한 용기 내벽면에 근접시켜, 2 상류의 액상 성분인 미세 액적 미스트를 바로 용기 내벽면에 부착되게 하여, 최대한 기상 출구관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용기 내벽면을 따라 선회시키는 수단이다. 이하에 그들의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There are two ways of thinking about the means by which the fine droplet mist generated by the upstream flow into the vessel from the inlet pipe is difficult to be sucked into the gas phase outlet pipe, and the first is the upstream liquid component introduced into the vessel from the inlet pipe. It is a means to prevent the phosphorus fine droplet mist from expanding to the center sid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liquid component of the second upstream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It is a means which comes close to an inner wall surface, and makes microdroplet mist which is a liquid component of a 2nd-stream upstream immediately adhere to a container inner wall surface, and turns along the container inner wall surface at the position as far away from a gaseous-phase outlet pipe as possible. These means will be described below.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소형 소경화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기액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입구관으로부터 용기 내로 유입된 2 상류의 액상 성분이 용기의 중심측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입구관 선단부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로부터 입구관 축에 평행한 용기 내벽면까지의 거리 So를 작게 하고, 2 상류의 액상 성분이 용기의 내벽면에 바로 부착되기 쉽게 하여, 용기 내로 유입된 2 상류의 액상 성분을 최대한 기상 출구관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용기 내벽면을 따라 선회시키므로, 입구관 선단부가 기상 출구관을 지나쳐 가도록 용기 측면부터 입구관을 부착하고, 입구관이 기상 출구관의 외경에 겹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상 출구관에 대면하는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입구관의 일부에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입구관의 외경을 dio, 입구관 선단부의 찌부러뜨림 두께를 h라 했을 때, h/dio = 0.75 ± 0.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h/dio를 가변시켜, h/dio = 0.75 ± 0.1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입구관 선단부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로부터 입구관 축에 평행한 용기 내벽면까지의 거리를 So, 찌부러뜨림 두께를 h라 했을 때 So < h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gas-liquid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입구관(2)의 경사 개시점을 용기와 입구관의 내측 접합점과 일치시키거나 또는 내측 접합점의 내측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용기에 입구관을 접합하는 부분의 관 외경을 d라 하고, 입구관 선단부 측의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일부를 소경화하여 입구관 선단부의 외경을 dio라 하고, 소경화부의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일부를 찌부러뜨려 경사부를 마련하고, 외경이 dio인 입구관의 선단부를 두께 h로 찌부러뜨려, 입구관 선단부의 폭이 W가 될 때, W보다 큰 관 외경 d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용기에 입구관을 접합하는 부분의 관 외경을 dio라 하고,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일부를 찌부러뜨려 경사부를 마련하고, 경사부 선단부를 찌부러뜨림 폭 W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찌부러뜨림으로써, W ≤ dio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 사이의 인접점 및 입구관 선단부와 용기 내벽면 사이의 인접점을 접촉 또는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입구관의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일부의 중심을 입구관 축으로부터 Y 편심되게 하여 소경화하고, 또한 그 소경화한 입구관 선단부의 찌부러뜨림 두께가 h가 되는 경사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기상 출구관과 입구관의 인접점의 거리를 확보하도록, 기상 출구관의 일부를 소경화하거나, 혹은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에 대하여 소경화부의 중심축을 편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기상 출구관에 기상 출구관 소경화부를 마련하고, 기상 출구관의 외경을 dgo, 기상 출구관 소경화부의 찌부러뜨림 폭을 Wo라 했을 때 Wo ≤ dgo의 범위에서 기상 출구관 소경화부를 찌부러뜨리고, 찌부러뜨린 면이 입구관의 경사부와 대략 평행하게 대면하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of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은 원통 형상 용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Z 편심되어 부착되고, 용기의 중심축에 대한 편심 Z의 방향을 입구관의 경사부와 반대인 방향으로 기상 출구관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입구관 선단부에 미소 거리 ε의 관축에 평행한 평행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as-liquid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a parallel surface portion parallel to the tube axis with a small distance ε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inlet tube.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기액 분리 장치의 2 상류 입구관에, 냉동 사이클 중의 압축기 토출관을 접속하고, 기액 분리 장치의 액상 출구관을 유량 조정 조리개를 통해서 압축기 흡입관에 접속하고, 한편 기액 분리 장치의 기상 출구관을 냉동 사이클 중의 응축기에 이르는 관로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액 분리 장치를 기액 2 상류를 취급하는 유체 기계 장치에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입구관 선단부가 기상 출구관을 지나쳐 가도록 용기 측면부터 입구관을 부착하고, 입구관이 기상 출구관의 외경에 겹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상 출구관에 대면하는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입구관의 일부에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를 마련함으로써, 입구관으로부터 용기 내로 유입된 2 상류의 액상 성분이 용기의 중심측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입구관으로부터 용기 내로 유입되는 입구관 선단부로부터 용기 내벽면까지의 거리 So를 작게 하고, 2 상류의 액상 성분이 용기의 내벽면에 바로 부착되기 쉽게 하여, 용기 내로 유입된 2 상류의 액상 성분을 최대한 기상 출구관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용기 내벽면을 따라 선회시킴으로써, 기액 분리 장치를 소형 소경화했을 때, 기액 분리 장치의 용기와 기상 출구관 사이의 공간이 좁아도 효율적인 기액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경사부를 구비한 입구관의 외경을 dio, 입구관 선단부의 찌부러뜨림 두께를 h라 했을 때, h/dio = 0.75 ± 0.1로 함으로써, 입구관 선단부로부터 유출되는 2 상류의 유속이 적절해져, 양호한 분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h/dio를 가변시켜, h/dio = 0.75 ± 0.1이 되도록 함으로써,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 h 가변 블레이드의 휨이 변화되고, 유로 단면적이 바뀌어, 적절한 유속으로 자동 조정되어 유량이 변화되어도 양호한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입구관 선단부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로부터 입구관 축에 평행한 용기 내벽면까지의 거리를 So, 찌부러뜨림 두께를 h라 했을 때 So < h로 함으로써, 2 상류의 액상 성분이 용기의 내벽면에 바로 부착되기 쉽게 하여, 용기 내로 유입된 2 상류의 액상 성분을 최대한 기상 출구관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용기 내벽면을 따라서 선회시키므로, 양호한 분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입구관(2)의 경사 개시점을 용기와 입구관의 내측 접합점과 일치시키거나 또는 내측 접합점의 내측으로 함으로써, 경사각 θ를 작게 할 수 있어, 입구관 선단부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와 용기 내벽면과의 거리 So를 작게 할 수 있어, 더욱 양호한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용기에 입구관을 접합하는 부분의 관 외경을 d라 하고, 입구관 선단부 측의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일부를 소경화하여 입구관 선단부의 외경을 dio라 하고, 소경화부의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일부를 찌부러뜨려 경사부를 마련하고, 외경이 dio인 입구관의 선단부를 두께 h로 찌부러뜨려 입구관 선단부의 폭이 W가 될 때, W보다 큰 관 외경 d로 하므로, 찌부러뜨림 폭 W의 입구관 선단부를 용기 내에 관통시킬 수 있어, 입구관의 관 지름 d의 부분에서 용기와 접합함으로써, 접합 신뢰성이 높고, 용기에의 구멍 가공도 용이한 기액 분리 장치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용기에 입구관을 접합하는 입구관 외경을 dio라 하고,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일부를 찌부러뜨려 경사부를 마련하고, 경사부 선단부를 찌부러뜨림 폭 W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찌부러뜨림으로써, W ≤ dio로 할 수 있고, 용기에 입구관 외경 dio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 지름을 뚫음으로써, 입구관의 관 지름 dio의 부분에서 용기와 접합함으로써, 접합 신뢰성이 높고, 용기에의 구멍 가공도 용이한 기액 분리 장치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 사이의 인접점 및 입구관 선단부와 용기 내벽면 사이의 인접점을 접촉 또는 접합함으로써,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 및 입구관 선단부와 용기 내벽면이 진동해도, 인접하고 있는 부품끼리가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입구관의 입구관 선단부에 이르는 일부의 중심을 입구관 축으로부터 Y 편심되게 하여 소경화하고, 또한 그 소경화한 입구관 선단부의 찌부러뜨림 두께가 h가 되도록 경사부를 마련함으로써, 경사부와 기상 출구관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기상 출구관과 입구관의 인접점의 거리를 확보하도록, 기상 출구관의 일부를 소경화하거나, 혹은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에 대하여 소경화부의 중심축을 편심되게 함으로써, 경사부(7)와 기상 출구관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기상 출구관에 기상 출구관 소경화부를 마련하고, 기상 출구관의 외경을 dgo, 기상 출구관 소경화부의 찌부러뜨림 폭을 Wo라 했을 때 Wo ≤ dgo의 범위에서 기상 출구관 소경화부를 찌부러뜨리고, 찌부러뜨린 면이 입구관의 경사부와 대략 평행하게 대면하도록 부착함으로써, 경사부와 기상 출구관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은 원통 형상 용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Z 편심되게 부착되고, 용기의 중심축에 대한 편심 Z의 방향을 입구관의 경사부와 반대인 방향으로 기상 출구관을 부착함으로써, 경사부와 기상 출구관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입구관 선단부에 미소 거리 ε의 관축에 평행한 평행면부를 마련함으로써, 버어 발생을 방지하고, 2 상류가 용기 내로 유출될 때, 2 상류가 용기와 기상 출구관 사이의 공간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한 기액 분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기액 분리 장치의 2 상류 입구관에, 냉동 사이클 중의 압축기 토출관을 접속하고, 기액 분리 장치의 액상 출구관을 유량 조정 조리개를 통해서 압축기 흡입관에 접속하고, 한편 기액 분리 장치의 기상 출구관을 냉동 사이클 중의 응축기에 이르는 관로에 접속함으로써, 운전 시, 기동 시 모두 냉동 사이클에의 냉동기유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이 높은 냉동 사이클 운전이 가능해지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운전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2 상류를 취급하는 유체 기계 장치에 본 발명의 기액 분리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기상 성분을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invention of
도 1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1 실시 형태의 기액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액 분리 장치의 확대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이르기 전단계의 기술에 있어서의 용기(1)에의 입구관(2)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2 실시 형태의 기액 분리 장치를 설명하는 실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3 실시 형태의 기액 분리 장치의 입구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입구관(2)으로부터 유출되는 미세 액적 미스트의 흐름 상태 이미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입구관(2)으로부터 유출되는 미세 액적 미스트의 흐름 상태 이미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구비한 다른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구성에 있어서, 경사각 θ를 더욱 작게 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6 실시 형태가 생겨나는 데 이르는 과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b)는 도 13의 (a)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6 실시 형태의 첫 번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b)는 도 14의 (a)의 C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6 실시 형태의 입구관을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6 실시 형태의 두 번째 실시 형태의 입구관의 관 축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b)는 도 16의 (a)의 D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6 실시 형태의 두 번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입구관 단면도이다. (b)는 도 16의 (a)의 D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7 실시 형태를 도시한 입구관 단면도이다. (b)는 도 18의 (a)의 E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9의 (a)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7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다른 입구관 단면도이다. (b)는 도 19의 (a)의 F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8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8 실시 형태가 생겨나는 데 이르는 과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2의 (a)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9 실시 형태의 첫 번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b)는 도 22의 (a)의 G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의 (a)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9 실시 형태의 두 번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b)는 도 23의 (a)의 H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9 실시 형태의 입구관을 내장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10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확대 B-B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1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확대 C-C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1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1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13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확대 D-D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14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15 실시 형태를 도시한, 기액 분리 장치를 냉동 사이클에 사용한 경우의 냉동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16 실시 형태를 도시한, 기액 분리 장치를 기액 2 상류를 취급하는 유체 기계 장치에 적용한 계통도이다.
도 36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입구관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of 1st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AA sectional view of the gas-liquid separator shown in FIG. 1. FIG.
3 is a graph of experimental results show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ttachment of the
It is a graph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experiment result explaining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of 2nd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inlet pipe of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of 3rd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 state image of the fine droplet mist flowing out of th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 state image of the fine droplet mist flowing out from the
9 is a graph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if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tilt angle θ is further reduc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0.
FIG. 1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problems lea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the figure seen from the B direction of FIG.
Fig. 1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ix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b) is the figure seen from the C direction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attached the inlet pipe of 6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to a container.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tube shrinkage | contraction state of the inlet pipe of 2nd Embodiment of 6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b) is the figure seen from the D direction of FIG.
Fig. 17A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let pipe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ixth embodiment with the present invention. (b) is the figure seen from the D direction of FIG.
Fig. 18A is a sectional view of an inlet pipe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b) is the figure seen from the E direction of FIG.
Fig. 19A is another sectional view of the inlet pipe showing the seven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b) is the figure seen from the F direction of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with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explaining the subject to the eigh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1st Embodiment of 9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b) is the figure seen from the G direction of FIG.
FIG. 2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inth embodimen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b) is the figure seen from the H direction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in the case of incorporating the inlet pipe of 9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2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en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view seen from an enlarged BB cross-section of FIG. 25.
2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enth embodimen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s a view seen from the enlarged CC section of FIG. 27.
Fig. 2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welfth embodimen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other embodiment of 12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teenth embodimen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32 is a view seen from the enlarged DD section of FIG. 31.
3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eenth embodimen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ructure of the refrigerating cycle at the time of using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for a refrigeration cycle which shows 15th Embodiment with this invention.
FIG. 35 is a system diagram in which the gas-liquid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luid mechanical apparatus for handling ga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attachment state of the inlet pipe in a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1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1 실시 형태의 기액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액 분리 장치의 확대 A-A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of 1st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A-A sectional view of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도 1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용기(1)의 상부 벽면 옆에서 용기(1)의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2 상류의 입구관(2)을 마련하고, 용기(1)의 상단부 대략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한 기상 출구관(3)을 마련하고, 용기(1)의 하단부에 액상 출구관(4)을 설치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수평 단면도에서, 2 상류의 입구관(2)을 원통 형상 용기 측벽으로부터 삽입했을 때, 상기 용기 상단부로부터 삽입된 기상 출구관(3)에 포개어지고, 또한 2 상류의 입구관(2)이 기상 출구관(3)을 지나쳐 간 1 사분면에서 2 상류의 입구관(2) 선단부가 용기 내벽(5)에 인접 또는 접촉하는 관계 치수로 구성하는 동시에, 입구관(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선이 용기(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12)으로부터 거리 L만큼 어긋나게 하여, 용기(1)와 기상 출구관(3) 사이의 공간(17)에 용기(1)의 벽면을 관통하고, 용기(1)의 내부에 2 상류가 유입 가능해지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입구관 선단부(6)가 기상 출구관(3)을 지나쳐 가도록 용기 측면부터 입구관(2)을 부착하고, 입구관(2)은 기상 출구관(3)의 외경에의 겹침을 방지하도록 기상 출구관(3)에 대면하는 입구관 선단부(6)에 이르는 입구관(2)의 일부를 찌부러뜨리고, 경사 개시점(18)으로부터 각도 θ로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7)를 마련하고, 경사부(7)는 용기(1)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중심선(11)과 수평 중심선(12)으로 구분되는 4개의 사분면에 있어서, 2개의 사분면에 걸치도록 마련하고, 기액 2 상류가 입구관(2)으로부터 원통 형상의 용기(1) 안으로 유입될 때, 2 상류가 용기 내벽면(5) 측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FIG. 1, the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입구관(2)으로부터 용기(1)로 유입되는 2 상류는 경사부(7)를 따르는 흐름(9)에 의해 용기 내벽면(5) 측으로 압박된 후, 용기 내벽면(5)을 따라 선회류(13)가 발생하고,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액상은 용기 내벽면(5)에 부착되어 분리되고, 액상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용기(1)의 하방에 모이게 되어, 액상 출구관(4)으로부터 취출된다. 기상은 용기(1) 내를 선회하면서 아래 쪽으로 흘러, 기상 출구관 하단부(8)로부터 기상 출구관(3)으로 유입되고, 기상 출구관(3)으로부터 유출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the two upstreams flowing from the
기상 출구관(3)에 대면하는 입구관 선단부(6)에 이르는 입구관(2)의 일부에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7)를 마련함으로써, 이하에 나타내는 3가지의 효과가 작용하여, 소형 소경화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기액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제1 효과는, 기상 출구관(3)에 대면하는 입구관 선단부(6)에 이르는 입구관(2)의 일부에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7)를 마련함으로써, 용기(1)와 기상 출구관(3)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라도, 입구관(2)과 기상 출구관(3)이 겹치는 일 없이, 입구관 선단부(6)와 용기 내벽면(5) 사이의 거리 So를 작게 할 수 있어, 2 상류가 용기 내벽면(5)에 접촉되기 쉬워지므로, 2 상류의 액상 성분이 바로 용기 내벽면(5)에 부착되기 쉬워져, 기액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The first effect is to provide the
제2 효과는, 입구관(2)으로부터 용기(1)로 유입되는 2 상류는 경사부를 따르는 흐름(9)에 의해 용기 내벽면(5) 측으로 압박되므로,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되는 2 상류가 용기 중심측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2 상류가 용기 내벽면(5)에 접촉하기 쉬워지므로, 2 상류의 액상 성분이 용기 내벽면(5)에 부착되기 쉬워져, 기액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The second effect is that the two upstream flowing from the
제3 효과는, 기상 출구관(3)에 대면하는 입구관 선단부(6)에 이르는 입구관(2)의 일부에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7)를 마련함으로써 입구관 선단부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10)는 기상 출구관(3)으로부터 멀어진다. 따라서, 입구관 선단부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10)로부터 유출된 미세 액적 미스트는 기상 출구관(3)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기상 출구관(3)의 주위를 선회하면서 기상 출구관 하단부(8), 즉 기상 출구관 유입부에 이르므로, 기상 출구관 유입부에 미세 액적 미스트가 흡입되기 어려워져, 기액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The third effect is a gas phase outlet of the inlet pipe tip by providing an
상기 발명의 효과를 실험에 의해 확인한 일례를 도 3, 도 36, 도 4 및 앞서 도시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An example of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invention by an exper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36, 4 and FIG. 2 shown above.
도 3은 상기한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며, 비교를 위해,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이르기 전단계의 기술에 의한 실험 결과도 병기하고 있다.3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for comparison,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by the prior art and the technique of all s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written together.
도 36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용기(1)에의 입구관(2)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입구관 선단부(6)는 단순한 원통 형상이며, 입구관 선단부(6)는 용기 내벽면(5)에 접하도록, 수직 중심선(11)의 위치까지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Fig. 3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이르기 전단계의 기술에 있어서의 용기(1)에의 입구관(2) 부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입구관 선단부(6)에는 경사부(7)가 마련되어 있지만, 입구관 선단부(6)는 용기 내벽면(5)에 접하도록, 수직 중심선(11)의 위치까지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3의 그래프의 횡축은 기액 분리기의 최대 유량에 대한 유량비를 %로 나타내고 있으며, 종축은 기액 분리기로 유입되는 액상 성분에 대하여, 기액 분리기에 의해 분리되어, 액상 출구관(4)으로부터 취출되는 액상 성분의 질량 비율을 분리율로 하여 %로 나타내고 있다.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of FIG. 3 represents the flow ratio with respect to the maximum flow volume of a gas-liquid separator in%, and the vertical axis | shaft is separated by the gas-liquid separator with respect to the liquid component which flows into a gas-liquid separator, and is taken out from the
도 3의 그래프에 있어서, ◆로 나타낸 실험 1은 도 36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입구관(2)의 부착 상태의 경우이며, 유량의 저하에 의해 분리율은 대폭으로 저하되고 있다. 그 이유는 유량의 저하에 의해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되는 2 상류의 유속이 저하되므로 원심력의 작용이 약해져, 미세 액적 미스트가 기상 출구관(3)의 주위로도 분포되면서 기상 출구관 하단부(8), 즉 기상 출구관 유입부에 이르기 때문이다.In the graph of FIG. 3, the
그에 반하여, ■로 나타낸 실험 2는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이르기 전단계의 기술에 있어서의 입구관(2)의 부착 상태의 경우이며, 유량 저하에 의한 분리율의 저하가 대폭으로 개선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제2 효과와 제3 효과에 의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또한, 도 3의 그래프에 ●로 나타낸 결과는 도 2의 본 발명의 입구관(2)의 부착 상태의 경우이며, 100% 유량에 있어서의 분리율은 더욱 향상되고, 또한 유량 저하 50 %의 경우라도 분리율의 저하가 대폭으로 개선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제2 효과와 제3 효과에다가, 상기 제1 효과에 의한 것이다.In the graph of Fig. 3, the results indicated by? Are in the case of the attachment state of the
<제2 실시 형태><2nd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입구관 선단부(6)의 기상 출구관 측의 일부를 찌부러뜨리고,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7)를 마련하고, 입구관 선단부(6)와 용기 내벽면(5) 사이의 거리 So를 작게 함으로써 분리율이 향상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입구관 선단부(6)의 찌부러뜨림 두께 h의 최적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입구관 선단부(6)의 찌부러뜨림 두께 h의 영향을 실험에 의해 검토했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part of the gas phase outlet pipe side of the
도 5는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본 발명을 구비한 기액 분리 장치의 입구관 선단부(6)의 찌부러뜨림 두께 h와 입구관(2)의 외경 dio의 비 h/dio에 대하여, 분리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실험 결과에는 입구관(2)의 외경 dio = d1, d2의 2종류의 입구관을 사용하고, 또한 유량 G = 100%와 67%의 2가지의 조건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분리율은 h/dio에 대하여 피크치가 존재하고, 피크치가 존재하는 이유는 이하에 의한 것이다.Fig. 5 measures the separation ratio with respect to the ratio h / dio of the crushing thickness h of the
h/dio = 1.0은 선단부를 찌부러뜨리지 않는 단순한 원통 형상의 경우이며, 선단부를 찌부러뜨려, h를 작게 함에 따라 입구관 선단부(6)의 유로 단면적은 작아져,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되는 2 상류의 유속이 빨라지고, 용기 내벽면(5)을 따르는 선회류(13)의 원심력의 작용이 커져, 액상은 용기 내벽면(5)에 부착되기 쉬워져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h / dio = 1.0 is a simple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tip is not crushed. As the tip is crushed and h is made smaller,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그러나 h/dio를 지나치게 작게 하여,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되는 2 상류의 유속이 지나치게 빨라지면, 2 상류가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될 때, 많은 미세 액적 미스트가 발생되기 쉬워져, 미세 액적 미스트는 기상 출구관(3)의 주위를 선회하면서 기상 출구관 하단부(8), 즉 기상 출구관 유입부에 이르므로, 기상 출구관 유입부로 미세 액적 미스트가 흡입되기 쉬워져, 분리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However, if the h / dio is made too small and the flow rate of the upstream flows out from the
또한, 도 5에 있어서, 어떠한 h/dio라도 유량이 100%에서 67%로 저하되면 분리 성능이 저하된다. 그 이유는, 유량이 저하되면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되는 2 상류의 유속이 저하되어, 용기 내벽면(5)을 따른 선회류(13)의 원심력의 작용이 작아져, 액상은 용기 내벽면(5)에 부착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FIG. 5, when any flow rate of h / dio falls from 100% to 67%, separation performance will fall. The reason is that when the flow rate decreases, the flow rate of the two upstream flows out from the
분리율은 전체적으로 보아 h/dio = 0.75 부근이 피크로 되어 있다. 실제로 물건을 가공할 경우에는 치수 공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어, 도 5의 그래프에서 치수 공차로서 h/dio = ± 0.1로 하고, h/dio = 0.75 ± 0.1로 하면 양호한 분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The separation rate peaks around h / dio = 0.75 as a whol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mensional tolerance when actually machining the article. If the h / dio = ± 0.1 and the h / dio = 0.75 ± 0.1 as the dimensional tolerance in the graph of FIG. Able to know.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이, 유량이 변화되었을 때 분리율은 변화된다. 따라서, 유량의 변화에 수반하여 h가 바뀌는 h 가변 구조로 함으로써, 보다 넓은 유량 범위에서 양호한 분리율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rate is changed when the flow rate is changed. Therefore, by setting the h variable structure in which h changes with the change in flow rate, a good separation rate can be obtained in a wider flow rate range.
도 6을 이용하여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입구관만을 취출한 단면도이며, h 가변 블레이드(30)를 입구관(2)의 경사부(7)의 입구관 내측에 지지점(31)에서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h 가변 블레이드(30)는 소정의 유량 범위에서 그 휨이 바뀌는 재질로 구성되어, 등가적으로 h를 가변할 수 있는 기구로 하고 있다. 즉, (a)는 유량이 낮은 경우의 h 가변 블레이드(30)의 상태도이며, (b)는 유량이 높은 경우의 h 가변 블레이드(30)의 상태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이 낮은 경우에는 h 가변 블레이드(30)의 휨이 작아 h가 작은 상태에 있어, 유로 단면적이 축소되고,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되는 유속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용기 내벽면을 따른 선회류의 원심력의 작용이 커, 액상은 용기 내벽면(5)에 부착되기 쉬워져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ly the inlet pipe of FIG. 2, and the
한편,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이 높은 경우에는 h 가변 블레이드(30)에 작용하는 동압이 커지므로, h 가변 블레이드(30)의 휨이 커 h가 큰 상태가 되고, 유로 단면적이 확대되어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되는 유속을 적절한 속도로 억제함으로써, 2 상류가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될 때 미세 액적 미스트의 발생을 억제하여,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B, when the flow rate is high, the dynamic pressure acting on the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 h 가변 블레이드(30)의 휨이 변화되어, 유로 단면적이 바뀌고, 적절한 유속으로 자동 조정되어 유량이 변화되어도 양호한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By setting it as the above structure, the curvature of the
<제4 실시 형태>≪ Fourth Embodiment &
앞서 설명한 도 2, 도 3, 및 도 7, 도 8, 도 9를 이용하여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7은 앞서 서술한 도 2의 입구관(2)으로부터 유출되는 미세 액적 미스트의 흐름 상태의 이미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앞서 서술한 도 4의 입구관(2)으로부터 유출되는 미세 액적 미스트의 흐름 상태의 이미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며, 경사각 θ를 변화시켰을 때의 무차원 경사각 θ/θ0에 대하여 So/h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한 그래프에 있어서, ●로 나타낸 도 2의 본 발명의 입구관(2)의 부착 상태의 실험 결과는, ■로 나타낸 도 4의 본 발명에 이르기 전단계의 기술에 있어서의 입구관(2)의 부착 상태의 실험 결과에 비해, 100% 유량에 있어서의 분리율은 향상되고, 또한 유량 저하 50%의 경우라도 분리율의 저하가 대폭으로 개선되어 있다. 양자의 경우 모두, 기상 출구관(3)에 대면하는 입구관 선단부(6)에 이르는 입구관(2)의 일부를 찌부러뜨려, 경사부(7)를 마련하고 있음에도 분리율에 차가 나고 있는 이유는 이하에 따른다.A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7, 7, 8 and 9 described abov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age of a flow state of the fine droplet mist flowing out of the
도 8에 있어서, 입구관(2)의 입구관 축(14)에 평행한 입구관 직선부 측(15)은 용기 내벽면에 접하고 있지만, 입구관 선단부(6)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10)와 용기 내벽면(5)과의 거리 So는 떨어져 있다. 따라서,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된 미세 액적 미스트(16)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용기(1)와 기상 출구관(3) 사이의 공간(17)으로 확대되기 쉬워, 기상 출구관(3)의 주위를 선회하면서 기상 출구관 하단부(8), 즉 기상 출구관 유입부에 이르므로 분리율이 저하되기 쉬워진다.In FIG. 8, although the inlet pipe
그에 반하여, 도 7에서는 입구관(2)의 입구관 축(14)에 평행한 입구관 직선부 측(15)은 용기 내벽면에 접촉하고 있어, 입구관 선단부(6)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10)와 용기 내벽면(5)과의 거리 So는 짧고,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된 미세 액적 미스트(16)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로 용기 내벽면(5)에 닿아, 미세 액적 미스트는 용기 내벽면(5)에 부착되기 쉬워 양호한 분리율을 얻을 수 있다.In contrast, in FIG. 7, the inlet pipe
따라서, 입구관 선단부(6)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10)와 용기 내벽면(5)과의 거리 So가 분리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입구관(2)의 외경 dio와 찌부러뜨림 두께 h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경사각 θ를 변화시켰을 때의 So를 구해, So = h일 때의 θ를 θ0으로 하여, θ/θ0에 대하여 So/h를 플롯한 것이 도 9이다. 도 9에서, 경사각 θ를 작게 하여 θ/θ0 < 1의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So/h < 1 즉, 적어도 So < h로 함으로써 양호한 분리율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distance So between the gas phase outlet
<제5 실시 형태>≪
앞서 도시한 도 2, 도 5 및 도 10, 도 11, 도 12를 이용하여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보다도 경사각 θ를 작게 한 경우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구비한 다른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경사각 θ를 작게 하여, 용기(1)의 입구관 관통부에 버링(19)을 설치한 경우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구성에 있어서, 경사각 θ를 더욱 작게 한 경우의 수평 단면도이다.A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5, 10, 11, and 12 shown above.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is smaller than that of FIG. 2.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if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in the case where the burring 19 is provided in the inlet pipe penetrating portion of th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관(2)의 외경 dio와 찌부러뜨림 두께 h 사이에는 높은 분리율을 유지할 수 있는 관계가 있으므로, 도 2에 있어서, 입구관(2)의 외경 dio와 찌부러뜨림 두께 h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경사각 θ를 작게 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개시점(18)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경사 개시점(18)이 용기(1)의 용기 내벽면(5)과 일치하고, 그 점이 용기(1)와 입구관(2)의 내측 접합점(20)이 된다. 경사각 θ를 작게 하면, 입구관(2)의 입구관 선단부(6)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입구관 선단부(6)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10)와 용기 내벽면(5)과의 거리 So를 작게 할 수 있어, 더욱 양호한 분리율을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 since there is a relationship that can maintain a high separation rate between the outer diameter dio and the crushing thickness h of the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각 θ를 작게 하여, 용기(1)의 입구관 관통부에 버링(19)을 설치한 경우, 용기(1)와 입구관(2)의 내측 접합점은 버링 부분의 내측 접합점(20)이 된다. 경사 개시점(18)은 내측 접합점(20)까지 좌측에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경사각 θ를 작게 할 수 있고, 도 10의 경우와 같은 이유에 의해 입구관 선단부(6)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10)와 용기 내벽면(5)과의 거리 So를 작게 할 수 있어, 더욱 양호한 분리율을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inclination angle (theta) is made small and the burring 19 is provided in the inlet pipe penetrating part of the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각 θ를 더욱 작게 한 경우에는 경사 개시점(18)은 용기의 외경(21) 밖으로 나오므로, 용기벽(22)과 입구관(2) 사이에 간극(23)이 생겨, 용기벽(22)과 입구관(2)과의 용접 등에 의한 접합일 때에 용접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11과 같이 버링(19)을 설치한 경우라도, 경사각 θ가 지나치게 작으면, 경사 개시점은 용기의 외경 밖으로 나오므로,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is made smaller, the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이, 경사각 θ를 작게 하면서, 상기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입구관(2)의 경사 개시점(18)을 용기(1)와 입구관(2)의 내측 접합점(20)과 일치시키거나 또는 내측 접합점의 내측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도 9의 그래프에 있어서, 가장 좌측의 플롯점이 입구관(2)의 경사 개시점(18)을 용기(1)와 입구관(2)의 내측 접합점(20)과 일치시킨 경우의 점이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void the above problem while reducing the inclination angle θ, the
<제6 실시 형태>≪ Sixth Embodiment &
도 13의 (a), 도 13의 (b) 및 도 14의 (a), 도 14의 (b), 도 15를 이용하여 제6 실시 형태의 첫 번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3의 (a)는 도 10의 경사부(7)를 마련한 입구관(2)만을 취출한 단면도이며,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A, 13B, 14A, 14B, and 15. FIG. 1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ly the
도 14의 (a)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6 실시 형태의 첫 번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용기(1)와의 접합에 적합한 입구관(2)의 단면도이며,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C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용기(1)에 접합하는 데 적합한 입구관(2)을 용기에 장착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A)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1st Embodiment of 6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is sectional drawing of the
도 13의 (a)에 있어서, 외경 dio의 입구관(2)의 경사 개시점(18)으로부터 각도 θ로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7)를 마련함으로써, 입구관 선단부(6)를 찌부러뜨림 두께 h로 찌부러뜨리면, 찌부러뜨린 선단부의 폭은 W가 되어, 당연히 W > dio가 된다. 따라서, 용기(1)에 구멍을 뚫고, 도 13의 (a)의 입구관을 용기 내로 관통시키려고 하면, 용기의 관통 구멍(24)은 찌부러뜨린 선단부의 폭 W를 통과할 수 있는 지름으로 하거나 또는 선단부 단부면(25)의 형상에 맞춘 변칙적인 구멍을 뚫을 필요가 있다. 선단부의 폭 W를 통과할 수 있는 구멍 지름 D = W로 하면 W > dio이므로, 용기(1)와 입구관(2) 사이에 간극이 생겨 용접 등에 의한 접합이 어려워진다. 또한, 선단부 단부면(25)의 형상에 맞춘 변칙적인 구멍을 뚫으면, 가공이 어려워 비용이 오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In FIG. 13A, the
따라서, 용기와의 접합에 적합한 입구관으로서, 도 14의 (a), 도 14의 (b)에 도시한 형상의 제2 입구관(26)을 고안했다. 즉, 외경이 dio인 입구관의 선단부를 두께 h로 찌부러뜨려, 입구관 선단부의 폭이 W가 될 때, W보다 큰 관 지름 d의 관을 선택하여, 그 관의 일부를 축소하여 소경화하고, 지름이 dio인 축관부(27)를 만든다. 또한, 지름이 dio인 축관부(27)의 경사 개시점(18)으로부터 각도 θ로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7)를 마련함으로써, 입구관 선단부(6)의 찌부러뜨림 두께 h, 찌부러뜨림 폭 W로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에 입구관을 접합하는 부분의 관 외경을 d라 하고, 경사부(7)를 마련하는 부분의 관 외경을 dio라 하고, 외경이 dio인 입구관의 선단부를 두께 h로 찌부러뜨려, 입구관 선단부의 폭이 W가 될 때, W보다 큰 관 외경 d가 되는 2단 지름 축관 입구관으로 함으로써, 용기(1)에는 관 지름 d보다 약간 큰 구멍을 뚫어 두면, 찌부러뜨림 폭 W의 입구관 선단부(6)를 용기 내에 관통시킬 수 있어, 제2 입구관(26)의 관 지름 d의 부분에서 용기(1)와 접합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외경 dio의 관을 이용하여, 그 일부를 외경 d로 관 확대하고, 외경 dio의 관의 선단부에 경사부(7)를 마련해도 마찬가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제2 입구관(26)을 용기 내에 장착한 경우의 단면도가 도 15이다.Therefore, as the inlet tube suitable for joining with the container, a
도 16의 (a), 도 16의 (b), 도 17의 (a), 도 17의 (b)를 이용하여 제6 실시 형태의 두 번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A, 16B, 17A, and 17B.
도 14의 (a)에 도시한 첫 번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에 입구관을 접합하는 부분의 관 외경이 d인 관을 관 외경 dio로 2단 축관하고, 입구관 선단부(6)의 찌부러뜨림 두께가 h가 되도록 경사부를 마련하고 있지만, 축관 형상은 2단 축관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에 입구관을 접합하는 부분의 관 외경이 d인 관을 입구관 선단부(6)의 지름이 dio가 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축관해도 좋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으로 축관한 후, 도 17의 (a),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관 선단부 폭을 W라 했을 때, W ≤ d의 범위 내에서 축관부(27)에 입구관 선단부(6)의 찌부러뜨림 두께가 h가 되도록 경사부(7)를 마련해도 같은 효과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4A, a tube having a tube outer diameter d of the portion joining the inlet pipe to the container is d-axially piped with a tube outer diameter dio, and the crush thickness of the
<제7 실시 형태>Seventh Embodiment
도 18의 (a), 도 18의 (b), 도 19의 (a), 도 19의 (b)를 이용하여 제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7th Embodiment is described using FIG. 18A, FIG. 18B, FIG. 19A, and FIG. 19B.
도 14의 (a), 도 17의 (a)는 모두 입구관 선단부(6)의 외경 dio를 두께 h로 찌부러뜨려, 입구관 선단부의 폭이 W가 될 때, W > dio가 되므로, 용기에 입구관을 접합하는 부분의 관 외경이 d인 관을 입구관 선단부(6)의 지름이 dio가 되도록 축관하고, 축관 후에 경사부를 마련하고 있다.14 (a) and 17 (a) all crush the outer diameter dio of the
따라서, 용기에 접합하는 데 적합한 입구관으로서, 도 18의 (a), 도 18의 (b), 도 19의 (a), 도 19의 (b)에 도시한 형상의 제3 입구관(33)을 발명했다. 즉, 도 18의 (b),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 선단부를 찌부러뜨림 폭 W 방향으로 물결 모양(32)으로 찌부러뜨림으로써, W ≤ dio로 구성할 수 있어, 용기(1)에는 입구관 외경 dio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을 뚫어 두면, 찌부러뜨림 폭 W의 입구관 선단부(6)를 용기 내로 관통시킬 수 있다. 도 18의 (b)에 비해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수를 많게 함으로써 입구관 선단부(6)의 유로 단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입구관 외형 d가 아닌, dio(소경화 후 외경)로 설명했지만, d와 W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W ≤ d이다.Therefore, as the inlet tube suitable for joining to the container, the
<제8 실시 형태><8th embodiment>
도 20을 이용하여 제8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An eigh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도 20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8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기본적으로 앞서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의 도 10과 동일하다. 도 21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8 실시 형태가 생겨나는 데 이르는 과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in FIG. 10 of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sectional drawing explaining the subject to the eigh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관(2)과 기상 출구관(3) 및 입구관 선단부(6)와 용기 내벽면(5)이 인접하고 있을 때, 기액 분리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도 진동하고, 입구관(2)과 기상 출구관(3) 및 입구관 선단부(6)와 용기 내벽면(5)도 진동하고, 인접하고 있는 부품끼리가 충돌을 반복하여,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그러한 경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관(2)과 기상 출구관(3) 사이의 인접점 및 입구관 선단부(6)와 용기 내벽면(5) 사이의 인접점을 인접점 D28 및 인접점 E29로 하여, 접촉 또는 접합함으로써,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2)과 기상 출구관(3) 및 입구관 선단부(6)와 용기 내벽면(5)이 진동해도, 인접하고 있는 부품끼리가 충돌하는 일이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In such a case, the adjacent point between the
밀폐된 용기(1)에 입구관(2)과 기상 출구관(3)을 내장한 후에 인접점 D28 및 인접점 E29로 하여 접합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용기(1)에 입구관(2)과 기상 출구관(3)을 내장한 후에 전기 저항법 등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The method of joining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의 입구관 관통부에 버링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했지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링(19)을 설치한 경우라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축관 가공을 행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0, the case where a burring is not provided in the inlet_pipe penetration part of the
<제9 실시 형태><Ninth Embodiment>
도 21, 도 22, 도 23 및 도 24를 이용하여 제9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A ni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 22, 23, and 24.
도 21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9 실시 형태가 생겨나는 데 이르는 과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9 실시 형태의 첫 번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9 실시 형태의 두 번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형태의 입구관을 내장한 경우의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explaining the subject to the ninth embodiment with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in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inth embodimen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in the case where the inlet pipe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built.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관(2)과 기상 출구관(3)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 입구관 선단부(6)와 용기 내벽면(5) 사이에 클리어런스 δ2를 마련함으로써 인접하고 있는 부품끼리가 충돌을 반복하는 일이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by providing clearance δ1 between the
그러나 도 20의 입구관(2)의 위치로부터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관(2)을 단순히 좌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클리어런스 δ1, 클리어런스 δ2를 마련하면 입구관 선단부(6)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10)와 용기 내벽면(5)과의 거리 So가 커져,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분리 성능이 저하되는 요인이 된다.However, from the position of the
분리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클리어런스 δ2 = O으로 하여 So를 작게 하고, 또한 클리어런스 δ1을 소정의 치수를 확보하려고 하면, 입구관(2)의 외경을 가늘게 하거나, 또는 입구관 선단부(6)의 찌부러뜨림 두께 h를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입구관(2)의 외경을 가늘게 하거나, 또는 입구관 선단부(6)의 찌부러뜨림 두께 h를 작게 하면,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유출되는 2 상류의 속도가 지나치게 올라가 분리 성능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손실도 증가되는 요인이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0의 입구관(2)과 유체 역학적으로 등가인 입구관 특성을 유지하면서 소정 치수의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해진다.In order to make separation δ2 = O so as to secure separation performance, and to reduce the So and to ensure a predetermined dimension of clearance δ1, the outer diameter of the
그 수단으로서, 2가지의 방법을 발명했다. 그 첫 번째의 실시 형태는 앞서 도 14 및 도 17에서 서술한 입구관(26)의 선단부 측에 입구관 선단부(6)에 이르는 일부에 축관부(27)를 설치하는 경우,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관한 입구관 선단부의 중심(59)을 입구관 축(14)으로부터 Y 편심되게 하여 축관하여 소경화하고, 입구관 선단부(6)의 찌부러뜨림 두께가 h가 되도록 경사부(7)를 마련함으로써,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7)와 기상 출구관(3)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클리어런스 δ1의 확보는, 예를 들어 용기(1)의 하단부에 액상 출구관(4)을 부착하기 전에 그 부착 구멍으로부터 스페이서 δ1의 지그를 넣어, 소정의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클리어런스 확보의 확인은 내시경을 이용해도 가능하다.As the means, two methods were invented. The first embodiment is a case where the
분리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입구관 선단부(6)와 용기 내벽면(5) 사이의 클리어런스 δ2 = 0으로 하는 경우에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입구관 선단부(6)와 용기 내벽면(5) 사이의 인접점을 인접점 E29로 하여, 접촉 또는 접합함으로써,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When clearance δ2 = 0 between the
<제10 실시 형태><10th embodiment>
도 25, 도 26을 이용하여 제10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0 실시 형태는 제9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2가지 방법의 발명의 두 번째 실시 형태이다. 도 25는 제10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6은 도 25의 확대 B-B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5는 기본적으로는 도 1과 동일하며, 도 1과 다른 점은 도 26의 입구관 선단부(6) 측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며, 또한 관 외경이 doo인 기상 출구관(3)의 입구관(2)에 대면하는 위치로부터 하측을 외경 dos로 축관에 의해 소경화하여 기상 출구관 축관부(60)를 설치한 점이다. 기상 출구관 축관부(60)를 설치함으로써,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7)와 기상 출구관(3)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외경 dos의 관의 일부를 doo로 확대해도 같은 효과가 있다.A t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 and 26. The tenth embodiment i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f the two methods described in the ninth embodiment.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enth embodiment, and FIG. 26 is a view seen from an enlarged B-B cross-sectional view of FIG. 25. FIG. 25 is basically the same as FIG. 1, and the difference from FIG. 1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제11 실시 형태><Eleventh embodiment>
도 27, 도 28을 이용하여 제1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1 실시 형태는 제10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두 번째 실시 형태를 더욱 발전시킨 실시 형태이다.An el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7 and 28. The eleven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nth embodiment is further developed.
도 27은 제1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확대 C-C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7은 기본적으로는 도 25와 동일하며, 도 25와 다른 점은 기상 출구관(3)의 입구관(2)에 대면하는 위치로부터 하측을 축관에 의해 소경화하고, 기상 출구관 축관부(60)를 설치할 때, 기상 출구관 축관부의 중심축(62)을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61)으로부터 X 편심되게 하여 축관하고 있는 점이다. 기상 출구관 축관부의 중심축(62)을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61)으로부터 X 편심되게 하여 축관하고, 편심 X가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부(7)의 반대측이 되도록 용기(1)에 내장함으로써,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7)와 기상 출구관(3)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도 25, 도 27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외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중에는 인접점 부근의 기상 출구관을 부분적으로 소경화하는 안도 포함된다.2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enth embodiment. FIG. 28 is a view seen from an enlarged C-C cross-section of FIG. 27. Fig. 27 is basically the same as Fig. 25, except that Fig. 25 differs from the position facing the
<제12 실시 형태><12th Embodiment>
도 29는 제1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0은 제1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welfth embodiment, and FIG. 3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welfth embodiment.
제12 실시 형태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상 출구관(3)에 기상 출구관 축관부(60)를 설치하고, 기상 출구관(3)의 외경을 dgo, 타원의 긴 지름을 찌부러뜨린 폭을 Wo라 했을 때 Wo ≤ dgo의 범위에서 기상 출구관 축관부(60)를 그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이 되도록 찌부러뜨려, 타원의 긴 지름이 경사부(7)와 대략 평행하게 대면하도록 부착함으로써, 경사부(7)에 대향하는 기상 출구관 축관부의 찌부러뜨린 면(66)이 찌부러지기 전의 기상 출구관 축관부(60)의 가상 지름(65)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한층 더 경사부(7)와 기상 출구관(3)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twel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29, the gas phase outlet
제1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상 출구관(3)에 기상 출구관 축관부(60)를 설치하고, 기상 출구관(3)의 외경을 dgo, 기상 출구관 축관부(60)의 찌부러뜨림 폭을 Wo라 했을 때 Wo ≤ dgo의 범위에서 기상 출구관 축관부(60)를 그 단면이 대략 D자 형상이 되도록 찌부러뜨리고, 찌부러뜨림 면이 경사부(7)와 대략 평행하게 대면하도록 부착함으로써, 경사부(7)에 대향하는 기상 출구관 축관부의 찌부러뜨린 면(66)이 찌부러뜨리기 전의 기상 출구관 축관부(60)의 가상 지름(65)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한층 더 경사부(7)와 기상 출구관(3)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twel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30, the gas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도 29, 도 30에서는 기상 출구관(3)에 기상 출구관 축관부(60)를 설치하고, 기상 출구관 축관부(60)를 찌부러뜨려 가공하는 경우를 서술했지만, 도 28에 도시한 기상 출구관 축관부의 중심축(62)을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61)으로부터 X 편심되게 하여 축관하고 있는 경우에 마찬가지의 찌부러뜨림 가공을 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if the gas-liquid separation device vibrates due to the vibration of the device and the inlet pipe and the gas phase outlet pipe vibrate, both parts do not collide, and noise and wear problems are not caused.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 gas phase outlet pipe
<제13 실시 형태><Thirteenth Embodiment>
도 31, 도 32를 이용하여 제1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A twel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1 and 32.
도 31은 제1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2는 도 31의 D-D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1은 기본적으로는 도 1과 동일하며, 도 1과 다른 점은 도 32의 입구관 선단부(6) 측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며, 또한 용기(1)의 상하 스피닝부(63)가 용기의 중심축(64)에 대하여 Z 편심되어 가공되어 있다. 따라서, 기상 출구관(3)은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61)이 Z 편심되어 부착되게 된다. 용기의 중심축(64)에 대한 편심 Z의 방향을 입구관(2)의 경사부(7)와 반대 방향으로 함으로써,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7)와 기상 출구관(3)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δ1을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진동에 의해 기액 분리 장치가 진동하고, 입구관과 기상 출구관이 진동해도, 양 부품이 충돌하는 일은 없어 소음의 발생이나 마모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FIG. 3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twelfth embodiment, and FIG. 32 is a view seen from the section D-D in FIG. Fig. 31 is basically the same as Fig. 1, but different from Fig. 1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제14 실시 형태><14th embodiment>
도 33을 이용하여 제1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을 구비한 제14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A fourte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eenth embodimen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지금까지의 실시 형태에서는, 모두 입구관 선단부(6)의 기상 출구관(3) 측의 일부에 입구관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부(7)를 마련함으로써, 2 상류의 액 성분이 바로 용기 내벽면(5)에 부착되기 쉽게 하여, 기액 분리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었다.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the liquid components of two upstream are immediately provided by the container inner wall surface by providing the
그에 대하여, 기액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2 상류가 용기(1) 내로 유출될 때, 액상 성분을 최대한 미세 액적 미스트로 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입구관 선단부(6)의 유출부각에 버어가 있으면, 액상 성분은 미세 액적 미스트가 되기 쉬우므로, 일반적인 사고 방식에서는 버어를 제거하기 위해 모따기 가공이나 R 가공을 행한다. 그러나 기액 분리 장치의 경우에는 모따기 가공이나 R 가공을 행하면, 입구관 선단부(6)로부터 2 상류가 용기(1) 내로 유출될 때, 코안다 효과에 의해 2 상류가 용기(1)와 기상 출구관(3) 사이의 공간(17)으로 확대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gas-liquid separation performance, when the upstream from the
따라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관 선단부에 미소 거리 ε의 관축에 평행한 평행면부(34)를 마련함으로써, 버어 발생을 방지하고, 2 상류가 용기(1) 내로 유출될 때, 2 상류가 용기(1)와 기상 출구관(3) 사이의 공간(17)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한 기액 분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3, by providing the
<제15 실시 형태><15th embodiment>
도 34를 이용하여 제1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4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1 내지 제14 실시 형태를 구비한 기액 분리 장치를 냉동 사이클에 사용한 경우의 냉동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34는 세퍼레이트형 에어 컨디셔닝의 예이며, 실외 유닛(35)과 실내 유닛(36)으로 구성되어, 냉방 운전 시의 사이클을 나타내고 있다. 압축기(37)로 압축된 고온 고압 기상 냉매에는 냉동기유가 혼입되어 있어,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기상 냉매로 혼입되는 냉동기 유량이 많아지면, 냉동 사이클 냉매 유로의 압력 손실이 증가하고, 또한 냉매의 증발 열 전달률 및 응축 열 전달율이 저하되어, 냉동 사이클 효율의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압축기 기동 시에는 압축기 내에 봉입되어 있는 냉동기유가 포밍하고, 대량의 냉동기유가 기상 냉매로 혼입되어 압축기로부터 토출되어, 냉동 사이클로 유출된다. 특히 세퍼레이트형 에어 컨디셔닝의 경우에는, 실내 유닛과 실외 유닛을 접속하는 접속 배관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 배관(38)이 긴 경우에는 냉동 사이클로 유출된 냉동기유는 바로 압축기로 복귀되지 않고, 운전 조건에 따라서는 압축기 내의 냉동기유가 부족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A fifte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is a refrigerating cycle block diagram at the time of using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1st-14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for a refrigeration cycle. FIG. 34 shows an example of separate type air conditioning, which is composed of an outdoor unit 35 and an indoor unit 36, and shows a cycle during cooling operation. Refrigerator oil is mixed in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 phas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37, and when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mixed into th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increases, the pressure loss of the refrigeration cycle refrigerant path increases, and the evaporation heat transfer rate of the refrigerant. And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rate decreases,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refrigeration cycle efficiency. In addition, when the compressor is started, the refrigerant oil enclosed in the compressor is foamed, a large amount of the refrigerant oil is mixed with th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flows out into the refrigeration cyc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eparate air conditioning, a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When the
따라서, 도 34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압축기(37)의 냉매 토출관에 콤팩트한 기액 분리 장치(39)를 설치하고, 냉동 사이클 효율의 확보 및 압축기의 신뢰성 확보를 도모하는 것이다. 즉, 압축기(37)에서 흡입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압축기(37)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 기상 냉매가 되어 냉매 토출관(40)을 지나, 기액 분리 장치(39)의 입구관(2)으로부터 기액 분리 장치로 유입된다. 압축기(37)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 기상 냉매에는 냉동기유가 혼입되어 있어, 기액 분리 장치(39) 내에서 냉동기유는 액상으로서, 기상 냉매는 기상으로서 분리되어, 각각 액상 출구관(4) 및 기상 출구관(3)으로부터 취출된다. 액상 출구관(4)을 나온 냉동기유는 액 리시버(41), 유량 조정 교축기(42)를 지나 압축기 흡입관(43)으로 흡입되고, 냉동기유는 압축기로 복귀된다. 유량 조정 교축기(42)를 설치하고 있는 이유는, 통상의 운전 조건에서는 압축기(37)로부터 토출되는 고온 고압 기상 냉매로 혼입되고 있는 냉동기유는 기상 냉매에 비해 적기 때문에, 기액 분리 장치(39)에서 분리한 냉동기유를 유량 조정 교축기(42)에 의해 서서히 압축기(37)로 냉동기유를 복귀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액 리시버(41)를 설치하고 있는 이유는, 압축기 기동 시에 압축기 내에 봉입되어 있는 냉동기유가 포밍하고, 대량의 냉동기유가 기상 냉매에 혼입되어 압축기로부터 토출되지만, 이것은 일시적인 현상이므로, 기액 분리 장치(39)에서 분리된 냉동기유를 일시적으로 액 리시버(41)에 모아서, 유량 조정 교축기(42)에 의해 서서히 압축기(37)로 냉동기유를 복귀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기액 분리 장치의 액체 저장소의 용적이 큰 경우에는 반드시 액 리시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FIG. 34 is equipped with the compact gas-
한편, 기액 분리 장치(39) 내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기상 출구관(3)으로부터 4방 밸브(44)를 지나, 응축기(45)에서 응축기용 송풍기(46)로부터 이송되는 공기에 방열하여, 고압 액 냉매가 된다. 그 액 냉매는 감압기(47)에서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2 상류가 되고, 증발기(48)로 들어가 증발기용 송풍기(49)에서 이송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가 되어, 압축기(37)에 흡입된다. 따라서, 기액 분리 장치(39) 내에서 냉동기유는 액상으로서 분리되어, 액상 출구관(4)으로부터 액 리시버(41), 유량 조정 교축기(42)를 지나 압축기 흡입관(43)에 흡입되어, 냉동기유는 압축기로 복귀되므로, 운전 시, 기동 시 모두 냉동 사이클에의 냉동기유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이 높은 냉동 사이클 운전이 가능해지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운전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the gaseous phase refrigerant separated in the gas-
<제16 실시 형태><16th embodiment>
도 35를 이용하여 제1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을 구비한 제1 내지 제14 실시 형태를 구비한 기액 분리 장치를 기액 2 상류를 취급하는 유체 기계 장치에 적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A fifte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is a system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which applied th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1st-14th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nvention to the fluid mechanical apparatus which handles gas-
구체적으로는, 도 35는 공기 청정 장치이며, 공기 중에 혼입되어 있는 악취 성분, 미립자 성분 등의 오염 성분을 제거하고, 청정한 공기를 얻는 것이다. 악취 성분, 미립자 성분을 포함한 오염 공기(50)는 송풍기(51)에 의해 오염 흡착실(52)로 이송된다. 한편, 펌프(53)로부터 흡착수(54)가 노즐(55)로 이송되고, 노즐(55)로부터 오염 흡착실(52) 내에 미세 물방울(56)을 분무한다. 미세 물방울(56)은 오염 흡착실(52)로 이송된 오염 공기의 악취 성분, 미립자 성분을 흡착하여, 아래쪽으로 낙하하여 드레인관(57)으로부터 취출된다. 한편, 청정화된 공기는 공기 취출부(58)로부터 취출되지만, 그 공기 중에는 다수의 미세 물방울(56)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기액 분리 장치(39)의 입구관(2)으로부터 기액 분리 장치(39) 내로 유입되어, 미세 물방울(56)이 분리되고, 액상 출구관(4)으로부터 취출되어, 청정화된 공기는 기상 출구관(3)으로부터 취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액 분리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기상 성분을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FIG. 35 is an air purifier, which removes contaminants such as malodorous components and particulate components mixed in the air and obtains clean air. The
이상에 서술한, 기액 분리 장치는 냉매 HFC-410A와 냉동기유를 사용한 실험에 의한 지식에 의거하여 고안된 것이지만, 그 기본적 사고 방식은 다른 HFC계 냉매, HFO계 냉매, 자연 냉매 및 공기-물 등의 일반적인 기상-액상으로 이루어지는 2 상류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gas-liquid separator described above is designed based on the knowledge of experiments using refrigerant HFC-410A and refrigeration oil, but the basic idea is that other HFC refrigerants, HFO refrigerants, natural refrigerants and air-water, etc. It is also applicable to the two-upstream which consists of general gas phase-liquid phase.
1 : 용기 2 : 입구관
3 : 기상 출구관 4 : 액상 출구관
5 : 용기 내벽면 6 : 입구관 선단부
7 : 경사부 8 : 기상 출구관 하단부
9 : 경사부를 따르는 흐름 10 : 입구관 선단부의 기상 출구관 측단부
11 : 수직 중심선 12 : 수평 중심선
13 : 선회류 14 : 입구관 축
15 : 입구관 직선부 측 16 : 미세 액적 미스트
17 : 공간 18 : 경사 개시점
19 : 버링 20 : 내측 접합점
21 : 용기의 외경 22 : 용기 벽
23 : 간극 24 : 용기의 관통 구멍
25 : 선단 단부면 26 : 제2 입구관
27 : 축관부 28 : 인접점 D
29 : 인접점 E 30 : h 가변 블레이드
31 : 지지점 32 : 물결 모양 찌부러뜨림
33 : 제3 입구관 34 : 평행면부
35 : 실외 유닛 36 : 실내 유닛
37 : 압축기 38 : 접속 배관
39 :기액 분리 장치 40 : 냉매 토출관
41 : 액 리시버 42 : 유량 조정 교축기
43 : 압축기 흡입관 44 : 4방 밸브
45 : 응축기 46 : 응축기용 송풍기
47 : 감압기 48 : 증발기
49 : 증발기용 송풍기 50 : 오염 공기
51 : 송풍기 52 : 오염 흡착실
53 : 펌프 54 : 흡착수
55 : 노즐 56 : 미세 물방울
57 : 드레인관 58 : 공기 취출부
59 : 축관한 입구관 선단부의 중심
60 : 기상 출구관 축관부 61 : 기상 출구관의 중심축
62 : 기상 출구관 축관부의 중심축
63 : 상하 스피닝부 64 : 용기의 중심축
65 : 가상 지름 66 : 기상 출구관 축관부의 찌부러뜨린 면1: container 2: inlet tube
3: gas phase outlet tube 4: liquid phase outlet tube
5: container inner wall surface 6: inlet pipe tip
7: inclined portion 8: lower part of the weather outlet pipe
9: Flow along the inclined part 10: Gas phase outlet pipe side end of the inlet pipe end
11: vertical centerline 12: horizontal centerline
13: Swirl flow 14: inlet pipe shaft
15: straight side of the inlet pipe 16: fine droplet mist
17: space 18: starting point of inclination
19: Burring 20: Inner junction
21: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22: container wall
23: gap 24: through hole of the container
25: tip end face 26: second inlet pipe
27: shaft portion 28: adjacent point D
29: adjacent point E 30: h variable blade
31: support point 32: wavy crushing
33: third inlet pipe 34: parallel surface portion
35: outdoor unit 36: indoor unit
37
39: gas-liquid separator 40: refrigerant discharge pipe
41 liquid receiver 42 flow rate adjusting throttle
43: compressor suction pipe 44: four-way valve
45 condenser 46 blower for condenser
47: pressure reducer 48: evaporator
49: blower for evaporator 50: contaminated air
51 blower 52: pollution adsorption chamber
53
55: nozzle 56: fine water droplets
57: drain pipe 58: air blower
59: center of the inlet pipe tip
60: meteorological outlet pipe shaft pipe portion 61: central axis of the weather outlet pipe
62: central axis of the weather outlet pipe shaft
63: upper and lower spinning portion 64: the central axis of the container
65: virtual diameter 66: crushed surface of the gas outlet pipe shaft
Claims (15)
The gas-liquid separator of any one of Claims 1-13 was applied to the fluid mechanical apparatus which handles gas-liquid 2 upstream, The fluid mechanical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13635 | 2010-04-26 | ||
JP2010113635 | 2010-04-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9553A true KR20110119553A (en) | 2011-11-02 |
Family
ID=4488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8326A KR20110119553A (en) | 2010-04-26 | 2011-04-25 | Gas-liquid separator and refrigerat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821115B2 (en) |
KR (1) | KR20110119553A (en) |
CN (1) | CN102235783B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11239A1 (en) * | 2015-12-25 | 2017-06-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il separator |
KR20170077012A (en) * | 2015-12-25 | 2017-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Oil separator |
KR20190083469A (en) * | 2018-01-04 | 2019-07-12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Automatic condensate water discharge system for landfill gas transfer pipe |
WO2021172752A1 (en) * | 2020-02-28 | 2021-09-02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Vapor injection module and heat pump system using same |
WO2021223775A1 (en) * | 2020-08-18 | 2021-11-11 | 青岛海尔特种电冰箱有限公司 | Liquid accumulator and refrigerator used for refrigera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07584B2 (en) * | 2012-05-16 | 2016-10-12 | 富士電機株式会社 | Oil separator |
JP5888114B2 (en) * | 2012-05-23 | 2016-03-1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Refrigeration equipment |
JP6055673B2 (en) * | 2012-12-05 | 2016-12-27 | 日冷工業株式会社 | Gas-liquid separator and refriger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gas-liquid separator |
JP6219032B2 (en) * | 2012-12-10 | 2017-10-25 |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Oil separator |
JP6296322B2 (en) * | 2013-02-20 | 2018-03-2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Oil separator |
JP6238726B2 (en) * | 2013-12-20 | 2017-11-29 |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 Compressor |
WO2015107610A1 (en) * | 2014-01-14 | 2015-07-23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Gas-liquid separator and air compressor provided therewith |
JP6403061B2 (en) * | 2014-02-13 | 2018-10-1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Oil separator |
US10060661B2 (en) | 2014-02-28 | 2018-08-2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ccumulator and refrige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JP5868557B1 (en) * | 2014-04-16 | 2016-02-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Oil separator |
WO2015174022A1 (en) * | 2014-05-13 | 2015-11-1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Oil separation device |
CN104864644A (en) * | 2015-05-05 | 2015-08-26 | 于浩 | Refrigerant separator |
CN104848616B (en) * | 2015-05-20 | 2017-06-30 | 深圳麦克维尔空调有限公司 | Gs-oil separator in air-conditioning system |
CN104913553A (en) * | 2015-06-08 | 2015-09-16 | 大连冷冻机股份有限公司 | Horizontal gas-liquid separator |
CN105041620A (en) * | 2015-07-22 | 2015-11-11 | 云南云铝涌鑫铝业有限公司 | Compressed air system |
CN106352624B (en) * | 2016-08-19 | 2019-04-02 | 重庆美的通用制冷设备有限公司 | Heat pump unit |
CN205957565U (en) | 2016-08-22 | 2017-02-15 |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 Horizontal type gas -liquid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of air conditioner |
CN107789931B (en) * | 2016-08-31 | 2020-06-26 | 中石化石油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 Natural gas gathering and transportation pipeline hydrops entrapment device |
CN106382746A (en) * | 2016-11-16 | 2017-02-08 | 东台市三仓节能锅炉有限公司 | Fuel gas mold temperature controller |
JP7146207B2 (en) * | 2017-03-17 | 2022-10-04 | 日冷工業株式会社 | Refrigeration equipment with gas-liquid separator and gas-liquid separator |
US11125476B2 (en) | 2017-03-24 | 2021-09-2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Gas-liquid separator system for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CN107218747A (en) * | 2017-07-27 | 2017-09-29 | 安徽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 Reservoir and the compressor with it |
CN108458522A (en) * | 2018-02-26 | 2018-08-28 | 冰轮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 high-efficiency oil separator |
CN111827998A (en) * | 2019-04-18 | 2020-10-27 |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 Real-time sampling device for methane detection in fracturing flow-back fluid |
CN110558630B (en) * | 2019-10-14 | 2024-06-18 | 欧俊彪 | Electronic cigarette and atomizer thereof |
JP7312693B2 (en) * | 2019-12-25 | 2023-07-21 | マーレジャパン株式会社 | Air separator and automotive fluid circuit with air separator |
CN116222115A (en) * | 2021-12-03 | 2023-06-06 |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 Oxygen treatment device and refrigerator with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95101A (en) * | 1940-08-03 | 1942-09-08 | Socony Vacuum Oil Co Inc | Separation apparatus |
BE487016A (en) * | 1948-01-29 | |||
US3129173A (en) * | 1960-08-01 | 1964-04-14 | Hertha M Schulze | Centrifugal type liquid-solid separator |
JPS56222Y2 (en) * | 1976-01-07 | 1981-01-07 | ||
JPS563309Y2 (en) * | 1976-07-30 | 1981-01-24 | ||
JPS5851949Y2 (en) * | 1980-09-18 | 1983-11-26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Cyclone separator with inlet guide vanes |
JPS60209276A (en) * | 1984-04-02 | 1985-10-21 | Hitachi Ltd | Cyclone separator |
JPH0236624Y2 (en) * | 1985-03-01 | 1990-10-04 | ||
JPH0182467U (en) * | 1987-11-19 | 1989-06-01 | ||
JPH0621531Y2 (en) * | 1988-10-19 | 1994-06-08 | 株式会社タクマ | Steam separator |
JPH0630278Y2 (en) * | 1989-02-06 | 1994-08-1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Hydrocyclone device |
JPH0538408A (en) * | 1991-08-06 | 1993-02-19 | Mitsubishi Heavy Ind Ltd |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
US5502984A (en) * | 1993-11-17 | 1996-04-02 | American Standard Inc. | Non-concentric oil separator |
JPH10185367A (en) * | 1996-12-24 | 1998-07-14 | Matsushita Refrig Co Ltd | Oil separator |
JPH10300287A (en) * | 1997-04-28 | 1998-11-13 | Matsushita Refrig Co Ltd | Oil separator |
JP4248770B2 (en) * | 2001-06-26 | 2009-04-02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Gas-liquid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CN2554568Y (en) * | 2002-07-21 | 2003-06-04 | 游可方 | Coaxial lubricating oil separator |
JP4015535B2 (en) * | 2002-11-19 | 2007-11-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Centrifugal oil separator and refrigerant device |
US20060280622A1 (en) * | 2005-06-10 | 2006-12-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il separator for air conditioner |
CN101607147B (en) * | 2008-06-19 | 2011-07-20 | 北京中天油石油天然气科技有限公司 | Oil-water cyclone separator |
-
2011
- 2011-04-25 KR KR1020110038326A patent/KR2011011955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4-26 CN CN201110104515.2A patent/CN102235783B/en active Active
- 2011-04-26 JP JP2011097728A patent/JP5821115B2/en active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11239A1 (en) * | 2015-12-25 | 2017-06-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il separator |
KR20170077012A (en) * | 2015-12-25 | 2017-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Oil separator |
US10655899B2 (en) | 2015-12-25 | 2020-05-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il separator |
KR20190083469A (en) * | 2018-01-04 | 2019-07-12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Automatic condensate water discharge system for landfill gas transfer pipe |
WO2021172752A1 (en) * | 2020-02-28 | 2021-09-02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Vapor injection module and heat pump system using same |
WO2021223775A1 (en) * | 2020-08-18 | 2021-11-11 | 青岛海尔特种电冰箱有限公司 | Liquid accumulator and refrigerator used for refriger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235783A (en) | 2011-11-09 |
CN102235783B (en) | 2016-01-20 |
JP5821115B2 (en) | 2015-11-24 |
JP2011247575A (en) | 2011-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19553A (en) | Gas-liquid separator and refrigerat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 |
US8372172B2 (en) | Gas-liquid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 |
JP5395358B2 (en) | A gas-liquid separator and a refrige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gas-liquid separator. | |
JP2011247575A5 (en) | ||
JP2010181090A (en) | Gas liquid separator and refrigerating cycle device mounted with the same | |
KR20050086183A (en) | Oil separator and cooling cycle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2010096483A (en) | Gas-liquid separating device and refrig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00320933A (en) | Gas/liquid sepa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2002130874A (en) | Refrigerating cycle device | |
JP2018155485A (en) | Gas-liquid separation device and refrigeration device including gas-liquid separation device | |
JP2002318018A (en) | Ejector cycle and gas and liquid separator | |
JP5601764B2 (en) | Gas-liquid separator and air 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 |
JP5634549B2 (en) | A gas-liquid separator and a refrige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gas-liquid separator. | |
JP7012839B2 (en) | Oil separator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 |
JP5072523B2 (en) | Gas-liquid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 |
JP4966574B2 (en) | Oil separator for refrigerant cycle | |
JP2000199658A (en) | Gas/liquid separator for cooling device | |
WO2020174660A1 (en) | Gas-liquid separation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JP2006266524A (en) | Accumulator | |
JP2002130871A (en) | Accumulator | |
JPH0462359A (en) | Oil separator for air conditioner | |
JP6827554B2 (en) | Oil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it | |
WO2024029028A1 (en) | Oil separat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WO2020217418A1 (en) | Gas-liquid separation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JP7118251B2 (en) | Gas-liquid separator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