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메트르-톨먼 계량
시리즈의 일부 |
물리 우주론 |
---|
대폭발(빅뱅) · 우주 우주의 나이 우주의 역사 |
천문학 포털 |
르메트르-톨먼 계량(Lemaître-Tolman metric)은 르메트르-톨먼-본디 계량(Lemaître-Tolman-Bondi metric) 또는 톨먼 계량이라고도 하는데, 물리학에서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의 엄밀해에 기초하는 로런츠 계량의 하나이다. 이 해에 의해서 균질하지 않은 등방성 팽창 또는 수축하는 우주가 설명되므로,[1][2] 우주론에서 우주 팽창을 모델링하기 위해 표준 프리드만-르메트르-로버트슨-워커 계량의 대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3][4][5] 또한 우주의 가속 팽창을 설명하기 위해 물질의 프랙탈 분포를 갖는 우주를 모델링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6]
이 해는 1933년 조르주 르메트르[7]와 1934년 리처드 톨먼에 의해 최초로 구해졌는데,[1] 그 후 1947년 헤르만 본디에 의해 연구되었다.[8]
상세
[편집]일반 상대성이론 |
---|
|
물리학 포털 분류: 일반 상대성이론 |
그리고 인 동기된 기준계에서 시간 좌표 ( 로 설정됨) 역시 고유 시간 이고, 모든 지점의 시계는 동기화 될 수 있다. 압력이 0인 먼지와 같은 매체의 경우, 먼지 입자는 측지선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므로 동기된 프레임은 4가지 속도의 구성 요소 가 로 되는 공변 프레임이기도 하다.
장 방정식의 해는[9] 아래와 같이,
인데, 여기서 은 반경이 인 구의 표면적이 이 된다는 의미에서 '반경' 또는 '광도 거리'이며, 은 라그랑지안 좌표로 해석되며 그리고 인 조건 하에서
이 된다. 여기서 및 은 임의의 함수이고 는 물질의 밀도이다.
또한 그리고 를 가정하면 이러한 운동 중에 물질 입자가 교차하는 경우가 제외된다. 입자 각각에는 , 함수 가 주어지고, 그 시간 미분에 의하여 그 운동 법칙과 방사 방향의 속도가 주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해의 흥미로운 특징으로는 및 이 의 함수로 도시되면, 범위에서 도시된 이러한 함수의 형태가 에서 도시되는 함수의 모양과 무관하다는 점이다 . 이러한 예측은 뉴턴의 이론과 명확히 유사하다.
여기서 인 구의 내부 총 질량은
이 되는데, 이 식은 슈바르츠실트 반경이 로 주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함수 은 적분에 의하여 구할 수도 있는데, 매개변수 를 가지는 매개변수 형식으로는 아래의 세 가지의 해,
가 가능한데, 여기서 가 또 다른 임의의 함수로 등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중심 대칭의 물질 분포가 최대 두 가지 함수, 즉 밀도 분포와 물질의 지름방향 속도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이는 세 가지 함수 중에서 단 2개만이 독립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라그랑지 좌표 을 특별히 선택하지 않았고 여전히 임의의 변환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두개의 함수만이 임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10] 먼지와 같은 매체의 경우에는 그리고 독립적인 이 되는 또다른 해가 있지만, 이러한 해는 유한한 물체의 붕괴에 해당하지는 않는다.[11]
슈바르츠실트 해
[편집]const. 이면, 가 되고, 따라서 해는 중앙에 점 질량이 있는 빈 공간에 해당한다. 추가로 그리고 로 한정하면, 이 해는 르메트르 좌표로 표현된 슈바르츠실트 해로 환원된다.
중력붕괴
[편집]중력 붕괴는 가 이면서 에 도달하면 발생한다. 일 때는 라그랑주 좌표 로 표시되는 물질의 중심점 도달에 해당한다. 가 되면 세 가지의 모든 경우에서 그 점근적 거동은 아래와 같이
로 주어지며, 여기서 처음 두 관계식은 공변계에서 모든 지름방향의 거리가 무한대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고 접선 거리가 처럼 0에 접근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에 세 번째 관계식은 물질 밀도가 와 같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상수이어서 모든 물질 입자의 붕괴 시간이 동일한 특별한 경우에는, 그 점근적 거동은 상이하여,
로 된다.
여기서 접선 거리와 지름 거리 모두 와 같이 0이 되는데, 반면에 물질 밀도는 와 같이 증가하게 된다.
같이 보기
[편집]- 르메트르 좌표
- 일반 상대성 이론의 수학 입문
- 스트레스-에너지 텐서
- 계량 텐서(일반 상대성 이론)
- 상대론적 각운동량
- 불균일 우주론
각주
[편집]- ↑ 가 나 Tolman, Richard C. (1934). “Effect of Inhomogeneity on Cosmological Models”. 《Proc. Natl. Acad. Sci.》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 20 (3): 169–76. Bibcode:1934PNAS...20..169T. doi:10.1073/pnas.20.3.169. PMC 1076370. PMID 16587869.
- ↑ Krasinski, Andrzej (1997). 《Inhomogeneous Cosmological Models》 1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8180-5.
- ↑ W. D'Arcy Kenworthy; Dan Scolnic; Adam Riess (2019년 4월 24일). “The Local Perspective on the Hubble Tension: Local Structure Does Not Impact Measurement of the Hubble Constant”. 《The Astrophysical Journal》 875 (2): 145. arXiv:1901.08681. Bibcode:2019ApJ...875..145K. doi:10.3847/1538-4357/ab0ebf.
- ↑ Rong-Gen Cai; Jia-Feng Ding; Zong-Kuan Guo; Shao-Jiang Wang; Wang-Wei Yu (2021년 6월 22일). “Do the observational data favor a local void?”. 《Physical Review D》 103 (12): 123539. arXiv:2012.08292. Bibcode:2021PhRvD.103l3539C. doi:10.1103/PhysRevD.103.123539.
- ↑ Vladimir V. Luković; Balakrishna S. Haridasu; Nicola Vittorio (2019년 11월 4일). “Exploring the evidence for a large local void with supernovae Ia data”.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91 (2). arXiv:1907.11219. doi:10.1093/mnras/stz3070.
- ↑ Leonardo Cosmai; Giuseppe Fanizza; Francesco Sylos Labini; Luciano Pietronero; Luigi Tedesco (2019년 1월 28일). “Fractal universe and cosmic acceleration in a Lemaître–Tolman–Bondi scenario”.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36 (4): 045007. arXiv:1810.06318. Bibcode:2019CQGra..36d5007C. doi:10.1088/1361-6382/aae8f7.
- ↑ Lemaître, G. (1933). “l'Universe en expansion”. 《Annales de la Société Scientifique de Bruxelles》 53: 51–85.
- ↑ Bondi, Hermann (1947). “Spherically symmetrical models in general relativit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07 (5–6): 410–425. Bibcode:1947MNRAS.107..410B. doi:10.1093/mnras/107.5-6.410.
- ↑ Landau, L. D. (Ed.). (2013). The classical theory of fields (Vol. 2). Elsevier.
- ↑ Zel’dovich, Y. B., & Novikov, I. D. (2014). Stars and relativity. Courier Corporation.
- ↑ Ruban, V. A. (1969). Spherically symmetric T-models in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Soviet Journal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Physics,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