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390Y1 - The connecting device for accessories - Google Patents
The connecting device for accessor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1390Y1 KR200471390Y1 KR2020130000286U KR20130000286U KR200471390Y1 KR 200471390 Y1 KR200471390 Y1 KR 200471390Y1 KR 2020130000286 U KR2020130000286 U KR 2020130000286U KR 20130000286 U KR20130000286 U KR 20130000286U KR 200471390 Y1 KR200471390 Y1 KR 2004713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member
- coupling
- elastic piece
- accessory
- insertion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44C5/2061—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combined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세서리 연결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팔찌나 목걸이와 같은 각종 장신구를 상호 체결하는 연결고리가 외관이 보다 깔끔하고 미려하면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긴 띠 형상의 액세서리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액세서리의 타측 끝단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2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의 전방 끝단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전방 하단에서 전방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길게 연장되고 전방 끝단에서 반전하여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그 끝단이 제1 결합부재의 정면과 이격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후방 저면에서 수직아래로 돌출되는 제1 위치 보정돌기와, 상기 탄성편의 후방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위치 보정돌기와, 상기 탄성편의 상면 후방에 고정 장착되는 기둥형상의 누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제1 결합부재의 정면과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탄성편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입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보정돌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위치 보정홈과, 상기 탄성편의 상면을 가압하여 하부로 수축되도록 하다가 제1 결합부재의 정면과 이격되는 부분이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홀의 입구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편 누름단턱과, 상기 누름버튼이 삽입되는 누름버튼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link, which was develop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connection ring for fastening a variety of ornaments, such as bracelets and necklaces more clean and beautiful appearance;
A first coupling member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an elongated belt-shaped accessory at the rear,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hav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accessory at the rear; In the accessory connecting ring is formed so that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are mutually coupled and detachable;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elongat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from the front lower end to the front to the left and inverted from the front end to extend inclined rear upwards, the end of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ron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the elastic piece of And a first position correction protrusion project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rear bottom surface, a pair of second position correction protrusions projecting in both rearward directions of the elastic piece, and columnar push buttons fixed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Become;
The second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lastic piece is inser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first and second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correction protrusions at the inlet of the insertion hole. Positioning groove, and the elastic piece pressing step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inlet of the insertion hole so as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to be contracted to the bottom, the part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the push button is inser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connecting ring comprising a push button receiving groove.
Description
본 고안은 액세서리 연결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팔찌나 목걸이와 같은 각종 장신구를 상호 체결하는 연결고리가 외관이 보다 깔끔하고 미려하면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액세서리 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link,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ccessory link, which is developed to facilitat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while providing a cleaner, more beautiful appearance and connecting rings, such as bracelets and necklaces. will be.
목걸이와 팔찌 등과 같은 각종 액세서리의 경우 유행에 민감하여 헤아릴 수 없는 다양한 디자인이 파생적으로 탄생하고 있으며 과거 여성이 주를 이루었던 것과는 달리 이제는 남성들도 상당수가 이러한 액세서리를 착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In the case of various accessories such as necklaces and bracelets, a variety of designs that are sensitive to the fashion are being derived, and unlike the former women, the men are wearing many of these accessories.
이러한 액세서리 중에서 팔목이나 발목 그리고 목에 착용하는 목걸이와 팔찌 및 발찌 같은 것은 줄의 양 끝단이 상호 체결되어 사용자의 몸에 장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에는 단순한 매듭으로 연결하였으나 점차 보다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하였다.Among these accessories, such as necklaces, bracelets, and anklets worn on the cuffs, ankles, and necks, the ends of the strings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are mounted on the user's body. Developed into a structure.
대표적인 구성으로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클립구조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고리구조를 가지게 되어 클립부를 눌러 고리를 통과시킨 후 복원되도록 하는 구조가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클립구조 대신에 내장된 스프링에 훅이 여닫히는 구조를 가진 두 가지가 대표적이며 특히 목걸이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Representative configuration is a clip structure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has a ring structure to restore after after passing through the ring by pressing the clip portion, and another is a hook on the spring built in instead of the clip structure Two types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s are typical and have been used in necklaces in particular.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훅에 고리를 체결시키기 위해 양손으로 각각 고리와 훅을 파지하고 한 손으로 훅에 형성되는 레버를 당긴 후 고리를 정확히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그 체결작업이 매우 번잡하며 목걸이의 경우에는 훅과 고리가 작은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체결작업이 쉽지 않다.However, this configuration is very complicated because the hook must be connected correctly after holding the hook and the hook formed by the hook with both hands to fasten the hook to the hook. Since the ring is made of small size, the fastening is not easy.
또한, 그 구조가 단순히 연결작용만을 할 뿐이어서 연결고리의 형태가 장식줄과 전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장식줄과 어울리지 않아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merely a connection action, the shape of the connecting ring is made of a completely different shape from the decorative line, so there is a problem in design aesthetics do not match the decorative lin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액세서리의 장식줄과 어울리면서도 그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액세서리 연결고리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develop an accessory connecting ring that is easy to combine and separate, while matching with the decorative cord of the accesso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긴 띠 형상의 액세서리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액세서리의 타측 끝단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2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의 전방 끝단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coupling member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an elongated belt-shaped accessory at the rea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accessory at the rear. In the accessory connecting ring consisting of a second coupling member having a front end of the first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is formed to be mutually coupled and detachable;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전방 하단에서 전방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길게 연장되고 전방 끝단에서 반전하여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그 끝단이 제1 결합부재의 정면과 이격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후방 저면에서 수직아래로 돌출되는 제1 위치 보정돌기와, 상기 탄성편의 후방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위치 보정돌기와, 상기 탄성편의 상면 후방에 고정 장착되는 기둥형상의 누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first coupling member is elongat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from the front lower end to the front to the left and inverted from the front end to extend inclined rear upwards, the end of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ron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the elastic piece of And a first position correction protrusion project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rear bottom surface, a pair of second position correction protrusions projecting in both rearward directions of the elastic piece, and columnar push buttons fixed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Become;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제1 결합부재의 정면과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탄성편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입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보정돌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위치 보정홈과, 상기 탄성편의 상면을 가압하여 하부로 수축되도록 하다가 제1 결합부재의 정면과 이격되는 부분이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홀의 입구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편 누름단턱과, 상기 누름버튼이 삽입되는 누름버튼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lastic piece is inser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first and second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correction protrusions at the inlet of the insertion hole. Positioning groove, and the elastic piece pressing step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inlet of the insertion hole so as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to be contracted to the bottom, the part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the push button is inser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sh-button receiving groove.
아울러, 상기 누름버튼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이 최대로 하강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3 결합부재의 삽입홀 상부에 닿는 부분에는 외경면을 따라 외경이 축소되는 소구경 홈부가 형성되고;In addition, the push butt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third coupling member at the point where the elastic piece is descended to the small diameter groove portion is reduced in the outer diameter along the outer diameter surface;
상기 누름버튼 수용홈의 입구 부분은 상기 소구경 홈부의 외경에 통과할 수 있게 좁게 형성된 후 상기 누름버튼의 외경이 상응하도록 원형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let portion of the pushbutton receiv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outer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groo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pushbutton is formed to expand in a circle correspondingly.
또한, 긴 띠 형상의 액세서리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액세서리의 타측 끝단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2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의 전방 끝단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에 있어서;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member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rear end of one end of the long band-shaped accessory,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hav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accessory in the rear In the accessory connecting ring is form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are mutually coupled and detachable;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정면에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탄성판 한 쌍이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탄성판의 전방 끝단에는 한 쌍의 자석이 장착되어 상호 밀착되며;The first coupling member has a pair of plate-shaped elastic plates extending in the front in the front and vertically arranged in parallel, and a pair of magnets are attached to the front ends of the elastic plates facing each other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정면에는 상기 탄성판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홀에는 입구에서 상하로 이등분하여 상기 자석이 상호 이격된 후 탄성판이 삽입되도록 하는 분리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격판은 내측 후방으로 그 폭이 점차 좁아진 후 수직 관통되어 상기 자석이 상호 밀착하도록 하는 고정홀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coupling member has a front surface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lastic plate is inserted,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is divided into two parts up and down at the entrance to form a separation plate for inserting the elastic plate after the magne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paration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ixing hole for vertically penetrating and then the magnet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fter the width is gradually narrowed to the inner rear.
아울러, 상기 제1 결합부재의 상면과 저면은 전방으로 판형으로 길게 연장되어 끝단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누름판이 추가로 형성되고;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extended in the form of a long plate forward to the end is further formed a pair of pressing plate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상면과 저면은 한 쌍의 상기 누름판이 감싸면서 삽입된 후 체결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의 전방으로 단턱지게 함몰된 후 전방 끝단까지 연장되어 체결된 누름판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have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a pair of the pressing plates are inserted while being inserted, and a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d fixed. The second coupling member is recessed to the front of the fastening groove, and extends to the front e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순한 훅이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연결고리 부분도 하나의 장식성을 부여하면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심미감을 높이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ade of a simple hook or ring shape, but also provides a decorative part, while also providing a single deco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aesthetics and ease of use by easy coupling and separ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1 is a us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upl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ched state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bonding process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mbining process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mbining process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긴 띠 형상의 액세서리(1)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21)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1 결합부재(2)와, 상기 액세서리(1)의 타측 끝단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31)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2 결합부재(3)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2, 3)의 전방 끝단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에 있어서;1 is a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ng strip shape The
상기 제1 결합부재(2)는 전방 하단에서 전방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길게 연장되고 전방 끝단에서 반전하여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그 끝단이 제1 결합부재(2)의 정면과 이격되는 탄성편(22)과, 상기 탄성편(22)의 후방 저면에서 수직아래로 돌출되는 제1 위치 보정돌기(23)와, 상기 탄성편(22)의 후방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위치 보정돌기(24)와, 상기 탄성편(22)의 상면 후방에 고정 장착되는 기둥형상의 누름버튼(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상기 제2 결합부재(3)는 제1 결합부재(2)의 정면과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탄성편(22)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32)과, 상기 삽입홀(32)의 입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보정돌기(23, 24)가 안착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위치 보정홈(33, 34)과, 상기 탄성편(22)의 상면을 가압하여 하부로 수축되도록 하다가 제1 결합부재(2)의 정면과 이격되는 부분이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홀(32)의 입구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편 누름단턱(35)과, 상기 누름버튼(25)이 삽입되는 누름버튼 수용홈(36)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를 나타내었다.The
상기 실시 예는 도 1에서와 같이 외관상 액세서리(1)의 장식 일부라고 할 정도로 결합 되었을 때 일정한 직육면체 혹은 다각 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외관이 기존의 연결고리보다 미려하다는 것에 큰 장점이 있다.The embodiment has a great 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is more elegant than the existing connecting ring when it has a shape of a regular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polygonal pillar when coupled to the decoration part of the accessory 1 in appearance as shown in FIG.
이에 본원은 결합력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그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최초 제1 결합부재(2)와 제2 결합부재(3)를 결합할 때 탄성편(22)의 전방 끝단을 제1 삽입홀(32)에 삽입한 후 계속 밀어 넣으면 절곡된 탄성편(22)의 상단이 상기 탄성편 누름단턱(35)에 의하여 눌러지게 된다.Thus,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and separation while making the bonding force is firmly removed when the front end of the
이렇게 눌러지다가 탄성편(22)의 상면이 상기 탄성편 누름단턱(35)을 완전히 통과하면 딸칵 거리는 소리와 함께 탄성편(22)이 상승하게 되어 완전히 결합되는 것이다.When press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결합후 유동을 줄이기 위한 용도 즉 정확하게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제1 내지 제2 위치 보정돌기(23, 24) 및 제1 내지 제2 위치 보정홈(33, 34)을 두어 상호 결합하도록 하였다.In this case, the first to second
분리할 경우에는 누름버튼(25)을 누르면서 제1 결합부재(2)를 당기면 간단하게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In the case of separation,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그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액세서리 연결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is configuration provides an accessory link that is beautiful in appearance but easy to engage and disengage.
도 4는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누름버튼(25)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22)이 최대로 하강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 결합부재(3)의 삽입홀(32) 상부에 닿는 부분에는 외경면을 따라 외경이 축소되는 소구경 홈부(26)가 형성되고;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xample,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누름버튼 수용홈(36)의 입구 부분은 상기 소구경 홈부(26)의 외경에 통과할 수 있게 좁게 형성된 후 상기 누름버튼(25)의 외경이 상응하도록 원형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The inlet portion of the push
상기 실시 예에서 탄성편 누름단턱(35)이 있을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원리를 가지고 있으며 단지 누름버튼(25)이 수용되는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게 되나 상기 탄성편 누름단턱(35)이 없을 경우에는 결합과정이 기본 실시 예와 상이하다.In the embodiment, when the elastic
즉 누름버튼(25)이 누름버튼 수용홈(36)의 입구에 도달할 때까지 탄성편(22)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며, 누름버튼(25)을 누른 후 소구경 홈부(26)가 누름버튼 수용홈(36)의 입구를 통과하도록 하고 밀어 넣도록 하는 것으로 누름버튼(25)는 입구를 통과 후 상승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That is, the
도 8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긴 띠 형상의 액세서리(1)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21)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1 결합부재(2)와, 상기 액세서리(1)의 타측 끝단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31)를 후방에 구비하는 제2 결합부재(3)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2, 3)의 전방 끝단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에 있어서;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upling process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long strip-shaped accessory (1) The
상기 제1 결합부재(2)는 정면에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탄성판(27) 한 쌍이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탄성판(27)의 전방 끝단에는 한 쌍의 자석(28)이 장착되어 상호 밀착되며;The
상기 제2 결합부재(3)는 정면에는 상기 탄성판(27)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37)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홀(37)에는 입구에서 상하로 이등분하여 상기 자석(28)이 상호 이격된 후 탄성판(27)이 삽입되도록 하는 분리격판(38)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격판(38)은 내측 후방으로 그 폭이 점차 좁아진 후 수직 관통되어 상기 자석(28)이 상호 밀착하도록 하는 고정홀(381)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를 나타내었다.The
상기 실시 예는 한 쌍의 자석(28)이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되는 탄성판(27)을 구비하여 제2 삽입홀(37)을 통과한 후 분리격판(38)에 의하여 자석(28)이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진입한 후 고정홀(381)에서 다시 인력에 의하여 밀착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이다.The embodiment has an
이때 자석(28)의 밀착하는 힘에 의하여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므로 강력한 자석(28)으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며, 자석(28)이 결합시와 분리시 일정 이상의 힘에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bonding state is maintained by the close contact force of the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제1 결합부재(2)의 상면과 저면은 전방으로 판형으로 길게 연장되어 끝단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291)가 형성되는 한 쌍의 누름판(29)이 추가로 형성되고;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ion state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xample, a pair of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상기 제2 결합부재(3)의 상면과 저면은 한 쌍의 상기 누름판(29)이 감싸면서 삽입된 후 체결돌기(291)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39)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39)의 전방으로 단턱지게 함몰된 후 전방 끝단까지 연장되어 체결된 누름판(29)과의 사이에 공간(391)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 자석(28)이 너무 쉽게 분리되는 것 즉 잡아 당기는 힘이 일정 이상이면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체결돌기(391)를 구비한 누름판(39)과 체결홈(39)의 구조로 결합 후 단순히 당기는 힘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사용자는 분리를 위해서 상기 누름판(39)을 누르면 누름판(39)이 휘어지면서 상기 체결돌기(391)가 체결홈(39)을 이탈하므로 이때 당기면 용이하게 분리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1 : 액세서리
2 : 제1 결합부재
21 : 제1 결합부 22 : 탄성편
23 : 제1 위치 보정돌기 24 : 제2 위치 보정돌기
25 : 누름버튼 26 : 소구경 홈부
27 : 탄성판 28 : 자석
29 : 누름판 391 : 체결돌기
3 : 제2 결합부재
31 : 제2 결합부 32 : 제1 삽입홀
33 : 제1 위치 보정홈 34 : 제2 위치 보정홈
35 : 탄성편 누름단턱 36 : 누름버튼 수용홈
37 : 제2 삽입홀 38 : 분리격판
381 : 고정홀 39 : 체결홈
391 : 공간1: Accessories
2: first coupling member
21: first coupling portion 22: elastic piece
23: first position correction projection 24: second position correction projection
25: push button 26: small diameter groove
27: elastic plate 28: magnet
29: pressing plate 391: fastening protrusions
3: second coupling member
31: second coupling portion 32: first insertion hole
33: first position correction groove 34: second position correction groove
35: elastic piece pressing step 36: push button receiving groove
37: second insertion hole 38: separation plate
381: fixing hole 39: fastening groove
391: space
Claims (4)
상기 제1 결합부재(2)는 전방 하단에서 전방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길게 연장되고 전방 끝단에서 반전하여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그 끝단이 제1 결합부재(2)의 정면과 이격되는 탄성편(22)과, 상기 탄성편(22)의 후방 저면에서 수직아래로 돌출되는 제1 위치 보정돌기(23)와, 상기 탄성편(22)의 후방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위치 보정돌기(24)와, 상기 탄성편(22)의 상면 후방에 고정 장착되는 기둥형상의 누름버튼(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3)는 제1 결합부재(2)의 정면과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탄성편(22)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32)과, 상기 삽입홀(32)의 입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보정돌기(23, 24)가 안착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위치 보정홈(33, 34)과, 상기 탄성편(22)의 상면을 가압하여 하부로 수축되도록 하다가 제1 결합부재(2)의 정면과 이격되는 부분이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홀(32)의 입구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편 누름단턱(35)과, 상기 누름버튼(25)이 삽입되는 누름버튼 수용홈(36)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
A first coupling member 2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21 coupled to one end of the long band-shaped accessory 1 at the rea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ing to the other end of the accessory 1. In the accessory connecting ring consisting of a second coupling member (3) having a rear (31)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2, 3) are formed to be mutually coupled and detachable;
The first coupling member 2 is elongated in the shape of a plate extending from the front lower end to the front to the left and inverted at the front end is extended to be inclined rear upward and the end is elas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2) A piece 22, a first position correction protrusion 23 project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22, and a pair of second positions projecting in both rearward directions of the elastic piece 22. A correction protrusion 24 and a columnar push button 25 fixed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22;
The second coupling member 3 has a first insertion hole 32 into which the elastic piece 22 is inser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2, and an inlet of the insertion hole 32 is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correction grooves 33 and 34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correction protrusions 23 and 24 to res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22 to be contracted downward and then to the first The elastic piece pressing step 35 which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inlet of the insertion hole 32 so that the part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coupling member 2 is inserted, and the push button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push button 25 is inserted ( 36) an accessory li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누름버튼 수용홈(36)의 입구 부분은 상기 소구경 홈부(26)의 외경에 통과할 수 있게 좁게 형성된 후 상기 누름버튼(25)의 외경이 상응하도록 원형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button 2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point where the elastic piece 22 is the maximum desc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32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3 in the outer diameter A small diameter groove portion 26 is formed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along the surface;
The inlet portion of the push button receiving groove 36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outer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groove portion 26 and t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push button 25 is formed so as to expan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ly. Link.
상기 제1 결합부재(2)는 정면에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탄성판(27) 한 쌍이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탄성판(27)의 전방 끝단에는 한 쌍의 자석(28)이 장착되어 상호 밀착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3)는 정면에는 상기 탄성판(27)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37)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홀(37)에는 입구에서 상하로 이등분하여 상기 자석(28)이 상호 이격된 후 탄성판(27)이 삽입되도록 하는 분리격판(38)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격판(38)은 내측 후방으로 그 폭이 점차 좁아진 후 수직 관통되어 상기 자석(28)이 상호 밀착하도록 하는 고정홀(381)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
A first coupling member 2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21 coupled to one end of the long band-shaped accessory 1 at the rea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ing to the other end of the accessory 1. In the accessory connecting ring consisting of a second coupling member (3) having a rear (31)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2, 3) are formed to be mutually coupled and detachable;
The first coupling member 2 has a pair of plate-shaped elastic plates 27 extending in the front in front and vertically arranged in parallel, and a pair of magnets at the front ends of the elastic plates 27 facing each other. 28) are mounted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coupling member 3 has a second insertion hole 37 into which the elastic plate 27 is inserted in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37 is divided into two parts up and down at the entrance to the magnet 28. Separating plate 38 is formed so that the elastic plate 27 is inserted after th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paration plate 38 is gradually narrowed inward to the rear and then vertically penetrated so that the magnet 28 mutually Accessory connecting ring,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ixing hole (381) to be in close contact.
상기 제2 결합부재(3)의 상면과 저면은 한 쌍의 상기 누름판(29)이 감싸면서 삽입된 후 체결돌기(291)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39)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39)의 전방으로 단턱지게 함몰된 후 전방 끝단까지 연장되어 체결된 누름판(29)과의 사이에 공간(391)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고리.4. The pair of pressing plates 29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2 extend in a plate shape in a forward direction, and fastening protrusions 291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at ends are formed. Is further formed;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3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39 into which a pair of pressing plates 29 are wrapped to be inserted, and then a fastening protrusion 291 is inserted and fixed thereto. The accessory hoo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rm a space (391) between the pressing plate 29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and then extended to the front end fasten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0286U KR200471390Y1 (en) | 2013-01-14 | 2013-01-14 | The connecting device for accessor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0286U KR200471390Y1 (en) | 2013-01-14 | 2013-01-14 | The connecting device for accessori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1390Y1 true KR200471390Y1 (en) | 2014-02-27 |
Family
ID=5148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0286U KR200471390Y1 (en) | 2013-01-14 | 2013-01-14 | The connecting device for accessor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1390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6236A (en) | 2014-08-29 | 2016-03-09 | 주식회사 나래 | Accessory for attached devices |
KR200483882Y1 (en) * | 2016-05-25 | 2017-07-05 | 이두영 | Binding device for accessories |
KR101871182B1 (en) * | 2018-01-08 | 2018-06-27 | 남승호 | Connector for bracelet and by thereof manufacturing |
CN114224040A (en) * | 2021-12-23 | 2022-03-25 | 歌尔科技有限公司 | Area body subassembly and take wearing equipment of body subassembly based on |
CN114403562A (en) * | 2022-01-13 | 2022-04-2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Wearable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8717U (en) * | 1988-04-25 | 1989-11-02 | ||
JPH0353108U (en) * | 1989-09-29 | 1991-05-23 | ||
KR200210901Y1 (en) | 2000-07-29 | 2001-01-15 | 임명빈 | Union apparatus for personal ornaments |
KR100883972B1 (en) | 2007-08-23 | 2009-02-1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Tiepin |
-
2013
- 2013-01-14 KR KR2020130000286U patent/KR200471390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8717U (en) * | 1988-04-25 | 1989-11-02 | ||
JPH0353108U (en) * | 1989-09-29 | 1991-05-23 | ||
KR200210901Y1 (en) | 2000-07-29 | 2001-01-15 | 임명빈 | Union apparatus for personal ornaments |
KR100883972B1 (en) | 2007-08-23 | 2009-02-1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Tiepi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6236A (en) | 2014-08-29 | 2016-03-09 | 주식회사 나래 | Accessory for attached devices |
KR200483882Y1 (en) * | 2016-05-25 | 2017-07-05 | 이두영 | Binding device for accessories |
KR101871182B1 (en) * | 2018-01-08 | 2018-06-27 | 남승호 | Connector for bracelet and by thereof manufacturing |
CN114224040A (en) * | 2021-12-23 | 2022-03-25 | 歌尔科技有限公司 | Area body subassembly and take wearing equipment of body subassembly based on |
CN114224040B (en) * | 2021-12-23 | 2023-12-01 | 歌尔科技有限公司 | Belt body assembly and wearing equipment based on belt body assembly |
CN114403562A (en) * | 2022-01-13 | 2022-04-2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Wearable device |
CN114403562B (en) * | 2022-01-13 | 2024-03-2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Wear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1390Y1 (en) | The connecting device for accessories | |
US20100011623A1 (en) | Replaceable ornament for flip-flop sandal | |
TW200711591A (en) | Side-release buckle assembly | |
KR20060043754A (en) | Triangle buckle assembly | |
WO2022011987A1 (en) | Magnetic watch buckle,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wearing and removing same | |
EP2499927A1 (en) | Decorated lacing | |
US9198480B1 (en) | Button cover | |
CN204207204U (en) | Slider of zipper fastener | |
CN204157813U (en) | The buckled Wallet belt fastener of a kind of side pressure | |
KR101837024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strings of ornaments and ornaments having the same | |
US9955757B1 (en) | Magnet buckle | |
KR101165164B1 (en) | ornament | |
JP2009513229A (en) | Waist belt buckle fixing device | |
KR200483882Y1 (en) | Binding device for accessories | |
KR20090006171U (en) | Fixer for accessary | |
JP3226278U (en) | Slide fastener slider | |
US9516929B1 (en) | Fastening structure of jewellery | |
CN204742877U (en) | Clitellum and have bracelet of this clitellum | |
WO2007119979A1 (en) | Binding tool | |
KR20090001831U (en) | Connecting structure of accessory chain | |
US2715253A (en) | Detachable button | |
CN205456603U (en) | Novel formula item connecting shackle is detained to primary and secondary | |
WO2006105036A2 (en) | Cufflink for buttoned shirts | |
KR102038947B1 (en) | A bracelet fastener that can be easily detachable by elastic rotation | |
CN210169218U (en) | Connecting buck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