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432B1 - Fishing tackle - Google Patents

Fishing tack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432B1
KR102175432B1 KR1020180080145A KR20180080145A KR102175432B1 KR 102175432 B1 KR102175432 B1 KR 102175432B1 KR 1020180080145 A KR1020180080145 A KR 1020180080145A KR 20180080145 A KR20180080145 A KR 20180080145A KR 102175432 B1 KR102175432 B1 KR 10217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ine
needle
bait
loop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6419A (en
Inventor
김덕한
Original Assignee
김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한 filed Critical 김덕한
Priority to KR102018008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432B1/en
Publication of KR20200006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4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4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 바닷물, 대상어종에 관계없이 목적하는 수심층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심층을 가변시키면서 대상어종을 유혹할 수 있고, 미끼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상어종을 낚을 수 있는 확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상단과 하단에 원줄 및 봉돌과 연결할 수 있게 각각 원줄도래와 봉돌도래를 가지는 목줄과; 미끼를 끼울 수 있는 바늘을 유지하도록 목줄에 결합하는 바늘유지구와; 상기 바늘유지구의 아래측 목줄에 결합하여 바늘유지구를 부력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플로터와; 상기 바늘유지구의 상부에 결합하여 플로터에 의하여 바늘유지구가 상승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lure a target fish species while varying the depth layer up and down based on the target depth layer, regardless of the freshwater seawater and target fish species, and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target fish species can be caught by allowing the bait to move naturally. As possible;
A neckline having a wonjul and a bongdol, respectively, at the top and bottom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riginal line and the bongdol; A needle retainer coupled to the neckline to hold a needle into which the bait can be inserted; A floater that is coupled to the neckline at the lower side of the needle holder to increase the needle holder by buoyanc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eedle holder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needle holder is raised by a plotter.

Description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FISHING TACKLE}Fishing depth variable equipment {FISHING TACKLE}

본 발명은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비를 바닥에서부터 다양한 수심층까지 가변시켜 이동시키면서 대상어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낚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과를 높이면서도 밑걸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한 채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epth rig for fishing, and in more detail, it is improved to minimize jamming while increasing the crop by allowing fishing in response to the type of target fish while moving the rig by varying it from the bottom to various depths of water. It is about the provision of an equipment.

일반적으로 낚시용 채비는 낚시의 대상어종이나 장르에 따라 채비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물론 미끼의 종류도 달라지고, 미끼의 종류에 따라 채비도 달라지는 형태이고, 민물과 바닷물에 따라서 다시 채비가 달라지는 것이나 대체적으로는 바닥에 가라앉히기 위한 봉돌과 라인 및 미끼를 끼우기 위한 바늘로 구성되어 진다.In general, rigging for fishing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fish or genre for fishing, as well as the type of bait, and the type of rigging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bait, and the rigging is different depending on freshwater and seawater. It consists of a stick to sink to the floor, a line and a needle to insert a bait.

상기와 같은 채비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인 예를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uch rigs are variously developed and used,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as follows.

문헌 1은, 본선과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다수의 지선으로 이루어진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선이 관통되는 각각의 중공을 가지며, 본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본선 매듭이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튜브와; 상기 지선이 관통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메인튜브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서브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Document 1, in a fishing ri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ranch lines coupled using a main line and a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has a respective hollow through which the main line passes, an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line. A pair of main tubes in which a main line knot is form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s a hollow through the branch line, the sub-tub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pair of main tubes.

문헌 2는, 멀티 낚시채비를 구성함에 있어서,Document 2, in constituting a multi-fishing rig,

어피를 이용한 유인편(42)과 유인사(43)로 구성한 인조미끼(41)를 낚시바늘(44)에 결합한 수개의 고등어 채비(4,4')와, 반짝이비닐의 유인편(52)과 유인사(53)로 구성한 인조미끼(51)를 낚시바늘(54)에 결합한 수개의 메라기 채비(5,5')를 구성하여 상하부에 도래(6,6')와 클립(7)이 결합된 주선(2)상에 이들 고등어 채비(4,4')와 메라기 채비(5,5')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교대로 지선(3,3')으로 수개 결합하여 채비(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Several mackerel rigs (4,4') in which an artificial bait (41) consisting of a fishing hook (42) and a pull thread (43) is combined with a fishing hook (44), and a pull piece (52) of shiny vinyl Several meragi rigs (5,5') are formed by combining artificial baits (51) composed of manned threads (53) with fishing hooks (54), and aberrations (6,6') and clips (7) are combin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n the main line (2), these mackerel rigs (4,4') and meragi rigs (5,5') are alternately combined with branch lines (3,3')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rigs (1).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문헌 3은, 상부에 고리부가 형성되어질 수 있게 끔 한 합사줄(11)이 멈춤부재(12)의 위에서 아래방향을 향해 형성된 합사줄삽입구멍(13)에 끼워지고, 멈춤부재(12)의 합사줄삽입구멍(13)으로 끼워진 합사줄(11)이 상기 합사줄삽입구멍(13)에 서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통 형성된 양쪽의 목줄구멍(14)으로 삽입되어 목줄(15)이 분할 형성되어지며, 목줄구멍(14)에 의해 분할 된 목줄(15)에 낚시바늘(16)이 묶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Document 3, the braiding line 11 so that a ring portion can be formed at the top is inserted into the braiding line insertion hole 13 formed from the top of the stop member 12 to the bottom, and the braking of the stopping member 12 The string string 11 inserted into the string insertion hole 13 is inserted into the neck string hole 14 on both sides of the string string 11 formed in communica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ing insertion hole 13 so that the neck string 15 is divided and formed, It is a configu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shing needle (16) is tied to the neckline (15) divided by the neckline hole (14).

(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27131 - 0000 호(Document 1)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7131-0000 (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38857 - 0000 호(Document 2)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8857-0000 (문헌 3)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46153 - 0000 호(Document 3)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6153-0000

없슴.None.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 중 문헌 1은 여러 가지로 채비를 연결함에 있어서 서로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채비 자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미끼의 움직임을 통하여 대상어를 용이하게 유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문헌 2는, 여러 채비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문헌 3은 하나 이상의 낚시바늘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Among the prior arts as described above, Document 1 has the purpose of preventing entanglement when connecting rigs in various ways, and by making rigs themselves rotat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lure target fish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ait. It can be seen that document 2 is intended to allow convenient use of several rigs, and document 3 is intended to prevent one or more fishing hooks from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채비는, 원줄과 연결되는 목줄에 여러가지를 발생시키고, 이 여러가지마다 바늘을 연결하여 미끼를 많이 끼워 대상어를 유혹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엉킴을 방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채비를 구성하는 봉돌에 의하여 거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형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rigging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is to prevent entanglement while creating various kinds of necklines connected to the main line, and connecting a needle to each of these various types of bait to attract the target fish. It has a shape located almost on the bottom surface by the bongdol constituting the

이와 같이 채비를 항상 바닥과 근접한 위치에 두기 때문에 파도나 조류 등에 의하여 채비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바늘이 수중 장애물과 걸림되어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되는 밑걸림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밑걸림에 의하여 미끼의 움직인이 둔화되기 때문에 대상어를 유혹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In this way, since the rig is always placed in close proximity to the floor, the needle is caught in the underwater obstacle during the movement of the rig due to waves or tide, and the movement of the bait is slowed down. For this reason, the phenomenon that it becomes impossible to lure the target language frequently occur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채비에 찌를 이용하여 수심층을 달리하는 공략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대상어의 변경시마다 채비를 달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대상어종에 맞게 수심층을 공략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는 항상 그 수심층만 공략할 수 있기 때문에 물속환경변화에 따라 일시적으로 대상어종이 평균 수심 상층 또는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데 이 경우에는 공략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trategy of changing the depth of water using a float is sometimes made, but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change the equipment every time the target fish is changed, and in the state that it is possible to target the depth level according to the target fish species, it is always the depth of the water. Since it can only be attacked, the target fish species can temporarily move to the upper or lower level of the average depth according to changes in the underwater environment, and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attack, and various problems are occurr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단과 하단에 원줄(101) 및 봉돌(103)과 연결할 수 있게 각각 원줄도래(102)와 봉돌도래(104)를 가지는 목줄(105)과;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neckline 105 having a circle line 102 and a bongdol arrival 104 at the top and bottom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ain line 101 and the bongdol 103, respectively. )and;

미끼를 끼울 수 있는 바늘(106)을 유지하도록 목줄(105)에 결합하는 바늘유지구(110)와;A needle retainer 110 coupled to the neckline 105 to hold a needle 106 capable of inserting the bait;

상기 바늘유지구(110)의 아래측 목줄(105)에 결합하여 바늘유지구(110)를 부력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플로터(111)와;A floater 111 capable of raising the needle retainer 110 by buoyancy by being coupled to the lower neckline 105 of the needle retainer 110;

상기 바늘유지구(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플로터(111)에 의하여 바늘유지구(110)가 상승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12)를 포함하여;Including a stopper 112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eedle holder 110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needle holder 110 rises by the plotter 111;

민물 바닷물, 대상어종에 관계없이 목적하는 수심층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심층을 가변시키면서 대상어종을 유혹할 수 있고, 미끼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상어종을 낚을 수 있는 확율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Regardless of freshwater or target fish species, it is possible to lure target fish species by varying the depth of wa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target fish species, an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catching target fish species by allowing the bait to move naturally. It is possible to achieve.

본 발명은 민물이나 바닷물의 종류, 대상어종 및 미끼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략하고자 하는 수심층을 자유롭게 가변시키면서 바닥층에서부터 상층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공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상어종이 일시적으로 수심층을 이동하더라도 공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arget fish species to temporarily move from the bottom layer to the upper layer while freely varying the depth of water to be attacked regardless of the type of freshwater or seawater, target fish species, and bait. It has an effect that does not interfere.

본 발명은 채비를 목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목줄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미끼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상어종의 유혹을 용이하게하여 입질빈도를 높여 어확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lure of the target fish species by facilitating the lure of the target fish species by making it possible to rotate the rigging relative to the collar while allowing the rig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ollar. It is an invention that has a variety of effects, such as allowing it to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를 도시한 중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의 사용상태도로서 하층공략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의 사용상태도로서 상층공략 상태도.
Figure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shing depth variable rigg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cerpt of an important part showing a variable depth of fishing gear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shing depth variable rigg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depth variable rig for fishing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state diagram for attacking the lower floor.
Figure 5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depth variable rig for fishing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state diagram for attacking the upper floor.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를 도시한 중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의 사용상태도로서 하층공략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의 사용상태도로서 상층공략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depth rig for fishing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ortant part showing a variable depth rig for fishing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pplied fishing depth-variable rig, FIG. 4 is a state diagram of a use state diagram of a fishing depth-variable rig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It will be described together a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upper layer.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100)는, 상단에 원줄(101)과 연결할 수 있는 원줄도래(102)를 가지고 하단에는 봉돌(103)을 연결하기 위한 봉돌도래(104)를 가지는 목줄(105)를 구비한다.The depth variable rig 100 for fishing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a circle line 102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original line 101 at the top, and a Bongdol arrival 104 for connecting the Bongdol 103 at the bottom. Branches are provided with a leash 105.

상기 목줄(105)의 굵기나 길이는 대상어종에 따라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어느 하나의 어종에 맞게 한정하여 설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특정하지 않는다.Since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leash 105 can be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arget fish species, it is not desirable to limit the description according to any one fish specie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not specify.

상기 목줄(105)에는 미끼를 끼울 수 있는 바늘(106)을 유지하여주는 바늘유지구(110)를 결합하고, 상기 바늘유지구(110)의 아래측 목줄(105)에는 바늘유지구(110)를 부력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플로터(111)를 결합하고, 상기 바늘유지구(110)의 상부에는 플로터(111)에 의하여 바늘유지구(110)가 상승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12)를 결합하여 구성한다.The neckline 105 is coupled with a needle retainer 110 that holds a needle 106 capable of inserting a bait, and a needle retainer 110 on the lower neckline 105 of the needle retainer 110 Combined with a floater 111 capable of raising the floater by buoyancy, and a stopper 112 for limiting the range in which the needle retainer 110 rises by the floater 111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eedle retainer 110 Combined and composed.

상기 바늘유지구(110)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철사(금속와이어)재질로 목줄(105)이 통과할 수 있도록 로어루프(115)를 하측에 가지는 수직바(116)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바(116)의 상측에는 어퍼루프(117)를 형성하여 로어루프(115)와 함께 목줄(105)을 연결하여 수직바(116)가 목줄(105)에 의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needle holder 110 includes a vertical bar 116 having a lower loop 115 at the lower side so that the neckline 105 can pass through a wire (metal wir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hat is resistant to corrosion, An upper loop 117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bar 116 to connect the neckline 105 together with the lower loop 115 so that the vertical bar 116 can be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by the neckline 105. .

상기 어퍼루프(117)로부터 연장되어 수직바(116)의 일 측방으로 수평되게 돌출시킨 수평바(118)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바(118)의 끝단에는 사이드루프(119)를 형성하여 끝단에 미끼를 끼울 수 있는 바늘(120)을 가지는 채비줄(121)을 연결하도록 한다.A horizontal bar 118 extending from the upper loop 117 and protruding horizontally to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116 is formed, and a side loop 119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118 to be It is to connect the rigging line 121 having a needle 120 that can put the bait.

상기 사이드루프(119)와 채비줄(121)은 직결시켜도 되고, 본 발명의 도면에서와 같이 채비용도래(122)를 중간에 연결하여 구성하여도 될 것이다.The side loop 119 and the rigging line 121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rigging arrival 122 in the middle as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로어 및 어퍼루프(115,117)의 직경은 목줄(105)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하여 목줄(105)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바늘유지구(110)가 목줄(105)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lower and upper loops 115 and 117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neckline 105 so that the neckline 105 can be easily coupled while the needle holder 110 freel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neckline 105 Make it possible to do.

상기 플로터(111)는, 바늘(120)에 미끼를 끼운 상태의 바늘유지구(11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부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등과 같이 충분하게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oater 111 has a buoyancy enough to push up the needle holding device 110 in a state in which the bait is inserted into the needle 120, and the material is sufficient, such as plastic or styrofoam. Various materials that can generate buoyancy can be used.

상기 플로터(111)를 본 발명에서는 구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구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도 가능할 것이며, 축 중심에는 목줄(105)이 통과할 수 있는 목줄홀(125)을 형성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lotter 111 is shown in a spherical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shape other than a spherical shape, and it is obvious that the neckline hole 125 through which the neckline 105 can pas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xis. something to do.

상기 스토퍼(112)는, 플로터(111)에 의하여 바늘유지구(110)가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여 필요한 위치(수심)에 바늘유지구(110)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목줄(105)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홀(126)을 형성한 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의 관체를 결합하여 이용자가 강제로 목줄(105)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스토핑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opper 112 is for positioning the needle holder 110 at a required position (depth) by limiting the unnecessary rise of the needle holder 110 by the plotter 111, and is smaller than the neckline 105 By combining a tubular bod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urethane formed with a through hole 126 having a diameter, the user can forcibly move the neckline 105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o limit the stopping position. .

상기 플로터(111)의 하측과 봉돌도래(104) 사이, 상기 플로터(111)와 로어루프(115) 사이 및 어퍼루프(117)와 스토퍼(112) 사이에는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로어비드(127)와 미들비드(128) 및 어퍼비드(129)를 각각 개재하여 구성한다.A lower bead 127 to perform a buffering action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plotter 111 and the bongdorae 104, between the plotter 111 and the lower roof 115, and between the upper roof 117 and the stopper 112 And the middle bead 128 and the upper bead 129 are interposed, respectively.

상기 로어, 미들 및 어퍼비드(127,128,129)는 단순한 플라스틱재질로 구성하여도 되나, 대상어종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유혹할 수 있도록 색상이나 형광(축광)을 가지도록 하면서 서로 부딪쳤을 때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유리와 같은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lower, middle, and upper beads 127, 128, and 129 may be made of a simple plastic material, but have color or fluorescence (phosphorescence) to attract the target fish species visually and audibly, and generate sound when they collide with each other. It could also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tate of use of the fishing depth variable rig 100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원줄(101)과 원줄도래(102)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목줄(105) 하단에는 봉돌도래(104)를 이용하여 봉돌(103)을 연결한 후 바늘유지구(110)에 구비되는 바늘(120)에 대상어에 적합한 미끼를 끼우고, 대상어종의 수심층에 맞게 스토퍼(112)를 목줄(105)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채비(100)를 수중으로 투척한다.A needle 120 provided in the needle holder 110 after connecting the bongdol 103 using the bongdol rush 104 at the lower end of the lanyard 105 ), a bait suitable for the target fish is inserted, and the rig 100 is thrown into the water while the stopper 112 is moved up and down of the neckline 105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target fish species.

그러면, 봉돌(103)에 의하여 채비(100)가 바닥까지 이동하게 되고 볼돌(103)은 바닥에 닿은 상태가 되고, 봉돌(103)과 원줄(101)은 일직선 상태가 되며, 이 과정에서 플로터(111)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려는 힘이 발생한다.Then, the rig 100 is moved to the floor by the bongdol 103 and the ball dol 103 is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the bongdol 103 and the circle 101 are in a straight line state, and in this process, the plotter ( 111) causes the force to rise.

상기와 같이 브력에 의하여 플로터(111)가 상승하게 되면, 플로터(1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바늘유지구(110)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목줄(105)의 어느 위치에 있는 스토퍼(112)에 의하여 더 이상의 상승이 멈춰지게 되므로 바늘유지구(110)는 바닥에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floater 111 is raised by the brake force as described above, the needle retainer 110 located on the top of the plotter 111 also rises, and the stopper 112 at any position of the neckline 105 As a result, further ascent is stopped, so that the needle holder 110 maintains a raised state from the bottom.

이러한 상태에서 목줄(105)에 결합되어 조류나 파도(물결) 등에 의하여 바늘유지구(110)는 목줄(105)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좌,우측으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바늘(120)에 끼워진 미끼가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대상어종을 쉽게 유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needle retainer 110 is coupled to the neckline 105 and rotates around the neckline 105 or moves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tide or wave (wave). Since the inserted bait maintains its natural moving shape, it is easy to lure the target species.

특히 대상어종의 수심층에 바늘유지구(110)가 위치하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투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시간동안 입질이 없을 경우에는 채비(100)를 회수한 후 스토퍼(112)를 이용하여 바늘유지구(110)의 높이를 낮추거나 높이는 방식으로 채비(100)가 공략하고자 하는 수심층을 가변하여 입질이 있는 수심층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Particularly, if there is no bite for a long time despite being thrown in the state where the needle holder 110 is positioned in the depth layer of the target fish species, after collecting the rig 100, the needle holder 110 using the stopper 112 ), it is possible to intensively target the depth layer with bite quality by varying the depth layer that the rig 100 wants to attack in a manner of lowering or increasing the height.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대상어종의 수심층을 공략하는 과정에서 입질이 없을 경우에는 수심층을 가변시켜 상,하 위치로 바늘유지구(110)를 움직여 대상어종이 일시적으로 수심층을 이동하였다 하더라도 쉽게 대상어를 유혹하여 낚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f there is no bite in the process of attacking the depth layer of the target fish species, it is easy to lure and catch the target fish even if the target fish species temporarily moves the depth layer by changing the depth layer and moving the needle retainer 110 to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It can be.

또한 봉돌(103)은 바닥에 닿아 있더러도 미끼를 끼운 바늘(120)을 가지는 바늘유지구(110)는 목줄(105)에 결합되어 바닥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낚시과정에서 바늘(120)에 바닥이나 수중장애물과 간섭을 일으켜 걸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bongdol 103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the needle retainer 110 having the lure 120 is coupled to the neckline 105 to mainta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o that the needle 1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being caught by interference with the floor or underwater obstacle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민물 바닷물, 대상어종에 관계없이 목적하는 수심층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심층을 가변시키면서 대상어종을 유혹할 수 있고, 미끼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상어종을 낚을 수 있는 확율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lure the target fish species by varying the depth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target depth layer, regardless of the target fish species, and by allowing the bait to move naturally, the target fish species can be caught. It has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increase the probability.

100;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105; 목줄
110; 바늘유지구
111; 플로터
112; 스토퍼
115; 로어루프
116; 수직바
117; 어퍼루프
118; 수평바
119; 사이드루프
120; 바늘
100; Depth variable equipment for fishing
105; snood
110; Needle retention
111; Plotter
112; stopper
115; Lower Loop
116; Vertical bar
117; Upper loop
118; Horizontal bar
119; Side loop
120; needle

Claims (3)

상단과 하단에 원줄(101) 및 봉돌(103)과 연결할 수 있게 각각 원줄도래(102)와 봉돌도래(104)를 가지는 목줄(105)과; 미끼를 끼울 수 있는 바늘(106)을 유지하도록 목줄(105)에 결합하는 바늘유지구(110)와; 상기 바늘유지구(110)의 아래측 목줄(105)에 결합하여 바늘유지구(110)를 부력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플로터(111)와; 상기 바늘유지구(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플로터(111)에 의하여 바늘유지구(110)가 상승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12)로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를 구성하고;
상기 바늘유지구(110)는, 철사 재질로 목줄(105)이 통과할 수 있도록 로어루프(115)를 하측에 가지는 수직바(116)와;
상기 수직바(116)의 상측에 목줄(105)이 통과할 수 있게 형성하여 로어루프(115)와 함께 목줄(105)을 연결하여 수직바(116)가 목줄(105)에 의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하는 어퍼루프(117)와;
상기 어퍼루프(117)로부터 연장되어 수직바(116)의 일 측방으로 수평되게 돌출시키는 수평바(118)와;
상기 수평바(118)의 끝단에 형성하는 사이드루프(119)와;
끝단에 미끼를 끼울 수 있는 바늘(120)을 가지고 사이드루프(119)와 연결되는 채비줄(121)과;
상기 플로터(111)의 하측과 봉돌도래(104) 사이, 상기 플로터(111)와 로어루프(115) 사이 및 어퍼루프(117)와 스토퍼(112) 사이에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개재하는 로어비드(127)와 미들비드(128) 및 어퍼비드(12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A neckline 105 having a circle line 102 and a bongdol arrival 104 at the top and bottom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ircle 101 and the bongdol 103; A needle retainer 110 coupled to the neckline 105 to hold a needle 106 capable of inserting the bait; A floater 111 capable of raising the needle retainer 110 by buoyancy by being coupled to the lower neckline 105 of the needle retainer 110; A stopper 112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eedle holder 110 and limits the range in which the needle holder 110 rises by the floater 111 to configure a variable depth of fishing gear;
The needle retainer 110 includes a vertical bar 116 having a lower loop 115 at the lower side so that the neckline 105 can pass through the wire material;
The vertical bar 116 is formed so that the neckline 105 can pas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bar 116 so that the neckline 105 is connected with the lower loop 115 so that the vertical bar 116 is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by the neckline 105. An upper loop 117 to enable;
A horizontal bar 118 extending from the upper loop 117 and protruding horizontally to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116;
A side loop 119 form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118;
A rigging line 121 connected to the side loop 119 with a needle 120 capable of inserting a bait at the end;
A lower bead ( 127) and the middle bead 128 and the upper bead 129,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ariable depth of fishing gea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80145A 2018-07-10 2018-07-10 Fishing tackle KR1021754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45A KR102175432B1 (en) 2018-07-10 2018-07-10 Fishing tac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45A KR102175432B1 (en) 2018-07-10 2018-07-10 Fishing tack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19A KR20200006419A (en) 2020-01-20
KR102175432B1 true KR102175432B1 (en) 2020-11-06

Family

ID=6936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145A KR102175432B1 (en) 2018-07-10 2018-07-10 Fishing tack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4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307B1 (en) 2022-07-05 2023-08-08 한송강 Fishing equipment for movable sin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122B2 (en) * 1993-03-08 2000-08-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Display / recording medium, display / recording method and display / recording device
KR200354362Y1 (en) * 2004-03-31 2004-06-23 경 애 김 Fishing tackle
KR200366957Y1 (en) 2004-07-30 2004-11-09 김화규 Fishing tackle with a tool of fish-luring bait
KR101149198B1 (en) 2009-07-02 2012-05-24 김종록 Throw away the tentacles with features fishing tack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35B2 (en) * 1992-08-12 1995-04-05 彦衛 岩間 Device that can fix fishhook to any depth in water
JP3080122U (en) * 2001-03-08 2001-09-14 木原 孝彦 Underwater moving float
KR200327131Y1 (en) 2003-06-19 2003-09-19 김우년 A fishing rigs
KR200338857Y1 (en) 2003-10-01 2004-01-16 신명복 The multi-fishing tackle
KR200346153Y1 (en) 2004-01-10 2004-03-31 이수영 Fishing hook tangle and adjustable fishing tack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122B2 (en) * 1993-03-08 2000-08-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Display / recording medium, display / recording method and display / recording device
KR200354362Y1 (en) * 2004-03-31 2004-06-23 경 애 김 Fishing tackle
KR200366957Y1 (en) 2004-07-30 2004-11-09 김화규 Fishing tackle with a tool of fish-luring bait
KR101149198B1 (en) 2009-07-02 2012-05-24 김종록 Throw away the tentacles with features fishing tack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19A (en)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456B2 (en) Fishing rig
CA1309252C (en) Upright jigging device
US20080022581A1 (en) Snag resistant line reversing device for fishing tackle
US7162829B2 (en) Fishing device
US6105303A (en) Fishing lure
KR102175432B1 (en) Fishing tackle
CN108401997B (en) Full-automatic fishing device
US20150201593A1 (en) Chaser Fishing Lure Enhancement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KR200490888Y1 (en) Lure fishing gear equipped air tube
US4530181A (en) Attachment device for an auxiliary fishing line
KR20230001923U (en) The fishing tackle for a cuttlefish
US20160330944A1 (en) Dive Hook
US20150250157A1 (en) Device for fishing
JP6340490B1 (en) Fishing device and fishing method
KR102652782B1 (en) Fishing hook with buoyancy
KR102678073B1 (en) Equipment for cutlassfish fishing with spaced pipes
JP3241210U (en) Lure recovery tool and lure recovery method
KR102609356B1 (en) The underwater float for fishing
KR101607946B1 (en) Fishing lure preceding back step motion
JP3029940U (en) Dangofukase fishing ground
KR200361713Y1 (en) Fishing rod that compose float
US11375703B2 (en) Snag free fishing lift
JP7141624B2 (en) Octopus fishing tackle
JP2012161299A (en) Fishing ta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