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293B1 -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293B1
KR102000293B1 KR1020120108646A KR20120108646A KR102000293B1 KR 102000293 B1 KR102000293 B1 KR 102000293B1 KR 1020120108646 A KR1020120108646 A KR 1020120108646A KR 20120108646 A KR20120108646 A KR 20120108646A KR 102000293 B1 KR102000293 B1 KR 10200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rings
spring holder
pressure sens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209A (ko
Inventor
변을출
이상봉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293B1/ko
Priority to CN201380050818.8A priority patent/CN104919294B/zh
Priority to PCT/KR2013/008500 priority patent/WO2014051297A1/ko
Priority to JP2015534381A priority patent/JP6233897B2/ja
Publication of KR2014004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01L19/0069Electrical connection means from the sensor to its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7Details about the mounting of the sensor to support or cov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접속기판과의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가 기재된다. 압력센서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는 접속기판 및 일단이 상기 접속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쪽 단부가 서로 다른 직선 또는 평면 상에 배치된 스프링 및 상기 센서모듈과 상기 접속기판 및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유압블록에 설치되어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접촉되며 브레이크 액압을 감지하는의 자동차용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감속 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구비된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와, 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입력된 제동유압에 따라 차량의 바퀴를 제동하는 휠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력이 발생할 때, 제동압력이 노면상태보다 크거나 제동압력으로 발생하는 휠 브레이크에서의 마찰력이 타이어나 노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조향장치가 잠겨서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없다.
종래에는 슬립현상 발생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자적으로 브레이크의 답력을 제어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ABS)이 개발되었다.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 브레이크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저압 어큐뮬레이터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 등이 장착된 유압블록(hydraulic unit)과,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구비한다. 또한, 유압블록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답력에 비례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브레이크 작동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자제어장치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된다. 전자제어장치는 압력센서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을 제어한다.
종래의 압력센서는 마스터 실린더의 선단에 형성된 가공홀에 장착되며 별도의 커넥터와 케이블을 통해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런데 압력센서는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할 경우, 미세한 진동에 의해 압력센서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압력센서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기존의 압력센서는 큰 진동이 입력될 경우,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회로기판의 단자간에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접촉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신호 및 전원이 불안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압력센서는 회로기판의 단자와 전자제어장치의 단자를 일자 형태의 스프링으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전자제어장치의 단자 위치를 변경할 경우, 일자 형태의 스프링으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려면, 회로기판의 단자 위치를 전자제어장치의 단자와 동일 축 선상으로 변경해야되며, 이 경우, 기존의 압력센서는 회로기판에 따라 부품 자체를 변경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로기판의 단자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설계의 자유도를 갖는 압력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회로기판의 단자에 정확하게 체결이 가능한 압력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압력센서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는 접속기판 및 일단이 상기 접속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
Figure 112018126405573-pat00013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 및 상기 센서모듈과 상기 접속기판 및 상기 복수의 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
Figure 112018126405573-pat00001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는 상기 접속기판을 수용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스프링을 수용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이 관통되도록 고정 지지하는 차단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각 스프링의 상기 단차부보다 하부 부분이 안착되는 하부 스프링 홀더, 상기 각 스프링의 상기 단차부보다 상부 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와 결합되고 하단부에 체결을 위한 체결 훅이 형성된 상부 스프링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스프링 홀더는 하단부에 체결을 위한 체결 훅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 훅이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프링의 중간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스프링들을 병렬로 배치하였을 때, 상단부 사이의 간격과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어서, 단자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접속기판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프링의 상단부에서의 간격과 하단부에서의 간격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접속기판의 단자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스프링 또는 부품의 교체 없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이는 차종에 따라 제약된 설치 공간에 적용될 수 있게 디자인된 다양한 전자제어장치에 기존 생산라인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압력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센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력센서(10)의 단면도 및 도 3은 도 1의 압력센서(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압력센서(10)는 센서모듈(11), 접속기판(14), 스프링(15), 하우징(12) 및 스프링 홀더(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모듈(11)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 게이지가 장착되고, 센서모듈(11)에서 센서가 장착된 단부에 접속되도록 접속기판(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센서모듈(11) 및 접속기판(14)의 상세한 기술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프링(15)은 접속기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접속기판(14)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스프링(15)의 수와 배치 형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15)은 4개가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15)의 수와 그 배치 형상은 접속기판(14)의 단자 형상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15)은 접속기판(14)에서 단자에 접촉되며 진동 상태에서도 접속기판(14)과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기판(14)에 소정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15)은 일정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고, 길이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접속기판(14)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15)은 복수개가 그 길이 방향에 대해서 나란하게 병렬로 배치되며, 각 스프링(15)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과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15)은 길이 방향을 따라 중간에서 '
Figure 112018126405573-pat00002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1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차부(151)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15)은 길이 방향에 대해서 상단부와 하단부의 양쪽 단부가 일직선 상이 아니게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15)의 형상은 일 직선 형상이 아니고, 양쪽 단부가 일 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는 형태라면, 단차부(151)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15)은 단차부(15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스프링(15)을 병렬로 배치하면 상단부 사이의 간격과 하단부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기판(14)의 단자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15)은 일 단부가 접속기판(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부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재이다. 접속기판(14)의 단자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스프링(15)의 간격을 변경하여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15)에 단차부(151)가 형성되므로, 스프링(15)의 단차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접속기판(14)의 단자에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홀더(16) 등의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도 접속기판(14)의 단자 위치에 따라 스프링(15)을 접속시킬 수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가 커진다.
하우징(12)은 센서모듈(11), 접속기판(14) 및 스프링(15)을 수용하여 압력센서(10)의 외관을 형성하고, 하우징(12)에서 센서모듈(11)이 구비된 쪽과 반대쪽 단부에는 스프링 프로텍터(spring protect)(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스프링 프로텍터(13)는 스프링(15)이 스프링 홀더(16)에서 돌출된 부분을 수용하여 스프링(15)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프링(15) 및 압력센서(10)가 장착대상이 되는 장치(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 등)에 장착될 때는 스프링 프로텍터(13)를 제거한 후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2) 내부에는 스프링(15)을 고정 및 지지하는 스프링 홀더(16)가 구비된다. 즉, 압력센서(10)는 하우징(12) 내부에 센서모듈(11), 접속기판(14), 스프링 홀더(16)에 장착된 스프링(1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12) 내부에서 일측에는 오링(o-ring)(17)이 구비된다. 여기서, 센서모듈(11) 및 접속기판(14)의 상세한 기술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2)은 이너 프레임(122)과 커버 프레임(121)으로 구성된다. 커버 프레임(121)은 이너 프레임(122) 및 스프링(15) 등의 구성요소를 수용하여 압력센서(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너 프레임(122)은 센서모듈(11)과 접속기판(14) 사이에 구비되며, 접속기판(14)이 센서모듈(11)의 상단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너 프레임(122)은 접속기판(14)과 서로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접속기판(14)을 고정시키는 구조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이너 프레임(122)이 접속기판(14)과 결합되는 단부에 접속기판(14)에 체결되는 체결 플랜지(1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플랜지(1222)는 이너 프레임(122)의 단부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예를 들어, 4개)가 접속기판(14)의 외주면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너 프레임(122)의 형상 및 이너 프레임(122)과 접속기판(14)의 체결 수단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2)은 센서모듈(11)과 용접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이너 프레임(122)에서 센서모듈(11)과 결합되는 단부(1211)와 커버 프레임(121)에서 센서모듈(11)과 결합되는 단부(1221)가 각각 센서모듈(11)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스프링(15)이 소정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힘을 받게 되므로 스프링(15)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홀더(16)가 스프링(15)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 홀더(16)는 스프링(15)에서 단차부(151)보다 상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단차부(151)보다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홀더(162)로 구성된다.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 스프링(15)이 삽입되는 가이드 홀(161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스프링 홀더(162)는 외주면 상에 스프링(15)의 단차부(151)가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상면 및 측면(1621) 상에 스프링(15)의 단차부(151)와 단차부(151) 하부 부분이 장착되어서 스프링(15)의 좌굴이 방지된다. 또한, 하부 스프링 홀더(162)에 장착된 스프링(15)의 위치를 고정하기 좌굴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상부 스프링 홀더(161)는 단부에 스프링 가이드(1613)가 형성되고, 스프링 가이드(1613)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서 하부로 돌출되어서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측면(1621) 외측에 결합되어 스프링(15)의 외측면을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가이드(1613)는 스프링(15)을 내부에 수용하고 하부 스프링 홀더(162) 측면(1621)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반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는 서로 체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중앙 부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결합 돌기(1622)가 형성되고,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는 결합 돌기(1622)에 대응되는 결합 홀(16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결합 홀(1612) 내부에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결합 돌기(1622)이 삽입되어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가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돌기(1622)가 하부 스프링 홀더(162)에 형성되고, 결합 홀(1612)가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 돌기(1622)와 결합 홀(161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1622)와 결합 홀(1612)뿐만 아니라,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의 결합 수단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15)을 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재(18)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프링(15)을 관통하여 차단부재(18)가 구비된다. 또한, 차단부재(18)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18)는 4개의 스프링(15)을 모두 관통하는 1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차단부재(18)는 각각의 스프링(15)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18)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부재(18)는 스프링(15)에 인서트 몰딩 또는 포밍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15)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센서(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참고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2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압력센서(20)의 단면도 및 도 7은 도 5의 압력센서(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압력센서(20)는 센서모듈(21)과 접속기판(24) 및 스프링(25)과 하우징(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모듈(21)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 게이지가 장착되고, 센서모듈(21)에서 센서가 장착된 단부에 접속되도록 접속기판(24)이 구비된다. 여기서, 센서모듈(21) 및 접속기판(24)의 상세한 기술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프링(25)은 접속기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접속기판(24)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스프링(25)의 수와 배치 형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25)은 4개가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25)의 수와 그 배치 형상은 접속기판(24)의 단자 형상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25)은 접속기판(24)에서 단자에 접촉되며 진동 상태에서도 접속기판(24)과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기판(24)에 소정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25)은 일정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고, 길이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접속기판(24)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25)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배치된다. 이에, 스프링(25)은 상단부 사이의 간격과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25)은 길이 방향 중간에서 '
Figure 112018126405573-pat00003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251)가 형성된다. 스프링(25)은 단차부(25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스프링(25)을 병렬로 배치하면 상단부와 하단부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속기판(24)의 단자 위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하우징(22)은 센서모듈(21), 접속기판(24) 및 스프링(25)을 수용하여 압력센서(20)의 외관을 형성하고, 하우징(22)에서 센서모듈(21)이 구비된 쪽과 반대쪽 단부에는 스프링 프로텍터(23)가 구비된다. 하우징(22) 내부에는 스프링(25)을 고정 및 지지하는 스프링 홀더(26)가 구비된다. 즉, 압력센서(20)는 하우징(22) 내부에 센서모듈(21), 접속기판(24), 스프링 홀더(26)에 장착된 스프링(2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된다. 하우징(22)은 센서모듈(21)과 용접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22)은 접속기판(24)이 안착되며, 센서모듈(21)에서 접속기판(24)을 소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 플랜지(22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안착 플랜지(221)는 하우징(22)의 소정 높이에서 내측 방향을 향해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안정적으로 접속기판(24)을 지지할 수 있도록 4개의 안착 플랜지(221)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 플랜지(221)의 수와 높이 및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안착 플랜지(221)는 하우징(22)과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22)을 펀칭하여 펀칭된 부분을 내측으로 벤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공을 통해서 하우징(22)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공정을 단순화 시키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우징(22)에서 안착 플랜지(221)가 형성되면서 형성된 개구는 스프링 홀더(26)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222)가 된다. 여기서, 하우징(22)에서 체결부(222)는 개구부로 형성되므로, 압력센서(20)의 밀폐를 위해서 개구된 체결부(222)를 밀폐시키기 위한 오링(o-ring)(27)이 구비된다. 오링(27)은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222)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밀폐부(271)가 형성되며, 접속기판(24)과 하부 스프링 홀더(262) 사이에 개재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기판(24)이 안착 플랜지(221) 상에 장착되고, 오링(27)은 접속기판(24)의 상면에 장착되어 압력센서(20) 내부를 밀폐시키며, 오링(27)의 밀폐부(271)가 개구된 체결부(222)를 막아서 압력센서(20)를 밀폐시킨다.
스프링(25)이 소정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힘을 받게 되므로 스프링(25)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홀더(26)가 스프링(25)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 홀더(26)는 스프링(25)의 단차부(251) 상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홀더(261)와 스프링(25)의 단차부(251)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홀더(262)로 구성된다.
상부 스프링 홀더(261)는 스프링(25)의 단차부(251)보다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2611)이 형성되고, 중앙에 하부 스프링 홀더(262)와 결합되는 결합 홀(2612)이 형성된다. 하부 스프링 홀더(262)는 스프링(25)의 단차부(251)보다 하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26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부 스프링 홀더(261)의 결합 홀(2612)에 체결되는 결합 돌기(26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스프링 홀더(261)와 하부 스프링 홀더(262)는 서로 체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부 스프링 홀더(262)의 중앙 부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결합 돌기(2623)이 형성되고, 상부 스프링 홀더(261)에는 결합 돌기(2623)에 대응되는 결합 홀(26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스프링 홀더(262)의 결합 돌기(2623)가 상부 스프링 홀더(261)의 결합 홀(2612)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스프링(25)은 단차부(251) 부분이 하부 스프링 홀더(262)의 상면에 장착되는데 단차부(251) 길이만큼 상부 스프링 홀더(261)의 가이드 홀(2611)과 하부 스프링 홀더(262)의 가이드 홀(2621)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스프링 홀더(261)의 가이드 홀(2611)과 하부 스프링 홀더(262)의 가이드 홀(2621)이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부 스프링 홀더(261)의 가이드 홀(261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622)가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2622)가 상부 스프링 홀더(261)의 가이드 홀(2611)에 삽입된다.
상부 스프링 홀더(261)의 단부에는 하우징(22)의 체결부(222)에 결합되는 체결 훅(2613)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체결 훅(2613)은 상부 스프링 홀더(261)의 단부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스프링 홀더(261)가 하부 스프링 홀더(2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 훅(2613)이 체결부(222)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 스프링 홀더(262)의 측면에 홈(26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 훅(2613)이 상부 스프링 홀더(261)와 하우징(22)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스프링 홀더(261)와 하우징(22)을 결합 수단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도 스프링(25)을 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재(28)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프링(25)을 관통하여 차단부재(28)가 구비된다. 또한, 차단부재(28)는 상부 스프링 홀더(261)와 하부 스프링 홀더(26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28)는 4개의 스프링(25)을 모두 관통하는 1개의 부재로 형성되거나, 각각의 스프링(25)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28)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28)는 스프링(25)에 인서트 몰딩 또는 포밍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25)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프링의 일측 단부에서의 간격과 타측 단부에서의 간격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접속기판의 단자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스프링 또는 부품의 교체 없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센서는 차종에 따라 제약된 설치 공간에 적용될 수 있게 디자인된 다양한 전자제어장치에 기존 생산라인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압력센서
11: 센서모듈
12: 하우징
121: 커버 프레임
122: 이너 프레임
13: 스프링 프로텍트(spring protect)
14: 접속기판
15: 스프링
151: 단차부
16: 스프링 홀더
161: 상부 스프링 홀더
162: 하부 스프링 홀더
17: 오링(O-ring)
18: 차단부재

Claims (9)

  1. 각종 센서 게이지가 장착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는 접속기판;
    일단이 상기 접속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에 대해서 양쪽 단부가 일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도중에 단차부가 형성된 스프링; 및
    상기 센서모듈과 상기 접속기판 및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각 스프링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과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압력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각 스프링이 길이 방향을 따라 '
    Figure 112018126405573-pat00014
    ' 형태로 꺾여서 형성된 압력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단차부가 형성된 압력센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기판을 수용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스프링을 수용하는 커버 프레임;
    을 포함하는 압력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스프링이 관통하여 설치된 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압력센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에 동시에 설치되는 하나의 부재이거나, 상기 복수의 스프링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부재인 압력센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프링에서 상기 단차부보다 하부 부분이 안착되는 하부 스프링 홀더; 및
    상기 각 스프링에서 상기 단차부보다 상부 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와 결합되고 하단부에 체결을 위한 체결 훅이 형성된 상부 스프링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 훅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압력센서.
KR1020120108646A 2012-09-28 2012-09-28 압력센서 KR10200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46A KR102000293B1 (ko) 2012-09-28 2012-09-28 압력센서
CN201380050818.8A CN104919294B (zh) 2012-09-28 2013-09-24 压力传感器
PCT/KR2013/008500 WO2014051297A1 (ko) 2012-09-28 2013-09-24 압력센서
JP2015534381A JP6233897B2 (ja) 2012-09-28 2013-09-24 圧力セン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46A KR102000293B1 (ko) 2012-09-28 2012-09-28 압력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09A KR20140042209A (ko) 2014-04-07
KR102000293B1 true KR102000293B1 (ko) 2019-07-15

Family

ID=5038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646A KR102000293B1 (ko) 2012-09-28 2012-09-28 압력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33897B2 (ko)
KR (1) KR102000293B1 (ko)
CN (1) CN104919294B (ko)
WO (1) WO2014051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8388B2 (en) * 2014-08-05 2017-02-14 Sensata Technologies, Inc. Small form factor pressure sensor
KR101945587B1 (ko) * 2014-08-19 2019-02-0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압력 센서
WO2017078212A1 (ko) * 2015-11-02 2017-05-11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신호전달 스프링과 pcb기판이 납땜연결된 센서
KR101907731B1 (ko) 2015-12-29 2018-10-12 주식회사 한화 표면 지연 뇌관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기폭 장치
JP6865223B2 (ja) * 2015-12-29 2021-04-28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Tyco Electronics AMP Korea Co.,Ltd 圧力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372A (en) 1997-01-10 1999-03-09 Integrated Sensor Solutions Media compatible pressure sensor device utilizing self-aligned components which fit together without the need for adhesives
JP2002333377A (ja) 2001-05-07 2002-11-22 Fuji Koki Corp 圧力センサ
JP2005106796A (ja) 2003-08-05 2005-04-21 Fuji Koki Corp 圧力センサ
JP2012058060A (ja) 2010-09-08 2012-03-22 Nagano Keiki Co Ltd 車載用圧力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494B2 (ja) * 1997-02-03 2005-08-1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圧力センサ
CN100347015C (zh) * 2003-04-07 2007-11-07 大陆-特韦斯贸易合伙股份公司及两合公司 用于监控制动器踏板的位置和运动的装置
JP4266326B2 (ja) * 2003-05-21 2009-05-2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および電気接続システム
KR100967131B1 (ko) * 2007-12-04 2010-07-05 주식회사 만도 압력센서
KR100923202B1 (ko) * 2007-12-05 2009-10-22 주식회사 만도 압력센서
ITTO20080485A1 (it) * 2008-06-19 2009-12-20 Eltek Spa Dispositivo sensore di pressione
EP2390641B1 (en) * 2010-05-27 2019-06-26 Sensata Technologies, Inc. Pressure Sensor
KR101200837B1 (ko) * 2010-06-25 2012-11-13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압력센서 구조체 및 그 압력센서의 패키징 방법
KR101756477B1 (ko) * 2010-12-30 2017-07-1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압력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372A (en) 1997-01-10 1999-03-09 Integrated Sensor Solutions Media compatible pressure sensor device utilizing self-aligned components which fit together without the need for adhesives
JP2002333377A (ja) 2001-05-07 2002-11-22 Fuji Koki Corp 圧力センサ
JP2005106796A (ja) 2003-08-05 2005-04-21 Fuji Koki Corp 圧力センサ
JP2012058060A (ja) 2010-09-08 2012-03-22 Nagano Keiki Co Ltd 車載用圧力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09A (ko) 2014-04-07
WO2014051297A1 (ko) 2014-04-03
CN104919294B (zh) 2017-06-09
JP2015534066A (ja) 2015-11-26
CN104919294A (zh) 2015-09-16
JP6233897B2 (ja)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293B1 (ko) 압력센서
US8104357B2 (en) Connection unit for a pressure measuring cell
CN104661475B (zh) 电子控制装置及车辆用制动液压控制装置
US8246121B2 (en) Solenoid-valve unit for an electropneumatic controller
US9791338B2 (en) Pressure sensor capable of improving assembling efficiency by using spring electrode
KR20120077210A (ko) 압력센서
KR101945587B1 (ko) 압력 센서
CN104057933A (zh) 电子控制装置
US9821776B2 (en) Brake actuation sensor device for a vehicle brake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brake actuation sensor device on a vehicle brake system
CN102046429A (zh) 用于车辆人员保护装置的控制装置和用于装配车辆人员保护装置的控制装置的方法
KR102000294B1 (ko) 압력센서
KR101575265B1 (ko) 고정 부재를 이용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7293B1 (ko) 압력센서
CN108778867B (zh) 电子控制装置
EP2910425A1 (en) Horn circuit
CN105083244A (zh) 制动流体压力控制致动器
KR20180097153A (ko) 압력 센서
KR100847479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전자제어유닛 하우징어셈블리
KR101735741B1 (ko) 항아리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pcb기판이 구비된 센서
US20230278532A1 (en)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
US20180297568A1 (en) Electronic Brake Pressure Control System
CN103262666A (zh) 具有夹紧在电路板和电路板载体之间的微型开关的电路板装置
KR20190087043A (ko) 압력센서
US11367972B2 (en) Vehicle controller having modification prevention device
KR101787703B1 (ko) 신호전달 스프링과 체결공이 형성된 pcb기판이 납땜연결된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