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284B1 -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membrane installed in duct - Google Patents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membrane installed in du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0284B1 KR101980284B1 KR1020170096733A KR20170096733A KR101980284B1 KR 101980284 B1 KR101980284 B1 KR 101980284B1 KR 1020170096733 A KR1020170096733 A KR 1020170096733A KR 20170096733 A KR20170096733 A KR 20170096733A KR 101980284 B1 KR101980284 B1 KR 1019802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membrane
- dehumidifying
- air
- fl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8—Drying gases or vapours by diffu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3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공간이 필요한 장소에 제습을 하기 위한 것으로, 덕트배관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에 멤브레인이 포함된 제습부가 설치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되 주변 기압보다 낮게 형성된 수증기 통과막으로 형성되어, 주변의 수증기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교체가 용이함과 더불어 제어를 통해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ying device for dehumidifying a dehumidifying space in which a dehumidifying portion including a membrane is installed in a duct pipe or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e membrane having a water vapor permeable membrane And it is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which is easy to replace and can reduce energy wastage through control by collecting water vapor around.
Description
본 발명은 덕트배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이 필요한 실내공간과 연결되는 덕트배관에 멤브레인을 설치하여 제습을 기능을 제공하는 덕트배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installed in a duct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installed in a duct pipe for providing a function of dehumidifying by providing a membrane in a duct pipe connected to an indoor space requiring dehumidification And a dehumidifying system.
공기 중의 습도가 높게 되면 부패, 부식, 응결수 현상이 일어나고, 악취와 박테리아 등도 발생하게 되므로, 가정, 병원 등의 습기에 취약한 전기 통신 및 각종 전자 장비 등에는 이러한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박테리아 등에 의해 사람의 건강에도 해가 될 수 있으므로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When the humidity in the air is high, it causes decay, corrosion and condensation, and odor and bacteria are gene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such moisture in telecommunication and various electronic equipments which are vulnerable to humidity in the home, hospital, It is necessary to remove moisture because it may harm human health.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방법은, 실내 공기를 환기하는 방법과 제습제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압축식 냉방하는 방법 등이 있다.Generally, a method of dehumidifying indoor air includes a method of ventilating indoor air, a method of using a dehumidifying agent, and a method of compressed air cooling.
상기 실내 공기를 환기하는 방법은, 실내 공기 중 일부를 재순환시키고 실외 공기와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이나, 재순환되는 공기의 수증기 함량이 높으므로 실내 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제습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수증기를 흡착하는 실리카겔 등의 흡습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는 것이며, 이는 밀폐된 공간에서 비교적 소량의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제습제나 친수성 코팅막에 의한 제습은 필수적으로 응축과정의 상변화를 수반하므로, 이 때 발생하는 응축 발열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축식 냉방 방식은, 냉동 사이클을 가동하여 실내 공기 중 습기를 응축시켜 제거함으로써 대용량 제습이 가능하나, 소비 동력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응축 시 발생되는 응축발열의 문제점이 있다The method of ventilating the room air is a method in which a part of the room air is recirculated and mixed with outdoor air to be supplied to the room, but there is a limit in lowering the humidity of the room air because the water vapor content of the recirculated air is high. The method using the desiccant absorbs moisture in the air by using a desiccant such as silica gel that adsorbs water vapor, which has a limitation in that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vapor can be removed in a closed space. Further, dehumidification by a conventional dehumidifying agent or a hydrophilic coating film is essentially accompanied by a phase change of the condensation proc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ndensation heat is generated at this time. In the compression cooling system, the refrigeration cycle is operated to condense and remove the moisture in the room air, thereby enabling large-capacity dehumidifica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ption power is large, and there is a problem of condensation heat generated during condensation
또한, 기존의 제습장치는 설치공간이 요구되므로, 드레스룸, 약품저장고, 탄약고, 음식물 건조시설 등 건조 공간이 요구되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기 어렵다는 설치공간의 한계를 가진다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since the conventional dehumidifying device requires a space for install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device in various places requiring a drying space such as a dress room, a medicine storage, an ammunition warehouse, and a food drying facility.
공기 중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593815호("제습 장치 및 방법", 2016.02.03., 이하 종래기술)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외부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분리하여 응축시키는 방식으로 수증기를 제거하며, 수증기를 분리 및 응축시키기 위해, 별도의 제1분리막, 제2분리막 등 부재가 더 많이 필요하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에너지와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A dehumidification technique for removing water vapor in the air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1593815 (" Dehumidifying device and method ", Feb. 23, 20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n the prior art, separate components such as a first separation membrane and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are required in order to remove water vapor by separating and condensing water vapor contained in outside air, and to separate and condense water vapor. The energy and the cost are wast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응축발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높은 제습성능 및 우수한 에너지효율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습설비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습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humidification system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은, 덕트배관(10) 내에 설치되되, 복수의 멤브레인(100)이 상하로 적층되는 멤브레인모듈(200)을 포함하는 제습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10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도록 형성되되, 덕트배관(10) 내 공기 중의 수증기를 포집하는 흡입부(120), 상기 흡입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하는 유입부(110) 및 상기 흡입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120)의 양단으로의 길이방향은 상기 덕트배관(10) 내 공기의 유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로 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humidifying system using a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humidifying part (10) provided in a duct pipe (10) and including a membrane module (200) in which a plurality of membranes (100) The
이때 상기 흡입부(120) 내에 흐르는 유체의 유동방향이 상기 덕트배관(10) 내 공기의 유동방향과 서로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또한 상기 흡입부(120)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배관(10) 내 공기의 유동방향의 수직면에 2차원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흡입부(120)는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외부기압보다 낮게 형성되어, 외부의 수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멤브레인모듈(200)은 상기 멤브레인(100)의 유입부(110)로 유체를 분배하는 주유입관(210) 및 상기 멤브레인(100)의 배출부(130)의 유체들을 취합하는 주배출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때 상기 멤브레인모듈(200)은 상기 주유입관(21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상태를 조절하는 주입밸브(31) 및 상기 주배출관(23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조절하는 배출밸브(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습부(300)는 복수의 멤브레인모듈(200)이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모듈(200)은 상기 제습부(30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삭제delete
또한 상기 덕트배관(10)은 실내와 연결된 제1덕트(11) 및 실외와 연결된 제2덕트(12)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부(300)는 전면이 상기 제1덕트(11)와 결합되며, 후면이 상기 제2덕트(1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덕트배관(10)은 일단이 상기 제2덕트(12)와 연결되되 타단이 실내와 연결된 순환덕트(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습부(300)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순환덕트(13)를 통해 실내로 재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습부(300)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순환덕트(13) 상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은, 수증기가 발생되는 실내공간, 실내공간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덕트배관, 그리고 덕트배관 사이에 배치된 멤브레인을 포함한 제습부를 통하여 제습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제습설비 설치를 위해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지 않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비용 효율성이라는 큰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mbrane dehumidification system comprising: an indoor space in which water vapor is generated; a duct pipe for discharging air containing steam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to the outside; To provide a dehumidification function. Thi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dehumidifying equipment, it is easy to maintain and reusable, and thus has a great effect of cos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제습성능이 우수하고, 제습 시 동력을 사용하지 않거나 적은 동력을 이용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높다. 그리고 사용자가 복수의 멤브레인모듈을 조작하거나 멤브레인 상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제습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중앙제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성능의 제습이 필요하거나 미가동 등 여러 상황에 알맞도록 제어할 수 있기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and does not use power when dehumidifying, or uses less power, so that energy efficiency is high. And the user can control the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by operating a plurality of membrane modules 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on the membrane.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central control,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because it is possible to control it to suit various situations such as high-performance dehumidification or unstable operation.
더불어,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가진 유체가 수증기를 포집하기 때문에, 소음이 적으며 추가적인 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진다.In addition,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luid having a pressure low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captures the water vapor, so that there is little noise and no additional heat is generated. This leads to an effect of provid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부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된 멤브레인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에 설치된 제습부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로에 설치된 제습부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덕트가 형성된 덕트 상에 설치된 제습부의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내부에 설치된 제습부의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습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평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y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ehumidifying system using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rranged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ehumidifying system using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view of a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of a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ehumidifying system using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part installed in a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ehumidifying system using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part installed in a pas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ehumidifying system using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part installed on a duct in which a circulating duct is formed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dehumidifying system using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of a dehumidifying part installed in a du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ehumidifying system using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system using a membr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membrane-based dehumid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unless otherwise indicated,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and configuration that can be blurred is omitted.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도면상의 흐름을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덕트배관 또는 통로 상에 설치되어 실내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12는 이러한 제습부를 접목한 실내제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2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flow of the drawing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1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humidifying part installed on the duct pipe or passage for dehumidifying the room in more detail. 7 to 12 relate to an indoor dehumidification structure incorporating such a dehumidifying par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FIGS. 1 to 12. FIG.
도 1은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도 1은 제습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습시스템은 멤브레인모듈(200)이 내부에 포함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를 제거하는 제습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습부(300)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이 되는 덕트배관이나,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 상에 형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습부(300)는 덕트와 결합될 수 있는 몸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덕트 사이에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습부(300) 내부에 포함된 멤브레인모듈(200)은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FIG. 1 is an embodiment of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ying part. Referring to FIG. 1, the dehumidify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은 배열된 멤브레인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멤브레인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멤브레인모듈(200)은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전후방향은 덕트 상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 또는 덕트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멤브레인모듈(200) 내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것은 도 2 및 도 3을 포함하여 여러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유동을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멤브레인이 공기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것이 좋다.FIGS. 2 to 4 show an embodiment of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rranged membrane module,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mbrane module. Referring to FIG. 2, the
그리고 도 4는 하나의 멤브레인모듈(200)을 도시한 것으로, 멤브레인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을 보다 상세히 도시하기 위해 확대한 것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멤브레인(100)이 상하로 소정 간격이 이격되어 적층된 상태로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멤브레인(100)으로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주유입관(21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멤브레인(100)에서 배출된 유체를 취합하는 주배출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모듈(200)은 흐르는 공기 내의 수증기를 포집할 수 있는 주포집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멤브레인(100)은 주포집부(220)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만을 포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4 shows on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인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도 5는 멤브레인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멤브레인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멤브레인(10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도록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입부(110), 흡입부(120) 및 배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5 and 6 show one embodiment of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th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5 shows a plan view of the membrane, and FIG. 6 shows a schematic view of the membrane. 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유입부(110) 및 배출부(130)는 각각 유체가 유입 및 배출이 되는 구성이며, 복수의 멤브레인(100)의 각각의 유입부(110)는 상기 주유입부(210)에서 유입된 유체가 분배되어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멤브레인(100)의 각각의 배출부(130)도 상기 주배출구(230)로 유체가 취합될 수 있다. Each of the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유입부(110) 및 배출부(130) 사이를 연결하며,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20)는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외부 기압보다 낮게 형성되기에 수증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흡입부(12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외부에 흐르는 공기보다 낮기 때문에,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흡입부(120)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공기 유동이 발생이 된다. 또한 흡입부(120)는 선택적으로 수증기만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공기의 조성하는 물질 중에서 수증기만이 유입이 되며, 상기 흡입부(120) 내부로 삽입된 공기는 내부의 유체와 함께 배출부(130)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공기 중의 수분함량이 줄어들어 제습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The
이어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입부(110), 흡입부(120) 및 배출부(130)는 모두 관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110) 및 배출부(13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유입부(110) 및 배출부(130)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되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110)의 양단에서 공급된 유체가 복수의 흡입부(120)로 분배될 수 있으며, 복수의 흡입부(120)를 지난 유체들은 상기 배출부(130)의 양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110) 및 배출부(130)의 양단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주입밸브(31) 및 배출밸브(3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밸브(31) 및 배출밸브(32)는 복수의 흡입부(120)를 지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의 대기 기압보다도 낮게 형성하여 수증기의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주입밸브(31) 및 배출밸브(32)의 개방수준을 조절하여 수증기의 포집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멤브레인(100)과 복수의 멤브레인모듈(200)을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유체가 유동되거나, 선택된 멤브레인 또는 멤브레인모듈과 연결된 밸브(30)를 제어하여 제습 수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멤브레인(100)은 폴리술폰(Polysulfone) 중공사막으로 할 수 있으며, 공기 중 수증기의 선택도를 높이기 위해 내부에 폴리아마이드(Polyamide)를 100nm∼200nm 두께로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멤브레인(100)의 내부 중공부의 형상은 원형의 관을 포함하여,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삼각형 및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Also, the inner hollow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멤브레인(100)은, 구조적으로 수증기가 투과할 수 있는 두께가 0.5mm~1.2㎜ 정도의 아주 얇은 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그리고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멤브레인(100)은, 리크가 최소화 되며, 상기 멤브레인(100)에 침투된 수증기의 분산이 골고루 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작은 체적의 멤브레인(100)의 제습성능이 고효율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으로 이어진다. The
또한 상기 멤브레인(100)의 흡입부(120)에 대해서 부가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흡입부(120)는 클로로에틸렌, 플루오르카본 고분과들과 폴리이미드 등을 이용하여 미세한 막으로 이루어진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수증기는 큰 극성을 가짐과 더불어 도분자에 비해 용해도 상수가 크며, 투과 상수 또한 크기 때문에 공기 내 다른 성분인 산소, 질소보다 빨리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증기의 성질을 바탕으로 상기 흡입부(120) 내 저압의 유체가 흐르게 하여 공기 내 수증기만을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7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는, 아파트 평면도로써 본 발명의 덕트배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이 적용되는 공간을 예시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습을 필요로 하는 드레스룸(Dress Room), 상기 드레스룸(Dress Room)에 배치된 환기용디퓨져, 상기 환기용디퓨져와 연결된 후렉시블덕트(Flexible duct)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드레스룸(Dress Room)에서 발생된 공기는 상기 환기용디퓨져를 통과한 후 상기 후렉시블덕트(Flexible duct)를 따라 상기 아파트 욕실겸용환기배기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같이 실외로 배출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덕트배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서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제습부(300)는 후렉시블덕트 뿐만이 아니라 각 방 사이에 설치되어 질 수도 있으며, 또는 제습이 필요한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pac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is is an example of a space in which a dehumidifying system using a membrane installed in a duc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flat view of an apartment. More specifically, a dress room requiring dehumidification, a ventilating diffuser disposed in the dress room, and a flexible duct connected to the ventilating diffuser are illustrated. The air generated in the dress room passes through the ventilating diffuser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ng exhaust fan in the apartment bathroom along the flexible duct. That is, the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the membrane installed in the duc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existing space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도 8은 본 발명의 덕트배관에 설치된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덕트배관에 설치된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멤브레인(100) 또는 복수의 멤브레인모듈(200)이 형성된 제습부(300)를 이용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습부(300)는 제1덕트(11) 및 제2덕트(12)를 포함하는 덕트배관(1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의 경우에는 상기 제1덕트(11) 및 제2덕트(12) 사이에 제습부(300)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FIG. 8 shows an embodiment of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installed in a duc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ying system using a membrane installed in the duc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uses a
그리고 제1덕트(11)는 실내공간(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간(1)은 제습이 필요한 장소로 일반적으로, 드레스룸, 약품저장고, 탄약고, 음식물 건조시설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간(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와 병행하여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며, 침실 등과 같이 쾌적한 환경을 요구하는 장소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제2덕트(12)는 실외 또는 다른 실내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덕트(12) 상에 환풍기가 형성이 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환풍수단과 상기 제2덕트(12)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덕트(11) 및 제2덕트(12)는 기존에 다양하게 개시된 덕트배관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도 9는 본 발명의 덕트배관에 설치된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습부(300)는 실내공간(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덕트배관(10) 뿐만이 아니라, 상기 실내공간(1)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통로(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덕트배관(10)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환풍기가 작동이 되면, 상기 실내공간(1)에는 다른 장소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공간(1)에 유입되는 공기가 습도가 높은 경우에, 상기 실내공간(1)도 습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실내공간(1)에 유입되는 공기가 지나는 통로(20) 상에 설치되어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FIG.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installed in a duc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9,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덕트배관에 설치된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덕트배관은 제1배관(11) 및 제2배관(12)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제2덕트(12)와 연결되되 타단이 실내와 연결된 순환덕트(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실내공간(1)에서 환풍구(2)를 통해 덕트배관 상에 습도가 높은 공기가 유입이 될 때, 상기 제습부(300)는 공기의 수증기를 포집하여 지나는 공기의 습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습도가 낮아진 공기의 일부는 상기 순환덕트(13)를 통해 다시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공간(1)의 습도가 일정수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실내공간(1)에서 배출된 공기가 제습되어 재순환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은 제습된 공기가 같은 실내공간(1)이 아니라 다른 장소로 이송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installed in a duc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he duct pipe includes a
도 11은 본 발명의 덕트배관에 설치된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습부(300)는 덕트배관(10)과 결합되는 것만이 아닌, 상기 덕트배관(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습부(300)가 설치된 지점의 덕트배관(10)이 손쉽게 개방되거나 분해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a membrane installed in a duc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the
도 12는 본 발명의 덕트배관에 설치된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습부(300)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하나의 제습부(300)는 제2덕트(12) 상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습부(300)는 순환덕트(13) 상에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다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도록, 환풍기가 제2덕트(12) 및 순환덕트(13) 상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습부(300)로 유입된 유체는 수증기가 없거나 습도가 낮은 상태이지만, 상기 제습부(300)에서 배출된 유체는 수증기가 포집되었기에 습도가 높은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유체 상의 수증기를 포집하는 별도의 2차 루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2차 루프를 통해 유체 상의 물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물은 화장실이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dehumidifying system using a membrane installed in a duc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the
또한 상기 순환덕트(13)의 입구에는 상기 제습부(300)로부터 배출된 수증기가 제거된 건조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실내공간(1)의 습도에 따라 상기 댐퍼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댐퍼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damper may be formed at the inlet of the circulating
또한, 본 발명의 제습부(300)는 덕트 뿐만 아니라 실내공간(1)의 벽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창호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 상의 습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배기팬이 구비되며, 상기 배기팬은 욕실쪽 스마트 커버가 on/off되면서 욕실의 배기를 제어하고, 드레스룸, 침실 또는 거실쪽의 전자석댐퍼의 on/off에 따라 개별배기 및 동시배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팬은 욕실의 천장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배출구의 끝단이 방화댐퍼를 거쳐 건물의 공조배관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exhaust fan is provided. The exhaust fan controls the ventilation of the bathroom while the bathroom-side smart cover is turned on and off, and the individual exhaust And simultaneous venting are possible. Also, the exhaust fan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and the end of the exhaust port may b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pipe of the building via the fire damper.
본 발명의 덕트배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을 통하여 제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멤브레인모듈(200)에 가스가 주입되도록 주입밸브(31)와 배출밸브(32)를 여는 제1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멤브레인모듈(200) 내에 가스가 주입되도록 하기 위해, 주입밸브(31) 및 배출밸브(32)를 열어, 가스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주입밸브(31)를 통해 주입되는 가스는 외부의 공기 압력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 기압과 대비하여 0.7 내지 0.9 사이 정도의 압력을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다.A method for dehumidifying the
이때, 가스가 주입밸브(31)로 주입됨에 따라, 덕트배관 또는 통로 상에서 공기가 유동하도록 환풍기와 같은 송풍수단을 작동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배관 또는 통로 상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습부(300)를 이용해 수증기를 포집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gas is injected into the
여기서 상기 멤브레인장치(E)가 수증기 제거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멤브레인장치(E) 내부로 가스가 주입될 수 있지만, 가스에 한정하지 않으며 흐를 수 있는 모든 유체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밸브(210)를 통해 주입되는 가스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멤브레인장치(E)의 제습량은 높아지므로, 상기 주입밸브(31)로 주입되는 가스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값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order for the membrane apparatus E to exert the water vapor removing function, gas may be injected into the membrane apparatus 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gas but also any fluid that can flow.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injected through the
또한, 상기 멤브레인모듈(200)의 제습량은 가스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동일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멤브레인모듈(200)은 주입밸브(31) 및 배출밸브(32)를 통해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Further, the dehumidifying amount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 : 실내공간 2 : 환풍구
3 : 취입구
10 : 덕트배관
11 : 제1덕트 12 : 제2덕트
13 : 순환덕트
20 : 통로
31 : 주입밸브 32 : 배출밸브
100 : 멤브레인
110 : 유입부 120 : 흡입부
130 : 배출부
200 : 멤브레인모듈
210 : 주유입관 230 : 주배출관
300 : 제습부1: Indoor space 2: Ventilation
3: inlet
10: Duct piping
11: first duct 12: second duct
13: Circular duct
20: passage
31: injection valve 32: discharge valve
100: membrane
110: inlet part 120: suction part
130:
200: Membrane module
210: Oil inlet 230: Main outlet pipe
300: dehumidifying part
Claims (12)
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10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도록 형성되되,
덕트배관(10) 내 공기 중의 수증기를 포집하는 흡입부(120), 상기 흡입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하는 유입부(110) 및 상기 흡입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120)의 양단으로의 길이방향은 상기 덕트배관(10) 내 공기의 유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A dehumidifying part 300 installed in the duct pipe 10 and including a membrane module 200 in which a plurality of membranes 100 are stacked on top and bottom;
Lt; / RTI >
The membrane 100 is formed to have a fluid flow therein,
A suction unit 120 for collecting water vapor in the air in the duct piping 10; an inlet 11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ction unit to introduce the fluid; a discharge unit 13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unit to discharge fluid ),
Where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part (120)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air flow in the duct pipe (10).
상기 흡입부(120) 내에 흐르는 유체의 유동방향이 상기 덕트배관(10) 내 공기의 유동방향과 서로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low direction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is opposite to a flow direction of air in the duct pipe (10).
상기 흡입부(120)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배관(10) 내 공기의 유동방향의 수직면에 2차원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units 120,
Dimensionally arranged on a vertical plane in a direction of air flow in the duct pipe (10).
상기 흡입부(120)는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외부기압보다 낮게 형성되어, 외부의 수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unit 120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water vapor can pass, and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inlet 110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external air pressure, and external steam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suction unit 120. Dehumidification system used.
상기 멤브레인모듈(200)은 상기 멤브레인(100)의 유입부(110)로 유체를 분배하는 주유입관(210) 및 상기 멤브레인(100)의 배출부(130)의 유체들을 취합하는 주배출관(230)을 포함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mbrane module 200 includes a main inlet 210 for distributing a fluid to an inlet 110 of the membrane 100 and a main outlet 230 for collecting fluids from the outlet 130 of the membrane 100. Wherein the dehumidifying system comprises a membrane.
상기 멤브레인모듈(200)은 상기 주유입관(21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상태를 조절하는 주입밸브(31) 및 상기 주배출관(23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조절하는 배출밸브(32)를 포함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mbrane module 200 includes an injection valve 31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inlet pipe 210 and a discharge valve 32 for regulating the stat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main discharge pipe 230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membrane.
상기 제습부(300)는 복수의 멤브레인모듈(200)이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모듈(200)은 상기 제습부(30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humidifying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membrane modules 200,
Wherein the plurality of membrane modules (200) are arrang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dehumidifying part (300).
상기 덕트배관(10)은 실내와 연결된 제1덕트(11) 및 실외와 연결된 제2덕트(12)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부(300)는 전면이 상기 제1덕트(11)와 결합되며, 후면이 상기 제2덕트(1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pipe (10) includes a first duct (11) connected to a room and a second duct (12) connect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dehumidifying part (300) has a front surface coupled to the first duct (11) and a rear surface coupled to the second duct (12).
상기 덕트배관(10)은 일단이 상기 제2덕트(12)와 연결되되 타단이 실내와 연결된 순환덕트(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습부(300)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순환덕트(13)를 통해 실내로 재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uct pipe (10) further includes a circulation duct (1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duct (1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duct,
Wherein the dehumidified air is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ying unit (300), and the air is re-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13).
상기 제습부(300)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순환덕트(13) 상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humidifying unit (300) comprises a plurality of dehumidifying units (300), and is further installed on the circulating duct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7/015721 WO2018147554A1 (en) | 2017-02-13 | 2017-12-29 |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membrane installed in building du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19676 | 2017-02-13 | ||
KR1020170019676 | 2017-02-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770A KR20180093770A (en) | 2018-08-22 |
KR101980284B1 true KR101980284B1 (en) | 2019-05-20 |
Family
ID=6345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6733A KR101980284B1 (en) | 2017-02-13 | 2017-07-31 |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membrane installed in duc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028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0572A (en) * | 2020-09-23 | 2022-03-3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 membrane dehumidification module for selective filtration of liquid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30026066A (en) | 2021-08-17 | 2023-02-2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gas separating membra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20816A (en) * | 2001-04-26 | 2002-11-05 |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 Purge gas distributor |
KR101328447B1 (en) * | 2012-06-21 | 2013-11-1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Dehumidifying duct using hollow yarn membrane module |
KR101444323B1 (en) * | 2013-02-22 | 2014-09-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Cargo tank air conditioning system |
US20160054012A1 (en) | 2014-08-19 | 2016-02-25 |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 Liquid to air membrane energy exchanger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3815B1 (en) | 2014-08-07 | 2016-02-15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dehumidifier |
KR102098641B1 (en) * | 2015-06-22 | 2020-04-0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ollow Fiber Membrane Humidifier Module |
-
2017
- 2017-07-31 KR KR1020170096733A patent/KR10198028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20816A (en) * | 2001-04-26 | 2002-11-05 |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 Purge gas distributor |
KR101328447B1 (en) * | 2012-06-21 | 2013-11-1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Dehumidifying duct using hollow yarn membrane module |
KR101444323B1 (en) * | 2013-02-22 | 2014-09-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Cargo tank air conditioning system |
US20160054012A1 (en) | 2014-08-19 | 2016-02-25 |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 Liquid to air membrane energy exchanger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0572A (en) * | 2020-09-23 | 2022-03-3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 membrane dehumidification module for selective filtration of liquid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415424B1 (en) | 2020-09-23 | 2022-07-0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 membrane dehumidification module for selective filtration of liquid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30026066A (en) | 2021-08-17 | 2023-02-2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gas separating membra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770A (en) | 2018-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9943B2 (en) | Method for dehumidifying room air | |
CN110709643B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160100055A (en) | Dehumidifier | |
AU2015400019B2 (en) | Building provided with an air treatment system | |
CN105066292A (en) | Intelligent dehumidifying bladeless fan | |
CN106152319A (en) | A kind of recuperation of heat cooling-down air conditioner device | |
KR101973646B1 (en)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the same | |
CN105041625A (en) | Bladeless fan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
KR101980284B1 (en) |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membrane installed in duct | |
KR101957240B1 (en) | Air conditioner | |
JP3132940B2 (en) | Air conditioner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 |
KR102497520B1 (en) | Air Conditioner Having Ventilation Function | |
JP4251004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KR102147161B1 (en) | Heat recovering ventilator with hepa filter | |
KR102506254B1 (en) | Dehumidifier With Air Cleaning and Ventilating Function | |
CN206709271U (en) | A kind of fresh air dehumidification corollary system | |
JP5495914B2 (en) | House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563696B1 (en) | Humidify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 |
KR20180070373A (en) | Ventilation device for interior having air purification and humidification function | |
KR102628049B1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JP2522126B2 (en) | Indoor air conditioner | |
WO2018147554A1 (en) | Dehumidification system using membrane installed in building duct | |
JP6558089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CN210832311U (en) | Dehumidification structure, dehumidification equipment and water heater | |
KR20240118279A (en) | Heating ventilation and cooling system for the construc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