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304B1 -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 Google Patents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6304B1 KR102566304B1 KR1020230063446A KR20230063446A KR102566304B1 KR 102566304 B1 KR102566304 B1 KR 102566304B1 KR 1020230063446 A KR1020230063446 A KR 1020230063446A KR 20230063446 A KR20230063446 A KR 20230063446A KR 102566304 B1 KR102566304 B1 KR 102566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nterweight
- boarding car
- elevator
- driving
- shea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동 권상기가 균형추에 구비된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기계실의 상부, 하부, 승강통로, 또는 탑승카 자체 등에 설치하지 않고, 균형추의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기계실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탑승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며, 균형추의 상하 이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고, 균형추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증설 및 이설이 용이하도록 한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type elevator in which a driving hoist is provided in a counterweight and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nd more particularly,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elevator is not installed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machine room, in the hoistway, or in the boarding car itself. , By instal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machine room, the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passenger car can be minimize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counterweight can be shortened, the weight of the counterweight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elevators can be increased. And it relates to a rope-type elevator for passengers, cargo, cargo, and construction that facilitates relocation.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 등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으로 운송시킨다.In general, an elevator is installed in a high-rise building or the like to transport people or cargo to a desired floor while moving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도 1 및 2는 이러한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1 and 2 show an example of such a rope type elevator.
종래의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균형추(40)(Counterweight)와, 상기 탑승카(20)와 균형추(4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50)와, 상기 와이어 로프(50)가 감긴 구동 권상기(31a)를 구동하는 구동부(31)와, 상기 와이어 로프(50)를 안내하는 중간시브들과, 탑승카(2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rope-type elevator includes a
여기서 상기 구동부(31)와 구동 권상기(31a)는,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30) 내부에 설치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탑승카(20)의 상부에서 고정되고, 타단은 균형추(40)의 상부에서 고정된다.And one end of the
상기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 구동 권상기(31a)('트랙션 머신'이라도고 한다)를 정,역회전시키면, 탑승카(20)가 승강통로(10)를 따라 승강하게 되고, 균형추(40)는 상기 탑승카(20)와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When the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동부(31), 구동 권상기(31a) 및 제어반(32)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실(30)을 구비하여야 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conventional elevator described above should have a
이로써 공사비가 증가되고, 엘리베이터의 설치시간이 지연된다는 단점이 있다.This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and delays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elevator.
또한 돌출된 기계실(30)에 의해, 건물의 미감이 저하되고, 고도제한 지역에서는 건물의 층고가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is deteriorated by the
또한 건축현장에서 작업자 및 장비의 운반을 위해 엘리베이터를 임시로 설치하는 경우,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30)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n elevator is temporarily installed to transport workers and equipment at a construction sit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elevator height due to th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를 통상 머신룸리스(Machine Roomless) 엘리베이터라 부른다.As a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as shown in FIG. 3,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is also installed,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machine roomless elevator.
도 3는, 이러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3 shows an example of such a machine roomless elevator.
종래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권상기((31a)를 탑승카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의 상부 일측 또는 승강통로(10)의 벽면에 설치하고, 제어반(32)을 승강통로 벽체의 벽면에 설치한다.In a conventional machine roomless elevator, a driving traction machine (31a) for driving the elevato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a car guide rail (not shown) or on the wall of the
상기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승강통로(10)의 상부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achine roomless elevator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eparate machine room is not required at the top of the
또한 구동 권상기(31a) 및 구동부(31)(이하 경우에 따라 '구동장치'라 칭하기로 한다)사 건물의 최상부에 위치하므로, 구동장치 및 제어반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특히 고층빌딩의 경우,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시 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accidents is high dur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한편 상기 구동장치를 승강통로(10)의 하부 바닥에 설치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machine roomless elevator in which the driv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of the
그런데 이 경우에는, 승강통로(10)의 하부에 구동장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설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drive device in the lower part of the
또한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ifting height of the elevat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actively respond to this.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가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되는 탑승카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를 제안한 바 있다.As a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boarding car self-driving elevator in which a driv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4에 도시된 탑승카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탑승카(20)의 천장 외면에 방음방진 패드(60)를 설치하고, 상기 방음방진 패드(60)에 구동 권상기(31a)와 구동부(31)를 설치하는 방식이다.In the self-driving elevator shown in FIG. 4, a soundproofing and
이로써 승강통로(10)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machine room in the
또한 현장의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간단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lift height of the elevator can be easily raised or lowered regardless of site conditions.
그런데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탑승카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는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elf-driving elevator shown in FIG. 4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첫째, 구동장치가 탑승카의 천장 외면에 설치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시 진동 및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First, since the driv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boarding car, a lot of vibration and noise ar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탑승카(20)의 상면에 방음방진 패드(60)를 설치하여도, 진동 및 소음이 탑승카(20)로 전달되는 것은 피할 수가 없다.Even if the soundproofing and
이로써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탑승의 쾌적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a passenger elevat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mfort of boarding is lowered.
둘째, 구동장치가 탑승카(20)의 상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탑승카(20)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균형추(40)의 무게도 증가하게 된다.Second, since the driv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로써,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의 크기 및 용량이 증가하게 되어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elevator increas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셋째, 구동장치가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점검 및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탑승카(20)의 상부에 올라가서 작업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Third, since the driv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구동 권상기를 균형추에 설치함으로써,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특히 탑승카 자체구동 엘리베이터의 단점의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installing a drive hoist on a counterweight, to provide an elevator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solving the disadvantages of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in particular, a self-driving elevator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시 건물 구조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a building structure when an elevator ascends or descen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균형추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균형추의 행정거리를 단축시켜, 균형추가 이동하는 상,하부 공간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ounterweight and shorten the stroke distance of the counterweigh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paces in which the counterweight moves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적재중량에서 균형추에 설치되는 구동장치 무게만큼 균형추의 중량을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counterweight by the weight of the driving device installed on the counterweight at the same loading weigh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에 작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총 하중을 감소시키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total load of an elevator device acting on a bui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를 간편하게 점검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asy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an elevator driv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장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 drive device at the top or bottom of the hoistwa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설치 현장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간단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y increase or decrease the lifting height of the elevator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si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 권상기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구동 권상기를 안전하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drive hoist and to safely inspect and maintain the drive hoi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통로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균형추와, 상기 탑승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 권상기와, 상기 구동 권상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복수의 시브를 개재하여 상기 탑승카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 권상기 및 구동부가 상기 균형추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이 건물 어느 한 층의 홀 도어 일측 벽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provided vertically inside an elevator passage of a building, a boarding car vertically ascending along the guide rail, and a weight of the boarding car and the boarding car. A counterweight for maintaining balance, a driving traction machin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oarding car,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driving traction machine, a wire rope connec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counterweight through a plurality of sheaves,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In the rope type elevator comprising a control panel for the rope type elevator, the driving hoist and the driving unit are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nd the control panel is built into one side wall of the hall door of any one floor of the building.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의 천장 외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타단은, 상기 균형추측 상부의 승강통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wire rope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boarding car,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is fixed to the hoistway at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또한 상기 균형추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의 로핑 횟수는, 상기 탑승카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의 로핑 횟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roping of the wire rope wound in the balance gues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roping of the wire rope wound on the boarding car side.
또한 상기 탑승카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는 3:1 로핑방식으로 로핑되고, 상기 균형추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는 4:1 로핑방식으로 로핑되어, 상기 탑승카와 균형추의 로핑비율은 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re rope wound on the boarding car side is roping in a 3: 1 roping method, and the wire rope wound in the balance guess is roping in a 4: 1 roping method, so that the roping ratio between the boarding car and the counterweight is 3: 4 to be characterized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는, 일단이 상기 탑승카의 천장 외면에 구비된 제1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카의 상부 승강통로에 구비되는 제1 시브,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시브, 상기 제2 시브의 상부 승강통로에 구비되는 제3 시브 및 제4 시브, 상기 균형추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동 권상기, 상기 구동 권상기의 상부 승강통로에 구비되는 제5 시브, 상기 균형추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6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상기 균형추측 상부 승강통로에 구비된 제2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re rop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boarding car, the first sheave provided in the upper lifting passage of the boarding car, the second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 The third sheave and the fourth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lifting passage of the second sheave, the driving hois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ance weight, the fifth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lifting passage of the driving hois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ance weigh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being wound around the sixth sheave in turn,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provided in the upper lifting passage of the balance guess.
또한 상기 구동 권상기와 구동부가 상기 균형추의 상면에 2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가 2개로 구비되어, 상기 탑승카와 균형추를 2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hoist and the driving unit are provided with two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nd the wire rope is provided with two, connecting the boarding car and the counterweight in two rows.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상기 탑승카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는 1:1 로핑방식으로 로핑되고, 상기 균형추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는 3:1 로핑방식으로 로핑되어, 상기 탑승카와 균형추의 로핑비율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rope wound on the boarding car side is roped in a 1: 1 roping method, and the wire rope wound in the balance guess is roped in a 3: 1 roping meth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ping ratio of the boarding car and the counterweight is 1:3.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는, 일단이 상기 탑승카의 천장 외면에 구비된 제1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카의 상부 승강통로에 구비되는 제3 시브 및 제4 시브, 상기 균형추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동 권상기, 상기 구동 권상기의 상부 승강통로에 구비되는 제5 시브, 상기 균형추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6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상기 균형추측 상부 승강통로에 구비된 제2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re rop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boarding car, the third sheave and the fourth sheave provided in the upper elevating passage of the boarding ca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fter being sequentially wound on the driving hoist, the fifth sheave provided in the upper lifting passage of the driving hoisting machine, and the sixth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ance weight, the other end is the second rope fixing part provided in the upper lifting passage of the balance weigh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상기 구동 권상기 및 구동부가 상기 균형추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이 탑승카의 천장 외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hoist and the driving unit are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nd the control panel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boarding car.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상기 구동 권상기 및 구동부가 상기 균형추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이 균형추의 상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hoist and the driving unit are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and the control panel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구동장치가 균형추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승강통로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vator driv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need to provide a separate machine room in the hoisting passage.
또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가 승강통로나 탑승카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균형추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므로, 탑승카 상면에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evator driving device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rather than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isting passage or the boarding car,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vibration and noise problems generated in the elevator in which the driv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특히 엘리베이터의 승강시 건물 구조체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탑승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noise and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building structure when the elevator goes up and dow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mfort of riding the elevator.
또한 구동장치가 균형추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구동장치의 자중 만큼 균형추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counterweight by the weight of the driving device.
이로써 동일한 적재중량에서 구동장치의 크기와 용량을 감소시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driving device at the same loading weight.
또한 구동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시, 균형추를 최하층에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점검 및 유지보수를 하면 된다.In addition, during the maintenance work of the driving device, after placing the counterweight on the lowest floor, the operator can perform inspection and maintenance.
이로써 작업자가 고층의 승강통로에 접근하거나 탑승카 상부에 올라갈 필요 없으므로,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for a worker to access a high-rise hoistway or climb on top of a boarding car,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또한 균형추의 로핑 횟수를 탑승카의 로핑 횟수보다 많게 함으로써, 탑승카의 승강거리에 비해 균형추의 승강거리를 단축시켜, 균형추가 이동하는 상,하부 공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aking the number of roping of the counterweight more than the number of roping of the boarding car, the lifting distance of the counterweight is shortened compared to the lifting distance of the boarding car,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upper and lower spaces in which the counterweight moves.
또한 와이어 로프가 종래의 1:1 또는 2:1 로핑이 아닌 3:1 또는 4:1 방식으로핑되므로, 대용량 엘리베이터까지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ire rope is roped in a 3: 1 or 4: 1 method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1: 1 or 2: 1 roping, there is an effect of expanding the range of application to large-capacity elevators.
또한 구동장치가 균형추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device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it is possible to reduce installation cost and shorten installation time.
특히 구동장치를 공장에서 균형추와 일체형으로 조립한 후 현장에 반입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구동장치 설치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driving device can be assembled integrally with the counterweight at the factory and then brought to the si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riving device can be omitted at the site.
또한 구동장치가 건물 구조체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지진이나 비상상황 발생시 외력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device is not installed on the building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of being less affected by external forces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or emergency.
또한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 권상기 및 구동부를 설치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installing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even in a field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driving hoist and a driving unit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hoisting passage.
특히 건설용 엘리베이터와 같이, 운행층의 높이를 높여가면서 사용할 경우, 각 층의 증설이 간편해지고, 이설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used while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operating floor, such as a construction elevator,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extension of each floor and facilitating the transfer.
또한 제어반이 기계실이나 승강통로 상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승강장 홀 도어의 측면, 탑승카의 상면 또는 균형추의 상면에 탑재되므로, 제어반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점검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panel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platform hall door,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car,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rather than being provided on the machine room or the hoistwa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rol panel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inspected and maintained.
또한 제어반 설치를 위해 승강통로를 확장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need to expand the hoisting passag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trol pane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측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탑승카 자체구동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설치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설치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설치위치를 나타낸 도면.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chine room-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arding car self-driving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엘리베이터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본 발명의 특징부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elevator has been described in the prior ar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following will mainly describ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5 and 6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통로(10)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균형추(40)와, 상기 탑승카(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 권상기(31a)와, 상기 구동 권상기(31a)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1)와, 복수의 시브들을 개재하여 상기 탑승카(20)와 균형추(4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50)와, 상기 구동부(3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 권상기(31a) 및 구동부(31)가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직접 설치된다.An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ail (not shown) provided vertically inside an
즉 본 발명은, 구동 권상기(31a)가, 승강통로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 승강통로 하부에 구비되는 피트, 승강통로의 상부, 승강통로의 측면 또는 탑승카 자체에 구비되는 종래의 기술들과 달리, 균형추(40)에 직접 설치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in which the driving hoist 31a is provided in a machine room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ing passage, a pi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isting passage, the upper part of the hoisting passage, the side of the hoisting passage, or the boarding car itself. ,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상기한 구조에 의해, 구동 권상기(31a)가 탑승카(20)의 상면에 장착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엘리베이터 운행시의 진동 및 소음을 크게 줄일 수가 있다.Due to the above structure, vibration and noise during elevator operation can b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which the driving hoist 31a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또한 구동 권상기(31a)가 탑승카(20)의 상면에 장착되는 종래 기술에 비해, 탑승카(20)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균형추(40)의 중량도 줄일 수가 있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which the
이로써 동일한 적재하중 대비 구동장치의 크기와 용량을 줄여, 엘리베이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driving device for the same load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elevator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의 로핑 방식이 종래기술과 상이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n the roping method of the wire rope.
즉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탑승카(20)의 천장 외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타단은, 균형추(40)측 상부의 승강통로(10)에서 고정된다.That is, one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형추(40)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50)의 로핑 횟수가, 상기 탑승카(20)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50)의 로핑 횟수보다 많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number of roping of the
이로써 탑승카(20)의 승강거리에 비해 구동장치가 장착된 균형추(40)의 승강거리가 짧아지게 되므로, 균형추(40)가 이동하는 상,하부 공간을 줄일 수가 있다.As a result, since the lifting distance of the
여기서 상기 탑승카(20)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1 로핑방식으로 로핑되고, 상기 균형추(40)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50)는 4:1 로핑방식으로 로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s shown in FIG. 5, the
이 경우 상기 탑승카(20)와 균형추(40)의 로핑비율은 3:4가 되어, 균형추(40)의 행정거리는 탑승카(20)의 행정거리의 3/4이 된다.In this case, the roping ratio between the boarding
이로써 엘리베이터의 운행 시, 균형추(40)의 행정거리를 탑승카(20)의 행정거리보다 짧게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elevator operates, the travel distance of the
상기 탑승카(20)와 균형추(40)의 로핑비율이 3:4일 경우, 상기 와이어 로프(50)는, 일단이 상기 탑승카(20)의 천장 외면에 구비된 제1 로프 고정부(F1)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카(20)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1 시브(S1),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시브(S2), 상기 제2 시브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3 시브(S3) 및 제4 시브(S4),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동 권상기(31a), 상기 구동 권상기(31a)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5 시브(S5),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6 시브(S6)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상기 균형추(40)측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된 제2 로프 고정부(F2)에 고정된다.When the roping ratio of the boarding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 권상기(31a)와 구동부(31)가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2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50)가 2개로 구비되어 상기 탑승카(20)와 균형추(40)를 2열로 연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riving hoist 31a and the driving
상기한 방식에 의해, 중,대형의 고하중용 엘리베이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By the above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edium and large heavy load elevators.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시공비용도 절감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machine room in order to install the driving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별도의 기계실이 없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증축 및 이설도 용이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eparate machine room, the height of the elevator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extension and relocation of the elevator is also facilitated.
또한 구동장치가 탑승카(20)의 상면에 장착되는 경우에 비해, 탑승카(20)로 직접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크게 줄여 탑승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driving device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ing
또한 구동장치의 자중만큼 탑승카(20)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균형추(40)의 중량도 감소시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boarding
특히 본 발명은, 건설용 엘리베이터와 같이 건물의 외부에서 건물의 층고를 높여가면서 사용할 경우, 각 층을 쉽게 증설할 수가 있고, 건축이 완료된 후 엘리베이터를 쉽게 이설할 수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ile increasing the floor height of a building from the outside of a building, such as a construction elevator, each floor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elevator can be easily moved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반(32)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통로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 승강통로 하부에 구비되는 피트, 승강통로의 상부, 승강통로의 측면 등에 구비되는 종래의 기술들과 달리, 건물 어느 한 층의 홀 도어(10a) 일측 벽면에 내장된다. 예컨대 건물 최상층의 홀 도어 일측에 내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즉 엘리베이터 제어반(32)이, 승강장 벽면에 구비되는 소화전과 같은 방식으로 내장되므로, 제어반(32)을 쉽게 설치할 수가 있고, 제어반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탑승카(20)측 와이어 로프(50)의 로핑 방식을 변경한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ping method of the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카(20)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50)는 1:1 로핑방식으로 로핑되고, 상기 균형추(40)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50)는 3:1 로핑방식으로 로핑된다.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여기서 상기 와이어 로프(50)는, 일단이 상기 탑승카(20)의 천장 외면에 구비된 제1 로프 고정부(F1)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카(20)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3 시브(S3) 및 제4 시브(S4),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동 권상기(31a), 상기 구동 권상기(31a)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5 시브(S5)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된 제2 로프 고정부(F2)에 고정된다.Here,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승카(20)와 균형추(40)의 로핑비율이 1:3가 되어, 탑승카(20)의 승강거리에 비해 균형추(40)의 승강거리를 1/3로 줄일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ping ratio between the boarding
즉 균형추(40)가 1m 승강할 경우 탑승카(20)는 3m를 승강하게 되므로, 균형추(40)가 이동하는 상,하부 공간을 더욱 크게 줄일 수가 있다.That is, when the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서 제어반(32)의 설치위치를 변경한 것이다.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승강통로(10)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균형추(40)와, 상기 탑승카(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 권상기(31a)와, 상기 구동 권상기(31a)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1)와, 복수의 시브를 개재하여 상기 탑승카(20)와 균형추(4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50)와, 상기 구동부(3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 권상기(31a) 및 구동부(31)가,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32)이 상기 탑승카(20)의 천장 외면에 탑재된다.That is,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includes a guide rail provided vertically inside an
여기서 상기 와이어 로프(50)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일단이 상기 탑승카(20)의 천장 외면에 구비된 제1 로프 고정부(F1)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카(20)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1 시브(S1),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시브(S2), 상기 제2 시브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3 시브(S3) 및 제4 시브(S4),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동 권상기(31a), 상기 구동 권상기(31a)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5 시브(S5),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6 시브(S6)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상기 균형추(40)측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된 제2 로프 고정부(F2)에 고정될 수 있다.Her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50)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일단이 상기 탑승카(20)의 천장 외면에 구비된 제1 로프 고정부(F1)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카(20)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3 시브(S3) 및 제4 시브(S4),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동 권상기(31a), 상기 구동 권상기(31a)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5 시브(S5)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된 제2 로프 고정부(F2)에 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상기한 제3 실시예에서 제어반(32)의 설치위치를 변경한 것이다.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권상기(31a) 및 구동부(31)가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32)이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탑재된다.That i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driving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와 제어반(32)이 모두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되므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더욱 간편해지고 안전해진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elevator driving device and the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승강통로 10a: 홀 도어(Hall Door)
20: 탑승카 20a; 탑승카 도어
30: 기계실 31: 구동부
31a: 구동 권상기 32: 제어반
33: 중간시브 40: 균형추(Counterweight)
50: 와이어 로프(Wire Rope) 60: 방음방진 패드(Pad)
F1: 로프 제1 고정부 F2: 로프 제2 고정부
S1: 제1 시브(Sheave) S2: 제2 시브
S3: 제3 시브 S4: 제4 시브
S5: 제5 시브 S6: 제6 시브10: hoistway 10a: hall door
20: boarding
30: machine room 31: driving unit
31a: driving hoist 32: control panel
33: Intermediate sheave 40: Counterweight
50: Wire Rope 60: Soundproof and Anti-vibration Pad
F1: rope first fixing part F2: rope second fixing part
S1: first sheave S2: second sheave
S3: third sheave S4: fourth sheave
S5: fifth sheave S6: sixth sheave
Claims (14)
상기 구동 권상기(31a) 및 구동부(31)가,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32)이,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탑재되며,
상기 탑승카(20)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50)는 3:1 로핑방식으로 로핑되고,
상기 균형추(40)측에서 감기는 와이어 로프(50)는 4:1 로핑방식으로 로핑되어,
상기 탑승카(20)와 균형추(40)의 로핑비율은 3:4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50)는,
일단이 상기 탑승카(20)의 천장 외면에 구비된 제1 로프 고정부(F1)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카(20)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1 시브(S1),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 시브(S2), 상기 제2 시브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3 시브(S3) 및 제4 시브(S4),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동 권상기(31a), 상기 구동 권상기(31a)의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되는 제5 시브(S5),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6 시브(S6)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상기 균형추(40)측 상부 승강통로(10)에 구비된 제2 로프 고정부(F2)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 권상기(31a)와 구동부(31)가 상기 균형추(40)의 상면에 2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50)가 2개로 구비되어 상기 탑승카(20)와 균형추(40)를 2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A guide rail provided vertically inside the elevator shaft 10 of a building, a boarding car 20 vertically ascending along the guide rail, and a counterweight 40 for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with the boarding car 20 ), a driving traction machine 31a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oarding car 20, a driving unit 31 for operating the driving traction machine 31a, and a plurality of sheaves, the boarding car 20 and the counterweight In a rope type elevator comprising a wire rope 50 connecting the 40 and a control panel 32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31,
The drive traction machine 31a and the drive unit 31 are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ance weight 40,
The control panel 3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ance weight 40,
The wire rope 50 wound on the side of the boarding car 20 is roped in a 3: 1 roping method,
The wire rope 50 wound on the balance weight 40 side is roped in a 4: 1 roping method,
The roping ratio of the boarding car 20 and the counterweight 40 is 3:4,
The wire rope 50,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part (F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boarding car (20), and the first sheave (S1) provided in the upper hoistway (10) of the boarding car (20), boarding The second sheave (S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20), the third sheave (S3) and the fourth sheave (S4) provided in the upper elevation passage (10) of the second sheave, the counterweight (40) The drive hoist 31a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 fifth sheave S5 provided on the upper elevation passage 10 of the drive hoist 31a, and the sixth sheave S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40 After winding in turn,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part (F2) provided in the upper elevating passage (10) on the counterweight (40) side,
The driving hoist 31a and the driving unit 31 are provided with two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ance weight 40,
The wire rope 50 is provided in two to connect the boarding car 20 and the counterweight 40 in two rows. Rope type elevator for passengers, cargo, cargo, and construction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3446A KR102566304B1 (en) | 2023-05-17 | 2023-05-17 |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3446A KR102566304B1 (en) | 2023-05-17 | 2023-05-17 |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6304B1 true KR102566304B1 (en) | 2023-08-11 |
Family
ID=8756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3446A KR102566304B1 (en) | 2023-05-17 | 2023-05-17 |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6304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4686A (en) | 2000-04-01 | 2001-11-01 | 백영문 |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inch of machine-roomless elevator |
JP2003040553A (en) * | 2001-07-31 | 2003-02-13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
JP2004010212A (en) * | 2002-06-04 | 2004-01-15 | Shirai Eremeka:Kk | Machine-roomless elevator |
WO2004074157A1 (en) * | 2003-02-19 | 2004-09-0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
JP2004250210A (en) * | 2003-02-21 | 2004-09-09 | Toshiba Elevator Co Ltd | Control device for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KR20060124845A (en) | 2005-05-26 | 2006-12-06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
KR102308534B1 (en) * | 2021-06-01 | 2021-10-05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KR102480892B1 (en) | 2022-10-19 | 2022-12-26 | 삼안엘리베이터(주) | Bottom driving elevator |
-
2023
- 2023-05-17 KR KR1020230063446A patent/KR10256630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4686A (en) | 2000-04-01 | 2001-11-01 | 백영문 |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inch of machine-roomless elevator |
JP2003040553A (en) * | 2001-07-31 | 2003-02-13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
JP2004010212A (en) * | 2002-06-04 | 2004-01-15 | Shirai Eremeka:Kk | Machine-roomless elevator |
WO2004074157A1 (en) * | 2003-02-19 | 2004-09-0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
JP2004250210A (en) * | 2003-02-21 | 2004-09-09 | Toshiba Elevator Co Ltd | Control device for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KR20060124845A (en) | 2005-05-26 | 2006-12-06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
KR102308534B1 (en) * | 2021-06-01 | 2021-10-05 |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KR102480892B1 (en) | 2022-10-19 | 2022-12-26 | 삼안엘리베이터(주) | Bottom driving elev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1568B2 (en) |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 |
KR102204157B1 (en) | Self-driving type elevator having 4 direction entrance doors | |
KR102308534B1 (en) |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
KR101245570B1 (en) |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 |
KR102308532B1 (en) | Rope type self-driving inclined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
JP2004504239A (en) | Elevator equipment using the smallest building space | |
JP3991657B2 (en) | elevator | |
KR100870389B1 (en) | Elevator device | |
JPH11139730A (en) | Elevator | |
JP2000344430A (en) | Double deck elevator | |
JP2006256760A (en) | Elevator device | |
JP4376585B2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device | |
JP2001063935A (en) | Elevator device | |
KR102566304B1 (en) | Rope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freight, construction which traction machine is installed on counterweight | |
JP4091326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2402799B1 (en) | Rope and twin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car for heavy duty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
KR101923925B1 (en) | Rope type elevator apparatus of high speed and heavy road and mast structure equipped with crane for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 | |
JPWO2004050528A1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2378202B1 (en) | Rope and single mast type car self-driving lift having twin car without machine room and hoistway structure | |
EP1741660A1 (en) | Elevator apparatus | |
JP2505628B2 (en) | Double deck elevator | |
JP2001097649A (en) | Elevator device | |
KR102548320B1 (en) | Flat belt type self-driving elevator for passenger and freight without machine room | |
KR102443566B1 (en) | Big size and super big size elevator to prevent fall of vertical type door panel and to shorten opening and closing time of door panel | |
EP1914188B1 (en) | Elevat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