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242A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Google Patents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3242A KR20070043242A KR1020050099281A KR20050099281A KR20070043242A KR 20070043242 A KR20070043242 A KR 20070043242A KR 1020050099281 A KR1020050099281 A KR 1020050099281A KR 20050099281 A KR20050099281 A KR 20050099281A KR 20070043242 A KR20070043242 A KR 20070043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air
- fuel cell
- cell system
- sta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5—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liquid, soli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30—Fuel cell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수단과 스택의 상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덕트가 형성되고, 덕트의 내면에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흐름변환수단이 형성되어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각 공기통로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and in particular, a duct is formed to connect the blowing means and the upper part of the stack to serve as an air passage, and the air flow is conv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in which a means is formed so that air is uniformly supplied to each air passage of the bipolar plate.
연료전지, 세미 패시브형, 블로워, 덕트, 공기흐름변환수단 Fuel Cell, Semi Passive, Blower, Duct, Air Flow Conversion Mean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스택의 분리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 of FIG. 2.
도 4는 도 1의 스택과 송풍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ack and the blower of FIG. 1.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스택과 송풍수단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stack and the blowing mean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스택에서 공기의 유속을 평가하기 위한 컴퓨터모형도이다.7 is a computer model for evaluating the flow rate of air in the stack of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모형도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통하여 스택의 위치별 유속을 산출한 결과이다. 8 i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flow velocity for each position of the stack through numerical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model diagram of FIG.
도 9는 종래의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스택과 송풍수단의 개략도를 나타낸다.9 shows a schematic view of a stack and blowing means in a conventional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스택 12 - MEA10-stack 12-MEA
13, 13a, 13b - 애노드 전극 14, 14a, 14b- 캐소드 전극13, 13a, 13b anode electrode 14, 14a, 14b cathode electrode
16 - 바이폴라 플레이트 19, 19a, 19b - 공기통로16-
30 - 연료공급수단30-fuel supply
50 - 공기공급수단 51 - 송풍수단50-Air supply means 51-Blowing means
61 - 제1덕트 65 - 공기흐름변환수단61-1st duct 65-Airflow conversion means
71 - 제2덕트 71-2nd duct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6717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6717
본 발명은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수단과 스택의 상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덕트가 형성되고, 덕트의 내면에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흐름변환수단이 형성되어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각 공기통로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and in particular, a duct is formed to connect the blowing means and the upper part of the stack to serve as an air passage, and the air flow is conv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in which a means is formed so that air is uniformly supplied to each air passage of the bipolar plate.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기체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화제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A fuel cell is a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directly converts the chemical reaction energy of hydrogen and oxidant contained in hydrocarbon-based materials such as methanol, ethanol, and natural gas into electrical energy.
이러한 연료전지는 연료 전지 시스템은 대표적으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이하 "PEMFC"라 한다.) 시스템과 직 접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 이하 "DMFC"라 한다) 시스템을 들 수 있다.The fuel cell system is typically referred to as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EMFC) system and a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A system.
일반적으로 PEMFC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스택과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개질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PEMFC 시스템은 에너지 밀도가 크고, 출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수소 가스의 취급에 주의를 요하고 연료가스인 수소를 생산하기 위하여 메탄이나 메탄올 및 천연 가스 등을 개질하기 위한 연료 개질 장치 등의 부대 설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In general, a PEMFC system includes a stack that generates electric energy by a reaction of hydrogen and oxygen, and a reformer that generates hydrogen by reforming a fuel. The PEMFC system has the advantages of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output, but requires attention to handling hydrogen gas and fuel reformer for reforming methane, methanol and natural gas to produce hydrogen, fuel gas. You will need additional equipment.
이에 비하여 DMFC 시스템은 스택에 직접 메탄올 연료와 산화제인 산소를 공급하여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DMFC 시스템은 에너지밀도 및 전력밀도가 매우 높으며, 메탄올 등 액체연료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연료개질기(reformer) 등 부대 설비가 필요치 않으며 연료의 저장 및 공급이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In contrast, DMFC systems generate methanol by electrochemical reactions by directly supplying methanol fuel and oxygen as an oxidant to the stack. The DMFC system has a very high energy density and power density, and since liquid fuel such as methanol is directly used, no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fuel reformer is required, and the fuel is easily stored and supplied.
이러한 DMFC 시스템은 스택에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 또는 공압펌프(air pump)와 같은 공기 공급수단을 사용하여 강제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DMFC 시스템은 휴대가 가능하여 노트북, 이동통신기기와 같은 이동기기에 대한 적용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DMFC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 공급수단은 소음이 심하여 사용자에게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DMFC 시스템은 스택에 공급하는 공기가 자연대류 방식에 의하여 공급되는 패시브형 DMFC 시스템 또는 공기가 송풍기와 같은 송풍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미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This DMFC system is forced to supply air to the stack by using an air supply means such as an air compressor or an air pump. The DMFC system is portable, and its applicability to mobile devices such as laptops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s being examined. However, the air supply means used in such a DMFC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noise is so severe that the user is uncomfortable due to the noise. Accordingly, such a DMFC system has been developed a passive DMFC system in which air to be supplied to the stack is supplied by natural convection, or a semi-passive DMFC system in which air is supplied by a blowing means such as a blower.
상기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공기를 자연대류 방식에 의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각 캐소드에 공기가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스택을 적층하지 않고 평면상으로 형성하게 되어 스택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Since the passive DMFC system supplies air by natural convection, air is not supplied to each cathode sufficiently. Therefore, the passive DMFC system has a constraint that the stack is formed relatively in a planar manner without stacking the stacks.
한편, 상기 세미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송풍기와 같은 송풍수단을 사용하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패시브형 DMFC 연료전지 시스템에 비하여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미 패시브형 DMFC 연료전지 시스템은 스택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1-6717호(특허문헌 1)에는 연료극과 산화제극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극이 내장되어 있는 연료전지 본체가 개시(도 9 참조)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료전지 본체(1)의 산화제극에 있어서 전극반응에 의하여 산소가 소비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산화제 도입구측에 산화제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송기수단(5)이 제공되어 있고, 산화제극에 형성되어 있는 산화제 가스유로의 단면적을 산화제 가스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걸쳐 작아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mi-passive DMFC system uses a blowing means such as a blower, the amount of air supplied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sive DMFC fuel cell system. Thus, the semi-passive DMFC fuel cell system can be formed by stacking stack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6717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fuel cell body in which a pair of electrodes composed of a fuel electrode and an oxidizer electrode is incorporated (see Fig. 9). Referring to Fig. 9, air supply means 5 for introducing an oxidant gas to the oxidant inlet side is provided to compensate for the consumption of oxygen by the electrode reaction in the oxidant electrode of the
그러나, 이러한 세미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송풍기를 사용하더라도 스택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들에 공기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세미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공기통로의 위치에 따른 공기 흐름의 저항 차이로 인하여 공기통로 별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semi-passive DMFC system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supply air to the air passages formed in the bipolar plate of the stack even when using a blower. In addition, the semi-passive DMFC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for each air passage is non-uniform due to the difference in resistance of the air flow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ir pass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수단과 스택의 상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덕트가 형성되고, 덕트의 내면에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흐름변환수단이 형성되어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각 공기통로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owing means and the stack is formed a duct to act as a passage, the air flow conversion mea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that is formed so that the air is uniformly supplied to each air passage of the bipolar plat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의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해질막과 상기 전해질막의 양측에 형성되는 캐소드전극과 애노드 전극을 구비하는 막-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측에 배치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수의 단위셀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스택과 연료공급수단과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상기 캐소드 전극과 접하는 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상기 스택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덕트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흐름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공기통로는 스택의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having a cathode electrode and an anod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both sides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In a fuel cell system comprising a stack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having a bipolar plate disposed in the fuel cell, and a fuel supply means and an air supply means, the bipolar plate of the stack is in contact with the cathode electrode An air passage formed to penetrate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and the air supply means includes a duct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ack, a blowing mean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uct to supply air to the duct, and the duct Air flow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blowing means in the interior of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ng means. At this time, the air passage of the bipolar plate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tack.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덕트는 상기 스택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덕트와 상기 스택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제1덕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는 일측의 내부에 상기 송풍수단이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스택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덕트의 일측의 상면에 상기 송풍수단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와, 타측의 하면에 상기 스택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덕트의 타측 상면은 내부 높이가 상기 송풍수단이 설치된 일측으로부터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ct has a first duct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ck and a second duct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ack, the blowing means to blow air from one side of the first duct to the other side Can be formed. The first duct is provided with the blowing means inside one side, the other side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entire upper portion of the stack, an air inlet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wing means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duct;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hape of the stack and may be provided with an air supply port for supplying air to the stack. In addition, the oth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duc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so that the inner height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ide where the blowing means is installed to the other en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은 상기 제1덕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은 상기 제1덕트 타측의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은 제1덕트 타측의 상면이 내부로 돌출되어 제1덕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블록이 제1덕트 타측의 상면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은 단면 형상이 반원 또는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은 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전면이 공기 흐름 방향과 둔각을 이루거나 또는 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은 돌출되는 높이가 공기흐름변환수단이 설치되는 위치에서의 제1덕트 내부 높이의 30 ∼ 70%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converting means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duct and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is case, the air flow conversion means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uct. In addition, the air flow converting means may be formed by protr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uct to be integral with the first duct, or by forming a separate block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uct. In addition, the air flow conversion means may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is semi-circular or triangular. In addition, the air flow converting mean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directly contacting the air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air flow direction or an arc shape.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air flow converting means may be formed to 30 to 70% of the height inside the first duct at the position where the air flow converting means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덕트는 상면에 상기 스택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택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타단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덕트의 하면 은 내부 높이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증가되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덕트의 하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덕트의 상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uc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hape of the stack on the upper surface and has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stack is formed, and an air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to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Can be.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so that the inner height is increas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may preferably be inclined at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uc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수단은 블로워 또는 팬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means may be formed with a blower or a fa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시스템 또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el cell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system or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system.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택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택과 송풍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ack and the blower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택(10)과 상기 스택(1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30)과 상기 스택(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직접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 이하 "DMFC"라 한다)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 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를 개질하여 발생되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이하 "PEMFC"라 한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러한 PEMFC 시스템은 액체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개질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In the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fuel supply means 30 and the
상기 스택(10)은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Electrode Assembly : 이하 "MEA"라 한다)(12)와 MEA(12)의 양측에 배치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16)로 구성되는 단위셀(10a)이 다수 개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양면에 MEA(12)가 접촉되어 서로 인접하는 단위셀(10a)에 공유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택(10)은 양측의 외곽에 위치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인 엔드 플레이트(End Plate)(16a)를 통하여 외부의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스택(10)은 엔드 플레이트(16a)의 외측에 결합되어 바이폴라 플레이트(16)와 MEA(12)를 고정하는 지지판(16b)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6b)은 연료공급수단(30)에서 공급되는 연료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에 공급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통로(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엔드플레이트(16a)는 지지판의 역할을 동시에 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상기 스택(10)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의 단위셀(10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택(10)은 정면방향에서 볼 때 좌우에 독립적인 단위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택(10)은 좌우에 형성되는 단위셀 사 이의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미반응 영역에 연료공급통로인 제1관통로와 제2관통로(17a, 17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택(10)은 측면 방향에서 제1관통로와 제2관통로(17a, 17b)를 통하여 연료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스택(10)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일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는 공기 통로(19)를 통하여 공기가 공급된다. 한편, 상기 스택은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형성되는 단위셀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스택은 중앙에 미반응 영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스택은 제1관통로와 제2관통로(17a, 17b)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좌우측에 형성된다. The
상기 MEA(12)는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13)과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15) 사이에 전해질막(membrane)(14)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애노드 전극(13)과 캐소드 전극(15)은 전해질막(14)의 양면에 각각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소정 면적으로 애노드 전극(13a, 13b)과 캐소드 전극(15a, 15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MEA(12)는 양면에서 중앙에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13)과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15)이 형성되지 않는 미반응 영역(12a)이 형성되며, 상기 미반응 영역(12a)에는 연료가 흐르는 연료공급통로인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MEA(12)는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 사이에 스택(10)의 체결을 위한 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애노드 전극(13)과 캐소드 전극(15)은 연료의 공급 및 확산을 위한 연료확산층(diffusion layer)과 연료의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층, 그리고 전극 지지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애노드 전극(13)은 공급되는 연료로부터 전자와 수소이온을 분리시키며, 전해질막(14)은 수소 이온을 캐소드 전극(15)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캐소드 전극(15)은 애노드 전극(13)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수소 및 산소를 반응시켜 물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택(10)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The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양측에 MEA(12)가 밀착되며, 양면에 각각 연료통로(18)와 공기통로(19)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의 소정 영역에 연료통로(18)와 공기통로(19)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중앙에 연료통로(18)와 공기통로(19)가 형성되지 않는 미형성 영역(16c, 16d)이 형성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일면에 MEA(12)의 애노드 전극(13)이 밀착되며, 타면에 MEA(12)의 캐소드 전극(15)이 밀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애노드 전극(13)이 밀착되는 면에 연료통로(18)가 형성되어 애노드 전극(13)에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캐소드 전극(15)이 밀착되는 면에 공기통로(19)가 형성되어 캐소드 전극(15)에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연료통로(18)가 형성되는 영역 사이의 미형성 영역(16d)에 바이폴라 플레이트(16)를 관통하며 연료통로(18)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가 상하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제1관통로(17a)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가 연료통로(18) 를 흐른 후에 제2관통로(17b)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는 각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16)와 MEA(12)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스택(10)의 상하부를 전체적으로 관통하는 연료의 통로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택(10)은 일측에서 제1관통로(17a)를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며, 타측에서 제2관통로(17b)를 통하여 미반응 연료와 반응 부산물인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 사이에 스택(10)을 체결하는 볼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체결홀(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는 지지판(16b)에 형성되는 소정의 통로(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연료공급수단(30)과 연결되어 연료가 흐르게 된다. 상기 지지판(16b)에 형성되는 통로는 스택(1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금속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철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카본 합성물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The
상기 연료통로(18)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일면 즉, MEA(12)의 애노드 전극(13)과 접촉되는 영역에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표면을 따라 소정 깊이와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통로(18a, 18b)는 중앙에 형성되는 미형성 영역(16d)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료통로(18)는 바람직하게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료통로(18)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료통로(18)는 MEA(12)의 애노드 전극(13)과 접촉면적이 증가되면서 연료가 직접 접촉 되는 애노드 전극(13)의 면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스택(10)은 연료가 연료펌프에 의하여 소정 압력으로 공급되므로 연료통로(18)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연료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The
상기 공기통로(19)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타면 즉. MEA(12)의 캐소드 전극(15)과 접촉되는 영역에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표면을 따라 소정 폭과 깊이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통로(19a, 19b)는 중앙에 형성되는 미형성영역(16c)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9)는 바람직하게는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또는 하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통로(19)는 일면의 연료통로(18)와 달리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에 연결되지 않는다.The
한편, 상기 MEA와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중앙의 미반응 영역 또는 미형성영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MEA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미반응 영역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는 연료통로와 공기통로가 각각 중앙의 미형성영역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택은 제1관통로와 제2관통로가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MEA의 좌우측에 형성된다. Meanwhile, the MEA and the bipolar plate may not have a central unreacted region or an unformed region. That is, in the MEA, anode and cathode electrodes respectively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an unreacted region. In addition, the bipolar plat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uel passage and the air passage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respectively, without a central unformed region. In this case, the stack has a first passageway and a second passagewa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ipolar plate and the MEA.
상기 연료공급수단(30)은 소정 농도로 희석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32)와 연료를 스택(10)에 공급하는 연료펌프(3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 료탱크는 별도로 공급되는 연료원액과 물을 혼합하여 소정 농도로 희석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연료공급수단(30)은 연료원액을 저장하는 연료원액탱크(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와 원액펌프(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료탱크(32)는 소정 농도로 희석된 연료가 저장된 카트리지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연료탱크(32)에 저장된 연료가 다 소진된 경우에 연료를 재충전하거나 새로운 연료탱크를 장착할 수 있다. The fuel supply means 30 is formed to include a
상기 연료탱크(32)는 소정 농도로 희석되어 있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액상의 연료가 저장된다. 상기 연료펌프(34)는 연료탱크와 연결되며, 연료탱크(32)의 연료를 스택(10)의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가 연료원액을 공급받아 소정 농도로 희석하는 경우에, 연료 탱크(32)는 스택(10)의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반응 연료와 스택(10)의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회수되도록 별도의 배관에 의하여 스택(10)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연결된다.The
상기 공기공급수단(50)은 공기를 흡입하여 분출하는 송풍수단(51)과 송풍수단(51)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스택(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공급하는 덕트(60) 및 상기 덕트(51)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변환시키는 공기흐름변환수단(6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air supply means 50 is a
상기 송풍수단(51)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분출하게 되며, 블로워(blower), 또는 팬(fan)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송풍수단(51)은 공기 를 소정 압력으로 분출하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lowing means 51 sucks the outside air and blows it out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is formed as a blower or a fan. However, the blowing means 51 may of course be used a variety of means for blowing ai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상기 덕트(60)는 스택(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덕트(61)와 스택(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덕트(71)를 포함하며, 제1덕트 또는 제2덕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송풍수단(51)이 설치된다. 상기 덕트(60)는 제1덕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수단(5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스택(10)의 상부로 유도하여 공기통로(18)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는 상기 제1덕트(61)가 상부에 형성되고, 제2덕트(71)가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사용되는 이동통신기기의 사양 또는 사용 방법에 따라 제1덕트가 하부에 형성되고, 제2덕트가 상부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상기 제1덕트(71)는 내부가 중공인 대략 판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의 내부 또는 외부에 송풍수단(51)이 설치되고, 타측이 스택(1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여기서 제1덕트의 일측은 도 5에서 송풍수단이 설치되며 스택의 상부로부터 벗어나 있는 좌측을 의미하며, 타측은 스택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1덕트(61)는 일측이 바람직하게는 송풍수단(51)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에 송풍수단(51)이 설치되며, 상면에 송풍수단(51)의 공기 흡입을 위한 공기흡입구(6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구(62)는 바람직하게는 송풍수단(51)의 상부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덕트(61)의 일측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타측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덕트(61)의 일단(61a)은 폐쇄되어 송풍수단(51)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61)는 송풍수단(51)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타측으로만 분출되도록 한다.The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스택(10)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적어도 스택(10)의 상부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과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스택(10)의 상부와 접촉되는 하부 영역이 개방되어 공기공급구(63)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공급구(63)는 바람직하게는 스택의 상부 형상과 면적에 상응하는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61)는 송풍수단(51)에 의하여 일측의 공기흡입구(6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타측으로 유도되어 공기공급구(63)를 통하여 스택(10)의 공기통로(18)로 공급된다.The other side of the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바람직하게는 내부의 높이가 스택(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이 스택(10)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송풍수단(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어 송풍수단(5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덕트의 단면적이 일정한 경우에 분출되는 공기는 송풍수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속도가 감소되며 공기의 공급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송풍수단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양이 작을수록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의 경사각이 송풍수단(5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적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수단(51)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게 되면,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이 경사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송풍수단(61)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양이 작게 되면,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의 경사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상기 제2덕트(71)는 제1덕트(61)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중공인 대략 판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덕트(71)는 스택(10)의 하부를 덮도록 스택(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스택(10)의 하부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공기유입구(7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덕트(71)는 일단(71a)이 폐쇄되고 타단(71b)이 개방되어 공기배출구(72)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덕트(71)는 스택(10)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Like the
또한, 상기 제2덕트(71)는 내부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하면(71c)이 일단(71a)으로부터 타단(71b)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2덕트(71)로 유입된 공기는 일단(71a)에서의 공기 속도가 타단(71c)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되어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71)의 하면(71c)은 바람직하게는 제1덕트(61)의 타측 상면(61c)의 경사각도에 상응하는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며, 덕트(50)에 의하여 높이가 부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택(10)은 제1덕트(61)의 상면 또는 제2덕트(71)의 하면의 경사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제2덕트는 스택(10)의 캐소드로부터 반응 후에 배출되는 물의 배수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덕트의 타단에는 이러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별도의 배관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uct serves as a drain passage for the water discharged after the reaction from the cathode of the stack (10). Therefore, a separate pipe for recovering such water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ct.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제1덕트(61)의 타측 상면(61c)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송풍수단(51)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환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제1덕트(61) 타측의 상면(61c) 내측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방향인 제1덕트(6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송풍수단(5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하부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일부 변환시키게 된다. 상기 제1덕트(61) 타측의 내부에서 공기는 타단(61b) 방향으로 흐르다가 공기흐름변환수단(65)이 형성된 위치에서 일부 스택(10)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61)의 타단(61b)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는 흐르는 방향이 변환되면서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덕트(61)의 타단(61b)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는 공기흐름변환수단(65)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상대적으로 타단(61b)으로 흐르는 공기의 양이 감소된다.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스택(10)의 상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변환시켜 타단으로 흐르는 공기의 속도와 양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양측에 형성되는 공기통로(19a, 19b)는 비교적 균일한 양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The air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바람직하게는 제1덕트(61)의 타측에서 대략 중앙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스택(10)의 대략 중앙위치에 형성되는 미반응 영역(12a) 또는 미형성 영역(16d, 16d)의 상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통로(19a, 19b)에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The air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제1덕트(61)의 상면(61c)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제1덕트(61)의 상면(61c)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단면형상이 대략 반원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불연속적으로 흐르는 부분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전면(65a)이 대략 호형상 또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이 과도하게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단면이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1덕트(61)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별도의 블록이 제1덕트(61)의 상면(61c)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제1덕트(61) 타측의 상면(61c)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제1덕트 내부 높이(보다 정확하게는 공기흐름변환수단(65)이 설치되는 위치에서의 제1덕트의 내부 높이)의 30 내지 70%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의 높이가 제1덕트 내부 높이의 30%보다 작게 되면 공기의 흐름 변환정도가 작게 되어 공기흐름변환수단(65)을 설치하는 효과가 작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의 높이가 제1덕트 내부 높이의 70%보다 크게 되면, 공기의 흐름 변환정도가 너무 크게 되어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타측에 위치하는 공기통로(19b)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The air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스택과 송풍수단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스택에서 공기의 유속을 평가하기 위한 컴퓨터모형도이다. 도 8은 도 7의 모형도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통하여 스택의 위치별 유속을 산출한 결과이다. 여기서는 상기 공기공급수단(50)이 스택(10)에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연료공급수단(30)이 스택(10)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기술자에게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이 사용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stack and the blowing means. 7 is a computer model for evaluating the flow rate of air in the stack of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flow velocity for each position of the stack through numerical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model diagram of FIG. Here, the air supply means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method for supplying air to the
상기 덕트(60)는 스택(10)을 중심으로 상부에 제1덕트(61)가 결합되며, 하부에 제2덕트(71)가 결합된다. 상기 제1덕트(71)는 일측에 송풍수단(51)이 장착되며, 타측이 스택(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수단(51)이 작동되면, 송풍수단(51)은 상부의 공기흡입구(62)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수단(51)의 측부를 통하여 제1덕트(61)의 타측으로 분출하게 된다. 상기 제1덕트(61)는 송풍수단(51)을 통하여 분출되는 공기를 타측으로 흐르게 한다.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타단(61b) 영역에서도 공기의 속도가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제1덕트(61)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변환시켜, 타단 영역으로 흐르는 공기의 속도와 양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통로(19a, 19b)는 균일한 양의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즉, 상기 공기흐름변환수단(65)은 공기흐름변환수단(65)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는 공기통로(19a, 19b)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균일하게 한다.The
상기 제1덕트(61)를 통과한 공기는 스택(10)의 하부로 흘러 제2덕트(71)의 공기유입구(73)를 통하여 제2덕트(71)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공기통로(19)는 수직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보다 원활하게 공기가 흐르게 된다. 상기 제2덕트(71)는 일측이 스택(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스택(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타측으로 흐르게 한다. 이때, 상기 제2덕트(71)는 내부 높이가 일단(71a)에서 타단(71b)으로 갈수록 증가되므로 스택(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일단(71a)으로부터 타단(71b)으로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상기 제2덕트(7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흐르는 공기는 타단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7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ir passing through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에 의하면 상면이 경사진 덕트는 공기흐름변환수단이 스택 상부의 소정 위치에서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덕트 내부에서의 공기흐름을 변환시킴으로써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타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속도와 양을 조절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공기통로에 공기통로의 형성위치와 관계없이 공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ct having an inclined top surface is provided with air flow converting means installed in the duc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stack to convert air flow inside the duct to supply air to the other side of the bipolar plate. By controlling the speed and the amou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ir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air passage of the bipolar plat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air passage.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9281A KR20070043242A (en) | 2005-10-20 | 2005-10-20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US11/585,346 US8257878B2 (en) | 2005-10-20 | 2006-10-19 | Semi-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EP06122590A EP1777770B1 (en) | 2005-10-20 | 2006-10-19 | Semi-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DE602006016389T DE602006016389D1 (en) | 2005-10-20 | 2006-10-19 | Partially passive fuel cell system |
JP2006286242A JP5241092B2 (en) | 2005-10-20 | 2006-10-20 |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
US13/492,712 US20120295179A1 (en) | 2005-10-20 | 2012-06-08 | Semi-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9281A KR20070043242A (en) | 2005-10-20 | 2005-10-20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3242A true KR20070043242A (en) | 2007-04-25 |
Family
ID=3817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9281A KR20070043242A (en) | 2005-10-20 | 2005-10-20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4324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0587B1 (en) * | 2008-06-12 | 2011-03-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in Coolant Flux |
EP2403049A2 (en) * | 2009-02-27 | 2012-01-04 | LG Chem, Ltd. | Medium- to large-size battery pack case having improved uniformity of distribution of coolant flow |
-
2005
- 2005-10-20 KR KR1020050099281A patent/KR2007004324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0587B1 (en) * | 2008-06-12 | 2011-03-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in Coolant Flux |
US8298698B2 (en) | 2008-06-12 | 2012-10-30 | Lg Chem, Ltd. |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uniformity in coolant flux |
EP2403049A2 (en) * | 2009-02-27 | 2012-01-04 | LG Chem, Ltd. | Medium- to large-size battery pack case having improved uniformity of distribution of coolant flow |
EP2403049A4 (en) * | 2009-02-27 | 2014-03-05 | Lg Chemical Ltd | Medium- to large-size battery pack case having improved uniformity of distribution of coolant flow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41092B2 (en) | Semi-passive fuel cell system | |
US8211582B2 (en) | Fuel cell system | |
JP2009123680A (en) | Fuel cell stack | |
JP2009037759A (en) | Fuel cell | |
CN100505399C (en)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
US7485384B2 (en) | Cooling apparatus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having the same | |
KR20070043242A (en)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
US20060228617A1 (en) | Fuel cell stack | |
JP5385033B2 (en) | Fuel cell | |
JP2003223922A (en) |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 |
JP5059416B2 (en) | Fuel cell | |
KR20070043240A (en)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
US7838140B2 (en) | Stack and fuel cell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1195582B1 (en) | Fuel cell system and heat exchanger of the same | |
KR100709200B1 (en) | Fuel cell system | |
KR20070043099A (en)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
KR20080034722A (en)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
US7691516B2 (en) | Fuel cell system and stack used therein | |
JP2006066131A (en) | Fuel cell | |
KR20070095510A (en)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
KR20070095509A (en) | 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 |
KR100599775B1 (en) | Fuel cell system and the same of stack | |
JP2009302069A (en) | Fuel cell | |
KR100599690B1 (en) | Fuel cell system and stack of the same | |
JP4663623B2 (en) | Fuel ce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