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076B1 - Container bag - Google Patents
Container ba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4076B1 KR101964076B1 KR1020180120267A KR20180120267A KR101964076B1 KR 101964076 B1 KR101964076 B1 KR 101964076B1 KR 1020180120267 A KR1020180120267 A KR 1020180120267A KR 20180120267 A KR20180120267 A KR 20180120267A KR 101964076 B1 KR101964076 B1 KR 101964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pe
- connecting member
- contents
- side wall
- container ba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더라도 백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bag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shape of a bag even when contents are stored therein.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으로도 불리며, 곡물, 곡분, 사료, 비료, 석재, 흙, 시멘트 등의 다양한 내용물을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를 말한다.The container bag is also called a FIBC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 big bag and a bulk bag. It can store various contents such as grain, grain, feed, fertilizer, stone, And to transport and store it.
최근에는 선박이나 차량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벌크(bulk) 제품, 즉 비드(bead), 그래뉼(granule), 펠릿(pellet), 플레이크(flake) 등의 형태로 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many container bags have been used for transporting products in the form of large-capacity bulk products, such as beads, granules, pellets, flakes, etc., have.
이때,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At this time, contents of about 500 kg to 2000 kg are stored in a container bag and transported to a crane, a hoist, a forklift or the like and stored in a warehouse or carried on a truck.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246203호(2001.08.30 등록)는 컨테이너 백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 하방이 개방된 다각기둥 형상의 외피와, 이 외피 내부에 장착되어 운반물을 보관하는 내피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외피와 같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내피의 상단 모서리에는 외피와 함께 봉재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봉재부가 구비되어, 상기 외피를 제작하기 위해 봉재 가공할 때, 상기 봉재부를 통해 외피와 내피를 함께 봉재하여 외피와 내피가 일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0246203 (registered on Aug. 30, 2001) describes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ique, a polygonal columnar sheath having an open top and an open bottom,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envelope is formed in a polygonal columnar shape such as an outer envelope, and a separate barrel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edge of the inner envelope so as to be able to bar together with the outer envelope,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r are integrally joined together by sewing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r together through the bar por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095116호(2011.12.09 등록)는 액상, 입상, 분말물질 및 기타 벌크물질 등과 같은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유연성 시트재질의 컨테이너 백 구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외주면을 이루는 본체의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마주보는 면을 각각 대판과 소판으로 구분하되 상기 대판과 소판의 접촉면인 모서리부를 봉제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공을 형성하고 봉제처리한 후 상기 삽입공에 플렉시블한 파이프를 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5116 (registered on Dec. 12, 2011) discloses a container bag structure of a flexible sheet made of synthetic resin or the like for receiving a fluid material such as liquid, granular, powdery material and other bulk materials.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n injection hole is dri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lid member is sew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by sewing a separate injection member. Wherein a face of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a base plate and a platelet, and an edge portion, which is a contact fac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platelet, is sewed, and a length And a flexible pipe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after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 백은,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하중에 의하여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한정된 공간에 여러 개의 컨테이너 백이 배치될 경우에 컨테이너 백 사이의 공극이 커서 컨테이너 백의 적재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모서리 부분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bag, a phenomenon that the container bag protrudes outward due to the load of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occurs, and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 bags are arranged in a limited space, The loading efficiency of the bag is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rner portion is tor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더라도 백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bag in which the shape of a bag can be kept constant even if contents are stored therei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다수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중앙에 내용물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구비한 덮개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중앙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을 구비한 바닥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 외측에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이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contents therein; A lid part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art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contents at a center thereof; A bottom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center; A plurality of hooks extending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receptacle; And a plurality of shape retaining portions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adjacent side walls of the receiving portio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강망부재; 및 상기 보강망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hape retaining portion includes: a reinforcing net member formed in a net shape; And a connecting memb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net member and connected to inner surfaces of neighboring side walls of the receiv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hape retain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bar member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to reinforce the receiv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용부는, 측벽 내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삽입라인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on line groove member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형상유지부의 상단과 상기 측벽 사이의 공간을 덮기 위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further includes a cover for covering a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hape retaining part and the side wall.
본 발명에 의하면, 형상유지부가 수용부의 측벽 사이에 연결 형성됨으로써, 수용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더라도 수용부의 측벽이 부풀어 오르지 않고 본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부의 모서리 부분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ape retaining por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side wall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does not swell up and the original shape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prevented from tearing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형상유지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형상유지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수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retaining portion shown in Fig. 1 as a first example.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retaining portion in Fig. 1 as a second example.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10)은, 수용부(100), 덮개부(200), 바닥부(300), 걸이부(400), 형상유지부(5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container bag 10 includes a receiving
수용부(100)는, 다수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에 곡물, 곡분, 사료, 비료, 석재, 흙, 시멘트 등의 다양한 내용물을 수용한다.The
일 실시 예에서, 수용부(1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소재의 화학사를 직조한 직물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직물시트의 특성상 수용부(100)는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수용부(100)는, 도면에서 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측벽이 4개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측벽은 양단부를 재봉 또는 열융착하여 연결하거나, 일체로 연장된 단일의 직물지를 일정 간격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수용부(100)는, 내측에 방수성이 있는 비닐 등으로 제작된 내피를 더 구비하여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덮개부(200)는, 수용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에 내용물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210)을 구비한다.The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200)는, 삽입홀(210)을 통해 수용부(100) 내측으로 내용물을 삽입한 후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삽입홀(210)을 조여 조임끈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바닥부(300)는, 수용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중앙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310)을 구비한다.The
일 실시 예에서, 바닥부(200)는, 배출홀(310)을 통해 수용부(100)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한 후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배출홀(310)을 조여 조임끈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걸이부(400)는, 수용부(100)의 상단 외측에 다수개로 연장 형성되며,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에 걸어 인양할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The
형상유지부(500)는, 수용부(100)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 사이에 연결 형성되며, 수용부(10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The
일 실시 예에서, 형상유지부(500)는, 수용부(100)의 측벽과 다른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형상유지부(500)는, 수용부(100)의 측벽과 다른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 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수용부(100)가 사각기둥 형태일 경우, 사각기둥의 각 모서리 부분에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일부 모서리 부분에는 생략하거나, 일부 모서리 부분에 중복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형상유지부(500)는, 일단은 수용부(100)의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수용부(100)의 다른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어 이웃하는 측벽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예를 들어, 약 90도)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수용부(100)에 내용물 수납시 측벽이 외측방향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컨테이너 백(10)은, 형상유지부(500)가 수용부(100)의 측벽 사이에 연결 형성됨으로써, 수용부(100)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더라도 수용부(100)의 측벽이 부풀어 오르지 않고 본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컨테이너 백(10)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0)의 모서리 부분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ainer bag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도 3은 도 1에 있는 형상유지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retaining portion shown in Fig. 1 as a first example.
도 3을 참조하면, 형상유지부(500)는, 보강망부재(510), 연결부재(5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보강망부재(510)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용부(100)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어, 측벽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수용부(100)의 본래 형상을 유지시켜준다.The reinforcing
일 실시 예에서, 보강망부재(510)는, 금속철망 또는 탄소섬유 등 고강도 화학섬유 망으로 형성되어, 수용부(1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에 의해 수용부(100)가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이에 의해 수용부(100)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의 적재 무게, 크기 등에 따라 그물망을 구성하는 섬유의 재질, 직조 방법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연결부재(520)는, 보강망부재(510)의 양단에 형성되며, 수용부(100)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에 각각 연결한다.The connecting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520)는, 보강망부재(510)의 일단에 형성되는 부분은 수용부(100)의 측벽의 내면에 재봉으로 고정되고, 보강망부재(510)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부분은 수용부(100)의 다른 측벽의 내면에 재봉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connecting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520)는, 끈, 띠, 스트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강망부재(510)와 봉재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520)는, 끈, 띠, 스트랩 등을 다수겹으로 구비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520)는, 끈, 띠, 스트랩 외에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수용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도 4는 도 1에 있는 형상유지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retaining portion in Fig. 1 as a second example. Fig.
도 4를 참조하면, 형상유지부(500)는, 보강망부재(510), 연결부재(520), 보강바부재(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강망부재(510), 연결부재(52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the
보강바부재(530)는, 연결부재(520)의 내부에 삽입 형성되며, 수용부(100)를 보강한다.The reinforcing
일 실시 예에서, 보강바부재(530)는, 수용부(100)가 약 1500kg 정도의 대용량인 경우 수용부(100)를 지지하는 힘이 부족할 때를 대비하여, 연결부재(5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부재(520)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수용부(100)를 보강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일 실시 예에서, 보강바부재(530)는, 하단이 연결부재(520)의 상단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 연결부재(520)의 하단 끝까지 삽입된 후에, 연결부재(520)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재봉 등으로 마감 작업하여 연결부재(5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다.The reinforcing
일 실시 예에서, 보강바부재(530)는, 무거운 재질로 형성될 경우 운반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므로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가벼운 금속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도 5는 도 1에 있는 수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수용부(100)는, 삽입라인홈부재(110)를 더 포함한다.5, the receiving
삽입라인홈부재(110)는, 수용부(100)의 측벽 내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연결부재(520)를 삽입한다.The insertion
일 실시 예에서, 삽입라인홈부재(110)는, 형상유지부(500)가 구비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수용부(100)의 측벽 내면과 다른 측벽 내면에 각각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유지부(500)의 연결부재(520)를 삽입하여 연결부재(520)가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일 실시 예에서, 삽입라인홈부재(110)는, 중앙 부분에 관통 라인이 형성되어, 내부로 연결부재(520)를 삽입 시, 보강망부재(510)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이때, 연결부재(520)는,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삽입라인홈부재(1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컨테이너 백(10)은, 형상유지부(500)가 손상된 경우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내용물의 무게 등 필요에 따라 보강망부재(510)의 종류를 달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The container bag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easily replaced i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컨테이너 백(10)은, 삽입라인홈부재(110)의 일측에 다수개의 삽입홀(미도시)가 구비되고, 연결부재(520)의, 일측에 다수개의 연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홀과 연결홀 사이로 철사, 끈 등을 삽입하여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삽입라인홈부재(100)로 삽입된 연결부재(520)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ntainer bag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not shown)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10)은, 수용부(100), 덮개부(200), 바닥부(300), 걸이부(400), 형상유지부(500), 커버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부(100), 덮개부(200), 바닥부(300), 걸이부(400), 형상유지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6, the container bag 10 includes a receiving
커버부(600)는, 형상유지부(500)의 상단과 수용부(100)의 측벽 사이의 공간을 덮어준다. 이에 따라, 형상유지부(500)의 상단과 수용부(100)의 측벽 사이의 공간으로 내용물이 흘러들어가 형상유지부(500)의 역할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600)는, 형상유지부(500)의 상단과 수용부(100)의 측벽 사이의 공간 형상과 동일한 삼각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600)는, 수용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 부분을 형상유지부(500)의 상단과 수용부(100)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 재봉 또는 열융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 : 컨테이너 백
100 : 수용부
110 : 삽입라인홈부재
200 : 덮개부
210 : 삽입홀
300 : 바닥부
310 : 배출홀
400 : 걸이부
500 : 형상유지부
510 : 보강망부재
520 : 연결부재
530 : 보강바부재
600 : 커버부10: container bag
100:
110: insertion line groove member
200:
210: insertion hole
300:
310: discharge hole
400:
500: Shape retaining portion
510: reinforcing net member
520: connecting member
530: reinforcement bar member
600: cover part
Claims (5)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중앙에 내용물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구비한 덮개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중앙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을 구비한 바닥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 외측에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이부;
상기 수용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형상유지부; 및
상기 형상유지부의 상단과 상기 측벽 사이의 공간을 덮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형상유지부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강망부재;
상기 보강망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바부재는,
하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 끝까지 삽입된 후에,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홀이 마감 작업되어,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형상유지부의 상단과 상기 측벽 사이의 공간 형상과 동일한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 부분이 상기 형상유지부의 상단과 상기 측벽 사이에 재봉 또는 열융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A receiving part formed of a plurality of side walls for receiving contents therein;
A lid part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art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contents at a center thereof;
A bottom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center;
A plurality of hooks extending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receptacle;
A plurality of shape retaining portions formed to be connected between inner surfaces of neighboring sidewall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a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hape retaining portion and the side wall,
The shape-
A reinforcing net member in the form of a net;
A connecting memb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net member to connect to inner surfaces of neighboring side walls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nd a reinforcing bar member inserted and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receiving portion,
The reinforcing bar member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inished and is not detach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The cover portion
Wherein a shape of the triangular shape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hape retaining portion and the side wall, and the rim portion is fix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hape retaining portion and the side wall by sewing or heat sealing.
측벽 내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삽입라인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line groove member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267A KR101964076B1 (en) | 2018-10-10 | 2018-10-10 | Container ba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267A KR101964076B1 (en) | 2018-10-10 | 2018-10-10 | Container ba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4076B1 true KR101964076B1 (en) | 2019-04-02 |
Family
ID=6616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0267A KR101964076B1 (en) | 2018-10-10 | 2018-10-10 | Container ba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407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8501B1 (en) * | 2019-05-21 | 2019-09-05 | 박영숙 | Bulk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
CN110203562A (en) * | 2019-07-11 | 2019-09-06 | 江苏长协工业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detachable folding liquid turnover device |
KR102191147B1 (en) | 2020-07-29 | 2020-12-15 | 윤성산업(주) | Container bag with reinforc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32092A (en) * | 1990-09-11 | 1993-05-28 | Christopher C Cuddy | Bulk container |
JPH0728894U (en) * | 1993-11-11 | 1995-05-30 | ソイル工業株式会社 | Container bag |
KR200246203Y1 (en) | 2001-06-28 | 2001-10-17 | 박영묵 | Container Bag |
KR20060053451A (en) * | 2004-11-16 | 2006-05-22 | (주)동주피엔씨 | Large bag protrusion-prevention structure |
KR101095116B1 (en) | 2011-06-02 | 2011-12-16 | 유규상 | Container bag |
KR20160088714A (en) * | 2015-01-16 | 2016-07-26 | 박혜진 | Container bag |
-
2018
- 2018-10-10 KR KR1020180120267A patent/KR10196407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32092A (en) * | 1990-09-11 | 1993-05-28 | Christopher C Cuddy | Bulk container |
JPH0728894U (en) * | 1993-11-11 | 1995-05-30 | ソイル工業株式会社 | Container bag |
KR200246203Y1 (en) | 2001-06-28 | 2001-10-17 | 박영묵 | Container Bag |
KR20060053451A (en) * | 2004-11-16 | 2006-05-22 | (주)동주피엔씨 | Large bag protrusion-prevention structure |
KR101095116B1 (en) | 2011-06-02 | 2011-12-16 | 유규상 | Container bag |
KR20160088714A (en) * | 2015-01-16 | 2016-07-26 | 박혜진 | Container bag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8501B1 (en) * | 2019-05-21 | 2019-09-05 | 박영숙 | Bulk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
CN110203562A (en) * | 2019-07-11 | 2019-09-06 | 江苏长协工业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detachable folding liquid turnover device |
KR102191147B1 (en) | 2020-07-29 | 2020-12-15 | 윤성산업(주) | Container bag with reinforc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8622B1 (en) | Container bag for granular materials | |
KR101964076B1 (en) | Container bag | |
KR101696884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KR101625405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supporting belt | |
KR101922377B1 (en) | Baffle type container bag | |
US5073035A (en) | Bulk carrying bag | |
US20120281932A1 (en) | Flexi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chute | |
JP4959850B1 (en) | Flexible container bag | |
KR101476400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KR101491820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KR101647251B1 (en) | Container bag | |
KR102492023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 |
KR101459113B1 (en) | container bag | |
KR101966970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KR101459114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multistage hyrid belt | |
EP3105149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 | |
KR101547563B1 (en) | Method of manufacture for container bag | |
KR101011503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ntainer Bag and Container Bag | |
EP3643642A1 (en) | Packaging bag | |
KR200346357Y1 (en) | standing container back having waterproofing | |
KR20020060954A (en) |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 |
US11292664B2 (en) | Flexible large container with a seam-free useful space | |
AU2013201046A1 (en) | Gusseted Bag | |
KR102426062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JP2022030908A (en) | Self-standing flexibl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