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장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장균
대장균 (Escherichia coli)
대장균 (Escherichia coli)
생물 분류ℹ️
역: 세균
문: 프로테오박테리아문
강: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목: 장내세균목
과: 장내세균과
속: 대장균속
종: 대장균 (E. coli)
학명
Escherichia coli
(Migula 1895)
Castellani & Chalmers 1919

학명이명

Bacillus coli communis Escherich 1885

대장균(大腸菌, Escherichia coli, E. coli)은 온혈동물창자(대장과 소장)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박테리아이다. 대장균 자체는 인체에 해롭지 않다.[1] 대부분의 대장균의 변종은 해롭지 않지만, 항원형 O157:H7등은 사람의 식중독을 일으키며, 가끔 대규모의 식품 리콜의 원인이 된다.[2] 해롭지 않은 변종은 대장의 공생미생물이며 비타민 K2 등을 생산하여 이로움을 주기도 하며,[3] 창자에서 병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의 번식을 막기도 한다.[4][5]

박테리아는 쉽게 번식하고 유전적으로 비교적 단순하고 다루기가 쉬워 가장 많이 연구된 원핵생물의 표본생물이고, 바이오테크놀로지에서도 중요하게 쓰인다. 독일의 소아과 의사이면서 박테리아 연구 학자인 테오도르 에쉐리히가 1885년에 발견하였으며,[6]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로 분류된다.[7]

먹는 물 수질 기준

[편집]

대한민국에서는 먹는 물 수질 기준으로 총대장균군이 지표 중 하나로 쓰인다.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총대장균군이 물 100mL 중 불검출되어야 한다.[8]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1. 노재식; 한웅규; 정용욱 (2016).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69쪽. ISBN 9791156562344. 
  2. Vogt, Richard L.; Dippold, Laura (2005년 3-4월). “Escherichia coli O157:H7 outbreak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ground beef, June-July 2002”. 《Public Health Reports》 2: 174-178.  PMID 15842119.
  3. Bentley, R, Meganathan, R., Biosynthesis of Vitamin K (menaquinone) in Bacteria, Bacteriological Reviews, 1982, 46(3):241-280. Review.
  4. Hudault, S.; J. Guignot and A.L. Servin (July 2001). "Escherichia coli strains colonizi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protect germfree mic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infection." Gut 49:47-55. PMID 11413110.
  5. Reid, G.; J. Howard and B.S. Gan (September 2001). "Can bacterial interference prevent infection?" Trends in Microbiology 9(9):424-428. PMID 11553454.
  6. Feng P, Weagant S, Grant, M (2002년 9월 1일). “Enumeration of Escherichia coli and the Coliform Bacteria”.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8th ed.)》. FDA/Center for Food Safety & Applied Nutrition. 2009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월 25일에 확인함. 
  7. Escherichia. 《Taxonomy Browser》. NCBI.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8. 노재식; 한웅규; 정용욱 (2016).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51쪽. ISBN 979115656234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