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011B1 - Shoes - Google Patents
Sho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5011B1 KR102455011B1 KR1020210007949A KR20210007949A KR102455011B1 KR 102455011 B1 KR102455011 B1 KR 102455011B1 KR 1020210007949 A KR1020210007949 A KR 1020210007949A KR 20210007949 A KR20210007949 A KR 20210007949A KR 102455011 B1 KR102455011 B1 KR 1024550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lace
- sliding
- shoe
- sliding part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을 신는 행위만으로 신발끈이 자동으로 조여지도록 하고, 신발을 벗는 행위만으로 신발끈이 자동으로 느슨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내부에 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서로 이격 및 대향되며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신발끈 결속수단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게 되는 발가락에 밀려 지지부의 전방으로 전진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두갈래로 나뉘어지되,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신발끈의 일측 갈래와 타측 갈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진 시 상기 신발끈이 조여지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진 시 원위치 될 수 있도록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유도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the shoelace can be automatically tightened only by the act of putting on the shoe, and the shoelace can be automatically loosened only by the act of taking the shoe of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in which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foot i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shoelace binding means arranged to form a row while being spaced apart and facing each other on one surfac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sole of the foo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art; a sliding part pushed forward by the toe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n the support part;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sliding part and divided into two parts, each connected to one prong and the other prong of the shoelace through the body part, and providing a pulling force so that the shoelace is tightened when the sliding part advances; and a return induction par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providing a return force so that the sliding par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moving forw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는 행위만으로 신발끈이 자동으로 조여지도록 하고, 신발을 벗는 행위만으로 신발끈이 자동으로 느슨해지도록 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capable of automatically tightening a shoelace only by an act of putting on a shoe, and automatically loosening a shoelace only by an act of taking off the shoe.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밀착되도록 신발끈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신발끈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과 사용자 발의 밀착성을 높여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In general, shoes are provided so that the shoelaces are connected in a zigzag form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ze of the user's feet, and by pulling and tightening the shoelaces, the adhesion between the shoes and the user's feet is increased to enable comfortable walking.
물론, 신발은 보행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로 선택되어야 하고, 벗고 신기에 적당하도록 신발끈을 다소 느슨하게 묶은 상태에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나, 보행시에 신발이 발을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꼭 맞도록 신발끈을 조여 주는 것이 발의 건강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Of course, shoes should be selected in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y do not come off when walking, and it is common to wear shoes with the shoelaces tied slightly loosely so that they are suitable for taking off and wearing them. It is known that tightening the shoelaces to fit is good for the health of the feet.
그러나, 신발을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당히 묶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나, 일반 보행시에도 신발끈이 풀어져 걸음을 멈추고 신발끈을 다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기도 하고, 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신발끈의 양단부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단정치 못한 느낌을 줄 수도 있으며, 신발끈이 긴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However, since it is very cumbersome to untie or tighten the shoelaces every time you take off your shoes, it is common to wear shoes while keeping them properly tied except in special cas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tie the laces may be caused, and both ends of the shoelaces may not be fixed even in a state where they are not loosened, which may give an untidy feeling, even more so if the shoelaces are long.
더욱이,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풀었다 조이는 일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동 중 쉬는 시간에는 꽉 조여진 신발끈을 풀러야 편안하게 쉴 수 있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발끈을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어야만 한다.Moreover, in the case of children or the elderly, it is not easy to untie and tighten the shoelaces, and during a break during exercise, it is necessary to untie the tight shoelaces to rest comfortably. should be able to solve
그러나, 종래의 신발은 벗을 경우에는 신발끈의 매듭을 다시 풀고, 신발을 신는 경우에는 다시 신발의 매듭을 묶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oe has an inconvenient problem in that the knot of the shoelace must be untied again when the shoe is taken off, and the knot of the shoe must be tied again when the shoe is put 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을 신는 행위만으로 신발끈이 자동으로 조여지도록 하고, 신발을 벗는 행위만으로 신발끈이 자동으로 느슨해지도록 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shoe capable of automatically tightening a shoelace only by putting on a shoe, and allowing the shoelace to automatically loosen only by an act of taking off the shoe.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내부에 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서로 이격 및 대향되며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신발끈 결속수단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게 되는 발가락에 밀려 지지부의 전방으로 전진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두갈래로 나뉘어지되,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신발끈의 일측 갈래와 타측 갈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진 시 상기 신발끈이 조여지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진 시 원위치 될 수 있도록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유도부;를 포함한다.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in which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foot i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shoelace binding means arranged to form a row while being spaced apart and facing each other on one surfac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sole of the foo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art; a sliding part pushed forward by the toe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n the support part;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sliding part and divided into two parts, each connected to one prong and the other prong of the shoelace through the body part, and providing a pulling force so that the shoelace is tightened when the sliding part advances; and a return induction par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providing a return force so that the sliding par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moving forward.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소정영역을 가리면서 후진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가 더 형성된다.In addition, a limiting part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to limit a backward distance while cover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liding part.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는 발가락에 푸쉬되는 푸쉬편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ush piece that is pushed to the toe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unit.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푸쉬편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부착되는 제1,2 홀딩부를 더 포함한다.And, it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holding parts respecti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push piece of the main body and attach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면 양측에 신발끈의 일부분이 각각 접촉되고,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hoelace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신발끈 중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접촉된 부분 및 본체부의 발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결속수단을 관통한 부분에 공동으로 연결되며,The connection part is jointly connected to a part of the shoel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part that penetrates the binding means located closest to the exit opening of the body part,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설포가 상승될 경우 상기 신발끈이 상승되어 신발끈의 조임력이 해제된다.When the tongue constituting the main body is raised, the shoelace is raised to release the tightening force of the shoelace.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접촉된 신발끈 부위와 상기 연결부를 덮어서 가리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고정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한다.And, it further includes a finishing portion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cover and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hoelac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진에 의해 이탈될 시 일부분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부가 있던 위치로 상승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스토퍼에 고정되며 일부분이 상기 본체부의 후면 또는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를 지지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거나 또는, 하 방향으로 당길 시 상기 스토퍼의 일정영역이 하강되어 슬라이딩부에 대한 스토퍼의 지지력이 해제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is disposed below the sliding part, when the sliding part is separated by forward movement, a part of the stopper is raised to the position where the sliding part was by an elastic force to support the sliding part; and a spacer part which is fixed to the stopper in the receiving space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a rear surface or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When a certain area of the stopper is lowered, the support force of the stopper with respect to the sliding part is released.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을 신는 행위만으로 신발끈이 자동으로 조여져 신발이 발의 윤곽에 맞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신발을 벗는 행위만으로 신발끈이 자동으로 느슨해짐으로, 신발을 용이하게 벗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lace is automatically tightened only by the act of putting on the shoe so that the sho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our of the foot, and the shoelace is automatically loosened only by the act of taking off the shoe, so that the shoe can be easily taken off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지지부, 슬라이딩부, 제한부, 제1 홀딩부 및 스토퍼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슬라이딩부가 후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슬라이딩부, 연결부, 복귀부 및 제1 홀딩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지지부, 슬라이딩부, 스토퍼, 제1 홀딩부, 제2 홀딩부 및 스토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지지부, 슬라이딩부, 스토퍼, 스토퍼가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지지부, 슬라이딩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연결부가 신발끈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portion, a sliding portion, a limiting portion, a first holding portion and a stopper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versed state of the sliding unit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liding part, the connection part, the return part and the first holding part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support unit, the sliding unit, the stopper, the first holding unit, the second holding unit and the stopper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 the sliding part, the stopper, and the stopper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side the body part.
7 and 8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upport part and the sliding part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hoelac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지지부, 슬라이딩부, 제한부, 제1 홀딩부 및 스토퍼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슬라이딩부가 후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슬라이딩부, 연결부, 복귀부 및 제1 홀딩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지지부, 슬라이딩부, 스토퍼, 제1 홀딩부, 제2 홀딩부 및 스토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지지부, 슬라이딩부, 스토퍼, 스토퍼가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지지부, 슬라이딩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적용된 연결부가 신발끈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 sliding part, a limiting part, a first holding part and a stopper applied to a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versed state of the sliding part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support part, the sliding part, the stopper, the first holding part, the second holding part, and the stopper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FIGS. 7 and 8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upport and sliding parts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nection part applied to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connected to a shoelace.
본 발명에 따른 신발(1)은 본체부(10), 지지부(20), 슬라이딩부(30), 연결부(40), 복귀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본체부(10)는 지면에 접지되는 바닥부(11), 바닥부(11)와 연결되어 발의 상부를 감싸는 제1 갑피(12), 제1 갑피(12)와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설포(13), 제1 갑피(12)와 연결되어 발의 뒷 부분을 감싸는 제2 갑피(14)로 구성되며, 본체부(1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출입되는 발출입구(10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The
제1 갑피(12)와 제2 갑피(14)는 신발(1)의 전체적인 구조와 디자인을 결정하는 부분으로서, 발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1)의 상부를 둘러싸는 구조이다.The first upper 12 and the second upper 14 are parts that determine the overall structure and design of the
제1 갑피(12)의 대략 상면 중앙부분에는 복수개의 신발끈 결속수단(1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shoelace binding means 16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12 .
결속수단(12a)은 신발끈(16)이 관통하도록 홀로 형성되거나 또는, 신발끈(16)이 관통하는 중공을 갖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홀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binding means 12a may be formed as a hole through which the
이러한 결속수단(12a)에는 신발끈(16)이 결속되어 발과 신발(1)을 밀착시키게 된다.The
제1 갑피(12)의 양측에는 후술되는 연결부(40)가 관통하는 관통홀(12b)이 형성된다.A through
제1 갑피(12)의 전면 하부에 위치된 중창(15)은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상 EVA소재, 파일론 파일라이트 소재 등으로 제작된다.The
바닥부(11)는 중창(15)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과 직접 닿는 부분으로서, 저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기능을 가지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된다.The
지지부(20)는 본체부(10)의 수용공간에서 발바닥을 지지한다.The
지지부(20)는 깔창이거나 또는 전술한 바닥부(11) 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깔창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에는 중앙에서 선단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레일홈(21) 및 레일홀(22)이 서로 상,하 방향으로 단차진 구조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 in the
레일홈(21) 및 레일홀(22)로 인해 지지부(20)에는 슬라이딩부(30)를 지지하면서 슬라이딩부(30)의 작동을 가이드하는 단턱(23)이 형성된다.Due to the
레일홈(21)은 후술되는 슬라이딩부(3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레일홀(22)은 후술되는 연결부(40)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The
이때, 전술한 선단은 발가락이 위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aforementioned tip may be a portion where the toes are located.
그리고, 지지부(20)에는 중앙에서 후단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고정홀(24)이 형성된다. 고정홀(24)에는 후술되는 스토퍼(100)가 고정된다.In addition, a
이때, 전술한 후단은 발의 뒤꿈치가 위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forementioned rear end may be a portion where the heel of the foot is located.
그리고, 레일홀(22)과 고정홀(24)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슬라이딩부(30)는 다각형이나 곡선형 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대략'ㄴ'자 단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sliding
슬라이딩부(30)는 레일홈(21)에 수용되어 단턱(23)에 안착된다.The
슬라이딩부(30)는 레일홈(21) 및 스토퍼(100)의 상면을 따라 지지부(20)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슬라이딩부(30)의 선단 상면에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가락에 푸쉬되는 푸쉬편(31)이 형성된다.A
이때, 푸쉬편(31)은 발가락의 선단과 대응되게 곡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슬라이딩부(30)에는 후술되는 복귀부(50)의 당김력이 제공되는 바, 푸쉬편(31)이 슬라이딩부(30)와 함께 후진되려는 작용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푸쉬편(31)이 수용공간에 위치된 발가락을 가압하여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이를 방지하기 위해 푸쉬편(31)에는 제1 홀딩부(70)가 형성되고, 본체부(10)의 내벽면에는 제1 홀딩부(70)와 대향되는 제2 홀딩부(80)가 형성된다.To prevent this, a first holding
하나의 예시에서, 제1 홀딩부(70)와 제2 홀딩부(80)는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홀딩부(70)와 제2 홀딩부(80) 중 어느 하나는 자석 재질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금속과 같이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holding
따라서, 슬라이딩부(30)가 지지부(20)의 선단까지 전진되면 제1 홀딩부(70)와 제2 홀딩부(80)가 자력을 통해 부착되어, 신발(1)을 착용중에 슬라이딩부(30)가 복귀부(5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liding
연결부(4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연결부(40)는 중앙부분이 슬라이딩부(30)의 선단에 적어도 1회 이상 감기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The
이때, 슬라이딩부(30)에는 연결부(40)를 고정하기 위한 결속홀(30a)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결속홀(30a)은 2개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30)의 전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이러한 결속홀(30a)들에 연결부(40)를 여러 번 통과시키면서 감은 후 매듭을지어 고정하면 된다.After winding while passing the
따라서, 연결부(40)는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두갈래로 나뉘어진다.Accordingly, the
연결부(40)의 제1 갈래(41)는 제1 갑피(12)의 좌측에 형성된 관통홀(12b)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제2 갈래(42)는 제1 갑피(12)의 우측에 형성된 관통홀(12b)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The
그리고, 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된 제1 갈래(41)는 본체부(10)의 좌측에 위치된 신발끈(16)의 좌측 갈래에 고정되고, 제2 갈래(42)는 본체부(10)의 우측에 위치된 신발끈(16)의 우측 갈래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신발끈(16)은 느슨한 상태로 제1 갑피(12)의 외면에 각각 접촉된다.At this time, the
즉, 제1 갑피(12)의 외면 양측 외면에 신발끈(16)의 일부분이 각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That is, a portion of the
하나의 예시에서, 신발끈(1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째에 위치한 결속수단(12a-1)을 관통하는 제1 부분(16a)과 4번째에 위치한 결속수단(12a-2)을 관통하는 제2 부분(16b) 및 본체부(10)의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결속수단(12a-3)을 관통한 제3 부분(16c)의 일정영역이 제1 갑피(12)의 외면에 접촉되고, 제1 갈래(41)와 제2 갈래(42)가 제1 갑피(12)의 양측에서 각각 제1 부분(16a)과 제2 부분(16b) 및 제3 부분(16c)에 공동으로 고정된다.In one example,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1)은 이와 같이 제1 갑피(12)의 외면에 접촉된 신발끈(16)과 연결부(40)를 덮어서 가리도록 제1 갑피(12)의 외면에 고정되는 마감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마감부는 제1 갑피(1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신발(1)의 디자인을 우수하게 하기 위한 로고, 문양, 그림 등 다양한 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The finishing par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upper 12 , and various contents such as a logo, a pattern, a picture, etc. for improving the design of the
복귀부(50)는 일측이 스토퍼(100) 또는 제한부(60)에 고정되고 타측은 슬라이딩부(30)에 결합된다.One side of the
복귀부(50)는 고무줄, 코일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복귀부(50)는 슬라이딩부(30)가 전진 시 팽창되어 슬라이딩부(30)에 복귀력을 부여한다.Accordingly, the
이때, 제1 홀딩부(70)와 제2 홀딩부(80)의 이격작동은 사용자가 신발(1)을 벗을 때 발가락으로 슬라이딩부(30)를 쓸어 당김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first holding
제1 홀딩부(70)가 제2 홀딩부(80)에서 이격되면 복귀부(50)가 수축작용에 의해 원래의 길이로 돌아와 슬라이딩부(30)가 후진되어 스토퍼(100)의 상면에 위치된다.When the first holding
지지부(20)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부(30)의 후진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60)가 결합된다.A limiting
제한부(6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miting
제한부(60)는 지지부(20)의 전체 면적 중 약 1/2 이상을 가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miting
제한부(60)는 고정홀(24) 전체를 가리고, 레일홈(21)에 위치된 슬라이딩부(30)의 소정영역만 가린다.The limiting
그리고, 제한부(60)는 선단이 푸쉬편(31)과 마주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30)는 후진되다가 푸쉬편(31)이 제한부(60)에 걸리게 되면 멈추게 된다.And, the front end of the
스토퍼(100)는 수평부(101), 수평부(101)의 일단에서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경사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스토퍼(100)는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형성된다.The
스토퍼(100)는 고정홀(24) 상에서 슬라이딩부(30)의 하측에 배치된다.The
경사부(102)는 슬라이딩부(30)가 후진 시, 슬라이딩부(30)에 의해 하 방향으로 가압되고, 슬라이딩부(30)가 전진에 의해 이탈될 시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부(30)가 있던 위치로 상승된다.When the sliding
이와 같은 경우, 경사부(102)의 선단이 슬라이딩부(30)의 후단을 지지하게 되어, 슬라이딩부(30)에 복귀부(50)의 복귀력이 작용되더라도 슬라이딩부(30)가 후진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푸쉬편(31)이 발가락을 가압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ront end of the
이격부(110)는 사용자가 신발(1)을 벗고자 할 경우 지지부(20)에 대한 경사부(102)의 지지력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줄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공간에서 경사부(102)에 고정된다.The
이격부(110)는 낚시줄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부(102)에 감겨져 고정될 수 있다.Th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격부(110)는 일부분이 본체부(10)의 후면인 제2 갑피(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ortion of th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갑피(14)에는 외부로 돌출된 이격부(1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fixing means for fixing the
고정수단은 신발(1)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ㅏ'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ans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A'-shaped cross-sectional shape when the
따라서, 고정수단에 이격부(110)를 감아서 고정하면 된다.Therefore, it is sufficient to wind the spaced
다른 일 예로, 이격부(110)는 일부분이 바닥부(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이와 같이 이격부(110)가 바닥부(11)를 관통하는 경우에도 제2 갑피(14)에 전술한 고정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Even when the
이와 같은 경우, 이격부(110)는 일부분이 바닥부(11)의 저면에 접하고, 일부분은 상 방향으로 절곡되어 고정수단에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nique effect appearing in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신발(1)을 착용하면서 발가락으로 푸쉬편(31)을 밀면 스토퍼(1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던 First, when the user pushes the
슬라이딩부(30)가 전진되고, 이로 인해 연결부(40)가 슬라이딩부(30)를 따라 이동하면서 신발끈(16)을 당긴다. The sliding
즉, 연결부(40) 중 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신발끈(16)에 연결된 부분이 슬라이딩부(30)의 이동거리 만큼 본체부(10)의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신발끈(16)을 당기게 됨으로, 신발끈(16)이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ortion of the connecting
아울러, 슬라이딩부(30)가 전진되면 복귀부(50)는 팽창되는바, 슬라이딩부(30)에 의해 하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던 경사부(102)는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슬라이딩부(30)의 끝단을 지지하며, 제1 홀딩부(70)는 제2 홀딩부(80)가 부착되어 슬라이딩부(30)가 복귀부(50)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되지 아니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sliding
그리고, 신발(1)을 착용한 이후에는 이격부(110)를 고정수단에 고정하면 된다.And, after wearing the shoes (1), it is enough to fix the
한편, 신발(1)을 벗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고정수단에 고정되어 있던 이격부(110)를 당겨 경사부(102)가 하 방향으로 휘어지는 형태로 하강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take off the shoe (1), first pull the spaced
이와 같은 경우 경사부(102)와 슬라이딩부(30)가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게 되어, 슬라이딩부(30)에 대한 경사부(102)의 지지력이 해제된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발가락으로 슬라이딩부(30)의 상면을 지지부(20)의 후단 방향으로 밀면서 신발(1)을 벗으면 제1 홀딩부(70)가 제2 홀딩부(80)에서 이격되어 슬라이딩부(30)에 복귀부(50)의 작용이 즉시 적용되어 슬라이딩부(30)가 원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다.In this state, when the
또한, 사용자가 신발(1)을 벗는 과정에서 발등으로 설포(13)를 상승시키게 되는 바, 설포(13) 상에 위치된 신발끈(16)도 함께 상승 작용하게 되어 신발끈(16)에 연결된 연결부(40)가 수용공간에서 소정길이 인출된다.In addition, as the user raises the
이로 인해 제1 갑피(12)에 대한 신발끈(16)의 조임력이 해제되며, 결국, 신발끈(16)이 느슨해져 쉽게 신발(1)을 벗는 것이 가능하다.Due to this, the tightening force of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 신발 10 : 본체부
10a : 발출입구 11 : 바닥부
12 : 제1 갑피 12a : 결속수단
12b : 관통홀 13 : 설포
14 : 제2 갑피 15 : 중창
16 : 신발끈 20 : 지지부
21 : 레일홈 22 : 레일홀
23 : 단턱 24 : 고정홀
30 : 슬라이딩부 31 : 푸쉬편
40 : 연결부 41 : 제1 갈래
42 : 제2 갈래 50 : 복귀부
60 : 제한부 70 : 제1 홀딩부
80 : 제2 홀딩부 100 : 스토퍼
101 : 수평부 102 : 경사부
110 : 이격부1: shoes 10: body part
10a: entry/exit 11: bottom
12: first upper 12a: binding means
12b: through hole 13: tongue
14: second upper 15: midsole
16: shoelace 20: support part
21: rail groove 22: rail hole
23: step 24: fixing hole
30: sliding part 31: push piece
40: connection part 41: first branch
42: second branch 50: return part
60: limiting part 70: first holding part
80: second holding part 100: stopper
101: horizontal part 102: inclined part
110: separation part
Claims (7)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게 되는 발가락에 밀려 지지부의 전방으로 전진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두갈래로 나뉘어지되,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신발끈의 일측 갈래와 타측 갈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진 시 상기 신발끈이 조여지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진 시 원위치 될 수 있도록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유도부;를 포함하는 신발.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foot is accommodated, and having a plurality of shoelace binding means arranged to form a row while being spaced apart and facing each other on one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sole of the foo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art;
a sliding part pushed forward by the toe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n the support part;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sliding part and divided into two parts, each connected to one prong and the other prong of the shoelace through the body part, and providing a pulling force so that the shoelace is tightened when the sliding part advances; and
A shoe including a;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provides a return force so that the sliding un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moving forward.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소정영역을 가리면서 후진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가 더 형성되는 신발.
According to claim 1,
A shoe further having a limit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to limit a backward distance while cover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liding portion.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는 발가락에 푸쉬되는 푸쉬편이 형성되는 신발.
According to claim 1,
A shoe in which a push piece to be pushed to the to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art.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푸쉬편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부착되는 제1,2 홀딩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hoe furth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holding parts respecti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push piece of the main body and attached to each other.
상기 본체부의 외면 양측에 신발끈의 일부분이 각각 접촉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신발끈 중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접촉된 부분 및 본체부의 발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결속수단을 관통한 부분에 공동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설포가 상승될 경우 상기 신발끈이 상승되어 신발끈의 조임력이 해제되는 신발.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shoelace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part is jointly connected to a part of the shoel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part that penetrates the binding means located closest to the exit opening of the body part,
When the tongue constituting the main body is raised, the shoelace is raised to release the tightening force of the shoelace.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접촉된 신발끈 부위와 상기 연결부를 덮어서 가리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고정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6. The method of claim 5,
Shoes further comprising a finishing portion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over and cover a shoelac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진에 의해 이탈될 시 일부분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부가 있던 위치로 상승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스토퍼에 고정되며 일부분이 상기 본체부의 후면 또는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를 지지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거나 또는, 하 방향으로 당길 시 상기 스토퍼의 일정영역이 하강되어 슬라이딩부에 대한 스토퍼의 지지력이 해제되는 신발.
According to claim 1,
a stopper disposed below the sliding part, and when the sliding part is separated by forward movement, a part of the stopper is raised to a position where the sliding part was due to an elastic force to support the sliding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spacer part fixed to the stopper in the receiving spac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When the separation part is pulled away from the support part or pulled downward, a certain area of the stopper is lowered to release the support force of the stopper for the slid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7949A KR102455011B1 (en) | 2021-01-20 | 2021-01-20 | Sho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7949A KR102455011B1 (en) | 2021-01-20 | 2021-01-20 | Sho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5358A KR20220105358A (en) | 2022-07-27 |
KR102455011B1 true KR102455011B1 (en) | 2022-10-14 |
Family
ID=8270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7949A KR102455011B1 (en) | 2021-01-20 | 2021-01-20 | Sho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5011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98867A1 (en) | 2004-03-12 | 2005-09-15 | Frederick Labbe | Self tying shoe |
KR101716442B1 (en) | 2016-12-16 | 2017-03-16 | 채성식 | Shoes function tension of the shoela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3229U (en) * | 1994-06-29 | 1996-01-22 | Pipe joint watering device | |
KR101635745B1 (en) | 2015-01-21 | 2016-07-04 | (주)경도상사 | Fastening apparatus for shoelace |
-
2021
- 2021-01-20 KR KR1020210007949A patent/KR1024550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98867A1 (en) | 2004-03-12 | 2005-09-15 | Frederick Labbe | Self tying shoe |
KR101716442B1 (en) | 2016-12-16 | 2017-03-16 | 채성식 | Shoes function tension of the shoela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5358A (en) | 2022-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58182B2 (en) | Footwear with reactive layers | |
US11589640B2 (en) | Article of footwear for soccer | |
US6427361B1 (en) | Variable ratio control shoe with automatic tying and untying shoelace | |
KR101875262B1 (en) | Easy access articles of footwear | |
US7757412B2 (en) | Footwear with improved heel support | |
US4458373A (en) | Laced shoe and method for tieing shoelaces | |
US8875418B2 (en) | Tendon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US5349764A (en) | Shoe securement apparatus | |
US20100275462A1 (en) | Shoe | |
US20070227045A1 (en) | Convertible dance show | |
US20180220743A1 (en) | Shoelace securing device | |
JP2023521586A (en) | shoelace unraveling prevention device | |
JP2020531231A5 (en) | ||
KR102455011B1 (en) | Shoes | |
KR200467145Y1 (en) | Footwear-string type footwear | |
KR20140140733A (en) | The shoelaces automatic untie and tie method and thereof device | |
US20150040360A1 (en) | Shoe lace clip for securing shoe laces without tying and method therefor | |
US10334909B2 (en) | Elastic shoelace with a ring | |
KR101003138B1 (en) | The string unity device of the shoes | |
KR100765244B1 (en) | A footwear string unity device | |
KR200273526Y1 (en) | Apparatus for binding a shoes string | |
KR102065465B1 (en) | Shoes bilaterally wearable | |
TWM512317U (en) | Shoes with adjustable length | |
US20240268516A1 (en) | Shoe assembly, detachable shoe cover and base, and assembling method | |
JP2660814B2 (en) | Shoes for exclusive use of pulling motion by backward leaning pos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