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746B1 -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 Google Patents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746B1
KR101223746B1 KR1020090124568A KR20090124568A KR101223746B1 KR 101223746 B1 KR101223746 B1 KR 101223746B1 KR 1020090124568 A KR1020090124568 A KR 1020090124568A KR 20090124568 A KR20090124568 A KR 20090124568A KR 101223746 B1 KR101223746 B1 KR 10122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ed
mulberry
weight
tea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813A (ko
Inventor
이정호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이정호
농업회사법인상상팜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농업회사법인상상팜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20090124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7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뽕잎 분쇄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건조된 뽕잎, 뽕나무 뿌리 껍질의 분쇄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건조된 뽕나무 뿌리 껍질, 및 뽕나무 열매를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어진 건조된 뽕나무 열매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된 뽕잎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건조된 뽕나무 뿌리 껍질은 3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상기 건조된 뽕나무 열매는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뽕잎, 뽕나무 뿌리 껍질, 뽕나무 열매가 가지는 여러 약리활성을 가지면서 기호도가 높은 혼합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뽕나무, 잎, 뿌리, 껍질, 열매, 혼합 차

Description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Mixed Tea Using Leaf, Root Bark and Fruit of Mulberry Tree}
본 발명은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茶)에 관한 것이다.
뽕나무는 장미목 뽕나무과의 식물(Morus alba)로서 그 잎이나, 뿌리, 열매 등은 예로부터 여러 약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동의보감에 "뽕잎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각기(脚氣)와 수종(水腫)을 없애주고 대·소장을 이롭게 하며 하기(下氣)하고 풍통(風痛)을 없앤다"고 기록되고 있고, 중국 의서에는 "풍을 쫓아주고 폐의 열을 없애준다. 감기로 오는 열과 두통, 기침을 치료해 주고 가래를 없애준다. 눈과 간을 깨끗하게 해주고 음허(陰虛)와 풍열로 생긴 눈병을 치료해 주고 눈의 충혈, 건조, 통증 등을 치료해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혈당 상승 억제 효과, 비만 억제 효과, AIDS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 항암 효과 등을 가지는 1-DNJ(1- dcoxynojirimycin)와 그것의 유도체, 변비 개선 효과, 중금속 해독 효과, 부종 개선 효과, 지질 대사 개선 효과 등을 가지는 식이섬유, 신경 전달 작용, 혈압 강하 작용 등을 가지는 가바(GABA) 등이 함유되어 있고, 소염 작용, 이뇨 작용 등을 가지는 멀베린(Mulberrin)을 비롯하여 기타 루틴(Rutine), 퀘세틴(Quer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뽕나무 뿌리의 경우 그 껍질(이하 "상백피")이 동의보감에 "폐기가 숨이 차는 천만(喘滿)과 수기부종(水氣浮腫)을 다스리고 폐의 수기를 없애주며 수도(水道)를 이롭게 하며 해수와 침에 섞여나오는 피를 다스린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혈당을 떨어뜨리는 모란에이(moran A), 혈압을 떨어뜨리는 멀벨르후란에프.지(mulberrfuran F.G), 항염효과가 있는 움베리페론(umbeliferone) 등이 함유되어 있고, 또한 모루신(morusin), 멀베린, 멀베로크로먼(mulberrochromene) 등 여러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뽕나무 열매(이하 "오디")의 경우도 동의보감에는 "까만 오디는 뽕나무의 정령이 모여있는 것이며, 당뇨와 오장에 이롭다. 오래 먹으면 허기침을 잊는다"고 기록되고 있고, 또한 화한약백과도감에 오디가 "간장과 신장을 보익하고 음혈(정력)을 길러 주는 효능이 있고 양혈거풍의 작용을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에도 그것의 여러 생리활성으로 인하여 쨈, 젤리, 쥬스, 시럽, 술 등의 식품의 재료로 이용되거나 화장품 등의 재료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여러 약리활성을 가지는 뽕잎, 상백피, 오디 등을 혼합하여 기호 도가 높은 차 개발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뽕잎, 상백피 및 오디가 가지는 다양한 약리활성을 가짐과 함께 높은 기호도를 갖는 혼합 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바의 여러 약리활성을 가지는 뽕잎, 상백피 및 오디를 건조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최적의 기호성을 갖는 혼합 차를 만들고자 시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특정 혼합 비율에 따라 기호도가 높고 낮음이 현저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차는 아래 (a)의 건조된 뽕잎, 아래 (b)의 건조된 상백피 및 아래의 (c)의 건조된 오디를 포함하되, 건조된 뽕잎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건조된 상백피는 35 중량% 내지 55 중량%, 및 건조된 오디는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뽕잎 분쇄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건조된 뽕잎,
(b) 상백피의 분쇄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건조된 상백피, 및
(c) 오디를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어진 건조된 오디.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듯이, 건조된 뽕잎 30 중량%, 건조된 상 백피를 60 중량% 및 건조된 오디의 10 중량%의 혼합 차는 그 관능평가 결과가 건조된 뽕잎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낮았으며, 건조된 뽕잎 60 중량%, 건조된 상백피를 20 중량% 및 건조된 오디의 10 중량%의 혼합 차와 건조된 뽕잎 30 중량%, 건조된 상백피를 65 중량% 및 건조된 오디의 5 중량%의 혼합 차, 그리고 건조된 뽕잎 70 중량%, 건조된 상백피를 25 중량% 및 건조된 오디의 5 중량%의 혼합 차의 경우는 건조된 뽕잎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관능평가 결과상의 유의차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조된 뽕잎, 건조된 상백피 및 건조된 오디의 혼합 비율에 따라 기호도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된 뽕잎, 건조된 상백피 및 건조된 오디의 혼합 비율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이다.
바람직한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혼합 차는 건조된 뽕잎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건조된 상백피는 35 중량% 내지 55 중량%, 및 오디는 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이다. 그것은 아래 실험예의 관능평가 결과가 이들 혼합 비율에서 가장 우수하였기 때문이다(아래의 [표 2]의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 항목 참조).
본 발명에서, 뽕잎, 상백피 등을 동결건조하여 사용한 것은 뽕잎, 상백피 등이 가지는 기능성 성분이 열에 의하여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뽕잎의 루틴의 경우 80℃에서 1분 동안 증숙할 경우 50%가 파괴되고, 가바의 경우는 46%가 파괴된다는 보고가 있다(농촌진흥청. 기능성양잠, 2005). 아래의 실험예에서 확인되듯이, 차의 통상적인 제조 공정에 따라 떡음 공정과 유념 공정을 거치고 얻은 뽕잎차와 본 발명에처럼 동결건조하여 얻은 뽕잎차의 경우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차는 없었으며, 오히려 본 발명의 혼합 차의 경우는 기호도가 떡음 공정과 유념 공정을 통하여 얻은 뽕잎차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동결건조하여 얻은 뽕잎 등을 사용하더라도 기호도는 떨어지지 않거나 높이면서 기능성 성분이 보존된 차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의 뽕잎 분쇄물을 동결건조하기 전에 그 뽕잎 분쇄물을 진공 상태에서 CO2가 충진되고 온도가 20℃ 내지 28℃로 유지되는 반응기에서 7시간 내지 10시간 정도 혐기적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아래의 실험예로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의 경험에 따를 때, 뽕잎의 루틴, 가바 등의 기능성 성분이 소실되지 않고 보존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건조된 뽕잎, 건조된 상백피 및 건조된 오디의 수분 함량은 20%(건조된 뽕잎, 건조된 상백피 또는 건조된 오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임; 이하 같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분 함량이 높을 경우 차의 보관 과정 또는 유통 과정에서 원치않는 발효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본래 의도했던 맛이 변형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경험상 차는 그 수분 함량이 적절히 낮아야만 우수한 맛과 향을 낸다는 점에서, 수분 함량이 1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분 함량의 하한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한 없으나 통상적으로 차의 수분 함량이 3% 이상인 점과 차의 수분 함량이 극히 낮을 경우에는 거기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이 파괴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수분 함량은 3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분 함량의 조절은 동결건조에 사용된 뽕잎 분쇄물 등의 원료의 수분 함량, 동결건조의 온도, 동결건조 시간 등을 조절함에 의하여 가능하며, 당업자는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수분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건조된 뽕잎의 경우 -40℃에서 24시간 동결건조시켜 수분 함량을 6%로 하였으며, 건조된 상백피의 경우는 -40℃에서 24시간 동결건조시켜 수분 함량을 7%로 하였고, 건조된 오디의 경우는 -40℃에서 30시간 동결건조시켜 수분 함량을 7%로 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차에서 분쇄물은 그 평균입도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건조된 뽕잎 등 차 원료에 포함된 성분의 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그 평균입도는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물은 본 발명의 혼합 차가 가루 형태로 판매될 경우 50 메쉬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메쉬 이하의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차는 티백 형태, 분말 형태, 침출액 형태 등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침출액 형태의 경우 캔 등의 용기에 포장되어 유통되게 될 것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a)의 건조된 뽕잎, 상기 (b)의 건조된 상백피, 및 상기 (c)의 건조된 오디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음 후 경험하게 되는 매스꺼움, 두통 등의 숙취(hangover) 현상은 알콜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알데히드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간에는 알콜분해효소(ADH)와 알데히드분해효소(ALDH)가 존재하여 알콜이 인체에 유입되면, 알콜은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되고, 아세트알데히드는 ALDH에 의해 인체에 무해한 아세테이트로 전환되게 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혼합 차의 침출액이 ADH 활성과 ALDH의 활성을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숙취 해소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아래의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혼합 차의 침출액의 ADH 촉진 활성과 ALDH의 촉진 활성은 그 혼합 차에 사용된 각각의 단일 차의 침출액의 ADH 촉진 활성과 ALDH의 촉진 활성보다 월등하게 높다. 이는 본 발명의 혼합 차가 각각의 단일 차보다 숙취 해소 용도로 더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차 조성물에 있어서, 건조된 뽕잎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건조된 상백피는 3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건조된 오디는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뽕잎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건조된 상백피는 35 중량% 내지 55 중량%, 및 오디는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럴 경우 높은 숙취 해소 활성을 가지면서도 기호도가 높은 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차 조성물도 티백 형태, 분말 형태 등일 수 있고, 나아가 캔 등의 용기에 포장된 침출액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뽕잎, 상백피 및 오디를 이용하여 다양한 약리활성을 가짐과 함께 높은 기호도를 갖는 혼합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숙취 해소용 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 차나 차 조성물은 티백 형태, 분말 형태, 캔 등의 용기에 포장된 침출액 형태 등으로 제품 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참고예 > 건조된 뽕잎, 건조된 상백피 및 건조된 오디의 제조
<참고예 1> 건조된 뽕잎 제조
입도가 대략 2~5mm인 뽕잎 분쇄물을 밀폐된 인큐베이터에 넣고 공기를 뺀 진공 상태에 CO2가스를 충진하여 25℃ 범위에서 8시간 동안 혐기적 처리한 후 -40℃ 범위에서 24시간 동결건조시켜 건조된 뽕잎을 제조하였다. 수분 함량은 6 중량%였다.
<참고예 2> 건조된 상백피의 제조
입도가 대략 2~5mm인 상백피 분쇄물을 75℃~80℃의 온도에서 3분간 볶아서 냉각시킨 후 -40℃ 범위에서 24시간 동결건조시켜 건조된 상백피를 제조하였다. 수분 함량은 7 중량%였다.
<참고예 3> 건조된 오디의 제조
오디를 -40℃ 범위에서 30시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 분쇄하여 입도가 대략 2~5mm인 건조된 오디를 제조하였다. 수분 함량은 7 중량%였다.
< 실시예 > 건조된 뽕잎, 건조된 상백피 및 건조된 오디를 이용한 혼합 차의 제조
<참고예 1>의 건조된 뽕잎, <참고예 2>의 건조된 상백피 및 <참고예 3>의 건조된 오디를 아래의 [표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차를 제조하였다.
[표 1]
혼합 비율
구분 건조된 뽕잎(중량 %) 건조된 상백피(중량 %) 건조된 오디(중량 %)
실시예 1 30 60 10
실시예 2 40 50 10
실시예 3 50 40 10
실시예 4 60 30 10
실시예 5 70 20 10
실시예 6 30 65 5
실시예 7 40 55 5
실시예 8 50 45 5
실시예 9 60 35 5
실시예 10 70 25 5
< 실험예 > 기호성에 대한 관능평가 및 숙취 해소 활성 실험
<실험예 1> 기호성에 대한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혼합 차(10㎎)에 대해서 85℃ 정도의 물(80㎖)을 가하여 3분간 침출한 후 기호성에 대해 남·녀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맛, 색상 및 향에 대해서 종합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기호도의 평가 점수는 매우 우수(5점), 우수(3점), 보통(0점), 나쁨(-3점), 매우 나쁨(-5점)으로 하였으며(최고 점수 100점(5점 X 20명)이며 최저 점수는 -100점(-5점 X 20)임), 결과는 3회의 평가를 실시하여 평균±표준편차로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로서는 상기 <참조예 1>의 건조된 뽕잎을 85℃ 정도의 물로 3분간 침출한 것(비교예 1)과, 떡음 과정(120℃ 내지 200℃ 온도 범위의 덖음기에서 150rpm으로 40분간 수행하였음)과 유념 과정(150℃의 회전식 유념기로 10분간 수행하였음)을 통하여 얻은 뽕잎차(비교예 2)를 사용하였다.
[표 2]
기호도의 관능평가 결과
구분 평가치(평균±표준편차)
비교예 1
(대조군)
17.67±9.52
비교예 2 19.33±10.73
실시예 1 8.67±7.45
실시예 2 32.33±9.2*
실시예 3 45.00±6.28**
실시예 4 36.33±11.52**
실시예 5 21.33±9.32
실시예 6 19.00±5.72
실시예 7 52.67±12.32**
실시예 8 55.67±9.24**
실시예 9 48.67±7.45**
실시예 10 25.33±10.24
*p<0.05, p<0.01
실험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신뢰 수준 1% 및 5% 수준에서 시행하였다.
상기 [표 2]의 결과는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의 혼합 차와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혼합 차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적인 관능평가 결과도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음을 보여준다(특히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혼합 차). <실시예 1>의 경우는 오히려 비교예에 비하여 관능평가 결과가 낮았으며 따라서 이는 뽕잎, 상백피 및 오디를 혼합할 때 그 혼합 비율에 따 라 관능평가 결과가 좌우됨을 보여준다. <실시예의 6> 및 <실시예 10>의 경우는 비대조군에 비하여 관능평가 결과가 높았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비교예 1>의 동결건조하여 얻은 뽕잎차와 <비교예 2>의 떡음과 유념 과정을 통하여 얻은 뽕잎차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또한 관능평가 결과에 있어서도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예 2> 숙취 해소 활성에 대한 실험
상기 실시예 혼합 차의 알콜의 분해를 촉진 활성을 보스티안 등의 방법(Bostian et al., Biochem J., 173(3):773-86(1978))을 변형하여 ADH 활성 및 ALDH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ADH 활성 분석을 위한 반응 혼합물은 1.5 ㎖의 상기 <참조예 1 내지 3>의 동일 양의 혼합 차의 침출액(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10㎎ 혼합 차에 물 80㎖를 가하여 침출하였음), 0.75 ㎖의 1M Tris-HCl(pH 8.8), 0.3 ㎖의 20mM NAD+, 0.3 ㎖의 에탄올, 및 0.15 ㎖의 ADH 분획(쥐 간 세포의 균질화물)으로 이루어져 있고, ALDH 활성 분석을 위한 반응 혼합물은 2.2 ㎖의 상기 <참조예 1 내지 3>의 동일 양의 혼합 차의 침출액(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10㎎ 혼합 차에 물 80㎖를 가하여 침출하였음), 0.3 ㎖의 1M Tris-HCl(pH 8.8), 0.1 ㎖의 20mM NAD+, 0.1 ㎖의 1.0M 아세트알데히드, 0.1 ㎖의 3M KCl, 0.1 ㎖의 0.33 M 2-머르캅토에탄올 및 0.1 ㎖의 ALDH 분획(쥐 간 세포의 균질화물)으로 이루어져 있다.
30℃에서 5분간 배양 한 후, 340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결과를 대조군(100%)에 대한 상대 활성으로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로서는 상기 각 참조예의 건조된 뽕잎, 건조된 상백피 및 건조된 오디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10㎎ 건조된 뽕잎, 건조된 상백피 또는 건조된 오디에 물 80㎖를 가하여 침출한 것을 이용하여 ADH 및 ALDH 활성을 평가하였다.
[표 3]
ADH 및 ALDH의 활성
구분 ADH 활성 ALDH
혼합차 127.7% 136.3%
<비교예 1>의 단일차 113.6% 117.2%
<비교예 2>의 단일차 98.2% 103.4%
<비교예 3>의 단일차 102.3% 95.2%
상기 [표 3]의 결과는 상기 혼합 차의 침출차가 숙취 해소의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특히 상기 혼합 차의 ADH 및 ALDH 촉진 활성은 단일 차의 ADH 및 ALDH 촉진 활성보다 월등하게 높음을 보여준다.

Claims (9)

  1. 아래 (a)의 건조된 뽕잎, 아래 (b)의 건조된 상백피, 및 아래의 (c)의 건조된 오디를 포함하되, 건조된 뽕잎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건조된 상백피는 35 중량% 내지 55 중량%, 그리고 건조된 오디는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a) 뽕잎 분쇄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건조된 뽕잎,
    (b) 상백피의 분쇄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건조된 상백피, 및
    (c) 오디를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어진 건조된 오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뽕잎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건조된 상백피는 35 중량% 내지 55 중량%, 그리고 상기 건조된 오디는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뽕잎 분쇄물은 동결건조되기 전에 그 뽕잎 분쇄물이 진공 상태에 서 CO2가 충진되고 온도가 20℃ 내지 28℃로 유지되는 반응기에서 7시간 내지 10시간 혐기적으로 처리된 뽕잎 분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뽕잎, 건조된 상백피 그리고 건조된 오디는 모두 그 수분 함량이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차는 티백 형태, 분말 형태 또는 용기에 포장된 침출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6. 아래 (a)의 건조된 뽕잎, 아래 (b)의 건조된 상백피 및 아래의 (c)의 건조된 오디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차 조성물
    (a) 뽕잎 분쇄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건조된 뽕잎,
    (b) 상백피의 분쇄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건조된 상백피, 및
    (c) 오디를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어진 건조된 오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뽕잎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건조된 상백피는 35 중량% 내지 55 중량%, 그리고 상기 건조된 오디는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차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뽕잎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건조된 상백피는 35 중량% 내지 55 중량%, 그리고 상기 건조된 오디는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차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 조성물은 티백 형태, 분말 형태 또는 용기에 포장된 침출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차 조성물.
KR1020090124568A 2009-12-15 2009-12-15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KR10122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568A KR101223746B1 (ko) 2009-12-15 2009-12-15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568A KR101223746B1 (ko) 2009-12-15 2009-12-15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813A KR20110067813A (ko) 2011-06-22
KR101223746B1 true KR101223746B1 (ko) 2013-01-23

Family

ID=4440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568A KR101223746B1 (ko) 2009-12-15 2009-12-15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0150A (zh) * 2014-04-08 2015-10-14 天津国际生物医药联合研究院 一种桑菊茶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137B1 (ko) 2011-08-30 2013-09-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발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639340B2 (en) * 2018-06-18 2020-05-05 Eric Young Method of drying botanic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941A (ja) * 1991-11-29 1993-06-22 Hosoda Shoten:Kk 発酵桑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9513B1 (ko) * 1999-03-11 2002-01-09 방인수 오디 추출액을 이용한 오디음료 제조방법
KR100811680B1 (ko) * 2007-02-26 2008-03-11 주식회사 멀베리식품 뽕잎의 동결건조방법
KR20090078013A (ko) * 2008-01-14 2009-07-17 김기호 혈당강하 기능성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상엽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941A (ja) * 1991-11-29 1993-06-22 Hosoda Shoten:Kk 発酵桑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9513B1 (ko) * 1999-03-11 2002-01-09 방인수 오디 추출액을 이용한 오디음료 제조방법
KR100811680B1 (ko) * 2007-02-26 2008-03-11 주식회사 멀베리식품 뽕잎의 동결건조방법
KR20090078013A (ko) * 2008-01-14 2009-07-17 김기호 혈당강하 기능성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상엽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0150A (zh) * 2014-04-08 2015-10-14 天津国际生物医药联合研究院 一种桑菊茶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813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9885A (ko) 흑마늘파우더와 그 제조방법 및 사용용도
CN109486604A (zh) 一种八月瓜果酒的制备方法
CN108102854A (zh) 一种酒曲和由酒曲制备得到的金樱子黄酒
CN110882175A (zh) 一种藜麦皂苷的提取方法及应用
KR20110006863A (ko) 막걸리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걸리 분말
CN110200179A (zh) 一种抗氧化、提高免疫力的诺丽果汁及其制备方法
KR101223746B1 (ko)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CN110256165A (zh) 一种番茄富硒肥
KR101836377B1 (ko) 아로니아분말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CN107712144A (zh) 一种石斛速溶茶
CN103271182B (zh) 一种防治糖尿病的保健茶
CN110664764A (zh) 一种单味低温真空干燥提取粉及其提取方法
CN110564575A (zh) 一种护肠胃养颜的铁皮石斛酒及其制作方法
KR20020023770A (ko) 오리나무를 이용한 숙취해소제
CN108823018A (zh) 红枣特酿及加工工艺
KR20220045454A (ko) 꿀과 화분을 이용한 발효주 제조방법
KR20110029508A (ko) 개똥쑥을 이용한 저염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장
CN112772920A (zh) 一种具有保肝护肾功效的桑椹膏及其制备方法
JP2006008645A (ja) カバノアナタケエキスの製造方法
CN111436507A (zh) 一种紫苏茯砖茶及其制备方法
CN110357717A (zh) 一种番茄富硒肥的制备方法
KR101509909B1 (ko) 우슬 식혜 및 그 제조 방법
KR102710716B1 (ko) 항당뇨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CN113907234B (zh) 一种黄精原浆及其制备方法
CN106434109A (zh) 一种五味子养生保健酒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