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629B1 - Apparatus for including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valuate responses of answer to evaluation ques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cluding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valuate responses of answer to evaluation ques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629B1
KR102594629B1 KR1020230088064A KR20230088064A KR102594629B1 KR 102594629 B1 KR102594629 B1 KR 102594629B1 KR 1020230088064 A KR1020230088064 A KR 1020230088064A KR 20230088064 A KR20230088064 A KR 20230088064A KR 102594629 B1 KR102594629 B1 KR 102594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data
scoring
speak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원진
Original Assignee
허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원진 filed Critical 허원진
Priority to KR102023008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6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62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an evaluator's response to an evaluation question may include: a memory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to determine an evaluation score of each of a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for evaluating pronunciation, a sentence composition strength evaluation item for evaluating sentence composition strength, and a subject suitability evaluation item for evaluating subject suitability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a speaking ability of an evaluator;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obtain evaluation data that is the evaluator's response to the evaluation question for evaluating the speaking ability, input the evaluation data 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s input data, and receive scoring data that i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of the evaluator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s output data, wherein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first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pronunciation fluency, a secon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pronunciation accuracy, and a thir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an utterance speed, the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item may include a first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a composition ability of a sentence, and the subject suitability evaluation item may include a first subject suitability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a subject matching degree.

Description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Apparatus for including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valuate responses of answer to evaluation question} Apparatus for including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valuate responses of answer to evaluation question}

본 발명은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발음 평가 항목,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 및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an evaluator's responses to evaluation items, and more specifically, a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and a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item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evaluator's speaking ability. and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ratee's responses to the evaluation items, which can evaluate the ratee's responses to the evaluation questions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ed to determine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ubject suitability evaluation item. It is about a device that includes.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지원자는 2022년 기준 81개국, 35만6천여 명이고, 현재 TOPIK 말하기 평가는 응시자가 시험장에 직접 방문해야 하며 국내에서만 시행 중인 실정이다.As of 2022, there are approximately 356,000 applicants for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implemen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from 81 countries. Currently, the TOPIK speaking evaluation requires applicants to visit the test site in person and is only being conducted in Korea.

이에 따라, 외국 거주 학습자 입장에서는 매우 부담스럽고 번거로운 형태의 평가가 지속되고 있다.Accordingly, a very burdensome and cumbersome form of evaluation continues for learners living abroad.

이러한, TOPIK 말하기 평가의 1회 응시료는 8만원 가량이며, 시험 접수부터 시행, 성적 발표일까지는 약 3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고, 주기적으로 전문 채점자 양성을 위한 교육을 실시, 양일 간 하루 8시간동안 이루어지는 워크숍의 형태로, 이는 비용적 문제뿐만 아니라 평가 기준의 보안상의 문제, 채점자 관리 문제 등 여전히 많은 문제를 갖고 있다.The one-time TOPIK speaking assessment fee is about 80,000 won, and it takes about 3 months or more from test application to administration and score announcement. Training is periodically conducted to train professional graders, and the test is conducted for 8 hours a day over two days. In the form of workshops, it still has many problems, including not only cost issues, but also security issues with evaluation criteria and grader management issues.

또한, 평가를 시행할 때마다 채점자에게 채점 비용을 지급해야 하며 한국어 교육 및 평가의 일정 경력 이상의 고급 인력이 필요한 업무로 많은 비용이 소모될 뿐더러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이 문제되고 있다.In addition, each time an evaluation is conducted, a grading fee must be paid to the evaluator, and the task requires high-skilled personnel with a certain level of experi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valuation, which not only consumes a lot of money, but also raises issues about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특히, 각 기관별(대학기관 어학당 기준) 말하기 평가의 채점 기준과 배점이 상이, 학습자가 소속된 기관에 따라 같은 급수라도 수준 차이가 크며 학습자 스스로도 본인의 수준에 대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grading standards and distribution points for speaking evaluations are different for each institution (based on language institutes at university institutions), and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level even for the same grade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to which the learner belongs, causing confusion among learners themselves about their own level.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3294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32940

본 발명의 목적은,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발음 평가 항목,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 및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ed to determine the evaluation scores of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s,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items, and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s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speaking ability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The aim is to provide a device that include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appraisee'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which can evaluate the appraisee's response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본 발명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는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발음을 평가하는 평가 항목인 발음 평가 항목, 문장 구성력을 평가하는 평가 항목인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 및 주제 적합성을 평가하는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 각각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문항에 대한 상기 피평가자의 응답인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피평가자의 상기 평가 점수가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 평가 항목은 발음 유창성을 평가하는 제1 발음 평가 소항목, 발음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2 발음 평가 소항목 및 발화 속도를 평가하는 제3 발음 평가 소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은 문장의 구성 능력을 평가하는 제1 문장 구성력 평가 소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은 주제 일치 정도를 평가하는 제1 주제 적합성 평가 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vice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evaluator's response to the evaluation i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and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which are evaluation items for evaluating pronunciation,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evaluator's speaking ability. A memory including a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to determine evaluation scores for each of the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items that are evaluated and the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that evaluates topic suitability; And obtaining evaluation data that is the ratee's response to the evaluation questions for evaluating the speaking ability, inputting it as input data 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of the ratee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processor that outputs the resulting scoring data as output data, wherein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s include a first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pronunciation fluency, a secon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pronunciation accuracy, and a thir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speech speed. It includes one or more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s, wherein the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evaluation item includes a first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and the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includes a first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topic matching. May include sub-items.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을 위해 마련된 평가 문항인 훈련 평가 문항에 대한 다른 피평가자의 평가 데이터인 훈련 평가 데이터 및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점자가 채점한 결과인 평가 점수를 나타내는 훈련 채점 데이터를 매칭시켜 훈련 데이터로 구성하고, 상기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The processor provides training evaluation data, which is evaluation data of other assessees for training evaluation items, which are evaluation items prepared for learning of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raining evaluation scores that are a result of scoring by a rater based on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The scoring data can be matched to form training data, and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e learned using the training data.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훈련 평가 문항의 유형을 나타내는 훈련 문항 유형 정보를 상기 훈련 데이터로 더 구성하고, 상기 평가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평가 문항의 유형을 나타내는 평가 문항 유형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평가 데이터와 함께 상기 평가 문항 유형 정보를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피평가자의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 The processor further configures training item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training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with the training data, and confirms evaluation item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data. Then, the evaluation item type information along with the evaluation data can be input as the input data 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he scoring data of the assessee can be output as the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원본 텍스트 데이터를 따라 읽은 원어민의 원어민 음성 데이터와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 간의 음성 특성차를 나타내는 음성 특성차 데이터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the processor acquires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and speaks the appraisee using the input data. The scoring data is voice characteristic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difference in voi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ative speaker's voice data and the second ratee's voice data that is input to the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read along with the original text data converted into text from the second ratee's voice data. can be output as the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원본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발음 데이터와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 간의 발음차를 나타내는 발음차 데이터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the processor acquires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and speaks the appraisee using the input data. It is input to a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he scoring data, which is pronunciation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pronunciation difference between the pronunci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text data converted into text from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nd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is input 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bove output data can be output from the intelligent model.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의 음성 발화 속도를 나타내는 음성 발화 속도 데이터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the processor acquires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and speaks the appraisee using the input data. It can be input to the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he scoring data, which is voice speech rate data indicating the speech speech rate of the second evaluator's speech data, can be output as the output data from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문장 내의 단어들 간의 종속성 및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문장의 문장 패턴 적합도를 나타내는 문장 구성력 데이터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the processor acquires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and speaks the appraisee using the input data. The scoring data is input to a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is sentence composition data indicating dependency between words in sentences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nd sentence pattern suitability of the sentences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The above output data can be output from the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와 답안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 간의 일치율을 나타내는 주제 일치율 정보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the processor acquires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and speaks the appraisee using the input data. It can be input to the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he scoring data, which is topic agreement r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tch rate between words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speech data and words included in the answer data, can be output as the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발음 평가 항목,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 및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함으로써, 말하기 능력 중에서 발음, 문장 구성력 및 주제 적합성에 대한 능력 평가를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speaking ability of the appraisee, the appraisee evaluates the evaluation items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has been learned to determine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item, and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By evaluating the response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quickly and accurately evaluate pronunciation, sentence composition, and topic appropriateness among speaking abilit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가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피평가자의 상기 평가 점수가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출력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가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가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발음 평가 항목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가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발음 평가 항목,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 및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 각각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an evaluator'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an evaluator'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an evaluator's response to an evalua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urther includes an input/output unit.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learned by a device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an evaluator's response to an evalua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coring result in which an apparatus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an evaluator's response to an evalua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evaluation score of the evaluator using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outputting data.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valuation items that can be evaluated by an apparatus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an evaluator's response to an evalua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apparatus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evaluator's response to the evaluation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lculates the evaluation score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evaluator's speaking ability.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igure 8 shows an apparatus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evaluator's responses to evaluation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evaluates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s and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evaluator's speaking ability.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for each item and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sign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refer to the existence of the corresponding feature (e.g., a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and does not rule out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1) includes at least one A, (2) includes at least one B, or (3) It can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both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As used herein,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modify various elements in any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refer to one element. It is only used to distinguish from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connected to” is mention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y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it is said that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are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s (e.g., third components) exist between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제어부"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is document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context,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orki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control configured (or set) to perform A, B, and C" means that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e operations,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memory, , may refer to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특히,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is specification, “~devic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nd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specification, “˜device” refers to all types of hardware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operate on the hardware device. For example, “~device” can be understood as including, but is not limited to, smartphones, tablet PCs, desktops, laptops, and user clients and applications running on each device.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document, they may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It is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an evaluator'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는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 이상의 평가 항목 별로 평가 점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포함하는 메모리(110) 및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인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여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 데이터로 입력함으로써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피평가자의 평가 점수가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100 that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ultiple evaluations of the speaking ability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Memory 110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learned to determine an evaluation score for each of one or more of the evaluation items, and evaluation data that is the evaluator's response to the evaluation questions for evaluating speaking ability. A processor 120 that receives the scoring data, which is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of the assessee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output data by acquiring and inputting it as input data 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Includes.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와 연결되어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processor 120 is connected to the memory 110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100, which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일 실시예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는, 서버,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vice 100 that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is a server, a smartphone, 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 mobile phone, video phone, laptop PC, netbook computer, notebook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wearable device device).

한편, 메모리(110)는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mory 110 can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00, which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The memory 110 may be implemented as non-volatile memory, volatile memory, flash-memory, hard disk drive (HDD), or solid state drive (SSD).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100, which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0. You can. The processor 120 may be comprised of RAM, ROM, a graphics processing unit, a main CPU, first to n interfaces, and a bus. At this time, RAM, ROM, graphics processing unit, main CPU, first to n interfaces, et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RAM stores O/S and application programs. Specifically, when the device 100, which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is booted, the O/S is stored in RAM, and various application data selected by the user are stored in the RAM. Can be stored in RAM.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ROM stores a set of instructions for booting the system. When a turn-on command is input and power is supplied, the main CPU copies the O/S stored in the memory 110 to RAM according to the command stored in the ROM, executes the O/S, and boots the system. When booting is complete, the main CPU copi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0 to RAM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s copied to RAM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그래픽 처리부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The graphics processing unit uses a calculation unit (not shown) and a rendering unit (not shown) to create a screen containing various objects such as items, images, and text. Here, the calcul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ttribute values such as coordinate values, shape, size, color, etc. for each object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screen using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dditionally, the render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screens of various layouts including objects based on attribute value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The screen generated by this rendering unit may be displayed with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메인 CPU는 메모리(11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main CPU accesses the memory 110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S stored in the memory 110. And, the main CPU performs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programs, contents, data, etc. stored in the memory 110.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n interfaces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ne of the first to n interfaces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한편, 나아가, 프로세서(120)는 인공지능 모델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모델을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furthermore, the processor 120 can control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 this case, of course, the processor may include a dedicated graphics processor (e.g., GPU) for controll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델은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또는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기반의 모델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델은 SVM(support vector machine),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등 및 이들이 응용된 방법론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del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or unsupervised learning. Furthermo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VM (support vector machine),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etc., and methodologies applied thereto.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이 인공지능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 that is learned by inputting learning data.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models such as Deep Neural Network (D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nd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can be used a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이때,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은 최소한의 전처리(preprocess)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다계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s)의 한 종류이다. 합성곱 신경망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합성곱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그 위에 올려진 일반적인 인공신경망 계층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중치와 통합 계층(pooling layer)들을 추가로 활용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합성곱 신경망은 2차원 구조의 입력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곱 신경망은 표준 역전달을 통해 훈련될 수 있다. 합성곱 신경망은 다른 피드포워드 인공신경망 기법들보다 쉽게 훈련되는 편이고 적은 수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 are a type of multilayer perceptrons designed to use minimal preproces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onsists of one or several convolutional layers and general artificial neural network layers on top of them, and additionally utilizes weights and pooling layers. Thanks to this structure,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an fully utilize input data with a two-dimensional structure. Additional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an be trained via standard back propaga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ier to train and using fewer parameters than other feedforward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s.

또한,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은 입력 계층(input layer)과 출력 계층(output layer) 사이에 복수개의 은닉 계층(hidden layer)들로 이뤄진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이다.Additionally, Deep Neural Networks (DNN) are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consisting of multiple hidden layers between an input layer and an output layer.

이때, 심층 신경망의 구조는 퍼셉트론(perceptr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퍼셉트론은 여러 개의 입력 값(input)과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하나의 출력 값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여러 개의 입력 값에 각각 가중치를 곱한 후, 가중치가 곱해진 입력 값들을 모두 합한다. 그 다음 프로세서는 합해진 값을 활성화함수에 대입하여 하나의 출력 값을 출력한다. 만약 활성화함수의 출력 값으로 특정한 값이 나오기를 원하는 경우, 각 입력 값에 곱해지는 가중치를 수정하고, 수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출력 값을 다시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퍼셉트론은 서로 다른 활성화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퍼셉트론은 이전 계층에서 전달된 출력들을 입력으로 받아들인 다음, 활성화 함수를 이용해서 출력을 구한다. 구해진 출력은 다음 계층의 입력으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몇 개의 출력 값을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ructure of the deep neural network may be composed of a perceptron. A perceptron consists of several inputs, one processor, and one output. The processor multiplies multiple input values by their respective weights and then adds up all of the input values multiplied by the weights. Next, the processor substitutes the combined value into the activation function and outputs one output value. If you want a specific value to come out as the output value of the activation function, you can modify the weight multiplied by each input value and recalculate the output value using the modified weight. At this time, each perceptron can use a different activation function. Additionally, each perceptron accepts the outputs from the previous layer as input and then obtains the output using an activation function. The obtained output is passed to the input of the next layer. By go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you can finally obtain several output values.

순환 신경망(Reccurent Neural Network, RNN)은 인공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말한다. 순환 신경망은 앞먹임 신경망과 달리, 임의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신경망 내부의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다.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fers to a neural network in which the connections between units that make up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m a directed cycle. Unlike a forward neural network, a recurrent neural network can utilize the memory inside the neural network to process arbitrary input.

심층 신뢰 신경망(Deep Belief Networks, DBN)이란 기계학습에서 사용되는 그래프 생성 모형(generative graphical model)으로, 딥 러닝에서는 잠재변수(latent variable)의 다중계층으로 이루어진 심층 신경망을 의미한다. 계층 간에는 연결이 있지만 계층 내의 유닛 간에는 연결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Deep Belief Networks (DBN) is a generative graphical model used in machine learning. In deep learning, it refers to a deep neural network composed of multiple layers of latent variables.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layers, but no connection between units within the layer.

심층 신뢰 신경망은 생성 모형이라는 특성상 선행학습에 사용될 수 있고, 선행학습을 통해 초기 가중치를 학습한 후 역전파 혹은 다른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의 미조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훈련용 데이터가 적을 때 굉장히 유용한데, 이는 훈련용 데이터가 적을수록 가중치의 초기값이 결과적인 모델에 끼치는 영향이 세지기 때문이다. 선행학습된 가중치 초기값은 임의로 설정된 가중치 초기값에 비해 최적의 가중치에 가깝게 되고 이는 미조정 단계의 성능과 속도향상을 가능케 한다.Due to the nature of the deep trust neural network as a generative model, it can be used for prior learning, and after learning the initial weights through prior learning, the weights can be fine-tuned through backpropagation or other discriminant algorithms. This characteristic is very useful when there is little training data, because the smaller the training data, the stronger the influence of the initial value of the weights on the resulting model. The pre-learned weight initial value becomes closer to the optimal weight compared to the arbitrarily set initial weight value, which enables improved performance and speed of the fine-tuning stage.

상술한 인공지능 및 그 학습방법에 관한 내용은 예시를 위하여 서술된 것이며,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이용되는 인공지능 및 그 학습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동일한 과제해결을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인공지능 기술 및 그 학습방법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The content regarding the above-describ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learning method is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learning method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For example, all typ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olve the same problem can be used to implemen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한편,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not shown) and a graphics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or a connection path (e.g., bus, et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other components. You can.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Processor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erforms the metho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110.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획득된 신규 학습용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 라벨링된 정보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상의 정확도로 획득되는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신규 학습용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추출된 학습용 데이터가 삭제된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모델을 다시 학습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20 acquires new training data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0, uses a learned model, performs a test on the acquired new training data, and provides test results, Extract first training data in which the labeled information is obtained with an accuracy high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delete the extracted first training data from the new training data, and learn using the new training data from which the extracted training data was deleted. The model can be trained again.

한편,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서(12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includes random access memory (RAM) (not shown) and read-only memory (ROM) that temporarily and/or permanently store signals (or data) processed within the processor 120. ,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Additionally, the processor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including at least one of a graphics processing unit, RAM, and ROM.

메모리(110)에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The memory 110 may store programs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or 120.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에 의한 시스템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that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200)과 통신하여,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evice 100 for evaluating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terminal 200.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0 that communicates with and obtains evaluation data.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3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chips such as a Wi-Fi chip, a Bluetooth chip,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 NFC chip, and a low-energy Bluetooth chip (BLE chip). At this time, the Wi-Fi chip, Bluetooth chip, and NFC chip communicate in the LAN method, WiFi method, Bluetooth method, and NFC method, respectively. When using a Wi-Fi chip or Bluetooth chip, various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SSID and session key are first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variou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fte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is.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and 5G (5th Generation).

한편, 단말(200)은 피평가자가 보유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20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owned by the person being evaluated.

일 실시예로, 단말(200)은, 서버,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200 is a server, a smart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 laptop PC, or a netbook computer.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aptop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wearable device.

도 3은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that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urther includes an input/output uni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입출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evice 100 that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valuation data based on a user command. 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output unit 140 that obtains and provide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to the user.

입출력부(140)는 외부장치 연결 포트, 스캔장치, 카메라, 디스플레이,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전자 장치(100)의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가시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unit 140 includes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 a scanning device, a camera, a display, a mouse, a keyboard, a remote control, etc., obtains the user's input, and outputs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make the information visible to the user. can be provided.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로세서(120)는 카메라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거나 객체와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The camera is configured to photograph at least one subject, and the processor 120 can recognize at least one object or identify the distance to the object through the camera.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A display is a configuration for visually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Micro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밖에 종래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can be implemented as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OLED (Transparent OLED), Micro LED, etc.,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other known forms. It may include a display of.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touch operation, or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that can be folded or be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는 입출력부(140)를 통해 평가 데이터, 평가 문항 유형 정보, 훈련 평가 데이터(EP-T), 훈련 채점 데이터(SD-T), 훈련 문항 유형 정보, 기준 채점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단말(200)로부터 평가 데이터, 평가 문항 유형 정보, 훈련 평가 데이터(EP-T), 훈련 채점 데이터(SD-T), 훈련 문항 유형 정보, 기준 채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vice 100, which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valuation data and evaluation item types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140. Obtain information,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training scoring data (SD-T), training item type information, and standard scoring data, or obtain evaluation data and evalu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o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Item type information,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training scoring data (SD-T), training item type information, and standard scoring data can be obtain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에 의해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이 학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가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피평가자의 평가 점수가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출력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가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show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learned by a device that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to explain the process, and Figure 5 shows a device that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outputting scoring data that is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of the assessee using a model (S-AI), and Figure 6 show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valuation items that can be evaluated by a device that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학습시키기 위한 훈련 데이터를 구성하고, 구성된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이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 이상의 평가 항목 별로 평가 점수를 결정하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S. 4 to 6, the processor 120 configures training data for learning a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nd uses the constructed training data to construct a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 can be taught to determine an evaluation score for each one or more evaluation items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regarding the speaking ability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의 학습을 위해 마련된 평가 문항인 훈련 평가 문항에 대한 다른 피평가자의 평가 데이터인 훈련 평가 데이터(EP-T) 및 훈련 평가 데이터(EP-T)에 기초하여 채점자가 채점한 결과인 평가 점수를 나타내는 훈련 채점 데이터(SD-T)를 매칭시켜 훈련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processor 120 uses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and training evaluation data ( Based on EP-T), training scoring data (SD-T) representing the evaluation score that is the result of the grader's scoring can be matched to form training data.

이때, 프로세서(120)는 특정 평가 문항들만을 훈련 평가 문항으로 선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may select only specific evaluation questions as training evaluation questions.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임의의 평가 문항들 각각을 분석하여 해당 임의의 평가 문항들에 의해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이 평가될 수 있는 평가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임의의 평가 문항 각각에 미리 매칭된 평가 항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평가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20 may analyze each of the arbitrary evaluation items and identify evaluation items by which the speaking ability of the appraisee can be evaluated based on the arbitrary evaluation items. 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may check the evaluation items using information about the evaluation items previously matched to each arbitrary evaluation item.

여기서, 평가 항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음을 평가하는 평가 항목인 발음 평가 항목, 어휘력을 평가하는 평가 항목인 어휘력 평가 항목, 문법력을 평가하는 평가 항목인 문법력 평가 항목, 문장 구성력을 평가하는 평가 항목인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 및 주제 적합성을 평가하는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ure 6, the evaluation items include a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that is an evaluation item for evaluating pronunciation, a vocabulary evaluation item that is an evaluation item that evaluates vocabulary, a grammatical ability evaluation item that is an evaluation item that evaluates grammatical ability, and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It may include a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item that evaluates and a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that evaluates topic suitability.

또한, 각 평가 항목들은 평가 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evaluation item may include evaluation sub-items.

구체적으로, 발음 평가 항목은 발음 유창성을 평가하는 제1 발음 평가 소항목, 발음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2 발음 평가 소항목 및 발화 속도를 평가하는 제3 발음 평가 소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first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pronunciation fluency, a secon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pronunciation accuracy, and a thir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for evaluating speech speed.

또한, 어휘력 평가 항목은 어휘 다양성을 평가하는 제1 어휘력 평가 소항목, 어휘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2 어휘력 평가 소항목 및 어휘 난이도를 평가하는 제3 어휘력 평가 소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ocabulary evaluation items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irst vocabular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vocabulary diversity, the second vocabular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vocabulary accuracy, and the third vocabular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vocabulary difficulty.

문법력 평가 항목은 문법의 다양성을 평가하는 제1 문법력 평가 소항목, 문법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2 문법력 평가 소항목 및 문법 난이도를 평가하는 제3 문법력 평가 소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ammatical proficiency evaluation items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irst grammatical proficienc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the diversity of grammar, the second grammatical proficienc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grammatical accuracy, and the third grammatical proficienc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grammatical difficulty.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은 문장의 구성 능력을 평가하는 제1 문장 구성력 평가 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evaluation item may include a first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the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은 주제 일치 정도를 평가하는 제1 주제 적합성 평가 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may include a first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topic matching.

이에 따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발음 평가 항목, 어휘력 평가 항목, 문법력 평가 항목,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 및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 각각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도록 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is trained to determine the evaluation scores for each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s, vocabulary evaluation items, grammar evaluation items,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items, and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s regarding the speaking ability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It can be.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평가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의 학습 난이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학습 난이도가 기준 난이도를 초과하는 평가 항목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들은 훈련 평가 문항으로 선별하지 않고, 확인된 학습 난이도가 기준 난이도 미만인 평가 항목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들만을 훈련 평가 문항으로 선별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checks the learning difficulty of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corresponding to each confirmed evaluation item, and the evaluation items that evaluate the evaluation item whose confirmed learning difficulty exceeds the standard difficulty are evaluated for training. Rather than selecting as an item, only evaluation items that evaluate evaluation items whose confirmed learning difficulty level is less than the standard level of difficulty can be selected as training evaluation items.

여기서, 학습 난이도란 해당 평가 항목의 평가 점수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가 결정하도록 하는 학습의 난이도일 수 있다.Here, the learning difficulty may be the difficulty of learning that allows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to determine the evaluation score of the corresponding evaluation item.

예를 들어, 학습 난이도가 높을수록 학습에 소요되는 시간과 훈련 데이터의 양이 많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higher the learning difficulty, the greater the time required for learning and the amount of training data.

한편, 프로세서(120)는 훈련 평가 문항에 대한 다른 피평가자의 평가 데이터인 훈련 평가 데이터(EP-T)에 기초하여 채점자가 채점한 결과인 평가 점수를 나타내는 훈련 채점 데이터(SD-T)와 상술된 훈련 평가 데이터(EP-T)를 매칭시켜 훈련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uses the above-described training scoring data (SD-T), which represents an evaluation score that is a result of scoring by a rater, based on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which is evaluation data of another ratee for the training evaluation items.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can be matched to form training data.

이때, 프로세서(120)는 훈련 평가 데이터(EP-T)에 기초하여 채점자가 채점을 수행할 때, 채점자에 의해 참조 및 기초가 되는 채점 기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scoring standard information that serves as a reference and basis for the grader when he or she performs scoring based on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훈련 채점 데이터(SD-T)와 상이하고 채점 기준의 설정을 위해 획득되는 채점 데이터인 기준 채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점 기준을 나타내는 채점 기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scoring standard information indicating a scoring standard based on reference scoring data that is different from the training scoring data (SD-T) and is scoring data obtained for setting the scoring standard.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이전에 채점자들에 채점된 결과인 기준 채점 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채점의 빈도가 높은 평가 항목들을 확인하고, 확인된 평가 항목들이 채점되도록 채점 기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120 analyzes standard scoring data, which is a result of previous scoring by raters, identifies evaluation items that are frequently scored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and provides scoring criteria information so that the identified evaluation items are scored. can be created.

이러한, 채점 기준 정보는 채점자에게 제공되어 채점자가 훈련 평가 데이터(EP-T)를 채점할 때, 채점자에 의해 참고될 수 있다.This scoring criteria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grader and can be referenced by the grader when scoring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한편, 프로세서(120)는 훈련 평가 데이터(EP-T), 훈련 채점 데이터(SD-T) 및 평가 데이터(EP)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고, 전처리된 훈련 평가 데이터(EP-T), 훈련 채점 데이터(SD-T)로 구성된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훈련시키고, 전처리된 평가 데이터(EP)를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performs preprocessing on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training scoring data (SD-T), and evaluation data (EP), and performs preprocessing on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and training scoring. Train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using training data consisting of data (SD-T), and input the preprocessed evaluation data (EP) in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You can do it.

여기서, 전처리란, 프로세서(120)가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품질 개선, 데이터에 대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데이터에 대해 형태소 분리, 데이터에 대해 전체 토큰 수와 유의미한 토큰 카운팅, 데이터에 대해 형태소 별 품사 태깅, 데이터의 언어 종류가 한국어인 경우 데이터에 대해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분류된 1급 내지 6급 각각의 어휘·문법 리스트와의 매칭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함을 의미할 수 있다.Here, preprocessing means that the processor 120 improves the quality of the data by reducing noise, converts speech to text for the data, separates morphemes for the data, counts the total number of tokens and significant tokens for the data, and performs morpheme processing for the data. Part-of-speech tagging, if the language type of the data is Korean, it may mean performing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matching vocabulary and grammar lists for grades 1 to 6 classified based on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Korean standard curriculum. .

한편, 프로세서(120)는 훈련 평가 데이터(EP-T)에 대응되는 훈련 평가 문항의 유형을 나타내는 훈련 문항 유형 정보를 훈련 데이터로 더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may further configure training item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raining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EP-T) as training data.

이후, 평가 문항을 제공받은 피평가자로부터 평가 데이터(EP)가 획득되면, 프로세서(120)는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평가 데이터(EP)를 입력하고,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피평가자의 평가 점수가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SD)를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Afterwards, when evaluation data (EP) is obtained from the evaluator who has received the evaluation items, the processor 120 inputs the evaluation data (EP) in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Scoring data (SD), which is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of the appraisee from the model (S-AI),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이때,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EP)에 대응되는 평가 문항의 유형을 나타내는 평가 문항 유형 정보를 확인하고, 평가 데이터(EP)와 함께 평가 문항 유형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여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피평가자의 채점 데이터(SD)를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checks the evaluation item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data (EP), and uses the evaluation item type information along with the evaluation data (EP) as input data to speak the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 You can receive the evaluator's scoring data (SD)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by inputting it into S-AI.

한편, 훈련 문항 유형 정보 및 평가 문항 유형 정보 각각은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말하기 평가에서 출제되는 평가 문항의 유형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training item type information and the evaluation item type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the type information of the evaluation item asked in the speaking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예를 들어, 훈련 문항 유형 정보 및 평가 문항 유형 정보 각각은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지문을 따라 읽는 제1 유형,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제2 유형, 피평가자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만나게 되는 상황에서 간단한 질문을 듣고 적절하게 대답하는 제3 유형, 피평가자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만나게 되는 상황에 대한 그림을 보며 간단한 질문을 듣고 적절하게 역할을 수행하는 제4 유형, 피평가자가 대화의 맥락에 맞게 상대의 말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제5 유형, 피평가자가 경제, 과학, 대중매체, 문화, 예술, 정치, 환경 등 사회적 화제나 추상적 화제의 자료를 보고 해석하여, 비판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진술하는 제6 유형, 피평가자가 전문 분야나 추상적인 내용, 사회 문제 등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제시하거나 찬성 또는 반대 입장에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제7 유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ining item type information and the evaluation item type information respectively include the first type reading along the passage provided to the appraisee, the second type explaining a photo or drawing provided to the appraisee, and the simple answer in situations the appraisee frequently encounters in daily life. Type 3, where the appraisee listens to questions and answers appropriately; Type 4, where the appraisee listens to simple questions and performs the role appropriately while looking at pictures of situations that the appraisee often encounters in daily life; Type 4, where the appraisee responds appropriately to what the other person say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conversation Type 5, where the appraisee responds appropriately, Type 6, where the appraisee critically states his/her opinion by looking at and interpreting data on social or abstract topics such as economy, science, mass media, culture, art, politics, and the environment, etc. It may be one of the 7th types, which presents one's opinion logically on a specialized field, abstract content, social problem, etc., or presents one's opinion from a pro or anti position.

한편, 채점 데이터(SD)는 평가 항목 별 평가 점수가 포함될 수 있고, 평가 항목 별 평가 점수 모두가 합산된 합산 점수가 포함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coring data (SD) may include evaluation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or may include a total score obtained by adding up all evaluation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이때, 프로세서(120)는 합산 점수에 기초하여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합산 점수가 클수록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이 높음을 나타내도록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based on the total sc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so that the larger the sum score, the higher the speaking ability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이후, 프로세서(120)는 채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평가 항목 중 저능력인 평가 항목을 저능력 평가 항목으로 선정하고, 채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평가 항목 중 고능력인 평가 항목을 고능력 평가 항목으로 선정하고, 저능력 평가 항목의 선정 결과와 고능력 평가 항목의 선정 결과를 나타내는 선정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120 selects a low-ability evaluation item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as a low-ability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scoring data, and evaluates a high-ability evaluation item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as a high ability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scoring data. Items can be selected, and selection result data representing the selection results of low-ability evaluation items and high-ability evaluation items can be generated.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선정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능력 평가 항목에 대응되는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콘텐츠를 추천하는 학습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learning content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at recommends learning content that can improve speaking skills corresponding to low-ability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selection result data.

이러한, 학습 콘텐츠 추천 정보는 단말(2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This learning content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by the terminal 200.

또한, 프로세서(120)는 선정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평가 항목의 평가 점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법 정보 또한 단말(2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learning method information that can improve the evaluation score of each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selection result data. This learning method information may also be output by the terminal 200.

한편, 본 발명에서의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결과(출력 데이터, 본 발명의 채점 데이터)를 피평가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설명 정보를 제공하는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모델(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일 수 있다.Meanwhile,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provides explanatory information that allows the evaluator to understand the results output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output data, scoring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 model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또한, 본 발명에서의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가중치가 고정되지 않은 다이나믹 가중치에 기반한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dynamic weights where the weights are not fixed.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말하기 평가를 응시한 피평가자가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말하기 평가의 답안으로 제출한 답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답안 정보를 평가 데이터로 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부터 피평가자가 응시한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말하기 평가의 평가 점수가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이하 “토픽 채점 데이터”라 함)를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cquires information on the answer submitted by an evaluator who took the speaking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as an answer to the speaking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and The information is used as evaluation data and input into the speaking grad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nd the speaking grad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is used to score the speaking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taken by the assessee. The scoring data that is the result of the deci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pic scoring data”)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이후,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토픽 채점 데이터에 포함되고, TOPIK의 말하기 평가의 평가 항목 별 평가 점수가 합산된 합산 점수에 기초하여 피평가자의 TOPIK 기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TOPIK-based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of the evaluator based on the total score included in the topic scoring data and the sum of the evaluation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of the TOPIK speaking evaluation.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피평가자가 응시한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말하기 평가의 실제 채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acquire actual scoring data of the speaking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taken by the person being evaluated.

여기서, 실제 채점 데이터는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말하기 평가를 주관한 주관 기관으로부터 평가된 결과인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일 수 있다.Here, the actual scoring data may be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of the evaluator, which i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from the host organization that hosted the speaking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이후,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실제 채점 데이터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과 TOPIK 기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 간의 등급차를 채점 오차율로 산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calculate the grade difference between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of the actual scoring data and the TOPIK-based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as a scoring error rate.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등급차를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calculate the grade differenc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R = | (G1 - G2) / NG |Equation: R = | (G1 - G2) / N G |

여기서, R은 채점 오차율이고, G1은 실제 채점 데이터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이고, G2는 TOPIK 기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이고, NG는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말하기 평가에서 결정되는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의 개수이다.Here, R is the scoring error rate, G1 is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of the actual scoring data, G2 is the TOPIK-based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and N G is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determined in the speaking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It is a cou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가 발음 평가 항목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by which the device 100, which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evaluation score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will be described.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가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발음 평가 항목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7 shows a device for evaluating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evaluates pronunciation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speaking ability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of an item.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문항 유형이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지문을 따라 읽는 제1 유형인 경우, 피평가자가 지문을 읽을 수 있게 단말(200)에 지문을 송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processor 12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transmit the fingerprint to the terminal 200 so that the evaluator can read the fingerprint when the item type is the first type that reads the fingerprint provided to the evaluator. You can.

단말(200)은 문항 유형에 대한 정보와 문항 해결 방법에 대한 정보 그리고, 지문을 출력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can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question type, information about how to solve the question, and a fingerprint.

피평가자는 지문을 읽고 발화하여 지문을 낭독할 수 있다. 이에, 단말(200)은 지문을 따라 읽는 피평가자의 제1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통신부(130)로 송신하고,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1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지문을 따라 읽은 원어민의 원어민 음성 데이터와 제1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 간의 음성 특성차를 나타내는 음성 특성차 데이터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The appraised person can read the passage and speak it out loud. Accordingly, the terminal 200 acquires the first evaluator's voice data of the evaluator who reads the fingerprint and transmits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first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and scores the speech using the input data. The scoring data, which is speech characteristic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difference in speech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ative speaker's speech data and the first evaluator's speech data, is input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nd read along with the passage, and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여기서, 음성 특성차는 음성 주파수, 음성 세기, 음성 쉼 주기, 운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oice characteristic difference may include one or more of voice frequency, voice intensity, voice pause period, and prosody.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발음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발음 유창성을 평가하는 제1 발음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first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pronunciation fluenc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또한,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1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지문에 대응되는 발음 데이터와 제1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 간의 발음차를 나타내는 발음차 데이터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first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to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pronunciation difference between the pronunci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ingerprint and the first evaluator's voice data. Scoring data, which is pronunciation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여기서, 발음차 데이터는 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 방식을 이용하여 획득되고 발음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pronunciation difference data is obtained using a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method and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pronunciation.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발음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발음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2 발음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secon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pronunciation accurac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또한,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1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1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의 음성 발화 속도를 나타내는 음성 발화 속도 데이터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first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to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provides voice speech rate data indicating the voice speech rate of the first evaluator's voice data. The scoring data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발음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발화 속도를 평가하는 제3 발음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hir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speech speed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100)가 어휘력 평가 항목과 문법력 평가 항목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apparatus 100, which performs evaluation for each evaluation item on speaking ability using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vocabulary evaluation item and the grammar evaluation item. Let me explai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을 이용하여 말하기 능력에 대해 평가 항목 별로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가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발음 평가 항목,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 및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 각각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8 shows a device that evaluates speaking ability for each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valuates pronunciation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speaking ability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for each item,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item, and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평가 문항 유형 정보가 나타내는 문항 유형이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제2 유형인 경우, 피평가자가 사진 또는 그림을 볼 수 있게 단말(200)에 사진 또는 그림을 송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f the item type indicated by the evaluation item type information is a second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ssessee, the processor 120 posts the photo to the terminal 200 so that the assessee can view the photo or picture.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a picture.

단말(200)은 문항 유형에 대한 정보와 문항 해결 방법에 대한 정보 그리고, 사진 또는 그림을 출력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can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question type, information about how to solve the question, and a photo or drawing.

피평가자는 사진 또는 그림을 보고 발화하여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단말(200)은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통신부(130)로 송신할 수 있다.The person being evaluated can explain the photo or drawing by looking at it and speaking. Accordingly, the terminal 200 may obtain voice data of the second appraisee of the appraisee explaining the photo or picture and transmit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130.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원본 텍스트 데이터를 따라 읽은 원어민의 원어민 음성 데이터와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 간의 음성 특성차를 나타내는 음성 특성차 데이터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into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native speaker reads the original text data converted into text from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Scoring data, which is voice characteristic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difference in voi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ative speaker's voice data and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발음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발음 유창성을 평가하는 제1 발음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first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pronunciation fluenc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또한,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원본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발음 데이터와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 간의 발음차를 나타내는 발음차 데이터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evaluator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to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corresponds to the original text data converted into text from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evaluator. Scoring data, which is pronunciation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pronunciation difference between the pronunciation data and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발음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발음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2 발음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secon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pronunciation accurac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또한,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의 음성 발화 속도를 나타내는 음성 발화 속도 데이터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to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provides voice speech rate data indicating the voice speech rate of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The scoring data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발음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발화 속도를 평가하는 제3 발음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hir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speech speed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한편,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문장 내의 단어들 간의 종속성 및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문장의 문장 패턴 적합도를 나타내는 문장 구성력 데이터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and inputs it into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determines the dependencies between words in sentences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nd the above. Scoring data, which is sentence composition data indicating the suitability of the sentence pattern of the sentence included in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evaluator,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문장의 구성 능력을 평가하는 제1 문장 구성력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first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the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

이를 위해,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단어 임베딩(예를 들어,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및 Word2Vec)를 이용하여 상술된 종속성 및 문장 패턴 적합도를 나타내는 문장 구성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uses word embeddings (e.g., BERT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and Word2Vec) to output sentence composition data indicating the above-described dependencies and sentence pattern suitability. You can.

한편,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와 답안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 간의 일치율을 나타내는 주제 일치율 정보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evaluator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in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inputs the words included in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evaluator and the words included in the answer data. Scoring data, which is topic agreement r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greement rate between subjects,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주제 일치 정도를 평가하는 제1 주제 적합성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first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topic matching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100)가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어휘력 평가 항목 및 문법력 평가 항목 각각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evice 100, which include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evaluator's responses to the evaluation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vocabulary evaluation items and grammar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evaluator's speaking ability. Expla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for each competency evaluation item.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어간의 개수를 나타내는 어간 개수 정보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to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provides stem numb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number of stems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Scoring data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어휘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어휘 다양성을 평가하는 제1 어휘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first vocabular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lexical diversit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vocabulary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또한,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원본 텍스트 데이터와 원본 텍스트 데이터의 어휘 용법 오류를 수정한 어휘 수정 텍스트 데이터 간의 일치율을 나타내는 제1 텍스트 일치율 정보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and inputs it into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the original text data converted into text from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nd the original Scoring data, which is the first text match r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tch rate between vocabulary-corrected text data that corrects vocabulary usage errors in text data,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어휘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어휘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2 어휘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second vocabular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vocabulary accurac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vocabulary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또한,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중에서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어휘들이 속한 어휘 난이도 등급을 나타내는 어휘 난이도 등급 정보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to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selects the vocabulary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mong the plurality of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Scoring data, which is vocabulary difficulty level information indicating the vocabulary difficulty level to which words belong,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어휘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어휘 난이도를 평가하는 제3 어휘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hird vocabular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vocabulary difficult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vocabulary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여기서, 어휘 난이도 등급 정보인 채점 데이터는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각각에 포함되는 어휘(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어휘)의 개수를 나타내는 어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oring data, which is vocabulary difficulty level information, may include a vocabulary count indicating the number of vocabulary (vocabularies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inclu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여기서,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분류된 어휘의 난이도 등급인 1급 내지 6급일 수 있고,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에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분류된 어휘의 난이도 등급인 1급 내지 6급 각각에 매칭된 어휘 목록이 매칭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may be levels 1 to 6, which are the difficulty levels of vocabulary classified based on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Korean standard curriculum, and the plurality of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may include vocabulary classified based on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vocabulary list may be matched to each difficulty level of level 1 to level 6.

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120)는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어휘들에 대한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별 분포를 나타내는 어휘 분포도 데이터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Using this, the processor 120 outputs scoring data, which is vocabulary distribution data representing the distribution by plural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for vocabulary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You can print it out.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별로 설정된 기준 어휘 분포도와 어휘 분포도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피평가자의 어휘 난이도 등급이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uses the scoring data, which is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vocabulary difficulty level of the appraisee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vocabulary distribution data with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map s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into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It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

이때,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중에서 어휘 분포도 데이터가 나타내는 분포도가 기준 어휘 분포도를 초과하는 어휘 난이도 등급을 피평가자의 어휘 난이도 등급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determines the vocabulary difficulty level whose distribution indicated by the vocabulary distribution data exceeds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among the plurality of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as the vocabulary difficulty level of the evaluator, and the determined result is the scoring data.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만약, 어휘 분포도 데이터가 나타내는 분포도가 기준 어휘 분포도를 초과하는 어휘 난이도 등급이 복수이면,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어휘 분포도 데이터가 나타내는 분포도가 기준 어휘 분포도를 초과하는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어휘 난이도 등급을 피평가자의 어휘 난이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If the distribution shown by the vocabulary distribution data has multiple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that exceed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will determine the vocabulary difficulty level that the distribution shown by the vocabulary distribution data exceeds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The most difficult vocabulary difficulty level among the grades can be determined as the vocabulary difficulty level of the evaluator.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각각에 대해 난이도가 높은 등급일수록 기준 어휘 분포도를 낮게 설정하고, 난이도가 이웃한 등급이면 기준 어휘 분포도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인 1급 내지 6급 각각에는 기준 어휘 분포도 25%, 25%, 20%, 15%, 10% 및 5% 각각이 설정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cessor 120 may set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to a lower leve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as the difficulty level increases, and set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to be the same for neighboring levels of difficulty. For example, for multiple levels of difficulty, the processor 120 may set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to a lower level for each level.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s of 25%, 25%, 20%, 15%, 10%, and 5% can be set for each of the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of grades 1 to 6.

이에 따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만약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중에서 5급의 분포도가 12%로 기준 어휘 분포도 10%를 초과하고, 나머지 1급 내지 4급 및 6급 각각의 분포도가 기준 어휘 분포도 이하인 경우, 피평가자의 어휘 난이도 등급을 5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determines if, among multiple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the distribution of grade 5 exceeds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of 10% at 12%, and the distributions of the remaining grades 1 to 4 and 6 respectively If the vocabulary distribution is below the standard, the vocabulary difficulty level of the evaluator can be determined as level 5.

또 다른 예를 들어,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만약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중에서 5급의 분포도가 12%로 기준 어휘 분포도 10%를 초과하고, 6급의 분포도가 7%로 기준 어휘 분포도 5%를 초과하며, 나머지 1급 내지 4급 각각의 분포도가 기준 어휘 분포도 이하인 경우, 기준 어휘 분포도를 초과하는 복수의 어휘 난이도 등급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6급을 피평가자의 어휘 난이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determines that among multiple vocabulary difficulty levels, the distribution of level 5 is 12%, which exceeds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of 10%, and the distribution of level 6 is 7%, which is below the standard. If the vocabulary distribution exceeds 5%, and the distribution of each of the remaining grades 1 to 4 is below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grade 6, the most difficult among the multiple vocabulary difficulty grades exceeding the standard vocabulary distribution, is determined as the vocabulary difficulty grade of the evaluator. You can.

또한,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어미와 조사의 개수를 나타내는 어미-조사 개수 정보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to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indicates the number of endings and particles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Scoring data, which i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endings and particles,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문법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문법 다양성을 평가하는 제1 문법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first grammar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grammatical diversit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grammar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한편,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원본 텍스트 데이터와 원본 텍스트 데이터의 문법 오류를 수정한 문법 수정 텍스트 데이터 간의 일치율을 나타내는 제2 텍스트 일치율 정보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s evaluation data and inputs it into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the original text data converted into text from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nd the original Scoring data, which is second text match r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tch rate between grammar-corrected text data that corrects grammatical errors in text data,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어휘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문법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2 문법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second grammar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grammatical accurac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vocabulary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또한, 프로세서(120)는 평가 데이터로써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에 입력하고,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중에서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문법 용법들이 속한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을 나타내는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정보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acquires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evaluator as evaluation data, inputs it 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as input data, and selects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evaluator among the plurality of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Scoring data, which is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 information indicating the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 to which the grammar usages belong,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문법 평가 항목의 복수의 평가 소항목 중에서, 문법 난이도를 평가하는 제3 문법 평가 소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can determine and obtain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hird grammar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grammar difficulty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sub-items of the grammar evalu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여기서,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정보인 채점 데이터는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각각에 포함되는 문법 용법(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문법 용법)의 개수를 나타내는 문법 용법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oring data, which is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grammar usages indicating the number of grammar usages (grammar usages included in the second ratee's voice data) inclu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여기서,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분류된 문법 용법의 난이도 등급인 1급 내지 6급일 수 있고,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분류된 문법 용법의 난이도 등급인 1급 내지 6급 각각에 매칭된 문법 용법 목록이 매칭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may be levels 1 to 6, which are the difficulty levels of grammar usage classified based on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Korean standard curriculum, and the plurality of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may be based on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Korean standard curriculum. A list of grammar usages may be matched to each of grades 1 to 6, which are the difficulty levels of classified grammar usage.

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120)는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문법 용법들에 대한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별 분포를 나타내는 문법 용법 분포도 데이터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Using this, the processor 120 uses the scoring data, which is grammar usage distribution data indicating the distribution by difficulty level of a plurality of grammar usages for the grammar usages included in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evaluator, into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It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별로 설정된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와 문법 용법 분포도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피평가자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이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로부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uses the scoring data, which is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 of the evaluator,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grammar usage distribution data with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map s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 It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from S-AI).

이때,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중에서 문법 용법 분포도 데이터가 나타내는 분포도가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를 초과하는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을 피평가자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determines the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 whose distribution indicated by the grammar usage distribution data exceeds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among the plurality of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as the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 of the evaluator, The scoring data, which is the determined result, can be output as output data.

만약, 문법 용법 분포도 데이터가 나타내는 분포도가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를 초과하는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이 복수이면,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문법 용법 분포도 데이터가 나타내는 분포도가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를 초과하는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을 피평가자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If there are multiple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in which the distribution shown by the grammar usage distribution data exceeds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determines that the distribution shown by the grammar usage distribution data exceeds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Among the plurality of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the most difficult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 can be determined as the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 of the evaluator.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각각에 대해 난이도가 높은 등급일수록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를 낮게 설정하고, 난이도가 이웃한 등급이면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cessor 120 may set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to a lower leve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if the difficulty level is higher, and set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to be the same if the difficulty levels are neighboring levels.

예를 들어,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인 1급 내지 6급 각각에는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 25%, 25%, 20%, 15%, 10% 및 5% 각각이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s of 25%, 25%, 20%, 15%, 10%, and 5% may be set for each of grades 1 to 6, which are plural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이에 따라,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만약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중에서 5급의 분포도가 12%로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 10%를 초과하고, 나머지 1급 내지 4급 및 6급 각각의 분포도가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 이하인 경우, 피평가자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을 5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determines if, among multiple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the distribution of level 5 is 12%, which exceeds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of 10%, and the remaining levels 1 to 4 and 6 respectively. If the distribution of is less than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evaluator's grammar usage can be determined as level 5.

또 다른 예를 들어,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S-AI)은 만약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중에서 5급의 분포도가 12%로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 10%를 초과하고, 6급의 분포도가 7%로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 5%를 초과하며, 나머지 1급 내지 4급 각각의 분포도가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 이하인 경우, 기준 문법 용법 분포도를 초과하는 복수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6급을 피평가자의 문법 용법 난이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AI) determines that among multiple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the distribution of level 5 is 12%, which exceeds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of 10%, and the distribution of level 6 is 7%. If the distribution of standard grammar usage exceeds 5% and the distribution of each of the remaining grades 1 to 4 is below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the most difficult grade 6 among the plurality of grammar usage difficulty levels that exceed the standard grammar usage distribution is assigned to the appraisee. It can be determined by the difficulty level of grammar usag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
110 : 메모리
120 : 프로세서
130 : 통신부
140 : 입출력부
100: Device includ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appraisee'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110: memory
120: processor
13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40: input/output unit

Claims (8)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 중에서 발음을 평가하는 평가 항목인 발음 평가 항목, 문장 구성력을 평가하는 평가 항목인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 및 주제 적합성을 평가하는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 각각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문항에 대한 상기 피평가자의 응답인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여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피평가자의 상기 평가 점수가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 평가 항목은
발음 유창성을 평가하는 제1 발음 평가 소항목, 발음 정확성을 평가하는 제2 발음 평가 소항목 및 발화 속도를 평가하는 제3 발음 평가 소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문장 구성력 평가 항목은
문장의 구성 능력을 평가하는 제1 문장 구성력 평가 소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주제 적합성 평가 항목은
주제 일치 정도를 평가하는 제1 주제 적합성 평가 소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을 위해 마련된 평가 문항인 훈련 평가 문항에 대한 다른 피평가자의 평가 데이터인 훈련 평가 데이터 및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점자가 채점한 결과인 평가 점수를 나타내는 훈련 채점 데이터를 매칭시켜 훈련 데이터로 구성하고, 상기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훈련 평가 문항의 유형을 나타내는 훈련 문항 유형 정보를 상기 훈련 데이터로 더 구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원본 텍스트 데이터를 따라 읽은 원어민의 원어민 음성 데이터와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 간의 음성 특성차를 나타내는 음성 특성차 데이터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고,
상기 음성 특성차는
음성 주파수, 음성 세기, 음성 쉼 주기, 운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원본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발음 데이터와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 간의 발음차를 나타내는 발음차 데이터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인 말하기 평가를 응시한 상기 피평가자가, 상기 말하기 평가의 답안으로 제출한 답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답안 정보를 상기 평가 데이터로 하여 입력 데이터로써,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부터 상기 피평가자가 응시한 상기 말하기 평가의 평가 점수가 결정된 결과인 채점 데이터를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고, 상기 채점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말하기 평가의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평가자의 말하기 평가 기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하기 평가를 주관한 주관 기관으로부터 발급된 상기 피평가자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인 실제 채점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실제 채점 데이터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과 상기 말하기 평가 기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 간의 등급차를 채점 오차율로 산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채점 오차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

<수학식>
R = | (G1 - G2) / NG |
여기서, R은 채점 오차율이고, G1은 실제 채점 데이터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이고, G2는 말하기 평가 기반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이고, NG는 말하기 평가의 주관 기관 의해 결정되는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의 개수이다.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the speaking ability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the evaluation scores for each of th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 that evaluates pronunciation, the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evaluation item that evaluates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and the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 that evaluates topic suitability are determined. A memory containing a speech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to do so; and
Evaluation data that is the ratee's responses to the evaluation questions for evaluating the speaking ability is obtained and input as input data 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he evaluation score of the ratee is determined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es a processor that outputs the scoring data as output data,
The above pronunciation evaluation items ar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pronunciation fluency, a secon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pronunciation accuracy, and a third pronunciation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speech speed,
The above sentence composition evaluation items are
Includes the first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The above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items are
Includes a first topic suitability evaluation sub-item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topic matching,
The processor is
Training evaluation data, which is evaluation data of other ratees for the training evaluation items, which are evaluation questions prepared for learning of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raining scoring data representing evaluation scores that are the result of scoring by a rater based on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Match and configure training data, and use the training data to learn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processor is
Further configuring training item type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he training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with the training data,
The processor is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artificial intelligence scores the speech using the input data by obtaining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The scoring data, which is speech characteristic difference data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speech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ative speaker's speech data and the second evaluator's speech data, is input to the model and read along with the original text data converted into text from the second evaluator's speech data. Receive the above output data from the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difference in voice characteristics is
Includ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vocal frequency, vocal intensity, vocal pause period, and prosody;
The processor is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artificial intelligence scores the speech using the input data by obtaining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input into the model, and the scoring data, which is pronunciation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pronunciation difference between the pronunci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text data converted into text from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nd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is derived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Receive output as the output data,
The processor is
Obtain answer information submitted by the evaluator who took the speaking evaluation, which is a test for evaluating the speaking ability, as an answer to the speaking evaluation, and use the answer information as the evaluation data as input data to create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put, and the scoring data that is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peaking evaluation that the evaluator took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output as the output data,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peaking evaluation included in the scoring data. Determine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based on the speaking evaluation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The processor is
Obtaining actual scoring data, which is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of the person being evaluated, issued by the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speaking evaluation,
Calculating the grade difference between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of the actual scoring data and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based on the speaking evaluation as the scoring error rate,
The processor is
Characterized in calculating the scoring error rat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A device that include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ratee'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Equation>
R = | (G1 - G2) / N G |
Here, R is the scoring error rate, G1 is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of the actual scoring data, G2 is the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 based on the speaking evaluation, and N G is the number of speaking ability evaluation grades determined by the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speaking evalu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평가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평가 문항의 유형을 나타내는 평가 문항 유형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평가 데이터와 함께 상기 평가 문항 유형 정보를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피평가자의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cessor is
The evaluation item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data is confirmed, and the evaluation item type information along with the evaluation data are input to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s the input data, and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coring data of the evaluator is output from the model as the output data.
A device that include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ratee'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원본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발음 데이터와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 간의 발음차를 나타내는 발음차 데이터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processor is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artificial intelligence scores the speech using the input data by obtaining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input into the model, and the scoring data, which is pronunciation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pronunciation difference between the pronunci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text data converted into text from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nd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is derived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haracterized by being output as the output data
A device that include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ratee'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의 음성 발화 속도를 나타내는 음성 발화 속도 데이터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processor is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artificial intelligence scores the speech using the input data by obtaining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scoring data, which is voice speech rate data representing the voice speech rate of the second ratee's voice data, is input to the model and output as the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device that include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ratee'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문장 내의 단어들 간의 종속성 및 상기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문장의 문장 패턴 적합도를 나타내는 문장 구성력 데이터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processor is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artificial intelligence scores the speech using the input data by obtaining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puts the scoring data, which is sentence composition data that is input into a model and is sentence composition data indicating dependency between words in sentences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and sentence pattern suitability of the sentences included in the second evaluator's voice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data is output from the model.
A device that include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ratee'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 유형이 상기 피평가자에게 제공된 사진 또는 그림을 설명하는 유형인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로써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을 설명하는 상기 피평가자의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로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고, 제2 피평가자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와 답안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 간의 일치율을 나타내는 주제 일치율 정보인 상기 채점 데이터를 상기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로 출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processor is
If the item type is a type that describes a photo or picture provided to the appraisee, artificial intelligence scores the speech using the input data by obtaining the second appraisee voice data of the appraisee describing the photo or picture as the evaluation data. Inputting the scoring data into the model, and receiving the scoring data, which is topic agreement r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tch rate between words included in the second ratee's voice data and words included in the answer data, as the output data from the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device that includes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valuating the ratee's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s.
KR1020230088064A 2023-07-07 2023-07-07 Apparatus for including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valuate responses of answer to evaluation question KR102594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064A KR102594629B1 (en) 2023-07-07 2023-07-07 Apparatus for including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valuate responses of answer to evaluation ques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064A KR102594629B1 (en) 2023-07-07 2023-07-07 Apparatus for including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valuate responses of answer to evaluation ques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629B1 true KR102594629B1 (en) 2023-10-25

Family

ID=8851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064A KR102594629B1 (en) 2023-07-07 2023-07-07 Apparatus for including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valuate responses of answer to evaluation ques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62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707A (en)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이르테크 A apparatus of learning feedback and making express for speaking trainee
KR20210059995A (en) * 2019-11-18 2021-05-26 이용조 Method for Evaluating Foreign Language Speaking Based on Deep Learning and System Therefor
KR20220032940A (en) 2020-09-08 2022-03-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Online-based korean proficiency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30014433A (en)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디씨지 Foreign languag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707A (en)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이르테크 A apparatus of learning feedback and making express for speaking trainee
KR20210059995A (en) * 2019-11-18 2021-05-26 이용조 Method for Evaluating Foreign Language Speaking Based on Deep Learning and System Therefor
KR20220032940A (en) 2020-09-08 2022-03-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Online-based korean proficiency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30014433A (en)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디씨지 Foreign languag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ka et al.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AEC industry: A review of present statu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US20200065612A1 (en)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tical system
US20190103092A1 (en) Rapid deployment of dialogue system
KR102644992B1 (en) English speaking teaching method using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vatar based on the topic of educational content, device and system therefor
WO2020098269A1 (en) Speech synthesis method and speech synthesis device
Sherwani et al. Orality-grounded HCID: Understanding the oral user
US20200051451A1 (en) Short answer grade prediction
KR20190118108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angarika-Rocafort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children aged 6–10 in the last decade
JP2023088281A (en) Image generation based on ethical viewpoints
Kafle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fairness in the context of accessibility research on intelligent systems for people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Zhao et al. [Retracted] Standardized Evaluation Method of Pronunciation Teaching Based on Deep Learning
KR102389153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oice responsive e-book
KR102594629B1 (en) Apparatus for including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valuate responses of answer to evaluation question
KR102395702B1 (en)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education service using step-by-step expanding sentence structure unit
KR102675139B1 (en) Apparatus for evaluating speaking ability by evaluation item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JP2020515915A (en) Education and evaluation of spoken language skills by detailed evaluation of human speech
KR102706374B1 (en) Apparatus for evaluating grammar and vocabulary using a speaking sc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US202103431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361677B1 (en) System for articulation training for hearing impaired persons
Jones et al. Kia tangata whenua: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grows from the land and people
WO2015112250A1 (en) Visual-kinesthetic language construction
CN115905475A (en) Answer scoring method, model train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Liao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nglish Vocabulary Test Research Using Log Analysis with Virtual Reality Assistance
US10923105B2 (en) Conversion of text-to-speech pronunciation outputs to hyperarticulated vow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