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930B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930B1
KR101588930B1 KR1020130117163A KR20130117163A KR101588930B1 KR 101588930 B1 KR101588930 B1 KR 101588930B1 KR 1020130117163 A KR1020130117163 A KR 1020130117163A KR 20130117163 A KR20130117163 A KR 20130117163A KR 101588930 B1 KR101588930 B1 KR 10158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parator
unit
separation membran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8863A (en
Inventor
박지원
고명훈
안창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1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930B1/en
Publication of KR2015003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8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9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3Cells or batterie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9Bipola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4층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체가 적어도 1개 적층되는 단위체 스택부; 및 단위체 스택부를 커버하는 파우치 외장재를 포함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는 전극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분리막 및 제2 분리막에는 전극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막 관통홀이 형성되고, 파우치 외장재에는 전극 관통홀 및 분리막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우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t stack having a first electrode, a first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and a second separator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four-layer structure; And an electrod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hrough hole in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The pouch exterio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uch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hrough hol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a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a device on which a secondary battery is mounted.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 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폴리머)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Of these, lithium (ion / polymer) secondary batteries, which have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operating voltage and excellent storage and life characteristics, The devices are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s well.

한국공개특허 제2008-0052869호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차전지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대칭이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도 18 참조).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052869 discloses a structure of a general secondary battery, more specifically, a structure of a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10 that is symmetrical in a right and left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ee FIG. 18 ).

통상적으로는 이차전지가 설치되는 디바이스의 공간활용 측면에 있어서, 이러한 직육면체 형상의 이차전지가 유리하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이차전지가 오히려 디바이스의 공간활용을 제약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은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초박형으로 설계되며 전체 두께가 1cm도 안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제한된 스마트폰의 내부 공간에 이차전지, 각종 전자부품 및 카메라 모듈까지 모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배치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은 줌인(zoom in) 및 줌아웃(zoom out)이 가능하고 복수 개의 렌즈까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를 줄이는 것이 매우 힘들다. 또한 스마트폰의 장시간 가동을 위하여 대용량의 이차전지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차전지의 두께를 줄이는 것도 매우 어렵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과 이차전지는 스마트폰의 내부 공간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하고, 서로 겹쳐져서 배치되지는 못한다. Generally, such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econdary battery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of a device i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installed. However, in some cases,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econdary battery may limit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device. For example, smart phones are designed to be ultra-thin for convenience of carrying, and often have a total thickness of less than 1 cm. However, since the secondary battery,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nd camera modules must be installed in an internal space of a limited smart phone, placement of components is very important. However, since the camera module is capable of zooming in and zooming out and has a plurality of lenses, it is very difficult to reduce the thickness. Also, since a large-capacity secondary battery is used for operating the smartphone for a long time, it is also very difficult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fore, the camera module and the secondary batter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of the smart phone, and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이차전지의 형상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특히 소형 전자 디바이스에서는 부품의 설치위치가 특정 위치로 제한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디바이스의 사이즈 및 디자인이 상당히 제한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a limit to the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particularly in a small electronic devi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mponent is limited to a specific position, and the size and design of the device are significantly restric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of a device o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mounted.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4층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체가 적어도 1개 적층되는 단위체 스택부; 및 단위체 스택부를 커버하는 파우치 외장재를 포함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는 전극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분리막 및 제2 분리막에는 전극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막 관통홀이 형성되고, 파우치 외장재에는 전극 관통홀 및 분리막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우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t stack having a first electrode, a first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and a second separator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four-layer structure; And an electrod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hrough hole in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The pouch exterio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uch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hrough hol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of a device o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mounted.

도 1은 전극 관통홀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극의 평면도
도 2는 전극 관통홀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사시도
도 3은 전극 관통홀 및 분리막 관통홀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평면도
도 4는 전극 관통홀 및 분리막 관통홀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위체 스택부의 사시도
도 5는 파우치 외장재 성형을 위한 핀치 및 다이의 단면도
도 6은 파우치 관통홀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1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2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는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1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2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3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4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 제1 보조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5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6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7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8은 종래의 이차전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1 is a plan view of a first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lectrode through hole is form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lectrode through-
3 is a plan view of a basic uni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lectrode through hole and a separation membrane through-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st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lectrode through hole and a separation membrane through-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nch and die for pouch exterior material molding
6 is a plan view of a pouch out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uch-
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rst structure of the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structure of the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producing a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tructure of a unit stack portion including a basic unit body and a first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structure of the unit stack portion including the basic unit body and the first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showing a third structure of the unit stack portion including the basic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th structure of the unit stack portion including the basic unit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view showing a fifth structure of the unit stack portion including the basic unit, the first auxiliary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showing a sixth structure of the unit stack portion including the basic unit body and the first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de view showing a seventh structure of the unit stack portion including the basic unit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structure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4층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체(110)가 적어도 1개 적층되는 단위체 스택부(100); 및 단위체 스택부(100)를 커버하는 파우치 외장재(400)를 포함하고,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3)에는 전극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제1 분리막(112) 및 제2 분리막(124)에는 전극 관통홀(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막 관통홀(220)이 형성되고, 파우치 외장재(400)에는 전극 관통홀(210) 및 분리막 관통홀(2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우치 관통홀(4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nit electrode 111, a first separator 112, a second electrode 113, and a second separator 114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four-layer structure, A unit stack portion 100 in which at least one unit stack portion 100 is stacked; And a pouch exterior member 400 covering the unit stack portion 100.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are provided with an electrode through hole 210, A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22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in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4 and a through hole 2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220 is formed in the pouch exterior material 400 And a pouch through hole (430) is formed in a position.

이 때, 전극 관통홀(210), 분리막 관통홀(220), 및 파우치 관통홀(430)을 정렬하기 위하여 위치 결정봉(23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의 기본 단위체(110)의 크기가 기본 단위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감소 또는 증가하는 가변 타입의 이차전지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ing rod 230 may be used to align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220, and the pouch through hole 430. In addition, the size of the basic unit body 110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a variable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size of the basic unit body 110 decreases or increases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basic unit.

이차전지에 형성된 관통홀(210), 분리막 관통홀(22), 및 파우치 관통홀(430)의 형상 및 위치 변경을 통하여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device o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mounted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shape and position change of the through hole 210,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22, and the pouch through hole 430 formed in the secondary battery.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3)에 관통홀 형성 수단(300)을 이용하여 전극 관통홀(210)을 형성한다. 이 때, 관통홀 형성 수단(300)으로 대표적으로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3)의 전극 관통홀(210)의 위치를 동일하게 정렬시키기 위하여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3)을 겹친 상태에서 전극 관통홀(210)을 가공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lectrode through hole 210 is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using the through-hole forming means 300.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forming means 300 may be typically a laser. In order to align the electrode through holes 210 of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in the same manner,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Not shown).

제1 분리막(112) 및 제2 분리막(114)에 관통홀 형성 수단(300)을 이용하여 분리막 관통홀(220)을 형성한다. 분리막 관통홀(220)은 전극 관통홀(2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전극 관통홀(210)과 분리막 관통홀(220)의 위치 정렬을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전극 관통홀(210)이 형성된 전극을 분리막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분리막에 분리막 관통홀(220)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s 220 are formed in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using the through-hole forming means 300. The separator through hole 220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In order to align the electrode through holes 210 and the separator through holes 220, a separator through hole 220 is formed in the separator while the electrode having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is formed on the separator as shown in FIG. can do.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4층 구조의 기본 단위체(110)를 형성한다. 전극과 분리막은 서로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극 관통홀(210)과 분리막 관통홀(220)이 정렬되도록, 분리막에 접착되는 전극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 관통홀(210)과 분리막 관통홀(220)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위치 결정봉(230)을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에 삽입하여 위치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전극과 분리막을 접착시킬 수 있다.3, a first electrode 111, a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a second electrode 113, and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ar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basic unit body 110 having a four-layer structure .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formed by adhering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electrodes to be bonded to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aligned so that the electrode through-holes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holes 220 are aligned. For example, the positioning rod 230 having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hole 22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ctrode 111, a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a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to align the electrodes and the separation membrane.

도 1 내지 도 3에는 전극 관통홀(210) 및 분리막 관통홀(220)이 사각 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설계 요구에 따라 원형 또는 삼각형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극 관통홀(210) 및 분리막 관통홀(220)의 구성으로 인하여,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Although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220 are shown in a rectangular shape in FIG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shapes of circular or triangular shapes .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220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device o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mounted.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관통홀(210) 및 분리막 관통홀(220)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위체(110)를 순차로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100)를 형성한다. 위치 결정봉(230)을 기본 단위체(110)의 전극 관통홀(210) 및 분리막 관통홀(220)에 삽입하여 기본 단위체 간의 위치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앞서 전극 관통홀(210) 및 분리막 관통홀(220)의 정렬에서 사용된 위치 결정봉(230)이 기본 단위체 정렬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nit stack 100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t least one basic unit body 110 having an electrode through hole 210 and a through-hole 220 formed therein. The positioning rods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through holes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s 220 of the basic unit body 110 to align the positions between the basic unit bodies. That is, the positioning rods 230 used in the alignment of the electrode through holes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s 220 may be used in the basic unit alignment.

한편, 기본 단위체(110)의 크기가 변하는 가변 타입의 이차전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기본 단위체(110)의 크기가 기본 단위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 단위체(110)의 크기는 적층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증가할 수도 있고 크기의 증감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가변 타입의 이차 배터리 형상은 종래의 직육면체 이차전지 형상(도 18 참조)과 상이한 것으로,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설계 요구에 따라 변형 가능하므로 디바이스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a variable type in which the size of the basic unit body 110 varie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size of the basic unit body 110 can be reduced uniformly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basic unit body. However, the size of the basic unit 110 may increase or decrease in size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Such a variable secondary battery configura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parallelepiped secondary battery configuration (see FIG. 18), and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a design requirement of a device o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mounted.

전극 관통홀(210) 및 분리막 관통홀(220)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게 파우치 관통홀(430)이 구비된 파우치 외장재(400)를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우치 외장재에 파우치 관통홀(430)을 형성하기 위하여, 펀치(410)의 중앙부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다이(420)의 중앙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단, 이와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파우치 외장재(400)의 형상이 가변 타입의 이차 배터리 형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펀치(410) 및 다이(420)의 형상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uch case 400 having the pouch penetration holes 43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and sizes of the electrode penetration holes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penetration holes 220. 5, a depress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unch 410 to form a pouch through hole 430 in the pouch exterior material, and a protrusion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ie 42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configuration may be reverse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unch 410 and the die 420 may be formed stepwise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shape of the pouch exterior member 40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variable type.

도 6을 참조하면, 파우치 외장재(400)의 파우치 관통홀(430)은 파우치 외장재의 중심부에 직사각형(도 6의 (a) 참조) 또는 원형(도 6의 (b) 참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파우치 외장재(400)의 파우치 관통홀(430)은 파우치 외장재(400)의 일부면에 홈(함몰부)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6의 (c)를 참조하면, 파우치 외장재(400)의 상부면 중 일부에 파우치 관통홀(430)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파우치 관통홀(430)이 파우치 외장재(400)의 상하좌우 중 일부면에 형성되는 경우, 이에 앞서, 전극 관통홀(210) 및 분리막 관통홀(220)도 기본 단위체(110)의 상하좌우 중 일부면 상에 형성된다.6, the pouch-through hole 430 of the pouch exterior member 400 may have a shape of a rectangle (see FIG. 6A) or a circular shape (see FIG. 6B) have. 6 (c), the pouch cover member 430 may be formed as a groove (depression)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pouch skin member 400 (refer to FIG. 6 (c) The pouch hole 430 is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ouch hole 430,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220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and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basic unit body 110 before the pouch through- Plane.

파우치 외장재(400)로 단위체 스택부(100)를 커버하여 최종 이차전지를 형성한다.
The unit body stack portion 100 is covered with the pouch exterior member 400 to form a final secondary battery.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3)에 전극 관통홀(210)을 형성하는 전극 관통홀 형성 단계(S100);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3)에 형성된 전극 관통홀(210)에 대응되는 영역의 제1 분리막(112) 및 제2 분리막(114)에 분리막 관통홀(220)을 형성하는 분리막 관통홀 형성 단계(S200);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4층 구조의 기본 단위체(110)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체 형성 단계(S300); 분리막 관통홀(220)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위체(110)를 순차로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100)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체 적층 단계(S400); 전극 관통홀(210) 및 분리막 관통홀(220)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는 파우치 관통홀(430)이 구비된 파우치 외장재(400)를 형성하는 파우치 외장재 형성 단계(S500); 및 단위체 스택부(100)를 파우치 외장재(400)로 커버하는 패키징 단계(S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n electrode through hole 210 in a first electrode 111 and a second electrode 113; A separation membrane forming a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220 in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Through hole forming step S200; A basic unit forming step S300 of forming a basic unit body 110 having a four-layer structure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ing film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ing film 114 ); A basic unit stacking step (S400) of stacking the at least one basic unit body (110) in which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s (220) are formed in order to form the unit stack unit (100); (S500) of forming a pouch exterior material (400) having a pouch through hole (43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electrode through hole (2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220); And a packaging step (S600) of covering the unit stack portion (100) with the pouch exterior material (400). Referr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금까지는 기본 단위체(110)가 적층되어 단위체 스택부(100)가 형성되는 구조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110) 및 단위체 스택부(100)의 구체적이 형성 방법 및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unitary unit stacks 100 are formed by stacking the basic unit bodies 110 has been briefly described. Hereinafter, a concrete method of forming the basic unit body 110 and the unit body stack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단위체 스택부(도 11의 도면부호 100a 등 참조)는 적어도 1개의 기본 단위체(도 8의 110a 등 참조)를 포함한다. 즉, 단위체 스택부(100)는 1개의 기본 단위체(110)로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2개의 기본 단위체(110)로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체 스택부(100)는 기본 단위체(11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1개의 기본 단위체(110) 위에 다른 1개의 기본 단위체(110)가 적층되어 단위체 스택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체 스택부(100)는 기본 단위체(110)가 기본 단위체 단위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즉, 기본 단위체(110)를 미리 형성한 다음에 이를 차례로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100)를 형성한다. The unit stack (see reference numeral 100a in FIG. 11) includes at least one basic unit (refer to 110a and the like in FIG. 8). That is, the unit stack section 100 is formed of one basic unit body 110 or at least two basic unit bodies 110. The unit body stack unit 100 is formed by stacking the basic unit bodies 110. For example, the unit stack unit 100 may be formed by stacking one basic unit body 110 on one basic unit body 110. As described above, the unit stack unit 100 is formed by stacking the basic unit units 110 in units of basic units. That is, after the basic unit body 110 is formed in advance, the unit body stack unit 100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basic unit bodies 11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체 스택부(100)는 기본 단위체(110)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는 점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위체 스택부(100)를 형성하면, 기본 단위체(110)를 매우 정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nit stack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ndament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c unit bodies 110 are repeatedly stacked. When the unit stack unit 100 is formed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align the base unit 110 with high accuracy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기본 단위체(110)는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기본 단위체(110)는 기본적으로 4층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본 단위체(110)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3)은 서로 반대되는 전극이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11)이 양극이면 제2 전극(113)은 음극이다. 물론 이의 반대일 수도 있다. The basic unit body 11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1, a first separator 112, a second electrode 113, and a second separator 114 sequentially stacked. Thus, the basic unit body 110 basically has a four-layer structure. 8, the first uni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r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or 114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9, . Here,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are opposite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first electrode 111 is a positiv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113 is a negative electrode. It may be the opposite of course.

기본 단위체(110)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0 참조). 먼저 제1 전극 재료(121), 제1 분리막 재료(122), 제2 전극 재료(123) 및 제2 분리막 재료(124)를 준비한다. 여기서 전극 재료(121, 123)는 이하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소정 크기로 절단되어 전극(111, 113)을 형성한다. 이는 분리막 재료(122, 124)도 동일하다. 공정의 자동화를 위해 전극 재료와 분리막 재료는 롤에 권취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재료들을 준비한 다음에 제1 전극 재료(121)를 커터(C1)를 통해 소정 크기로 절단한다. 그리고 제2 전극 재료(123)도 커터(C2)를 통해 소정 크기로 절단한다. 그런 다음 소정 크기의 제1 전극 재료(121)를 제1 분리막 재료(122) 위로 공급한다. 그리고 소정 크기의 제2 전극 재료(123)도 제2 분리막 재료(124) 위로 공급한다. 그런 다음 재료들을 모두 함께 라미네이터(L1, L2)로 공급한다. The basic unit body 110 can be formed by the following process (see FIG. 10). First, a first electrode material 121, a first separation material 122, a second electrode material 123, and a second separation material 124 are prepared. Here, the electrode materials 121 and 123 ar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electrodes 111 and 113, as described below. This is also true for the separation membrane materials 122 and 124. [ In order to automate the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de material and the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have a form wound around a roll. After the materials ar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ectrode material 121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the cutter C1. The second electrode material 123 is also cut through the cutter C2 to a predetermined size. Then, the first electrode material 121 of a predetermined size is supplied onto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122. The second electrode material 123 of a predetermined size is also supplied onto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124. Then, all of the materials are supplied together to the laminators L1 and L2.

단위체 스택부(1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본 단위체(110)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그런데 기본 단위체(110)를 구성하는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분리된다면, 기본 단위체(110)를 반복적으로 적층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질 것이다. 따라서 기본 단위체(110)를 형성할 때, 전극과 분리막을 서로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터(L1, L2)는 이와 같이 전극과 분리막을 서로 접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라미네이터(L1, L2)는 재료들에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전극 재료와 분리막 재료를 서로 접착한다. 이와 같이 전극 재료와 분리막 재료는 라미네이터(L1, L2)에서 서로 접착된다. 이와 같은 접착으로 기본 단위체(110)는 보다 안정적으로 자신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nit stack unit 100 is formed by repeatedly stacking the basic unit bodies 110. If th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basic unit body 110 and the separat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repeatedly stack the basic unit bodies 110. Therefore, when the basic unit body 110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bond the electrodes and the separator to each other. The laminators L1 and L2 are used to bond the electrodes and the separator together. That is, the laminators L1 and L2 apply pressure to the materials, or apply heat and pressure to bond the electrode material and the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to each other. Thus, the electrode material and the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are adhered to each other in the laminators L1 and L2. By such adhesion, the basic unit body 110 can maintain its shape more stably.

마지막으로 제1 분리막 재료(122)와 제2 분리막 재료(124)를 함께 커터(C3)를 통해 소정 크기로 절단한다. 이와 같은 절단으로 기본 단위체(110)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기본 단위체(110)에 대한 각종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께 검사, 비전 검사, 쇼트 검사와 같은 검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Finally,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122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124 are cut together 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the cutter C3. The basic unit body 110 can be formed by such cutting. In addition, various tests may be performed on the basic unit body 110 as necessary. For example, a test such as thickness inspection, vision inspection, and short inspection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한편, 분리막(분리막 재료)은 접착력을 가지는 코팅 물질로 표면이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코팅 물질은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무기물 입자는 분리막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무기물 입자는 고온에서 분리막이 수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인더 고분자는 무기물 입자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기물 입자들로 인해 분리막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에는 소정의 기공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공 구조로 인해 무기물 입자가 분리막에 코팅되어 있더라도 양극으로부터 음극으로 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고분자는 무기물 입자를 분리막에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분리막의 기계적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바인더 고분자는 분리막을 전극에 보다 안정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이와 같은 코팅을 SRS 코팅이라 한다.). 참고로,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분리막 기재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membrane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can be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force. The coating material may be a mixture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polymer. Herein, the inorganic particles can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separator. That is, the inorganic particles can prevent the separator from shrinking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binder polymer can fix the inorganic particles. Due to such inorganic particles, a predetermined pore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Due to the pore structure, ions can smoothly move from the anode to the cathode even though the inorganic particles are coated on the separator. In addition, the binder polymer can maintain the inorganic particles stably in the separation membrane, thereby improving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Furthermore, the binder polymer can stably adhere the separator to the electrode (such a coating is referred to as an SRS coating). For reference, the separator may be formed of a polyolefin-based separator substrate.

그런데 도 8과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분리막(112)은 양면에 전극(111, 113)이 위치하는데 반해, 제2 분리막(114)은 일면에만 전극(113)이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분리막(112)은 양면에 코팅 물질이 코팅될 수 있고, 제2 분리막(114)은 일면에만 코팅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즉, 제1 분리막(112)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3)을 바라보는 양면에 코팅 물질이 코팅될 수 있고, 제2 분리막(114)은 제2 전극(113)을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electrodes 111 and 113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while the electrodes 113 are located on only one side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Accordingly,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can be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on both sides,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can be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on only one side. The first separator 112 may be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1 and 113 and the second separator 114 may be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1 and 113, The coating material may be coated on only one side of the viewing side.

이와 같이 코팅 물질에 의한 접착은 기본 단위체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 분리막(114)은 일면에만 코팅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다만, 기본 단위체끼리도 heat press 등의 방법으로 서로 접착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제2 분리막(114)도 양면에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분리막(114)도 제2 전극(113)을 바라보는 일면과 그 반대면에 코팅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기본 단위체와 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기본 단위체는 제2 분리막 외면의 코팅 물질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on by the coating material is sufficient in the basic unit.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may be coated on only one side. However, since the base unit bodies can be adhered to each other by a heat press method or the like,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can be coated on both sides as needed. That is, the second separator 114 may be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3 facing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opposite surface thereof. In this case, the base unit and the base units located immediately below the base unit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ating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참고로, 접착력을 가지는 코팅 물질을 분리막에 도포한 경우, 소정의 물체로 분리막에 직접 압력을 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분리막은 통상적으로 전극보다 외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분리막(112)의 말단과 제2 분리막(114)의 말단을 서로 결합시키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리막(112)의 말단과 제2 분리막(114)의 말단을 초음파 융착으로 서로 융착시키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초음파 융착은 혼(horn)으로 대상을 직접 가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혼으로 분리막의 말단을 직접 가압하면, 접착력을 가지는 코팅 물질로 인해 분리막에 혼이 들러붙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의 고장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력을 가지는 코팅 물질을 분리막에 도포한 경우, 소정의 물체로 분리막에 직접 압력을 가하는 공정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For reference, when a co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force is applied to a separation membrane, it is not preferable to directly apply pressure to the separation membrane with a predetermined object. The separator typically extends longer toward the outside than the electrode. Therefore, there may be an attempt to bond the ends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and the ends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re may be an attempt to melt the ends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by ultrasonic welding. However, such ultrasonic welding requires pressing the object directly with a horn. However, when the end of the membrane is directly pressed by the horn, the horn can stick to the membrane due to the co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force. This can lead to device failure. Therefore, when a co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force is applied to a separation membrane, it is not preferable to apply a process of directly applying pressure to the separation membrane with a predetermined object.

추가적으로, 기본 단위체(110)가 반드시 4층 구조를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본 단위체(110)는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제2 분리막(114),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8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기본 단위체(110)는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위체 스택부(100)는 기본 단위체(110)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4층 구조를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100)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8층 구조를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1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asic unit body 110 does not necessarily have a four-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basic unit body 11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1, a first separator 112, a second electrode 113, a second separator 114, a first electrode 111, a first separator 112 ), A second electrode 113, and a second separation layer 114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3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14, respectively. That is, the basic unit body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nit body stack unit 100 is formed by repeatedly stacking the basic unit bodies 110. Therefore, the unit stack section 100 may be formed by repeatedly laminating the four-layer structure. However, the unit stack section 100 may be formed by repeatedly laminating eight-layer structures, for example.

한편, 단위체 스택부(100)는 제1 보조 단위체(130)와 제2 보조 단위체(14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보조 단위체(130)에 대해 살펴본다. 기본 단위체(110)는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본 단위체(110)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단위체 스택부(100)가 형성되면, 단위체 스택부(100)의 가장 위쪽(도 8 참조), 또는 가장 아래쪽(도 9 참조)에 제1 전극(116, 이하 '제1 말단 전극'이라 한다)이 위치하게 된다. (제1 말단 전극은 양극일 수도 있고 음극일 수도 있다.) 제1 보조 단위체(130)는 이와 같은 제1 말단 전극(116)에 추가적으로 적층된다. The unit stack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unit 130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 First, the first auxiliary unit 130 will be described. The basic unit body 110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Therefore, when the unit stack 100 is formed by repeatedly stacking the basic unit bodies 110, the first electrode 10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most position (see FIG. 8) or the lowest position (see FIG. 9)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erminal electrode').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may be an anode or a cathode.)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130 is additionally stacked on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116.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보조 단위체(130a)는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1)이 양극이고 제2 전극(113)이 음극이면, 제1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즉 제1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외측(도 11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분리막(114), 음극(113), 분리막(112) 및 양극(111)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단위체(130b)는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1)이 음극이고 제2 전극(113)이 양극이면, 제1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즉 제1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외측으로 분리막(114) 및 양극(113)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위체 스택부(100)는 도 11 또는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보조 단위체(130)로 인하여 제1 말단 전극(116) 측의 가장 외측에 양극을 위치시킬 수 있다. 11, when the first electrode 111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is a cathode,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130a sequentially extends from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116, that is, The separator 114, the cathode 113, the separator 112 and the anode 111 may b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116 to the outside (upper side as viewed in FIG. 11). 12, if the first electrode 111 is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is a cathode,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130b is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116, that is, The separation membrane 114 and the anode 113 may b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terminal electrode 116 to the outside. The unit stack 100 may position the anode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116 due to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130 as shown in FIG. 11 or FIG.

전극은 일반적으로 집전체와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되는 활물질층(활물질)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11을 기준으로 양극의 활물질층 중 집전체의 아래쪽에 위치한 활물질층은 분리막을 매개로 음극의 활물질층 중 집전체의 위쪽에 위치한 활물질층과 서로 반응한다. 그런데 기본 단위체(110)를 동일하게 형성한 다음에 이를 차례로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100)를 형성하면, 단위체 스택부(100)의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제1 말단 전극은 다른 제1 전극과 동일하게 집전체의 양면에 활물질층을 구비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제1 말단 전극이 집전체의 양면에 활물질층을 도포한 구조를 가지면, 제1 말단 전극의 활물질층 중 외측에 위치한 활물질층은 다른 활물질층과 반응할 수 없다. 따라서 활물질층이 낭비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The electrode generally comprises a current collector and an active material layer (active material) applied on both sides of the current collector. 11, the active material layer located below the collector in th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positive electrode reacts with the active material layer located above the collector in th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negative electrode via the separation membrane. However, when the unit body stack unit 100 is formed by forming the basic unit bodies 110 in the same manner and then stacking them in order, the first end electrode positioned at the uppermost or bottommost position of the unit body stack unit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first electrode It is inevitable to provide an active material layer on both sides of the current collector. However, if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ctive material layer is coated on both sides of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located outside th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can not react with the other active material layer. Therefore, the active material layer is wasted.

제1 보조 단위체(130)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보조 단위체(130)는 기본 단위체(110)와 별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보조 단위체(130)는 집전체의 일면에만 활물질층이 형성된 양극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보조 단위체(130)는 집전체의 양면 중에 기본 단위체(110)를 바라보는 일면(도 11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바라보는 일면)에만 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을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말단 전극(116)에 추가적으로 제1 보조 단위체(130)를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100)를 형성하면, 제1 말단 전극(116) 측의 가장 외측에 단면만 코팅된 양극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활물질층이 낭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양극은 (예를 들어) 니켈 이온을 방출하는 구성이므로, 가장 외측에 양극을 위치시키는 것이 전지 용량에 유리하다. The first auxiliary unit 130 is intended to solve such a problem. That is, the first auxiliary unit 13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basic unit 110. Therefore, the first auxiliary unit 13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having an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That is,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13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coated on the active material layer only on one surface (one surface facing downward with reference to FIG. 11) facing the basic unit body 110 on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As a result, when the unit element stack portion 100 is formed by further stacking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130 on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116, a positive electrode coated only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116 . Therefore, the problem of wasting th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solved. Since the anode has (for example) a structure of releasing nickel ions, it is advantageous in battery capacity to position the anode at the outermost position.

다음으로 제2 보조 단위체(140)에 대해 살펴본다. 제2 보조 단위체(140)는 기본적으로 제1 보조 단위체(13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본 단위체(110)는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본 단위체(110)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단위체 스택부(100)가 형성되면, 단위체 스택부(100)의 가장 위쪽(도 9 참조), 또는 가장 아래쪽(도 8 참조)에 제2 분리막(117, 이하 '제2 말단 분리막'이라 한다)이 위치하게 된다. 제2 보조 단위체(140)는 이와 같은 제2 말단 분리막(117)에 추가적으로 적층된다. Next,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 basically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auxiliary unit 130. 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The basic unit body 110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9) or at the bottom (see FIG. 8) of the unit stack 100, when the unit stack 100 is formed by repeatedly stacking the basic unit bodies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end separator').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 is additionally stacked on the second end separator 117.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보조 단위체(140a)는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1)이 양극이고 제2 전극(113)이 음극이면, 양극(1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 단위체(140b)는 도 1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1)이 음극이고 제2 전극(113)이 양극이면, 제2 말단 분리막(117)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즉 제2 말단 분리막(117)으로부터 외측(도 14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음극(111), 분리막(112) 및 양극(113)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조 단위체(140)도 제1 보조 단위체(130)와 동일하게 집전체의 양면 중에 기본 단위체(110)를 바라보는 일면(도 14를 기준으로 위쪽을 바라보는 일면)에만 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을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말단 분리막(117)에 제2 보조 단위체(140)를 추가적으로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100)를 형성하면, 제2 말단 분리막(117) 측의 가장 외측에 단면만 코팅된 양극을 위치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a may be formed of a positive electrode 111 if the first electrode 111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is a negative electrode. 14, when the first electrode 111 is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is a cathode,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b sequentially moves from the second terminal separation membrane 117, that is, The cathode 111, the separator 112, and the anode 113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outer side (lower side in FIG. 14) from the terminal separator 117. Similarly to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130, the second auxiliary unit body 140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active material layer on only one surface (one surface facing the upper side as viewed in FIG. 14) that faces the basic unit body 110 on both sides of the current collector An anode may be provided. As a result, when the unit element stack portion 100 is formed by further laminating the second auxiliary unit body 140 on the second terminal separator 117, the anode coated only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second terminal separator 117 is positioned .

참고로, 도 11과 도 12, 그리고 도 136과 도 14는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경우도 앞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 단위체(130)와 제2 보조 단위체(140)는 필요에 따라 가장 외측에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가장 외측에 위치한 양극이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필요가 있을 경우 제1 보조 단위체(130)와 제2 보조 단위체(140)는 양극의 외측에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같은 이유에서, 도 13과 같이 제2 보조 단위체(140)가 적층되어 있는 쪽의 반대쪽(즉, 도 13의 단위체 스택부의 최상측)에 노출되어 있는 양극에도 분리막이 더 포함될 수 있다.11 and 12, and FIGS. 136 and 14 illustrate a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or 114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re stacked. Conversely, the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or 114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can be similarly described .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130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body 14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membrane on the outermost side, if necessary. For example, when the anode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needs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se, the first auxiliary unit 130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or on the outer side of the anode. For the same reason, as shown in FIG. 13, a separation membran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positive electrode ex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here the second auxiliary unit body 140 is laminated (that is, the uppermost side of the unit body stack portion in FIG. 13).

한편, 도 15 내지 도 17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체 스택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체 스택부(100e)를 형성할 수 있다. 기본 단위체(110b)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11)은 양극일 수 있고 제2 전극(113)은 음극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 단위체(130c)는 제1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즉 도 15를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리막(114), 음극(113), 분리막(112) 및 양극(111)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 단위체(130c)의 양극(111)은 기본 단위체(110b)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활물질층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5 to 17,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unit stack. First, the unit stack portion 100e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 The basic unit body 110b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1, a first separator 112, a second electrode 113, and a second separator 114 stacked in this ord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Her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may be a cathode. The first auxiliary unit 130c includes a separation membrane 114, a cathode 113, a separation membrane 112, and a cathode 111 sequentially from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116, that is, May be stacked. At this time, the anode 111 of the first auxiliary unit 130c may have an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basic unit 110b.

또한 제2 보조 단위체(140c)는 제2 말단 분리막(117)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즉 도 15를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양극(111, 제1 양극), 분리막(112), 음극(113), 분리막(114) 및 양극(118, 제2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보조 단위체(140c)의 양극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양극(118, 제2 양극)은 기본 단위체(110b)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활물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보조 단위체가 분리막을 포함하면 단위체의 정렬에 유리하다.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c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111, a first positive electrode 111, a separator 112, a negative electrode 113, a separator 113, (114) and an anode (118, second anode). At this time, the anode (118, the second anode) locat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anode of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c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basic unit 110b. For reference, if the auxiliary unit includes a separation membrane, it is advantageous to align the unit.

다음으로, 도 1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체 스택부(100f)를 형성할 수 있다. 기본 단위체(110b)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11)은 양극일 수 있고 제2 전극(113)은 음극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 단위체(130d)는 제1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막(114), 음극(113) 및 분리막(112)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보조 단위체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참고로, 음극은 전위차로 인해 전극 케이스(예를 들어, 파우치)의 알루미늄층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음극은 분리막을 통해 전극 케이스로부터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unit stack portion 100f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 The basic unit body 110b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1, a first separator 112, a second electrode 113, and a second separator 114 stacked in this ord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Her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may be a cathode. The first auxiliary unit 130d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separation membrane 114, a cathode 113, and a separation membrane 112 from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116. At this time, the second auxiliary unit may not be provided. For reference, the cathode may react with the aluminum layer of the electrode case (e.g., pouch)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hode is insulated from the electrode case through the separator.

마지막으로, 도 17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체 스택부(100g)를 형성할 수 있다. 기본 단위체(110c)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11)은 음극일 수 있고 제2 전극(113)은 양극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조 단위체(140d)는 제2 말단 분리막(117)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음극(111), 분리막(112), 양극(113), 분리막(114) 및 음극(119)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 단위체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Finally, the unit stack portion 100g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 The basic unit 110c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1, a first separator 112, a second electrode 113, and a second separator 114 stack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may be a cathode.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d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the cathode 111, the separator 112, the anode 113, the separator 114 and the cathode 119 from the second terminal separator 117 in order have. At this time, the first auxiliary unit may not be provid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00(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단위체 스택부
110(110a, 110b, 110c): 기본 단위체
111: 제1 전극 112: 제1 분리막
113: 제2 전극 114: 제2 분리막
116: 제1 말단 전극 117: 제2 말단 분리막
121: 제1 전극 재료 122: 제1 분리막 재료
123: 제2 전극 재료 124: 제2 분리막 재료
130(130a, 130b, 130c, 130d): 제1 보조 단위체
140(140a, 140b. 140c, 140d): 제2 보조 단위체
210: 전극 관통홀 220: 분리막 관통홀
230: 위치 결정봉 300: 관통홀 형성 수단
400: 파우치 외장재 410: 펀치
420: 다이 430: 파우치 관통홀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10 (110a, 110b, 110c): a base unit
111: first electrode 112: first separator
113: second electrode 114: second separator
116: first terminal electrode 117: second terminal membrane
121: first electrode material 122: first separation material
123: second electrode material 124: second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130 (130a, 130b, 130c, 130d):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140 (140a, 140b, 140c, 140d): The second auxiliary unit
210: Electrode penetration hole 220: Separation membrane penetration hole
230: positioning rod 300: through hole forming means
400: Pouch exterior material 410: Punch
420: die 430: pouch through hole

Claims (21)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4층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체가 복수 개 적층되는 단위체 스택부; 및
상기 단위체 스택부를 커버하는 파우치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단위체 내에서,
상기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에는 서로 일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 단위체는 상기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서로 접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기본 단위체는 상기 분리막을 기준으로 정렬되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에는 상기 전극 관통홀 및 상기 분리막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우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A unit stack having a first electrode, a first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and a second separator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four-layer structure; And
And a pouch exterior member covering the unit stack portion,
Within the basic unit,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separat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separator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The first unit,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separat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separator are adhered to each other,
In the unit stack,
Wherein the plurality of basic unit bodies ar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membrane,
Wherein the pouch exterior member is formed with a pouch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hrough hol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단위체의 크기는 기본 단위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감소 또는 증가하는 가변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ze of the basic unit is a variable type which decreases or increases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basic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단위체의 전극 관통홀 및 분리막 관통홀에 위치 결정봉을 삽입하여 상기 기본 단위체 간의 위치가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positioning rods ar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through holes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holes of the basic unit body to align the positions of the basic unit bodi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와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위치 결정봉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nit stack portion and the pouch exterior member are aligned by the positioning rod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관통홀은 펀치와 다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펀치와 다이는 상기 파우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uch-through hole is formed by a punch and a die,
And the punch and the die are configured to form the pouch through-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관통홀 및 분리막 관통홀이 상기 기본 단위체의 상하좌우 중 일부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 관통홀이 상기 기본 단위체의 상기 전극 관통홀 및 분리막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through hol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hole are formed on a part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ic unit body, and the pouch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hrough-hol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hole of the basic unit body Lt; / RTI >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의 접착은,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한 접착, 또는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에 압력과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한 접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bonded to each other by applying pressure to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or by applying pressure and heat to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접착력을 가지는 코팅 물질이 표면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membrane is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for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은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ating material is a mixture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polym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바라보는 양면에 상기 코팅 물질이 코팅되고, 상기 제2 분리막은 상기 제2 전극을 바라보는 일면에만 상기 코팅 물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ating material is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separator fac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oating material is coat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or facing the second electrode, Secondary batter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바라보는 양면에 상기 코팅 물질이 코팅되고, 상기 제2 분리막은 상기 제2 전극을 바라보는 일면과 그 반대면에 상기 코팅 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2개 이상의 기본 단위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분리막의 코팅 물질에 의해 기본 단위체끼리 서로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ating material is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separator fac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oating material is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or facing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opposite surface thereof ,
Wherein the unit stack portion is formed by stacking two or more basic unit bodies, and the basic unit bodies ar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coating material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전극인 제1 말단 전극에 제1 보조 단위체를 적층하는 제1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1 말단 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막,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이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1 말단 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막 및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auxiliary unit body for stacking a first auxiliary unit body on a first terminal electrode, which is a first electrode located at the uppermost or bottommost position of the unit body stack portion,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separation membrane, a cathode, a separation membrane and an anode from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 cathode, and the first electrode is a cathode Wherein the separator and the anode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when the second electrode is an anod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단위체의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양면 중에 상기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되는 활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comprises active material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current collector only on one side of the base unit facing the basic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전극인 제1 말단 전극에 제1 보조 단위체를 적층하는 제1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1 말단 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막, 음극 및 분리막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auxiliary unit body for stacking a first auxiliary unit body on a first terminal electrode, which is a first electrode located at the uppermost or bottommost position of the unit body stack portion,
Wherein the first auxiliary unit body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separation membrane, a cathode, and a separation membrane from the first terminal electrode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 cath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분리막인 제2 말단 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일 때 양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이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2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stack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uxiliary unit stacked on the second separator, which is the second separator located at the uppermost or the lowest position,
The second auxiliary unit may be formed as an anode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 cathode, and sequentially from the second terminal separator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n anode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 positive electrode laminated on one another.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단위체의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양면 중에 상기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되는 활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anode of the second auxiliary unit body is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current collector only on one surface of the base unit facing the primary unit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분리막인 제2 말단 분리막에 제2 보조 단위체를 적층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2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및 제2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보조 단위체의 제2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양면 중에 상기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되는 활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auxiliary unit for stacking a second auxiliary unit on a second separator, which is a second separator located at the uppermost or bottom of the unit stack,
The second auxiliary unit body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first anode, a separator, a cathode, a separator and a second anode from the second terminal separator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 cathode,
Wherein the second anode of the second auxiliary unit body comprises an active material coat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current collector facing the basic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분리막인 제2 말단 분리막에 제2 보조 단위체를 적층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제1 전극이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2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음극,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auxiliary unit for stacking a second auxiliary unit on a second separator, which is a second separator located at the uppermost or bottom of the unit stack,
Wherein the second auxiliary unit body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cathode, a separator, a cathode, a separator, and a cathode from the second terminal separator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n anode.
KR1020130117163A 2013-10-01 2013-10-01 Secondary battery KR101588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163A KR101588930B1 (en) 2013-10-01 2013-10-01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163A KR101588930B1 (en) 2013-10-01 2013-10-01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863A KR20150038863A (en) 2015-04-09
KR101588930B1 true KR101588930B1 (en) 2016-01-26

Family

ID=5302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163A KR101588930B1 (en) 2013-10-01 2013-10-01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9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096B2 (en) 2019-07-23 202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963B1 (en) * 2015-04-30 2022-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In-situ coin cell for real time analysis, measu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method of manufacturing in-situ coin cell and method of measuring the same using light
WO2016204324A1 (en) * 2015-06-18 2016-12-22 (주)오렌지파워 Flexibl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lexible battery containing same
KR102622322B1 (en) * 2018-06-05 202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275A (en) * 1999-06-25 2001-01-30 Mitsubishi Chemicals Corp Stereoscopically free shape batt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855B1 (en) * 2000-04-22 2002-03-22 정근창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03499B1 (en) * 2009-10-07 2012-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for battery and manufacturing thereof
KR101383629B1 (en) * 2012-03-14 2014-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Cell Havig Through Ho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275A (en) * 1999-06-25 2001-01-30 Mitsubishi Chemicals Corp Stereoscopically free shape batter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096B2 (en) 2019-07-23 202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863A (en)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60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8900742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KR101348366B1 (en)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60942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10160942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using magazine
KR101598682B1 (en) Electrode assembly and fabricat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KR101598666B1 (en) Method of fix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ape
US20200028200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de unit for a battery cell and electrode unit
KR101624386B1 (en) Method of fix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ape
JP5610076B2 (en) Electric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275147B2 (en) Electrode assembly
JP5578282B2 (en) Electric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86881B1 (en) Electrode assembly for cell of polymer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588930B1 (en) Secondary battery
KR10158893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20120321930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140034405A (en) Wrapping electrode plate for use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580086B1 (en) Electrode Assembly of Combination Structure
KR20190090305A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6170966A (en) Laminate typ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30006B2 (en) Electrode assembly for polymer secondary battery cell
KR10219610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assembly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1001528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KR2021001967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cketed electrode plate
JP201800626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