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058B1 - Smartphone holder - Google Patents
Smartphone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3058B1 KR101563058B1 KR1020130135100A KR20130135100A KR101563058B1 KR 101563058 B1 KR101563058 B1 KR 101563058B1 KR 1020130135100 A KR1020130135100 A KR 1020130135100A KR 20130135100 A KR20130135100 A KR 20130135100A KR 101563058 B1 KR101563058 B1 KR 1015630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frame
- delete delete
- support portion
- elastic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스마트폰 거치대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저 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 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를 포함한다.We launch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holder, comprising: a gripper having a first body supporting one side of a smartphone, a second body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supporting a second side of the smartphone;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to rotate the grip portion; A frame coupled to the support and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And an attachment memb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capable of fixing the frame to a mounting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높이 조절과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고, 한 손으로도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의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많은 사람들이 최근 생활 전반에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은 스마트폰을 차량에 설치하여 네비게이션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책상 등에 설치하여 TV 또는 영화 등을 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In general, smartphones are intelligent terminals that add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to mobile phones, and many people use them widely in recent life. For example, a person driving a vehicle can install a smart phone in a vehicle and use it as a navigation device, or install it on a desk or the like to view a TV or a movie.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차량이나 책상 등에 설치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필수적이다.In order to install and use the smartphone in a vehicle or a desk, it is necessary to mount a smartphone in the cradle.
다만,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대부분이 집게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거치할 때 한 손으로 집게를 열고 다른 한 손으로는 스마트폰을 잡아야 했기 때문에 운전 중에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martphone cradle has been mostly used as a pincer, when the user is holding the smartphone, the user must open the tongs with one hand and hold the smartphone with the other hand. There was no inconvenience.
또한,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전후 틸팅 각도, 좌우 각도 조절, 높이 조절에 있어서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스마트폰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mart phone cradle is somewhat inconvenient in adjusting front and rear tilting angles, left and right angles and height adjustment of the mounted smart phone, and the height of the smart phone can not be adjusted in a stepwise manner.
본 발명은 한 손만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phone holder capable of mounting a smartphone using only one hand.
또한, 본 발명은 거치된 스마트폰의 전후 틸팅 각도, 좌우 각도 조절을 손쉽게 할 수 있고, 특히 스마트폰의 상하 높이를 단계적으로 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phone cradle capable of easily adjusting a front-rear tilting angle and a left-right angle of a mounted smartphone, and in particular, a height of a smartphone in a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 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holder, comprising: a gripper having a first body supporting one side of a smartphone, a second body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supporting a second side of the smartphone;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to rotate the grip portion; A frame coupled to the support and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And an attachment memb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capable of fixing the frame to the mounting surface.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가 전후 및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저 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양 측에는 탄성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탄성부재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는 걸림부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와 간섭되어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높이 조절홈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holder, comprising: a gripper having a first body supporting one side of a smartphone, a second body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martphone;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grip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A frame to which a part of the supporting part is inserted and which is coupled with the supporting part so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part is adjusted stepwise; And an attachment memb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capable of fixing the frame to a mounting surface, wherein elastic members accommodating portions capable of accommodating elastic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height adjust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engaging part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unit is vertically extended in the frame,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lastic member, and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height adjusting groove into which the engaging portion can be inser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거치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즉 스마트폰을 파지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can be mounted on a cradle with a hand held by a user, that is, a hand holding a smartphone while the smartphone cradle is fixed.
또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폰의 전후 틸팅 각도, 좌우 각도, 상하 높이를 한꺼번에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front and rear tilting of the smartphone, left and right angles, and vertical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at the same time.
또한, 스마트폰의 상하 폭에 따라 파지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크기가 다른 다양한 스마트폰 제품을 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grip par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width of the smart phone, so that various smartphone products of different sizes can be mounted.
또한, 스마트폰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부분이 프레임에 삽입되어 스프링, 걸림부 등의 부품이 보이지 않아서 미관상 깔끔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grip part for holding the smart phone is inserted into the frame, so that the parts such as the spring and the engaging part are not visible, so that it can be cosmetically clean.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파지부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프레임의 내측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파지부가 슬라이드 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internal components of a grip portion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llustrates an inner component of a frame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that a gripping part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lid;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posed differently by adding, modifying and deleting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파지부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프레임의 내측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ner components of the frame of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파지부(10)와, 지지부(20)와, 프레임(30)과, 부착부재(40)를 포함한다.1 to 5,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파지부(10)는 스마트폰의 상단 및 하단을 눌러서 스마트폰을 잡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지부(10)는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11)와, 상기 제1 바디(11)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1)는 상기 파지부(10)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바디(12)는 상기 파지부(1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 바디(11)는 'L'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111)와, 상기 받침부(111)에서 대략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고, 스마트폰이 거치되었을 때 스마트폰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는 배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2 바디(12)는 'Γ'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상단을 누르는 누름부(121)와, 상기 누름부(121)에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삽입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바디(12)의 일 부분은 상기 제1 바디(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바디(11)의 배면부(112)에는 상기 제2 바디(12)의 삽입부(12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13)은 상기 제1 바디부(11)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2)는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삽입부(122)의 움직임은 상기 삽입홈(113)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제2 바디(12)가 상기 제1 바디(1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받침부(111)와 상기 누름부(121)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상하 폭에 따라 파지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크기가 다른 다양한 스마트폰 제품을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the
상기 제1 바디(11)와 상기 제2 바디(12)는 파지부 탄성부재(1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 탄성부재(15)는 상기 제2 바디(12)가 상기 제1 바디(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다음에, 상기 제2 바디(12)가 상기 파지부 탄성부재(1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10)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누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일례로, 상기 파지부 탄성부재(15)는 상기 파지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grip portion
상기 파지부 탄성부재(15)의 일 단은 상기 제1 바디(11) 내측에 돌출된 제1 걸림부(152)에 걸릴 수 있고, 타 단은 상기 제2 바디(12) 내측에 돌출된 제2 걸림부(151)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12)는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너비만큼 상기 제1 바디(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었다가, 상기 파지부 탄성부재(1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바디(12)의 누름부(121)가 스마트폰의 상부를 눌러서 스마트폰을 고정시킬 수 있다.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가 차량의 데시보드 등과 같은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상기 제2 바디(12)의 누름부(121)를 스마트폰의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스마트폰의 하부를 상기 제1 바디(11)의 받침부(111)에 안착시키면 상기 누름부(121)가 스마트폰을 눌러서 스마프폰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폰을 스마트폰 거치대에 한 손으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One end of the grip portion
상기 받침부(111) 및 상기 누름부(121)에는 스마트폰이 미끄러져 분리되거나 떨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 부재(13, 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부재(13, 14)는 상기 받침부(111) 및 상기 누름부(121)의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3, 14)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3, 14)의 점성 및 마찰력으로 인하여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거치된 스마트폰이 미끄러지거나,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상기 패킹부재(13, 14)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거치된 스마트폰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11) 안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부재(13, 14)는 상기 파지부(11) 안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The
상기 패킹부재(13, 14)의 경사각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측면에 구비되는 버튼이 거치되어 있는 동안에 눌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킹 부재의 각도는 대략 18 ~ 20도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파지부(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지지부(2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의 전면에는 볼 조인트(21)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0)의 배면에는 상기 지지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볼 삽입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상기 볼 조인트(21)는 상기 볼 삽입홈(115)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부(10)의 배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 삽입홈(115)의 직경이 상기 볼 조인트(21)의 직경보다 작아서 상기 볼 조인트(21)는 상기 파지부(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볼 조인트(21)는 상기 파지부(10)를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파지부(10)에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0)를 원하는 각도만큼 전후 방향으로 틸팅하거나, 원하는 각도만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상기 볼 조인트(21)와 상기 볼 삽입홈(115)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존재하여 상기 파지부(10)를 움직인 다음에 상기 파지부(10)를 원하는 위치에 놓으면, 상기 파지부(10)는 그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exists between the ball joint 21 and the ball insertion groove 115 to move the
상기 지지부(20)의 양 측면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4)를 수용할 수 있는 탄성부재 수용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On both sides of the
상기 탄성부재(24)의 단부에는 걸림부(25)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24)는 상기 걸림부(25)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5)는 후술할 높이 조절부(31)에 형성된 높이 조절홈(33)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2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부(25)는 단단한 재질의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 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지지부(20)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30)의 전면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이 잘 보일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프레임(30)에는 상기 지지부(20)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 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가이드 홈(32)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프레임(3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25)와 간섭되어, 상기 지지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31)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부(31) 에는 상기 걸림부(25)가 삽입될 수 있는 높이 조절홈(33)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33)은 상기 걸림부(25)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33)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5)가 상기 높이 조절홈(33)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지지부(20)를 상하 이동시키면 쉽게 상기 걸림부(25)가 상기 높이 조절홈(33)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A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부(25)는 상기 탄성 부재(24)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상태로 상기 높이 조절부(31)에 접촉되며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높이 조절홈(3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5)가 상기 높이 조절홈(3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20)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20)를 상하 이동시키다가 상기 걸림부(25)를 적절한 높이 조절홈(33)에 삽입시켜서, 상기 지지부(20)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높이 조절홈(33)이 다수개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20)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user moves the
상기 프레임(3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32)에 상기 지지부(20)가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볼 조인트(21)를 제외한 상기 지지부(20)의 몸체와 상기 지지부(20)에 형성된 탄성부재 수용부(23)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볼 등의 부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서 미관상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The supporting
상기 프레임(30)의 하부에는 나사 체결부(34)와 프레임 결합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체결부(34)는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30)을 나사 체결함으로써 더욱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 부재(31)와 상기 지지부(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고, 상기 파지부(10)가 상, 하로 수직 이동 될 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재(35)는 상기 프레임(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상기 프레임 결합부재(35)는 나사 체결부(34)가 결합될 때 동시에 끼워 맞춤 될 수 있다. A
상기 프레임(30)이 나사체결 되어 스마트폰을 상기 파지부(10)에 거치하여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
상기 부착부재(40)는 상기 프레임(3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40)는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는 밀착부(41)와 상기 프레임(30)의 일 면에 상기 밀착부(41)를 끌어당길 수 있는 손잡이(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40)에는 상기 손잡이(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43)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부착부재(40)는 상기 손잡이(42)와 상기 밀착부(41)가 하나로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손잡이(42)를 상기 삽입홈(43)에 삽입시키면 상기 밀착부(41)를 끌어당겨 상기 프레임(30)을 사용자가 원하는 설치 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밀착부(41)의 바닥면은 내 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와 같이 평평하지 않은 면에도 편리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41)는 흡착이 잘 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밀착부(41)는 설치 면과의 흡착력을 높이고 영구 사용이 가능하며, 먼지나 이물질 등이 묻었을 때 닦아서 재사용이 가능한 겔 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The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파지부가 슬라이드 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grip portion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being slid.
상기 파지부(10)의 제2 바디(12)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밀어 올리면 상방으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제1 바디(11) 및 상기 제2 바디(12)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고(상기 제2 바디(12)가 최대로 늘어나면 슬라이드 되기 전 상기 파지부(10)의 길이의 대략 2배까지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이 거치된 다음에는 상기 파지부(10) 내부의 파지부 탄성부재(15)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마트폰이 고정될 수 있다. The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가 차량의 데시보드 등과 같은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상기 제2 바디(12)의 누름부(121)를 스마트폰의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스마트폰의 하부를 상기 제1 바디(11)의 받침부(111)에 안착시키면 상기 누름부(121)가 스마트폰을 눌러서 스마프폰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폰을 스마트폰 거치대에 한 손으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holds the smartphone with one hand while the
또한, 상기 파지부(20)가 상기 볼 조인트(21)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20)의 자유로운 회전으로 인해 원하는 각도로 스마트폰을 고정시켜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파지부(10)에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0)를 원하는 각도만큼 전후 방향으로 틸팅하거나, 원하는 각도만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Also, since the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ounted.
상기 파지부(70)의 상기 제2 바디(12)를 스마트폰으로 밀어 스마트폰(70)의 일 면이 상기 받침부(13)에 지지되고, 상기 스마트폰(70)의 타 면은 상기 누름부(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70)은 상기 받침부(13)와 상기 누름부(14) 사이에서 상기 파지부 탄성부재(15)의 탄성력 및 상기 패킹부재(13, 14)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어 흔들리는 차 안에서도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상기 스마트폰(70)은 고정된 상태로 상기 파지부(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20)의 상기 볼 조인트(21)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의 내 측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홈(32)을 따라 상기 지지부(20)의 수직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상기 스마트폰(70)의 화면을 볼 수 있어 자세에 따른 자유도가 높아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The
1: 스마트폰 거치대 10: 파지부
11: 제1 바디 12: 제2 바디
13: 받침부 14: 누름부
15: 파지부 탄성 부재 16: 결합 홈
20: 지지부 21: 볼 조인트
22: 삽입 홀 23: 탄성부재 수용부
24: 탄성부재 30: 프레임
31: 높이조절 부재 32: 가이드 홈
33: 높이조절 홈 34: 나사체결부
35: 프레임 결합부재 40: 부착부재
41: 밀착부 42: 손잡이
43: 삽입 홈1: Smartphone cradle 10:
11: first body 12: second body
13: receiving part 14:
15: grip part elastic member 16: engaging groove
20: Support part 21: Ball joint
22: insertion hole 23: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24: elastic member 30: frame
31: height adjusting member 32: guide groove
33: height adjustment groove 34: screw fixing portion
35: frame coupling member 40: mounting member
41: tight contact portion 42: handle
43: insertion groove
Claims (20)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누르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이 기설정된 각도만큼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저 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는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탄성부재 수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는 구형의 걸림부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 사이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고, 곡면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높이 조절홈이 상하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며,
상기 제2 바디의 일부는 상기 제1 바디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파지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는 'L'자 형으로 형성되고,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바디는 '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스마트폰의 상단을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의 받침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누름부에는 스마트폰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스마트폰의 측면에 구비되는 버튼이 눌리지 않도록 18 내지 20 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In the smart phone cradle,
A gripper having a first body supporting one side of the smartphone, a second body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smartphone;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to rotate the grip portion;
A frame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being slidably coupled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being inclin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faces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mounting memb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capable of fixing the frame to a mounting surface;
Lt; / RTI >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rame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to guide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Wherein elastic members accommodating portions for receiving elastic member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A spherical engagement portion is coupled to an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ar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elastic member accommodation portion,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grooves formed in a curved surface are formed to have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adjusting groove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s,
The elastic member exerts an elastic force in an upward sloping direction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A part of the second body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nnected by a grip part elastic member,
The first body is formed in an 'L' shape, and has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a lower end of a smartphone. The second body is formed in a '?' Shap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a pushing portion for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smartphone,
The pressing member of the first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of the second body are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smartphone from slipping,
Wherein the packing member is inclined at an angle of 18 to 20 degrees so that a butt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mart phone is not pressed.
상기 파지부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 portion elastic member is a coil spring.
상기 패킹부재는 적어도 고무 또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cking member is at least rubber or silicone.
상기 지지부는 구형의 볼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배면에는 상기 볼 조인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pherical ball joint,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ball joint is inserted is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grip portion.
상기 부착부재는 밀착부과, 상기 프레임의 일 면에 밀착부를 끌어당길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홈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tachment member includes a tight contact portion and a handle capable of pulling the tight contact portion on one side of the frame, wherein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handle can be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5100A KR101563058B1 (en) | 2013-11-08 | 2013-11-08 | Smartphone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5100A KR101563058B1 (en) | 2013-11-08 | 2013-11-08 | Smartphone hol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3325A KR20150053325A (en) | 2015-05-18 |
KR101563058B1 true KR101563058B1 (en) | 2015-10-23 |
Family
ID=5338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5100A KR101563058B1 (en) | 2013-11-08 | 2013-11-08 | Smartphone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30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3518B1 (en) | 2019-01-14 | 2020-03-25 | 신철 | Smart phone holder with sound amplification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3345B1 (en) * | 2015-08-31 | 2020-03-02 |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 Supporter for portable projector |
KR101888037B1 (en) * | 2016-04-28 | 2018-08-13 | 주식회사 디앤뉴 |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KR101680352B1 (en) * | 2016-08-05 | 2016-12-06 | (주)로보와이즈 | Smart equipment holder for using block |
KR101956083B1 (en) * | 2018-01-26 | 2019-03-08 | 임재현 | The apparatus for mounting a Cellular Phone |
KR102320807B1 (en) * | 2018-07-27 | 2021-11-03 | 박연수 | Cellular phone charger |
KR20200067656A (en) | 2018-12-04 | 2020-06-12 | 이지영 | A smart phone holder that attaches to the ceiling for easy viewing |
US11202963B2 (en) * | 2019-05-08 | 2021-12-2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Balanced game controller clip |
KR102663616B1 (en) * | 2023-12-26 | 2024-05-03 | 조문경 | Bracket to attach to micropho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2601B1 (en) * | 2011-08-30 | 2012-02-16 | 주식회사 태성화이어 | Holder apparatus of smart-phone for vehicle |
-
2013
- 2013-11-08 KR KR1020130135100A patent/KR1015630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2601B1 (en) * | 2011-08-30 | 2012-02-16 | 주식회사 태성화이어 | Holder apparatus of smart-phone for vehic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3518B1 (en) | 2019-01-14 | 2020-03-25 | 신철 | Smart phone holder with sound amplification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3325A (en) | 2015-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3058B1 (en) | Smartphone holder | |
US8240628B2 (en) | Holding apparatus | |
US20170170858A1 (en) | Vent blade device mounting assembly | |
KR101112601B1 (en) | Holder apparatus of smart-phone for vehicle | |
US9942369B2 (en) | Mobi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 |
US9784406B1 (en) | Pivotal device for a support of an electric device | |
US10459488B1 (en) | Docking station | |
KR20130105799A (en) | Clamp type portable terminal holder | |
US8585315B2 (en) | Connecting element and associated connection assembly | |
KR101591831B1 (en) | Smart phone holder for car | |
US20130119220A1 (en) | Fix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Screen | |
KR101924837B1 (en) | mobile case containing holder of angle control function | |
KR20180011601A (en) | Holder for display device | |
US10571068B2 (en) | Mobile device stand with adaptive mounting arrangement | |
KR101987581B1 (en) | Support for cell phone | |
KR101967449B1 (en) |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 |
KR102012622B1 (en) | Smartphone holder For Motorcycle | |
KR20120035810A (en) | A hand held device protection case clip and standing. and holding apparatus with a tilt function | |
KR20150033835A (en) | Stan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 | |
KR101925080B1 (en) | Functional mobile holder | |
KR101575799B1 (en) | Supporter for vehicle | |
TW201228861A (en) | A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20170170860A1 (en) | Communications device mounting assembly | |
KR200480175Y1 (en) | Stand for mobile | |
KR101468643B1 (en) | A portable terminal cradle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