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122B1 - 원터치 고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원터치 고압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0122B1 KR102250122B1 KR1020190107011A KR20190107011A KR102250122B1 KR 102250122 B1 KR102250122 B1 KR 102250122B1 KR 1020190107011 A KR1020190107011 A KR 1020190107011A KR 20190107011 A KR20190107011 A KR 20190107011A KR 102250122 B1 KR102250122 B1 KR 1022501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socket
- plug
- groove
- stop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dditional seal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장치의 유압 호스나 냉각수 호스 등을 연결할 때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고 고압의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켓과 플러그의 체결 및 분리 시 확장되거나 복원되는 특성의 스톱링을 이용한 록킹 및 언록킹 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원터치 방식의 커넥터를 구현함으로써, 원터치 방식을 통해 체결 및 분리 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고,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고압의 조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켓과 플러그의 체결 및 분리 시 확장되거나 복원되는 특성의 스톱링을 이용한 록킹 및 언록킹 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원터치 방식의 커넥터를 구현함으로써, 원터치 방식을 통해 체결 및 분리 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고,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고압의 조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터치 고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장치의 유압 호스나 냉각수 호스 등을 연결할 때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고 고압의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퀵 커넥터(QUICK CONNECT)는 연결구를 말하는 것으로 호스 또는 파이트 수단을 이용하여 물, 기름, 가스, 에어 등의 유체를 원거리로 이동시킬 때 호스와 호스, 파이프와 파이프 또는 호스와 파치프 간의 연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커플링 수단이다.
이러한 퀵 커넥터는 별도의 조립공구 없이 호스와 호스, 파이프와 파이프 등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어서 금형 등의 유압설비에 사용되는 배관의 연결 및 에어 설비에 연결되는 에어관의 연결 및 가스 설비에 사용되는 가스관의 연결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퀵 커넥터가 가지는 신속한 결합성 때문에 등반용 장비의 일종인 비너 등에도 활용되고 있으며, 소방용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퀵 커넥터는 크게 소켓,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고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 유압, 가스, 에어 등으로 연결되는 플러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는 커플러 몸체와, 상기 커플러 몸체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면서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가 이동함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플러그를 고정하도록 커플러 몸체에 삽입된 록킹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퀵 커넥터는 먼저, 커플러의 일측부에 소켓이 끼워지고 타측부에는 플러그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커플러 몸체의 외측부에 결합된 슬리브를 힘을 가하여 뒤로 후퇴시키고 상기 록킹볼이 자유롭게 상하 유동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제한 후, 플러그를 커플러 몸체에 밀어서 끼워 넣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러그는 커플러 몸체에 끼워짐과 동시에 록킹볼을 밀어 올리게 되고, 상기 록킹볼은 플러그에 형성된 록킹홈에 안착된다.
이후, 강제로 후퇴된 슬리브가 탄력적으로 전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복귀됨과 동시에 록킹볼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슬리브가 록킹볼을 압착함과 더불어 록킹볼은 플러그를 압착하여 플러그가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는 커플러 몸체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반발하여 전후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퀵 커넥터는 플러그를 끼워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한 손으로는 플러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커플러를 잡음과 동시에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리브를 잡아서 힘을 가해 뒤로 후퇴시키고, 와 동시에 다른 한 손에 잡고 있던 플러그를 커플러에 끼우고, 상기 슬리브를 놓아주어서 스프링의 힘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하여 플러그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퀵 커넥터는 체결 및 분리 조작 시 항상 슬리브를 후퇴시키고 플러그를 끼워서 고정해야 하는 관계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퀵 커넥터는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체결력을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름을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고압의 조건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워 주로 물을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저압의 환경에서만 적용하는 한계가 있고, 또 볼이나 스프링이 차지하는 공간적 제약 때문에 소형화가 어려워 Ø25 이하의 배관에서는 적용이 곤란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소켓과 플러그의 체결 및 분리 시 확장되거나 복원되는 특성의 스톱링을 이용한 록킹 및 언록킹 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원터치 방식의 커넥터를 구현함으로써, 원터치 방식을 통해 체결 및 분리 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고,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고압의 조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설비측에 체결구조로 설치되는 소켓과, 선단부의 링 걸림홈을 가지면서 소켓측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며 후단부에는 호스가 연결되는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링 걸림홈에 걸림 또는 이탈되면서 플러그측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켜주는 스톱링과, 상기 소켓의 선단부 내주면에 설치되어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며 스톱링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오픈 부싱과, 상기 소켓의 선단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며 오픈 부싱을 내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오픈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소켓의 선단부에는 링 걸림홈과 인접한 앞쪽에 스톱링을 밀어서 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경사형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터치 커넥터는 소켓의 선단부 외주면과 오픈 너트의 후단부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면서 오픈 너트의 이탈을 막아주는 슬리브 스톱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러그는 일자 형태, 90°꺽인 "ㄱ"자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터치 방식으로 소켓에 플러그를 간단하게 끼우고 빼낼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 작업을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확장되거나 복원되는 특성의 스톱링을 이용한 록킹 및 언록킹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고압의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등 오일을 사용하는 고압의 환경에서 최적의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부피가 큰 기존의 스프링과 볼을 스톱링으로 대체함으로써, 부품수 축소와 더불어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적용범위를 폭넓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조작이 쉽고 간편하며 기능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등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확장되거나 복원되는 동작 특성을 보이는 스톱링을 이용하여 소켓과 플러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고, 고압의 조건에서도 긴밀하고 안정척인 체결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설비(도 5a 내지 도 5c의 도면부호 100)측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소켓(10)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10)은 중공의 원통형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원통형 몸체의 후단부 외주면과 중간부 외주면에는 나사부와 육각너트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부를 통해 설비측에 체결됨과 더불어 육각너트부는 스패너 등과 같은 공구를 걸 수 있는 곳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링 안착홈(18)이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링 안착홈(18)에는 후술하는 슬리브 스톱링(17)이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부싱 걸림턱(19)이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부싱 걸림턱(19)은 후술하는 오픈 부싱(14)이 더 이상 내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부싱 걸림턱(19)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인접한 내측 위치에 링 회피홈(20)과 링 걸림홈(21)이 연접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링 회피홈(20)과 링 걸림홈(21)은 서로 연이어 통해 있는 홈 형태를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 회피홈(20)은 확장되는 스톱링(13)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링 걸림홈(21)은 링 회피홈(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링 회피홈(20)과 링 걸림홈(21)이 서로 간에 내경 차이를 가짐에 따라 스톱링(13)이 링 회피홈(20)의 위치에 있는 경우, 후술하는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에 의해 벌려지는 스톱링(13)이 확장되면서 링 회피홈(20)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면 플러그(12)가 소켓(10)측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되고, 이와는 달리 스톱링(13)이 링 걸림홈(21)의 위치에 있는 경우,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가 스톱링(13)을 벌리려고 해도 링 걸림홈(21)에 막혀 어느 정도 이상으로는 확장되지 않게 되므로, 플러그(21)가 소켓(10)측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켓(10)의 내주면에는 O-링(22)이 장착되며, 이때의 O-링(22)은 소켓(10)에 체결되는 플러그(12)의 외주면에 압착되면서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소켓(10)측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플러그(12)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12)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원통형 몸체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쐐기형 걸림부(23)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호스(도 5a 내지 도 5c의 도면부호 11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12)는 일자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꺽인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2)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링 걸림홈(11)이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이때의 링 걸림홈(11)에 스톱링(13)이 끼워져 걸려지게 되므로서, 플러그(12)가 록킹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켓(10)측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링 걸림홈(11)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인접한 앞쪽의 위치에 경사형 돌출부(16)가 외주면 둘레를 따라가면서 형성되며, 이때의 경사형 돌출부(16)는 스톱링(13)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밀어서 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형 돌출부(16)는 링 걸림홈(11)과 연이어서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경사형 돌출부(16)의 앞쪽과 뒷쪽은 각각 경사면(24a,24b)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형 돌출부(16)의 앞쪽 경사면(24a)은 플러그(12)의 체결 시에 소켓(10)의 안쪽으로 진입하여 스톱링(13)을 밀어내면서 벌려줄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뒷쪽 경사면(24b)은 플러그(12)의 분리 시에 소켓(10)의 바깥쪽으로 빠져나와 스톱링(13)을 밀어내면서 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소켓(10)과 플러그(12)의 체결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 스톱링(13)을 포함한다.
상기 스톱링(13)은 한쪽이 끊어져 있는 원형의 링 형태로서, 소켓(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회피홈(20) 내에 설치되어 소켓(10)에 끼워지는 플러그(12)의 링 걸림홈(11)에 걸림 또는 이탈되면서 소켓(10)측에 플러그(12)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소켓(10)의 내측으로 플러그(12)의 진입 시,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에 있는 앞쪽의 경사면(24a)에 의해 스톱링(13)이 직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벌어지게 되고, 플러그(12)의 계속 진입하게 되면 이때의 스톱링(13)은 경사형 돌출부(16)를 타고 넘어감과 더불어 자체 탄성으로 재차 복원되면서 플러그(12)에 있는 링 걸림홈(11) 내에 안착되어 플러그(12)를 걸어주게 된다.
즉, 상기 플러그(12)는 스톱링(13)의 록킹작용에 의해 소켓(10)측과의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스톱링(13)은 경사형 돌출부(16)에 의해 밀려나면서 벌어질 때 소켓(10)의 링 회피홈(20) 내로 회피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소켓(10)의 외측으로 플러그(12)의 분리 시,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에 있는 뒷쪽의 경사면(24b)에 의해 스톱링(13)이 직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벌어지게 되고, 계속해서 플러그(12)을 잡아 빼내게 되면 이때의 스톱링(13)은 경사형 돌출부(16)를 타고 넘어가게 되며, 결국 플러그(12)가 소켓(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스톱링(13)은 경사형 돌출부(16)에 의해 밀려나면서 벌어질 때 소켓(10)의 링 회피홈(20) 내로 회피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스톱링(13)의 움직임, 즉 외측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수단으로 오픈 부싱(14)을 포함한다.
상기 오픈 부싱(14)은 선단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25a)를 가지는 부싱으로서, 후단부를 통해 소켓(10)의 선단부 내주면에 동축구조로 끼워지면서 축선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오픈 부싱(14)이 소켓(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즉 선단부에 있는 돌출부(25a)가 소켓(10)에 있는 부싱 걸림턱(19)에 걸려지는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오픈 부싱(14)의 후단은 스톱링(13)과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오픈 부싱(14)은 스톱링(13)이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오픈 부싱(14)은 후술하는 오픈 너트(15)에 의한 간섭을 받아 외측으로 탈거되지 않으면서 오픈 너트(15)측과 스톱링(13)측 간의 간격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오픈 부싱(14)은 오픈 너트(15)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5b)에 의해 걸려지면서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되고, 오픈 너트(15)가 외측으로 최대한 빠져나와있음으로 인해 조성되는 간격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오픈 부싱(14)을 내측으로 밀어서 오픈 부싱(14)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수단으로 오픈 너트(15)를 포함한다.
상기 오픈 너트(15)는 선단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25b)를 가지는 원형의 관 형태로서, 소켓(10)의 선단부 외주면에 동축구조로 끼워지면서 축선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오픈 너트(15)를 내측 방향으로, 즉 소켓(10)의 후단부쪽으로 밀어서 눌러주게 되면, 이때의 오픈 너트(15)의 돌출부(25b)가 오픈 부싱(14)의 선단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오픈 부싱(14)의 후단이 스톱링(13)에 밀착되면서 스톱링(13)을 고정시켜주게 되므로서, 이때의 스톱링(13)은 외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에 의해 밀려나 제자리에서 벌려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픈 너트(15)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링 수용홈(26)이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이때의 링 수용홈(26)에는 후술하는 슬리브 스톱링(17)이 위치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위치되는 슬리브 스톱링(17)이 링 수용홈(26)의 벽면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오픈 너트(15)가 소켓(10)측으로부터 완전히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원터치 고압 커넥터는 오픈 너트(15)의 이탈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슬리브 스톱링(17)을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스톱링(17)은 한쪽이 끊어져 있는 원형의 링 형태로서, 소켓(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안착홈(18) 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오픈 너트(1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수용홈(26) 내에 위치되면서 오픈 너트(15)가 어느 정도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오픈 너트(15)가 최대한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슬리브 스톱링(17)은 링 수용홈(26)의 뒷쪽 벽면과 링 안착홈(18)의 앞쪽 벽면 사이에 끼이게 되고, 이에 따라 오픈 너트(15)는 슬리브 스톱링(17)의 걸림작용에 의해 더 이상 외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서 소켓(10)측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의 사용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압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켓(10)에 플러그(12)를 체결하는 경우, 플러그(12)의 선단부를 소켓(10)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가 스톱링(13)을 벌리면서 진입하게 되고, 이렇게 벌어졌던 스톱링(13)의 경사형 돌출부(16)가 지나가고 난 후에 재차 복원되면서 플러그(12)의 링 걸림홈(11) 내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소켓(10)과 플러그(12) 간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렇게 소켓(10)과 플러그(12) 간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플러그(12)를 소켓(10)측으로부터 잡아 당기게 되면, 이때의 플러그(12)가 외측으로 약간 이동함과 더불어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에 의해 스톱링(13) 또한 외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링 회피홈(20)의 위치에 있던 스톱링(13)이 링 걸림홈(21)의 위치로 옮겨지게 되며, 따라서 링 걸림홈(21)의 위치에 있는 스톱링(13)은 경사형 돌출부(16)가 아무리 벌리려 해도 벌어지지 않고 꽉 끼인 상태가 되므로서, 플러그(12)가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소켓(10)에서 플러그(12)를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오픈 너트(15)를 잡고 소켓 후단쪽으로 누르게 되면, 오픈 너트(15)가 이동하면서 그 돌출부(25b)를 통해 오픈 부싱(14)의 돌출부(25a)를 누르게 되고, 따라서 오픈 부싱(14)은 소켓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그 후단을 통해 스톱링(13)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게 되며, 그 결과 스톱링(13)은 링 회피홈(20) 내의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2)를 잡아 당기게 되면, 플러그(12)에 있는 경사형 돌출부(16)가 스톱링(13)을 벌려주게 되는 동시에 이때의 스톱링(13)은 링 회피홈(20)의 공간을 활용하게 벌어지게 되고, 따라서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가 스톱링(13)을 벗어나게 되면서 플러그(12)가 소켓(10)측에서 빠지게 되므로서, 플러그(12)를 소켓(1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형장치의 유압 호스나 냉각수 호스 등을 커넥터로 연결할 때, 소켓의 내측에서 확장되거나 복원되는 특성을 가지는 스톱링을 이용하여 소켓측과 플러그측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원터치 방식의 고압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 조작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고, 커넥터의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고압의 조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0 : 소켓
11 : 링 걸림홈
12 : 플러그
13 : 스톱링
14 : 오픈 부싱
15 : 오픈 너트
16 : 경사형 돌출부
17 : 슬리브 스톱링
18 : 링 안착홈
19 : 부싱 걸림턱
20 : 링 회피홈
21 : 링 걸림홈
22 : O-링
23 : 쐐기형 걸림부
24a,24b : 경사면
25a,25b : 돌출부
26 : 링 수용홈
11 : 링 걸림홈
12 : 플러그
13 : 스톱링
14 : 오픈 부싱
15 : 오픈 너트
16 : 경사형 돌출부
17 : 슬리브 스톱링
18 : 링 안착홈
19 : 부싱 걸림턱
20 : 링 회피홈
21 : 링 걸림홈
22 : O-링
23 : 쐐기형 걸림부
24a,24b : 경사면
25a,25b : 돌출부
26 : 링 수용홈
Claims (4)
- 설비측에 체결구조로 설치되는 소켓(10);
선단부의 링 걸림홈(11)을 가지면서 소켓(10)측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며 후단부에는 호스가 연결되는 플러그(12);
상기 소켓(10)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링 걸림홈(11)에 걸림 또는 이탈되면서 플러그(12)측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켜주는 스톱링(13);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내주면에 설치되어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며 스톱링(13)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오픈 부싱(14);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며 오픈 부싱(14)을 내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오픈 너트(15);
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오픈 부싱(14)이 더 이상 내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부싱 걸림턱(19)이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부싱 걸림턱(19)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인접한 내측 위치에 링 회피홈(20)과 링 걸림홈(21)이 연접 설치되되, 상기 링 회피홈(20)과 링 걸림홈(21)은 서로 연이어 통해 있는 홈 형태를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링 회피홈(20)은 확장되는 스톱링(13)을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링 걸림홈(21)은 링 회피홈(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링 회피홈(20)과 링 걸림홈(21)이 서로 간에 내경 차이를 가짐에 따라 스톱링(13)이 링 회피홈(20)의 위치에 있는 경우,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에 의해 벌려지는 스톱링(13)이 확장되면서 링 회피홈(20)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면 플러그(12)가 소켓(10)측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되고, 이와는 달리 스톱링(13)이 링 걸림홈(21)의 위치에 있는 경우,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가 스톱링(13)을 벌리려고 해도 링 걸림홈(21)에 막혀 어느 정도 이상으로는 확장되지 않게 되므로, 플러그(21)가 소켓(10)측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되고,
상기 플러그(12)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링 걸림홈(11)이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링 걸림홈(11)에 스톱링(13)이 끼워져 걸려지게 되므로서, 플러그(12)가 록킹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켓(10)측에 체결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링 걸림홈(11)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인접한 앞쪽의 위치에 경사형 돌출부(16)가 외주면 둘레를 따라가면서 형성되며, 상기 경사형 돌출부(16)는 스톱링(13)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밀어서 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스톱링(13)은 한쪽이 끊어져 있는 원형의 링 형태로서, 소켓(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회피홈(20) 내에 설치되어 소켓(10)에 끼워지는 플러그(12)의 링 걸림홈(11)에 걸림 또는 이탈되면서 소켓(10)측에 플러그(12)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켜주는 역할을 하되, 상기 소켓(10)의 내측으로 플러그(12)의 진입 시,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에 있는 앞쪽의 경사면(24a)에 의해 스톱링(13)이 직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벌어지게 되고, 플러그(12)의 계속 진입하게 되면 이때의 스톱링(13)은 경사형 돌출부(16)를 타고 넘어감과 더불어 자체 탄성으로 재차 복원되면서 플러그(12)에 있는 링 걸림홈(11) 내에 안착되어 플러그(12)를 걸어주게 됨과 더불어 상기 스톱링(13)은 경사형 돌출부(16)에 의해 밀려나면서 벌어질 때 소켓(10)의 링 회피홈(20) 내로 회피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소켓(10)의 외측으로 플러그(12)의 분리 시, 플러그(12)의 경사형 돌출부(16)에 있는 뒷쪽의 경사면(24b)에 의해 스톱링(13)이 직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벌어지게 되고, 계속해서 플러그(12)을 잡아 빼내게 되면 이때의 스톱링(13)은 경사형 돌출부(16)를 타고 넘어가게 되며, 결국 플러그(12)가 소켓(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스톱링(13)은 경사형 돌출부(16)에 의해 밀려나면서 벌어질 때 소켓(10)의 링 회피홈(20) 내로 회피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의 선단부 외주면과 오픈 너트(15)의 후단부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면서 오픈 너트(15)의 이탈을 막아주는 슬리브 스톱링(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고압 커넥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011A KR102250122B1 (ko) | 2019-08-30 | 2019-08-30 | 원터치 고압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011A KR102250122B1 (ko) | 2019-08-30 | 2019-08-30 | 원터치 고압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354A KR20210026354A (ko) | 2021-03-10 |
KR102250122B1 true KR102250122B1 (ko) | 2021-05-07 |
Family
ID=7514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7011A KR102250122B1 (ko) | 2019-08-30 | 2019-08-30 | 원터치 고압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01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4789B1 (ko) | 2021-11-29 | 2022-06-29 | 신영현 | 자동 급수 단수가 가능한 급수 커넥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38152B2 (ja) * | 2005-12-06 | 2012-10-03 |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チェッカー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38152B2 (ko) * | 1971-12-13 | 1975-12-08 | ||
US5609370A (en) * | 1994-12-02 | 1997-03-11 | Itt Corporation | Positive latch quick connector |
KR20000010443U (ko) * | 1998-11-18 | 2000-06-15 | 이창수 | 금형냉각수 공급용 호스연결구 |
KR100605095B1 (ko) | 2003-03-27 | 2006-07-28 | 조용민 | 퀵 커플러 장치 |
KR101082539B1 (ko) | 2009-05-18 | 2011-11-10 | 주식회사 미래보 | 퀵 커플러 |
KR20110004978U (ko) | 2009-11-12 | 2011-05-18 |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
KR101719973B1 (ko) | 2015-07-14 | 2017-03-27 | 주식회사 우진 | 자동으로 체결 및 분리가능한 퀵 커플러 장치 |
KR101843005B1 (ko) | 2016-06-17 | 2018-03-28 | (재)건설기계부품연구원 | 퀵 커플러 |
-
2019
- 2019-08-30 KR KR1020190107011A patent/KR1022501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38152B2 (ja) * | 2005-12-06 | 2012-10-03 |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チェッカ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4789B1 (ko) | 2021-11-29 | 2022-06-29 | 신영현 | 자동 급수 단수가 가능한 급수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354A (ko) | 2021-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80405A (en) | Corrugated pipe coupling | |
US4138146A (en) | Pipe coupling with a wedging contractible ring | |
US5022687A (en) | Pipe coupling | |
US2935338A (en) | Quick coupling | |
JP6535035B2 (ja) | 緊急離脱用管継手 | |
US10156252B2 (en) | Cable couplings for drain cleaning tools | |
KR20110004978U (ko) |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 |
US20130069366A1 (en) | Shear element for a coupling | |
US10247341B2 (en) | Quick connect fitting | |
US20120160932A1 (en) | Non-Rotating Coupling Device | |
JP7228546B2 (ja) | ボール-ロック・コネクタ | |
US3425717A (en) | Tube coupling assembly | |
KR102250122B1 (ko) | 원터치 고압 커넥터 | |
US3351362A (en) | Quick-disconnective coupling | |
JP2009543993A (ja) | 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とこれと用いられるリテーナー | |
US20170356580A1 (en) | Pipe joint | |
EP0275677A1 (en) | Protective device for quick connect coupling | |
JP3224262U (ja) | 流体継手 | |
WO2008059490A1 (en) | Safety lock for quick fit connector | |
JP2006189156A (ja) | ワイヤーリテイナーを有する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 | |
KR102215988B1 (ko) | 호스 연결용 버튼형 피팅 장치 | |
JP6707492B2 (ja) | 管継手部材および管継手装置 | |
JP5132992B2 (ja) | 管継手 | |
EP1479962A1 (en) | Quick coupling device | |
JP2002327885A (ja) | 管継手のソケ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