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178A -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 Google Patents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91178A KR20040091178A KR1020030024889A KR20030024889A KR20040091178A KR 20040091178 A KR20040091178 A KR 20040091178A KR 1020030024889 A KR1020030024889 A KR 1020030024889A KR 20030024889 A KR20030024889 A KR 20030024889A KR 20040091178 A KR20040091178 A KR 200400911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soflavone
- skin
- extract
- skin whitening
- isoflavon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화 나무의 괴각, 괴화, 괴엽 및 괴백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회화나무 추출부위로부터 분리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화 나무(학명: Sophora japonica)의 괴각, 괴화, 괴엽 및 괴백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회화나무 추출부위로부터 분리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나이를 먹으면서 생리적, 신체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 나이를 먹으면서 호르몬 분비 등의 내분비 계통의 변화에 의해 갱년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40대 이후의 중년 여성에게 정신적, 신체적으로 큰 변화를 초래하며, 이는 주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여성들의 갱년기 질환의 개선을 위해, 에스트로겐 계통의 물질을 함유하는 의약품, 건강성 식품 및 화장품 등의 제품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계통의 물질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암, 담석, 혈전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들 물질의 사용은 단기 투여로 효과를 얻기 위한 경우에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에스테르겐 계통의 물질을 대신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물질로서 식물로부터 분리해낸 식물 에스트로겐, 즉 파이토에스트로겐(phytoesterogen)이 발견되었다.
파이토에스트로겐은 동물사료로서 이를 섭취한 동물이 불임현상을 나타낸다는 관찰로부터 발견하게 된 물질이며(Franke 등, Proc. Soc. Exp. Biol. Med., 208, 1995), 이들은 특히 콩과식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콩과식물 이외에도 갈근이나 황기 등에도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파이토에스트로겐 성분은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 비오카닌 A (biochnin A) 등의 이소플라본류 화합물, 쿠메스트롤 (coumestrol) 등의 쿠메스탄류 화합물, 엔테롤락토 (enterolacton) 등의 리그난 (lignan)계 화합물 및 엔테로디올 (enterodiol) 등의 페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며, 식물마다 함유 성분 및 성분들의 함량비가 다르기 때문에, 이소플라본 분리 식물 종, 추출 부위 및 추출 방법에 따라,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효능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콩과(Leguminosae)에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는이소플라본(isoflavone)계 파이토에스트로겐 성분은 다이드진(daidzin), 글리스틴(glycitin), 그리고 제니스틴(genistin) 등이며, 생체외(in vitro)실험이나 동물실험에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M. Numoto, Cancer Research, 53, 1993; Y. S. Lee, Korea Soybean Digest, 18, 2001). 또한, 이들 중 당이 제거된 어글리콘(aplycons)형 이소플라본인 다이드제인(daidzein)과 제니스테인(genestein)은 에스트로겐보다 친화력은 낮지만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에스트로겐 대체물질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Milksicek, Mol. Biol., 49, 1994). 또한, 이들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증식 작용에 관여하며,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 억제와 정신적 안정감을 주는데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갈근으로부터 추출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은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한국특허출원 제 2002-2353호), 황기로부터 유래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은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 1998-48620호).
이소플라본의 주요 성분들은 배당체(glycoside)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는 위나 장에서 당이 분리되는 어글리콘(aglycon)의 형태로 변화하며(예컨대, 다이드진→다이드제인, 제니스틴→제니스테인, 글리스틴→글리스테인 등), 어글리콘화되면 흡수력이 향상되어 강한 생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oger, J. Nutr., 126, 1995). 또한, 저밀도지단백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력도 제니스틴의 어글리콘형인 제니스테인이 강하며, 혈장에 대한 활성도 어글리콘형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Izumi, J. Nutr., 130, 2000).
한편, 지금까지 이소플라본과 관련된 특허들은 대부분이 콩, 특히 대두에서 이소플라본을 추출하거나 조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출원 제 2001-16220호에는, 대두 배아로부터 생리활성 물질로서 이소플라본의 분리정제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출원 제 2002-32078호에는 대두 배아의 발효를 통한 고순도 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생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 2001-89863호에는 콩으로부터의 개선된 이소플라본 추출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특허출원 제 2001-60419호에는 콩배아 및 콩배아와 두부순물의 혼합액으로부터 열수추출에 의한 이소플라본의 분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콩이나 콩 부산물에서 수득한 이소플라본을 이용할 경우, 부가 가치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즉, 콩에는 이소플라본의 함량이 매우 적어 원료의 가격과 생산량을 비교할 때, 국내 시장은 물론이고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데 있어 그 한계성이 있다(김우정, 식품과학과 산업, 34, 2001). 다시 말하면, 콩을 이소플라본 추출 원료로 이용할 경우, 원가적 측면에서 매우 고가의 제품이 될 수밖에 없어, 상품 경쟁력에서 매우 취약할 수 있다. 또한, 두부순물을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생산할 경우, 두부 생산공정에서 생성되는 여러 가지 생성물 및 가열취로 인해 제품의 성상(이취 등)이 매우 낮아 제품 유형에 한계성이 있어, 음료나 정제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또한, 콩은 국내 생산량이 적어 소비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나, 유전자 변형 식품으로 오인되기 쉬운 점도 원료적 단점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콩의 사용에 대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소플라본의 함량이 많으며, 원료의 가격에서 경쟁력을 갖는 새로운 신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회화나무의 각 부위에 이소플라본이 상당히 많은 양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이들 이소플라본이 우수한 항암작용을 가짐을 발견하고 2002년 6월 19일자로 “천연물로부터 수득된 이소플라본,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의 명칭으로 출원하였다(특허출원 제 2002-33197호).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이소플라본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회화나무의 추출물에 대해서, 다양한 응용 및 적용 분야를 찾고자 많은 연구를 수행한 결과, 회화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이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미부 피백용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괴각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회화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연고, 크림, 로션, 파우더, 선크림, 에멀젼, 스프레이, 현탁액, 음료, 팩 등과 같이 피부에 바르거나 뿌리는 방식이거나 음용하는 제형들일 수 있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통상의 제형화를 위한 여러 가지 첨가제를 함유시켜 제조할 수 있지만, 본원 발명이 이들 제형, 제형화 방법 및 제형화를 위한 첨가제들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서 함유되는 회화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개발된 한국특허출원 제 2002-33197호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을 요약하자면, 회화 나무의 각종 부위 (꽃, 열매, 잎, 나무껍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를 건조시키고, 분쇄기로 분화한 다음, 탈지시키고, 이를 농축,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50~250 메쉬 여과망으로 여과한 괴각 1㎏에 건조물과 물을 1:1~1:10의 비율로 혼합한 후, 50~150℃에서 10분 내지 6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물 500㎖와 헥산 2ℓ를 첨가하여 50~90℃에서 10분 내지 12시간 지질을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10분간 방치하거나 원심분리(3,000rpm/10min)를 통하여 헥산층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괴각의 지질을 제거하며, 이 탈지박에 1~100배의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50~95℃에서 30분 내지 12시간이상 가열하여 괴각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을 추출한다.
고순도의 이소플라본을 조제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얻어진 이소플라본 함유액의 pH를 3.5~5.5로 조절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 후, 30~100% 메탄올로 활성화시킨 Amberlite XAD-1180 등의 흡착용 수지에 이소플라본만을 흡착시키며, 흡착된 이소플라본을 50~100% 에탄올로 유리시킨 후, 농축, 동결건조한다. 괴각 이외의 다른 부위로부터 이소플라본을 추출하는 것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이소플라본을 정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회화나무의 추출 부위는 괴화 (회화나무의 꽃), 괴엽 (회화나무의 잎), 괴각 (회화나무의 열매), 괴백피 (회화나무의 나무껍질) 및 회화나무의 열매 껍질 어느 부위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본원 발명이 이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추출 부위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화나무의 추출 부위 중 특히 괴각에 가장 많은 양의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어, 본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괴각으로부터 얻어진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시킬 경우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의 회화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자외선 차단제로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자외선(UV)은 태양광 중 파장 200-400 ㎚ 사이의 광선을 말한다. 자외선은 기미, 주근깨를 생성하고, 피부암을 비롯하여 햇볕에 의한 피부 염증을 유발하는등 피부노화의 가장 큰 요인이다. 또한, 자외선은 피부 내 수분부족, 영양공급 저해와 엘라스틴(elastin) 파괴 등을 유발하여 피부 탄력을 잃게 하고 각질을 두껍게 만든다. 또한, 멜라닌(melanin) 색소를 증가시켜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과 세라미드(ceramide) 등의 천연보습인자의 보습활동을 저해시켜 피부가 거칠어진다.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자외선 A, B 및 C로 분류되는데, 자외선 A는 320-400 ㎚사이의 장파장으로 진피층까지 투과하여 오랫동안 노출될 경우 기미나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이 일어나고 거친 피부결, 탄력상실, 주름, 처짐 등의 피부노화의 원인이 된다. 자외선 B는 중파장 자외선(280-320㎚)으로 일광화상(sunburn)이나 피부암을 일으킨다. 여름철 운동이나 해수욕 등으로 장시간 햇볕에 노출되었을 때 피부가 붉어지는 것은 자외선 B 때문이다. 자외선 C는 200-280 ㎚의 파장으로서 가장 짧은 단파장의 자외선이며, 피부암 등을 유발하여 피부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힐 수 있고 발암성이 매우 높지만 대기권에 존재하는 오존층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지표면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자외선의 흡수력은 피부질환이나 피부노화, 피부암을 예방할 수 있는 활성의 정도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회화나무의 괴각으로부터 분리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이용하여 450㎚에서 200㎚사이의 흡수력을 조사한 결과, 230㎚에서 400㎚사이에서 강한 흡수력을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1). 특히, 250㎚에서 310㎚사이에서 가장 강한 흡수력이 있는 것이 확인되어 일광에 의한 자외선의 차단효과가 매우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괴각 이소플라본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장시간 햇볕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은 이소플라본의 공통적인 특징인 항산화제로서도 기능하여,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킬 경우, 직접적인 자외선 흡수 작용 이외에도, 자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라디칼 분자들의 제거 작용도 가능하기 때문에, 라디칼 발생에 의한 자외선의 이차적인 유해작용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유효성분으로서의 회화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티로시나제 억제제로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화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은 멜라닌 형성을 촉진시켜 피부의 흑화 및 얼룩 형성을 유발하는 티로시나제에 대해 우수한 억제활성을 갖고 있어, 상기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원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피부의 흑화현상을 방지하고, 피부 얼룩 등도 제거할 수 있으며,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본원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특히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의 조제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회화나무의 추출물은 예로부터 한방에서 이용되어온 물질로서, 피부에 어떠한 자극 활성도 갖지 않아, 부작용이 전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상기 회화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의 유효량이 구체적으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플라본의 총량이 0.1~50%(w/w)가 되도록 함유시킬 수 있다. 물론, 유효성분의 함유량이 상기범위를 벗어난 양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품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러한 제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서 본원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지식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을 수행할 수 있고, 이 또한 본원 발명의 범위내라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게 인식될 것이다.
실시예 1 : 회화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의 제조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100 메시 여과망으로 여과한 회화나무의 괴각 1㎏에 물 500㎖와 헥산 2ℓ를 첨가하여 80℃/60분간 교반시켰다. 이 혼합물을 10분간 방치하거나 원심분리(3,000rpm/10min)를 통하여 헥산층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괴각의 지질을 제거하였다. 괴각 탈지박에 60% 에탄올 5ℓ를 첨가한 후 75℃에서 4시간이상 가열하여 괴각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을 추출하였다.
고순도의 이소플라본을 조제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얻어진 이소플라본 함유액의 pH를 4.5로 조절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 후, 100% 메탄올로 활성화시킨 Amberlite XAD-1180 수지에 이소플라본만을 흡착시켰으며, 흡착된 이소플라본을 80% 에탄올로 유리시킨 후, 농축, 동결건조하였다. 괴각 이외의 다른 부위로부터 이소플라본을 추출하는 것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정제하였다.
실시예 2 : 자외선 흡수 차단효과
미백용 화장품의 경우, 280 ㎚ 전후의 단파장은 피부암 등을 유발하여 피부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힐 수 있고 발암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미백용 화장품의 경우, 이들 파장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파장에 대한 흡수력을 갖는 물질은 피부질환이나 피부노화, 피부암을 예방할 수 있는 활성을 갖는다고 여겨질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괴각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이 이러한 미백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였다.
10㎎의 괴각 이소플라본(이소플라본 함량 20%이상)을 1㎖의 증류수에 녹인 후, UV/Vis Spectrometer(Shimadzu사)를 사용하여, 200 ㎚에서 450 ㎚사이의 흡수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괴각 이소플라본은 220~320㎚사이에서 강한 자외선 흡수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1).
도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피부 노화를 유발하는 자외선을 강하게 흡수할 수 잇으며, 이를 미백 화장품에 포함시킬 경우, 우수한 미백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 미백용 화장품의 조제
회화나무의 괴각으로부터 분리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미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로 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미백용 화장품의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화장품의 미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중맹검법에 따라 크로마메터(Minolta사, Chromameter C R-300)를 이용하여 명도를 측정하였다. 팔 위족(팔꿈치 아래에서 손목까지) 부위에 자외선을 0.85 J/m2씩 1일 1회, 3일간 조사한 후, 화장품을 1일 2회씩 15일간 10명에게 도포하여 도포전과 후의 명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색소침착의 소실 정도를 측정하였다.
미백효과(%)= [(도포전의 명도값-도포후의 명도값)/도포전의 명도값]×100
그 결과, 괴각 이소플라본 함유 화장품을 도포할 경우, 73.5%의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괴각 이소플라본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는 28.4%였다(표 3). 따라서, 괴각 이소플라본은 피부의 흑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피부 얼룩 등을 제거하여 미백효과가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4: 티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효과
티로시나제는 생체내에서 티로신의 산화과정을 촉진시켜 멜라닌을 생성하게 하는 것을 도와주는 효소이다. 즉, 이 효소의 활성이 강하면 멜라닌의 생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미백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Pomerantz, S. H., J. Biochem., 24, 1966).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료(이소플라본 20%이상 함유) 15㎕를 마이크로플레이트(96웰)에 넣고, 0.1M 인산 완충액(pH 6.86) 150㎕, 1.5mM L-티로신 용액 25㎕를 넣은 후, 2.5단위/㎖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 Sigma, USA, 0.05M 인산완충액, pH 6.8)7㎕를 첨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저해율(%) = 《〔(D-C)-(B-A)〕/(D-C)》× 100
A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전 흡광도
B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C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전 흡광도
D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 활성은 비처리구의 흡광도를 100으로 할 경우, 이에 대한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IC50)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괴각 추출물(이소플라본 20%이상 함유)의 IC50값은 0.35% 이하로, 괴화에 비해 매우 더 높은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회화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또한 피부 미백 효과를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어, 상기 회화 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 회화 나무의 괴각, 괴화, 괴엽 및 괴백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회화나무 추출부위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자외선 차단 및 티로시나제 억제효과를 가지는 회화 나무의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
- 회화 나무의 괴각, 괴화, 괴엽 및 괴백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회화나무 추출부위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자외선 차단 및 티로시나제 억제효과를 가지는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4889A KR20040091178A (ko) | 2003-04-19 | 2003-04-19 |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4889A KR20040091178A (ko) | 2003-04-19 | 2003-04-19 |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1178A true KR20040091178A (ko) | 2004-10-28 |
Family
ID=3737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4889A KR20040091178A (ko) | 2003-04-19 | 2003-04-19 |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91178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985280A2 (de) | 2007-04-27 | 2008-10-29 | Mibelle AG | Kosmetisches Produkt zur topischen Anwendung für den Schutz und die Erneuerung von Hautstammzellen, welches sich von dedifferenzierten Pflanzenzellen ableitet |
US20120156315A1 (en) * | 2010-12-17 | 2012-06-21 | Keimyung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 Composition for Treating Vitiligo or Canities Comprising Extract from Sophora Japonica as Active Ingredient |
KR101289813B1 (ko) * | 2011-08-29 | 2013-07-26 | (주) 젠셀 |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KR101712559B1 (ko) | 2016-09-19 | 2017-03-06 | 한상선 |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
WO2024167309A1 (ko) * | 2023-02-09 | 2024-08-15 | (주)휴바이오 | 쿠메스테롤 및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및 피부 건강 개선용 조성물 |
-
2003
- 2003-04-19 KR KR1020030024889A patent/KR2004009117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985280A2 (de) | 2007-04-27 | 2008-10-29 | Mibelle AG | Kosmetisches Produkt zur topischen Anwendung für den Schutz und die Erneuerung von Hautstammzellen, welches sich von dedifferenzierten Pflanzenzellen ableitet |
US20120156315A1 (en) * | 2010-12-17 | 2012-06-21 | Keimyung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 Composition for Treating Vitiligo or Canities Comprising Extract from Sophora Japonica as Active Ingredient |
US8673371B2 (en) * | 2010-12-17 | 2014-03-18 | Keimyung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 Composition for treating vitiligo or canities comprising extract from sophora japonica as active ingredient |
KR101289813B1 (ko) * | 2011-08-29 | 2013-07-26 | (주) 젠셀 |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KR101712559B1 (ko) | 2016-09-19 | 2017-03-06 | 한상선 |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
WO2024167309A1 (ko) * | 2023-02-09 | 2024-08-15 | (주)휴바이오 | 쿠메스테롤 및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및 피부 건강 개선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4516B1 (ko) |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315265B1 (ko) |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
KR20090055309A (ko) |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332214B1 (ko) |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28386B1 (ko) |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 |
KR20090056521A (ko) |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8273875A (ja) |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 |
KR20120140141A (ko) |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350292B1 (ko) |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221875B1 (ko) |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조성물 | |
KR20100121352A (ko) |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 |
KR20200038115A (ko) |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Bala et al. | Hibiscus Rosa Sinensis Linn.: A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 |
KR101661545B1 (ko) | 미백 활성을 갖는 홍경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040091178A (ko) |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이소플라본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 |
KR20020035656A (ko) | 삼백초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 |
KR20090002369A (ko) |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230119494A (ko) |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080104671A (ko) | 초임계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
KR100534074B1 (ko) |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 |
KR20090106002A (ko) |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 |
KR100466379B1 (ko) | 피부미백용 조성물 | |
KR20160003918A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083029B1 (ko) | 쌀 유래 배아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흡수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36716B1 (ko)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801 | Dismissal of trial |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229 Effective date: 2006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