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361B1 - 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361B1
KR101169361B1 KR1020120018623A KR20120018623A KR101169361B1 KR 101169361 B1 KR101169361 B1 KR 101169361B1 KR 1020120018623 A KR1020120018623 A KR 1020120018623A KR 20120018623 A KR20120018623 A KR 20120018623A KR 101169361 B1 KR101169361 B1 KR 10116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display pane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보씨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보씨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보씨앤엠
Priority to KR102012001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기재층, 점착제층, 엠보 라이너층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이되, 상기 점착제층은 2.500 내지 3.500 중량%의 카르복실기 및 0.045 내지 0.055 중량%의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구성되며 유리전이온도가 -35℃ 내지 -25℃가 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TAPE FOR DISPLAY PANEL WITH IMPROVED REWORKING PROPERTY}
본 발명은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접착력을 낮게 하여 재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부착된 이후에 후기 접착력을 보장할 수 있는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기기들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수는 포함되는 기기들에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얇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다.
따라서 최근 들어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와 관련된 주변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품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 구성인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에 대한 개발은 소재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확연한 차이가 있는바 이에 대한 개발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일례로, 아래 특허문헌으로 제시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106248호와 같이, 점착제의 물성을 조절하여 접착 품질을 향상시키는 제품들이 계속하여 개발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품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 완충 필름(30), 디스플레이 모듈(40), 터치 모듈(50), 유리(6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디스플레이 패널(만약,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라면 완충 필름(30)은 제외됨)에 있어서, 섀시(10)와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20)의 점착제 물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점착제의 물성을 조절하여 접착 품질을 향상시킨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는 중에 섀시(10)와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의 위치/위상 관계에 이상이 생기면 재작업을 하여야 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 품질의 향상에만 개발자들이 초점이 모여지고 있는바,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가 완전히 부착되어 작용할 때(후기)의 높은 접착력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만이 개발되고 있을 뿐, 후기 접착력을 보장하면서도 재작업을 위해 초기 접착력을 낮출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는 개발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106248호 (2008. 10. 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초기 접착력을 낮게 하여 재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부착된 이후에 후기 접착력을 보장할 수 있는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는, 기재층, 점착제층, 엠보 라이너층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2.500 내지 3.500 중량%의 카르복실기 및 0.045 내지 0.055 중량%의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구성되며 유리전이온도가 -35℃ 내지 -25℃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0.3 내지 0.5 중량부와, 에폭시계 경화제 0.1 내지 0.3 중량부 및 이작용기성 실란 0.1 내지 0.3 중량부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작용기성 실란은, 글리시독시 반응성유기기 및 트리메톡시시릴 무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점착제층은, 기재층에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된 제1 층과 엠보 라이너층에 접하여 요철이 형성된 제2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층의 두께가 상기 제2 층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다른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은, 2.500 내지 3.500 중량%의 카르복실기 및 0.045 내지 0.055 중량%의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구성되며 유리전이온도가 -35℃ 내지 -25℃인 점착제를 기재층의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기설정된 강도의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막이 형성된 상기 점착체층의 표면에 엠보 라이너층을 합체하고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0.3 내지 0.5 중량부와, 에폭시계 경화제 0.1 내지 0.3 중량부 및 글리시독시 반응성유기기 및 트리메톡시시릴 무기기로 구성된 이작용기성 실란 0.1 내지 0.3 중량부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따르면, 초기 접착력을 낮게 하여 재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부착된 이후에 후기 접착력을 보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가 사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는, 기재층(100), 점착제층(200), 엠보 라이너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기재층(100)은 점착제가 층을 이룰 수 있도록 틀을 제공하는 층으로, PET, OPP, CPP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점착제층(200)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섀시(10)에 완충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이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력을 제공하는 층으로, 기재층(1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에 있어서도 접착력을 제공하는 점착제층(미도시)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점착제층(200)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 양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에서의 점착제층(200)가 갖는 성상 및 관능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에서의 점착제층(200)은 2.500 내지 3.500 중량%의 카르복실기 및 0.045 내지 0.055 중량%의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유리전이온도가 -35℃ 내지 -25℃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카르복실기(COOH기)는 기초 모노머에 아크릴 산을 부과하여 아크릴계 폴리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아크릴 산에 함유되어 있는 관능기로서, 유리전이온도를 상승시켜 점착제층(200)이 초기에 큰 부착성이 갖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수산화기(OH기)는 기초 모노머에 함유되어 있는 관능기로서, 역시 유리전이온도를 상승시켜 점착제층(200)이 초기에 큰 부착성이 갖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점착제층(200)을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로 할 때 물성 변화없이 코팅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인 가사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도 가져온다.
한편, 이와 같이 점착제층(200)을 카르복실기와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구성할 경우, 점착부여수지(tackyfier resin)는 함유하지 않는다. 이는 점착부여수지의 분자량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연화점이 높은 수지라도 가소제 역할을 하여 응집성이나 내열성을 낮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며, 나아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재작업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만큼 점착부여수지로 인해 초기에 큰 부착성이 발현되면 안되기 때문이다.
한편, 점착제층(200)를 설계할 때 유리전이온도는 -35℃ 내지 -25℃인 것이 유리하다.
이는, 점착제층(200)의 유리전이온도가 -25℃보다 높은 경우에는, 끈적이는(tacky) 정도는 향상될 수 있으나 동시에 유연한(soft) 정도도 향상되는 관계로 박리 강도가 낮아지는 관계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기 위해 엠보 라이너층(300)을 제거할 경우 점착제층(200)에 형성된 요철이 쉽게 흐트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대로 점착제층(200)의 유리전이온도가 -35℃보다 낮은 경우에는, 점착제층(200)에 형성된 요철이 쉽게 흐트러지지는 않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 초기에 끈적이는 정도가 저하되는 관계로, 초기 접착력/부착력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점착제층(200)의 유리전이온도는 -35℃ 내지 -25℃인 것이 유리한데, 이때의 유리전이온도는 이론적 계산값으로, 불순물 또는 이물질이 함유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으며 온도는 다른 주변 환경에 따라 변화가 심한 요소 중 하나인 관계로, 실제 제작시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정도의 차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가능한 사항으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범위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성상 및 관능기를 갖는 점착제층(200)는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0.3 내지 0.5 중량부와, 에폭시계 경화제 0.1 내지 0.3 중량부 및 이작용기성 실란 0.1 내지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경화제는 기재층(100)에 도포된 아크릴계 폴리머가 경화되어 점착제층(200)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3 내지 0.5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0.3 중량부보다 작게 혼합되면 아크릴계 폴리머의 응집성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0.5 중량부보다 많게 혼합되면 반대로 내열성이 상승되지만 점착제층(200) 표면 도막의 강도가 상승되어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에폭시(epoxy)계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함께 기재층(100)에 도포된 아크릴계 폴리머가 경화되어 점착제층(200)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에폭시계 경화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0.3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0.1 중량부보다 작게 혼합되거나 0.3 중량부보다 많게 혼합되는 경우의 문제점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혼합되는 범위를 벗어난 경우와 유사하다.
다만, 에폭시계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보다 응집성 및 내열성 측면에서 상위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점착제층(200) 표면 도막의 형성이 빨라 전사 코팅 방식으로 기재층(100)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경우 기재층(100)과 점착제층(200) 간의 결합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는 불리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에폭시계 경화제의 혼합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이작용기성 실란(silane)은 고분자 물질, 유리, 금속류 등에 대한 접착력 증가제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글리시독시 반응성유기기 및 트리메톡시시릴 무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글리시독시 반응성유기기는 기재층(100)을 구성하는 PET, OPP, CPP와 같은 합성수지와의 밀착력을 높이는 기능을 하며, 트리메톡시시릴 무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20)가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이 부착되고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점착제층(200)의 요철이 붕괴되면서 점착 면적이 증가될 때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에 대한 접착력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폴리머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및 이작용기성 실란이 혼합되어 생성되는 점착제층(200)은 크게 제1 층(210) 및 제2 층(220)으로 두 개의 층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층(210)은 기재층(100)에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는 층이고, 제2 층(220)은 엠보 라이너층(300)에 접하여 요철이 형성되는 층이다.
이때, 제2 층(220)은 엠보 라이너층(300)이 제거되면서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에 부착되는 층이기도 하며, 이러한 제2 층(220)은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에 부착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요철 형상이 붕괴되면서 제1 층(210)과 같이 평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층(220)은 제1 층(210)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평탄하게 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물론, 제2 층(220)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과 제2 층(22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되기 용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재작업성이 향상된 만큼,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과 제2 층(220) 사이에 많은 공기(기포)가 존재할 경우 재작업하여도 무방하다는 점, 제2 층(220)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요철 형상이 붕괴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만큼 소정 시간이 지났음에도 일정 이상의 접착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게 된다는 점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제2 층(220)의 두께는 제1 층(210)의 두께보다 얇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엠보 라이너층(300)은 점착제층(200)에 요철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로서, 점착제층(200)의 표면에 일정 강도의 도막이 형성된 이후에 점착제층(20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엠보 라이너층(300)의 재질은 주로 실리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엠보 라이너층(300)은 점착제층(200)이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에 부착될 때 공기(기포) 제거를 위한 목적도 갖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재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임을 고려하여 볼 때 점착제층(200)의 초기 접착력을 낮추는데 더 큰 목적을 갖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더 큰 목적에 비추어 볼 때, 엠보 라이너층(300)은 일정한 간격의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는 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조도의 편차는 향후 점착층의 요철이 붕괴될 때 평탄화되기 용이하도록 크지 않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 실험예 ]
아래 [표 1]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는, 아크릴계 폴리머 100g,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0.3~0.5g, 에폭시계 경화제 0.1~0.3g, 이작용기성 실란 0.1~0.3g을 혼합한 점착제층(200)을 포함한다.
반면, 본 발명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이작용기성 실란에 대한 하한 및 상한을 정한 이유를 확인해보기 위하여, 각각의 하한보다 낮거나 동일하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상한보다 높게 하였다.
[표 1]
Figure 112012014925536-pat00001
즉, 비교예 1로 제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는 아크릴계 폴리머 100g,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0.2g, 에폭시계 경화제 0.1g, 이작용기성 실란 0.1g을 혼합한 점착제층(200)을 포함한다. 한편, 비교예 2로 제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는 아크릴계 폴리머 100g,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0.8g, 에폭시계 경화제 0.5g, 이작용기성 실란 0.4g을 혼합한 점착제층(200)을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일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접착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가 부착되는 피착제의 재질과 무관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피착제를 SUS 304, Acryl, Glass로 구분하였다.
또한, 온도나 습도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접착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용량 및 부착 횟수도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접착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바, 다음과 같이 일반적인 작업 조건인 온도 25, 습도 50%, 2Kg 롤(roll) 1회 왕복부착을 모두 동일하게 부여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험 조건 하에서, 재작업 가능 시점을 전제로 하여 부착 후 20분 경과된 시점의 초기 부착 강도를 결과로 확인하였으며, 이후에는 초기 부착 강도와 재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시점을 전제로 하여 부착 후 24시간 경과된 시점의 부착 강도를 결과로 확인하였다.
이때, 점착제층에 형성된 요철이 붕괴됨에 따라 부착 강도가 증가하게 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부착 후 1시간, 4시간의 부착 강도를 추가적으로 확인함은 물론, 24시간이 지난 시점에서의 부착 강도 또한 확인하기 위하여 부착 후 48시간이 지난 시점에서의 부착 강도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2]와 같은 부착 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Figure 112012014925536-pat00002
(여기서, [표 2]에 제시된 ±값은 실험을 반복하였을 때 갖는 실험 오차 범위를 표시한 것이다.)
즉, 비교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에 비하여, 초기 접착력 자체가 높게 형성되어 재작업성에 문제가 있는바,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는 부족한 경화제의 배합에 따른 경화도의 저하로, 아크릴 폴리머가 갖는 점착성 및 요철의 빠른 붕괴로 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비교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에 비하여, 초기 접착력이 낮게 형성되어 재작업성에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후기 접착력 또한 함께 낮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완성된 이후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는 과량의 경화제 배합에 따른 아클릴 폴리머의 경화도가 상승하여, 아클릴 폴리머 고유의 점착성을 부분적으로 잃게 되고 요철이 느리게 붕괴되어 접착면적의 확대로 이어지 않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엠보 라이너층(300)을 제거하고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는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에 점착제층(200)을 부착할 때, 아래 [표 3]을 통해 재차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부착 후 20분 경과)에는 낮은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어, 잘못 부착되었을 때 재작업 효율이 높다고 할 것이다.
[표 3]
Figure 112012014925536-pat00003
(여기서, [표 3]에 제시된 부착 강도 값은 [표 2]의 실험 오차 범위를 반영하여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재층(100)의 일면에만 점착제층(200), 엠보 라이너층(300)이 마련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재층(100)의 양면에 점착제층(200), 엠보 라이너층(300)이 마련된 경우에도 미치는 것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하지만,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점착제층(200)을 생성하는 단계, 점착제층(200)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엠보 라이너층(300)을 합체하고 경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착제층(200)을 생성하는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0.3 내지 0.5 중량부와, 에폭시계 경화제 0.1 내지 0.3 중량부 및 글리시독시 반응성유기기 및 트리메톡시시릴 무기기로 구성된 이작용기성 실란 0.1 내지 0.3 중량부가 혼합하여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점착제층(200)은 2.500 내지 3.500 중량%의 카르복실기 및 0.045 내지 0.055 중량%의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로 구성되며 유리전이온도가 -35℃ 내지 -25℃인 특성을 갖는다.
한편, 점착제층(200)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엠보 라이너층(300)을 합체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단계인 동시에, 요철을 생성할 때 요철의 초기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점착제층(2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막은 기설정된 강도를 갖는데, 여기서 기설정된 강도란 요철의 초기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데 필요한 강도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기설정된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층(200)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 진행되는 일부 경화와 관련된 시간/온도 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엠보 라이너층(300)을 합체하고 경화시키는 단계는 점착제층(200)에 있어서의 제2 층(220)을 형성하는 단계인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를 완성하게 되는 단계로, 특별히 제한적인 기술적 특징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점착제층(200)을 생성하는 단계, 점착제층(200)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엠보 라이너층(300)을 합체하고 경화시키는 단계는 각각 구분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이 일부 순서를 바꾸어 볼 수 있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으나, 밀착성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부 순서르 바꾸는 방안은 불리하다.
즉, 엠보 라이너층(300)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200)을 만들고 이후에 기재층(100)을 배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의 일 실시예를 제조하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에폭시계 경화제의 특성에 의해 밀착성 불량이 야기될 수 있는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엠보 라이너층(300)을 제거하고 완충 필름(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에 부착한다.
이때, 부착이 잘못되어 다시 부착하는 재작업을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접착력이 낮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향후 후기 접착력도 보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최종적인 제품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도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할 것이어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섀시 20 :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30 : 완충 필름 40 : 디스플레이 모듈
50 : 터치 모듈 60 : 유리
100 : 기재층 200 : 점착제층
210 : 제1 층 220 : 제2 층
300 : 엠보 라이너층

Claims (6)

  1. 기재층, 점착제층, 엠보 라이너층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로서,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엠보 라이너층에 대향하는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2.500 내지 3.500 중량%의 카르복실기 및 0.045 내지 0.055 중량%의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구성하고,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0.3 내지 0.5 중량부와, 에폭시계 경화제 0.1 내지 0.3 중량부 및 이작용기성 실란 0.1 내지 0.3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하며, 유리전이온도를 -35℃ 내지 -25℃로 하여,
    상기 엠보 라이너층을 제거한 이후 상기 요철이 붕괴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점착제층을 붙일 때, 상기 요철이 붕괴되기 이전의 상기 점착제층이 갖는 초기 접착력을 작게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점착제층을 잘못 붙였을 경우 상기 점착제층을 때었다가 다시 붙이는 재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점착제층을 붙인 이후 소정의 시간이 흘러 상기 요철이 붕괴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점착제층이 완전히 부착될 때, 상기 요철이 붕괴된 이후의 상기 점착제층이 갖는 후기 접착력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점착제층이 완전히 부착되었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점착제층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작용기성 실란을,
    트리메톡시시릴 무기기 및 글리시독시 반응성유기기로 구성하여,
    상기 트리메톡시시릴 무기기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상기 점착제층이 갖는 상기 후기 접착력을 크게 하고, 상기 글리시독시 반응성유기기를 통해 상기 기재층과의 밀착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기재층에 접하여 평탄하게 형성된 제1 층과 엠보 라이너층에 접하여 요철이 형성된 제2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층의 두께가 상기 제2 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5. 삭제
  6. 삭제
KR1020120018623A 2012-02-23 2012-02-23 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KR10116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623A KR101169361B1 (ko) 2012-02-23 2012-02-23 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623A KR101169361B1 (ko) 2012-02-23 2012-02-23 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361B1 true KR101169361B1 (ko) 2012-07-30

Family

ID=4671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623A KR101169361B1 (ko) 2012-02-23 2012-02-23 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3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071A (ko) * 2016-04-22 2017-11-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 부착 세퍼레이트 필름, 세퍼레이트 필름 부착 광학 부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90008008A (ko) 2017-07-14 2019-01-23 윤일구 중공탄성체를 이용한 연신가능한 쿠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1122A1 (ja) 2007-09-28 2009-04-02 Nichiban Co., Ltd. 貼付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1122A1 (ja) 2007-09-28 2009-04-02 Nichiban Co., Ltd. 貼付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071A (ko) * 2016-04-22 2017-11-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 부착 세퍼레이트 필름, 세퍼레이트 필름 부착 광학 부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324044B1 (ko) 2016-04-22 2021-11-0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 부착 세퍼레이트 필름, 세퍼레이트 필름 부착 광학 부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90008008A (ko) 2017-07-14 2019-01-23 윤일구 중공탄성체를 이용한 연신가능한 쿠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4204B2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
JP5836944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型光学フィルム
TWI628251B (zh) 偏光板用黏著劑組成物、偏光板用黏著片、附黏著劑層之偏光板、積層體及平板顯示器
JP4791467B2 (ja) 両面接着シート及びパネル積層体
KR101628435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48411B1 (ko) 고온에서의 박리성이 우수한 광학용 점착 필름
CN104592905B (zh) 光扩散粘结剂层和光扩散粘结膜
JP6378977B2 (ja) 画像表示体
WO2004048079A1 (ja) 再帰性反射シート
TW200303911A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sticking and fixing touch panel to display device
KR20140142240A (ko) 재박리성 보호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5945000B2 (ja) 再剥離性を備えた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再剥離方法
EP3074476A1 (en) Double coated tape exhibiting improved reworkable capability
WO2015174392A1 (ja) 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CN107004383A (zh) 表面保护面板用双面粘着片以及表面保护面板
JP5836943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
JP4555921B2 (ja) アクリル系の耐ブリスター性粘着剤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るトランスファー性フィルム状粘着剤、耐ブリスター性粘着剤シート及びそれらの用途
JP2011057883A (ja) 透明性無基材両面テープ・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642353B (zh) 光学膜粘贴结构及其制作方法
KR101169361B1 (ko) 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프
JP2012207194A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
JP6019910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KR10215656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JP2016104829A (ja) 粘着シート、その貼り合わせ方法、その製造方法、貼合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058915B1 (ko) 광학용 점접착 조성물, 이를 다단 경화시키는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