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814A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effect apply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effect apply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70814A KR20020070814A KR1020020009869A KR20020009869A KR20020070814A KR 20020070814 A KR20020070814 A KR 20020070814A KR 1020020009869 A KR1020020009869 A KR 1020020009869A KR 20020009869 A KR20020009869 A KR 20020009869A KR 20020070814 A KR20020070814 A KR 200200708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ffect
- portable terminal
- sound signal
- caller
- assign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8—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synthesized vocal announ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신에 맞춰 멜로디음을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원하는 악곡을 발생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 멜로디나 재생 악곡에 대하여 원하는 효과(이펙트)를 부여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melody sound in response to an incoming call or generating a desired piece of music in accordance with a user's preference, and in particula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mparting a desired effect (effect) to an incoming melody or reproduced piece of music. Relates to a device.
최근, 셀룰러 전화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고, 다양한 기술적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 장치는 착신음으로서 단순한 비프음이나 「삐-삐-」음등의 전자음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멜로디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유행 곡이나 선호하는 곡을 착신 멜로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 장치에는 전자적으로 악음을 발생시키는 악음 발생 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이 악음 발생 회로에 의해 착신 멜로디를 발생하거나, 원하는 악곡을 재생하고 있었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 devices such as cellular telephones and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telephones are rapidly spreading, and various technical developments have been made. In particular, recent portable terminal devices are capable of selecting a user's desired melody rather than a simple beep sound or a beeping sound as a ringing tone. have. To this end,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has a built-in sound gene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sound electronically, and the incoming sound melody is generated or the desired music is reproduced by this sound generation circuit.
상기한 악음 발생 회로에는, 소위 코러스 효과나 잔향(리버브 또는 에코) 효과 등의 이펙트를 부여하는 이펙터(효과 부여 회로)가 내장되는 경우가 있다. 이 이펙터를 사용함으로써 착신 멜로디 등의 음색을 보다 세련된 것으로 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ound generation circuit may have a built-in effector (effect providing circuit) for imparting effects such as a so-called chorus effect and reverberation (reverb or echo) effect. By using this effector, the tone of the incoming melody can be made more refined.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이펙터를 단순히 음악적 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을 뿐, 휴대 단말 장치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 아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such an effector was merely us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musical effect, and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 단말 장치의 특성을 고려한 이펙터를 해당 휴대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ffecto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악곡 재생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usic reproducing unit.
도 3의 (a) 내지 (d)는 이펙터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간이 블록도.3A to 3D are simplified block diagrams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n effector.
도 4는 RAM에 기억되는 어드레스 테이블의 설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the setting of an address table stored in a RAM by way of example.
도 5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착신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ig. 5 is a flowchart showing operation at the time of incoming call in the cellular phone.
도 6은 착신 멜로디의 이펙트 변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ffect change screen of an incoming melody;
도 7은 악음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7 is a flowchart showing the sound reproduction process.
도 8은 가라오케 모드 시의 이펙트 변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ffect change screen in karaoke mod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CPU1: CPU
2 : ROM2: ROM
3 : RAM3: RAM
4 : 조작 입력부4: operation input unit
5 : 인터페이스5: interface
7 : 버스 라인7: bus line
8 : 액정 표시기8: liquid crystal display
10 : 통신부10: communication unit
11 : 음성 처리부11: voice processing unit
12 : 악곡 재생부12: music player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무선 회선을 통해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 숫자 키를 구비한 조작 입력부, 및 착신 멜로디 등을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악곡 재생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와 그에 대응하여 설정된 효과(이펙트)를 관련지어 어드레스 테이블과 같은 형식으로 RAM에 기억하고 있다. 악곡 재생부에는 시퀀서, 음원, 이펙터(DSP)가 설치되어 있다.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via a wireless line, an operation input unit having numeric keys, and a music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an incoming melody to a speaker. In addition, the phone numbers of the plurality of callers and the effects (effects) set corresponding to the callers are stored in RAM in the form of an address table.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is provided with a sequencer, a sound source, and an effector (DSP).
착신 시,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효과가 판독되어, 이펙터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음원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악음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효과가 부여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착신 멜로디가 발음된다.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소정의 효과가 부여된 착신 멜로디를 듣고서, 발신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effect set corresponding to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read and set as an effector. As a result, a predetermined effect is applied to the digital sound signal generated in the sound source, so that a predetermined incoming melody is pronounced through the speaker.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an easily identify the caller by listening to the incoming melody to which the predetermined effect is given.
효과의 설정 및 ON/OFF는 발신자를 그룹 분류한 각 그룹마다, 또는 각각의발신자마다 기억된다.The effect setting and ON / OFF are stored for each group which grouped the senders or for each sender.
또한, 숫자 키에는 사전에 소정의 효과가 할당되어 있으며, 착신 멜로디의 재생 중, 사용자가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효과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effect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in advance, and the user can change the desired effect by operating the numeric keys during playback of the incoming melody.
상기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장치의 액정 표시기에 착신 멜로디 발생 중인 메시지가 표시됨과 함께, 현재 부여되어 있는 효과나 숫자 키에 할당된 효과가 일람으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효과를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message in which an incoming melody is generated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n effect currently assigned or an effect assigned to a numeric key is displayed in a list.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eck or change the effect.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1)는 휴대 전화기의 각부를 제어하는 CPU(중앙 처리 장치), 참조 부호(2)는 CPU(1)의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Read Only Memory), 참조 부호(3)는 데이터 기억용 RAM(Random Access Memory)을 나타낸다. 이 RAM(3) 내에는 후술하는 어드레스 테이블 등의 데이터가 기억됨과 함께, 각종 이펙트가 설정된다. 또한, RAM(3)은 배터리 백업(battery backup)이 이루어져 있다. 참조 부호(4)는 숫자 키나 기능 키를 포함하는 조작 입력부, 참조 부호(5)는 외부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나 그 밖의 휴대 단말 장치 등과의 접속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I/F), 참조 부호(8)는 액정 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example,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each part of the cellular phone,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ROM (Read Only Memory) storing a program of the CPU 1, and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random access memory (RAM) for data storage. In the RAM 3, data such as an address table to be described later are stored, and various effects are set. In addition, the RAM 3 has a battery backup.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n operation input unit including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n interface (I / F) used for connection to an externally installed personal computer or other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reference numeral 8 Indicat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한, 참조 부호(10)는 통신부(변복조부)를 나타낸다. 이 통신부(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변조 음성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 처리부(11)로 출력하거나, 음성 처리부(11)로부터 공급되는 부호화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발신원의 전화 번호나 그 밖의 데이터를 버스 라인(7)을 통해 CPU(1)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1)는 통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이어(ear)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으로 취득한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통신부(10)로 출력한다. 참조 부호(12)는 악곡 재생부를 나타낸다. 이 악곡 재생부(12)는 버스 라인(7)을 통해 공급되는 악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음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communication unit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10 demodulates the modulated speech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outputs the demodulated speech signal to the speech processor 11 or modulates the encoded digital speech signal supplied from the speech processor 11 and transmits the modulated speech signal through the antenna. In addition, the telephone number or other data of the caller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s output to the CPU 1 via the bus line 7. The voice processing unit 11 decodes the received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outputs it to an ear speaker, or encodes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acquired by the microphone to the communication unit 10.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music reproducing section.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12 generates a music signal based on the music data supplied through the bus line 7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도 2는 악곡 재생부(12)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참조 부호(15)는 버스 라인(7)과 접속되는 인터페이스(I/F), 참조 부호(16)는 FIFO(First-In-First-Out) 메모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MP3(Multilink Protocol 3) 등의 오디오 규격에 의해 처리(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이 인터페이스(15)를 통해 FlFO 메모리(16)에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참조 부호(17)는 스트림 디코더를 나타낸 것으로, FIFO 메모리(16)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드(신장)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한다. 참조 부호(19)는 악음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FIFO 메모리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20)는 시퀀서를 나타낸다. 시퀀서(20)는 FIFO 메모리(19)로부터 악음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석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음원 회로(21)를 구동하기 위한 악음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음원 회로(21)는 그 내부에 음원을 갖고 있으며, 해당 음원은 시퀀서(20)로부터 출력되는 악음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되어, 디지털악음 신호를 생성한다. 혼합 회로(MIX: 22)는 스트림 디코더(17)의 출력과 시퀀서(20)의 출력을 혼합한다. 이펙터(23)는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혼합 회로(22)의 혼합 출력에 대하여 원하는 효과(이펙트)를 부여하여, 다음 단의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24)로 출력한다. D/A 변환기(24)는 이펙터(23)의 디지털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12 in detail. In Fig. 2, 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n interface I / F connected to the bus line 7, and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first-in-first-out memory. For example, an audio data stream processed (compressed) by an audio standard such as MP3 (Multilink Protocol 3) is supplied to the FlFO memory 16 via the interface 15 and temporarily stored. Reference numeral 17 denotes a stream decoder, which decodes (extends) the audio data stream output from the FIFO memory 16 to restore original audio data. Reference numeral 19 denotes a FIFO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musical sound data, and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sequencer. The sequencer 20 reads and analyzes sound data from the FIFO memory 19, and generates sound control data for driving the sound source circuit 21 at a predetermined timing. The sound source circuit 21 has a sound source therein, and the sound source is driven based on sound control data output from the sequencer 20 to generate a digital sound signal. The mixing circuit (MIX) 22 mixes the output of the stream decoder 17 and the output of the sequencer 20. The effector 23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e effector 23 provides a desired effect (effect) to the mixed output of the mixing circuit 22, and the digital / analog (D / A) of the next stage is provided. Output to converter 24. The D / A converter 24 converts the digital output of the effector 23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it to a speaker (not shown).
상기한 악곡 재생부(12)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다양한 방식에 대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MF나 SMAF 등의 악음 데이터 포맷을 채용하거나, 인터페이스 형식으로서 FIFO나 RAM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음원 방식으로서 FM(Frequency Modulation)이나 PCM(Pulse-Code Modulation) 등을 채용해도 된다.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12 need not be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2, and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methods can be adopted. For example, a sound data format such as SMF or SMAF may be employed, or FIFO or RAM may be employed as the interface format. In addition, FM (Frequency Modulation), PCM (Pulse-Code Modulation), or the like may be employed as the sound source system.
도 3의 (a)∼(d)는 각각 이펙터(23)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간이 블록도이다. 각 블록도에 있어서, 원 악음 신호(디지털 악음 신호) A를 입력으로 하여 처리하고 있다. 도 3의 (a)에서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하여 계수 승산기(31, 32)에서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계수 승산기(32)의 출력에 대하여 리버브 회로(33)에서 리버브 효과를 부여하고, 가산기(34)는 계수 승산기(31)의 출력과 리버브 회로(33)의 출력을 가산하여 새로운 악음 신호 A1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계수 승산기(31, 32)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한 효과량의 제어나 리버브 효과의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3A to 3D are simple block diagrams showing partial configurations of the effector 23, respectively. In each block diagram, the original sound signal (digital sound signal) A is processed as an input. In FIG. 3A, the coefficient multipliers 31 and 32 are assigned weights to the original sound signal A, and the reverb effect is given to the output of the coefficient multiplier 32 by the reverb circuit 33, and the adder ( 34 adds the output of the coefficient multiplier 31 and the output of the reverb circuit 33 to generate and output a new sound signal A1. Here, the coefficient multipliers 31 and 32 perform the control of the effective amount for the original sound signal A and the on / off control of the reverb effect.
도 3의 (b)에서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하여 계수 승산기(36, 37)에서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계수 승산기(37)의 출력에 대하여 코러스 회로(38)에서 코러스 효과를 부여하고, 가산기(39)는 계수 승산기(36)의 출력과 코러스 회로(38)의 출력을 가산하여 새로운 악음 신호 A2를 생성하여 출력한다.In FIG. 3B, the coefficient multipliers 36 and 37 are assigned a weight to the original sound signal A, and the chorus effect is given by the chorus circuit 38 to the output of the coefficient multiplier 37, and the adder ( 39 adds the output of the coefficient multiplier 36 and the output of the chorus circuit 38 to generate and output a new sound signal A2.
이펙터(23)에 의해 부여되는 효과는 상기한 리버브나 코러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딜레이, 에코, 이퀄라이저, 디스토션 등의 다양한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단일 효과뿐만 아니라 복수의 효과를 조합하여 부여할 수도 있다. 본 예를 도 3의 (c) 및 (d)에 도시한다.The effect imparted by the effector 23 is not limited to the reverb and choru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effects such as delay, echo, equalizer, distortion, and the like can also be imparted. Moreover, not only a single effect but a some effect can also be combined and provided. This example is shown in (c) and (d) of FIG.
도 3의 (c)에서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하여 계수 승산기(41, 42)에서 가중치를 부여하고, 계수 승산기(42)의 출력에 대하여 코러스 회로(43)에서 코러스 효과를 부여한 후, 리버브 회로(44)에서 리버브 효과를 부여한다. 그 후, 가산기(45)는 계수 승산기(41)의 출력과 리버브 회로(44)의 출력을 가산하여 새로운 악음 신호 A3을 생성 출력한다.In FIG. 3C, the coefficient multipliers 41 and 42 are weighted to the original sound signal A, and the chorus effect is applied to the output of the coefficient multiplier 42 by the chorus circuit 43, and then the reverb circuit ( 44) gives the reverb effect. The adder 45 then adds the output of the coefficient multiplier 41 and the output of the reverb circuit 44 to generate and output a new musical tone signal A3.
도 3의 (d)에서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하여 계수 승산기(47, 48, 49)에서 가중치를 부여하고, 계수 승산기(48)의 출력에 대하여 코러스 회로(50)로 코러스 효과를 부여하는 한편, 계수 승산기(49)의 출력에 대하여 리버브 회로(51)에서 리버브 효과를 부여한다. 그 후, 가산기(52)는 계수 승산기(47)의 출력, 코러스 회로(50)의 출력 및 리버브 회로(51)의 출력을 가산하여 새로운 악음 신호 A4를 생성하여 출력한다.In FIG. 3D, the coefficient multipliers 47, 48, and 49 are weighted to the original sound signal A, and the chorus effect is applied to the output of the coefficient multiplier 48 by the chorus circuit 50. The reverb circuit 51 gives a reverb effect to the output of the coefficient multiplier 49. Then, the adder 52 adds the output of the coefficient multiplier 47, the output of the chorus circuit 50, and the output of the reverb circuit 51 to generate and output a new sound signal A4.
상기한 이펙터(23)는 전용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범용 DSP로 구성된다. 또한, 이펙터(23)를 별도의 전용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무방하다.The effector 23 is composed of a dedicated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or a general purpose DSP. In addition, the effector 23 may be composed of separate dedicated hardware.
이 이펙터(23)에는 상기 CPU(1)(도 1 참조)로부터 버스 라인(7) 및 인터페이스(15)(도 2 참조)를 통해 제어 신호 C1이 공급되어, 그 효과 부여의 온/오프 및 효과의 종류가 지정된다. 또한, 시퀀서(2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 C2에 의해 음악적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The effector 23 is supplied with a control signal C1 from the CPU 1 (see FIG. 1) via the bus line 7 and the interface 15 (see FIG. 2), to turn on / off and effect the effect. The type of is specified. In addition, control for realizing a musical effect is performed by the control signal C2 supplied from the sequencer 20.
다음으로, 상기한 휴대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specific operation of the above portable terminal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도 4는 휴대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고, RAM(3)에 기억되는 어드레스 테이블을 나타낸다. 이 어드레스 테이블의 기억 영역은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그룹에 대하여 성명,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 및 이펙트의 ON/OFF나 종류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그룹 1은 가족이나 친척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그룹 2는 친구나 아는 사람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그룹 3은 회사나 그 밖의 사람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사용자는 조작 입력부(4)의 소정 키를 조작하여 이 어드레스 테이블을 판독하여, 각종 이펙트를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서 설정한다. 이 이펙트의 설정은 개별 또는 그룹별로 행할 수 있다.4 shows an address table set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stored in the RAM 3. The storage area of this address table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names, telephone numbers, mail addresses, and ON / OFF and types of effects are stored for each group. For example, group 1 stores information about family and relatives, group 2 stores information about friends and acquaintances, and group 3 stores information about companies and others. The user operates the predetermined key of the operation input unit 4 to read this address table, and sets various effects on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8. This effect can be set individually or in groups.
우선, 사용자는 소정 키를 조작함으로써 RAM(3)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 테이블으로부터 제1 그룹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사람의 성명,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를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개별 및 그룹별 이펙트 ON/OFF나 이펙트 종류를 입력하는 란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개인 또는 그룹별로 이펙트 ON/OFF나 이펙트 종류를 입력할 수 있다. 해당 이펙트 ON/OFF나 이펙트 종류에 관한 입력 데이터는 RAM(3)의 어드레스 테이블에 기억·설정된다. 제1 그룹에 이어, 제2 그룹이나 제3 그룹에 대해서도 이펙트 ON/OFF나 이펙트 종류를 설정한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그룹에 대해서는 개별 이펙트의 OFF 및 그룹 이펙트의 OFF(화면 상, 「×」 표시로 나타냄)로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그룹에 속하는 사람과의 전화에 대해서는 이펙트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제2 그룹에서는 그룹 이펙트가 ON(화면 상, 「○」 표시로 나타냄)으로 되고, 그 이펙트 종류로서 「리버브 1」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그룹에 속하는 사람과의 전화에 대해서는 리버브 1의 이펙트 처리가 행해진다. 제3 그룹에서는 그룹 이펙트는 OFF로 되어 있지만, 개별 이펙트는 ON으로 되어 있고, 각 개인마다 서로 다른 이펙트, 즉, 「디스토션」, 「코러스 1」 및 「리버브 3」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각 그룹 내에서 동일한 설정을 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user displays on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8 the name, telephone number, and mail address of the person set as the first group from the address table stored in the RAM 3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key. Subsequently, a field for inputting the effect ON / OFF or effect type for each and group will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input the effect ON / OFF or the effect type for each desired individual or group. The input data relating to the effect ON / OFF and the effect type are stored and set in the address table of the RAM 3. Following the first group, the effect ON / OFF and the effect type are also set for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first group is set to OFF of the individual effects and to OFF of the group effects (indicated by an “×” display on the screen). Accordingly, a call with a person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is set. No effect processing is done. In the second group, the group effect is turned ON (indicated by "○" display on the screen), and "reverb 1" is set as the effect type. For this reason, the reverb 1 effect process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telephone call with the person who belongs to the 2nd group. In the third group, the group effect is turned OFF, but the individual effects are turned ON, and different effects, that is, "distortion", "chorus 1" and "reverb 3" are set for each individual. Moreover, the same setting may be made in each group, and in that case,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the setting work by a user becomes easy.
도 5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의 대기 상태에서 착신이 있으면, 통신부(10)에 의해 검출되고, 프로세스는 단계 S1로부터 단계 S2로 이행한다. 즉, 통신부(10)는 발신원의 전화 번호를 CPU(1)로 통지하고, 이 CPU(1)에 의해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RAM(3)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단계 S3에서 CPU(1)는 RAM(3)의 어드레스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착신이 있었던 전화 번호와 조회하고, 해당 전화 번호에 대하여 이펙트 ON/OFF 설정 및 이펙트 종류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1 그룹에 속하는 사람으로부터의 착신인 경우, 이펙트 OFF가 검출된다. 제2 그룹에 속하는 사람으로부터의 착신인 경우, 그룹 이펙트의 종류로서 「리버브 1」이 검출된다. 제3 그룹에 속하는 사람으로부터의 착신인 경우, 각 개인마다 고유하게 설정된 이펙트 종류가 검출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단계 S3으로부터 단계 S4로 진행하고, 여기서 CPU(1)는 검출된 이펙트에 관한 데이터를 버스 라인(7)을 통해 악곡 재생부(12)로 출력한다. 이 데이터는 도 2에 도시한 인터페이스(15)를 통해 이펙터(23)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검출된 이펙트 종류 또는 이펙트 OFF가 이펙터(23)에 통지된다.In FIG. 5, if there is an incoming call in the standby state of the cellular phone, it is det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1 to step S2.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0 notifies the CPU 1 o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r,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r is stored in the RAM 3 by the CPU 1. Next, in step S3, the CPU 1 inquires about the telephone number set in the address table of the RAM 3 with the telephone number that has received the call, and detects the effect ON / OFF setting and the effect type for the telephone number.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coming call from a person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the effect OFF is detected. In the case of an incoming call from a person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reverb 1" is detected as a kind of group effect. In the case of an incoming call from a person belonging to the third group, an effect type uniquely set for each individual is detected. Next,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3 to step S4, where the CPU 1 outputs data relating to the detected effect to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12 via the bus line 7. This data is supplied to the effector 23 via the interface 15 shown in FIG. Thereby, the effector 23 is notified of the detected effect type or the effect OFF.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단계 S4로부터 단계 S5로 진행하고, 여기서 CPU(1)는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를 ROM(2) 또는 RAM(3)으로부터 판독하여 악곡 재생부(12) 내의 FIFO 메모리(19)로 전송함과 함께, 착신음 개시 지시를 악곡 재생부(12)로 출력한다. 악곡 재생부(12)는 인터페이스(15)를 통해 착신음 개시 지시를 받으면, 착신음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여 시퀀서(20)로 출력한다. 시퀀서(20)는 착신음 스타트 신호를 받으면, FIFO 메모리(19)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악음 데이터를 판독하여 음원 회로(21)를 구동한다. 즉, 음원 회로(21)는 시퀀서(20)로부터 공급되는 악음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내부 음원을 구동시킴으로써, 디지털 악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디지털 악음 신호는 혼합 회로(22)를 통해 이펙터(23)로 공급된다. 이펙터(23)에서는 디지털 악음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이펙트를 부여한다. 해당 이펙트가 부여된 디지털 악음 신호는 D/A 변환기(24)에 의해 아날로그 악음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이에 따라, 발신원의 전화 번호에 대응한 이펙트가 부여된 착신음(또는 착신 멜로디)이 휴대 전화기의 스피커로부터 발음된다.Next,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4 to step S5, where the CPU 1 reads the corresponding music data from the ROM 2 or the RAM 3 to the FIFO memory 19 in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12. FIG.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the ring tone start instruction is output to the music reproducing unit 12. When the music reproducing unit 12 receives the ring tone start instruction through the interface 15, the music reproducing unit 12 generates a ring tone start signal and outputs the ring tone start signal to the sequencer 20. When the sequencer 20 receives the ring tone start signal, the sequencer 20 reads the sound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FIFO memory 19 to drive the sound source circuit 21. In other words, the sound source circuit 21 drives the internal sound source based on the sound control data supplied from the sequencer 20, thereby generating and outputting a digital sound signal. This digital sound signal is supplied to the effector 23 through the mixing circuit 22. The effector 23 gives a predetermined effect to the digital sound signal. The digital sound signal to which the effect is applied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ound signal by the D / A converter 24, and sent to a speaker (not shown). As a result, the ringing tone (or ringing melody) given th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r is pronounced from the speaker of the cellular phone.
단계 S5에 후속하여, CPU(1)는 단계 S6에서 회선 절단(line disconnection)이 이루어졌지를 판정한다. 단계 S6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단계 S7로 진행하고,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오프후크 버튼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7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8로 진행하고,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숫자 키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단계 S8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플로우는 단계 S6으로 복귀하여 상기한 판정을 재차 행한다. 즉, CPU(1)는 단계 S6 내지 단계 S8의 판정 결과가 모두 「YES」로 될 때까지, 상기한 판정 처리를 반복한다.Subsequent to step S5, the CPU 1 determines whether line disconnection has been made in step S6.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6 is "NO", the process goes to step S7, w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off hook button has been performed by the user.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7 is "NO", the process goes to step S8, w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has been performed by the user.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8 is "NO", the flow returns to step S6 to perform the above determination again. In other words, the CPU 1 repeats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processing until all of the determination results of steps S6 to S8 become "YES".
사용자가 착신 멜로디를 듣고, 그 이펙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정해진 숫자 키를 누름으로써 신속하게 이펙트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숫자 키가 눌러지면, 단계 S8의 판정 결과가 「YES」로 되고, 플로우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여기서, 숫자 키에는 사전에 소정의 이펙트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숫자 키에 대응한 이펙트가 현재 착신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펙트 대신에 이펙터(23)에 설정됨과 함께, RAM(3)의 어드레스 테이블에 기억된 이펙트에 대해서도 자동적으로 설정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단지 원하는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히 착신 멜로디에 부여되는 이펙트를 변경할 수 있다.If you hear the incoming melody and want to change its effect, you can quickly change the effect by pressing a predetermined number key. When the numeric key is pressed by the user,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8 becomes "YES", and the flow advances to step S9. Here, since a predetermined effect is set in advance in the numeric keys, th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s pressed by the user is set in the effector 23 instead of the effects currently set for incoming calls, and the RAM 3 The effect is also changed automatically for the effect stored in the address table. In this way, the user can simply change the effect given to the incoming melody by simply operating the desired number key.
휴대 전화기에 의한 착신 멜로디 재생 시,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펙트 변경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이 화면에는 「착신!」을 알림과 함께, 재생되는 악곡의 타이틀 및 그 이펙트 종류가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숫자 키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해서, 각 수치기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이펙트 종류가 열거되어 있다. 도 6의 경우, 「리버브 1」에 의해 착신 멜로디가 재생되고 있으며, 그 이펙트는 숫자 키 「1」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펙트 종류를 바꾸고자 한다면, 원하는 숫자 키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또한, 숫자 키 「0」을 누름으로써 이펙트를 OFF로 할 수도 있다.When the incoming melody is reproduced by the cellular phone, the effect change screen as shown in FIG. 6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8, for example. This screen notifies "receive!" And displays the title of the music being played and its effect type.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numeric key operation by the user, effect types set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numerical apparatuses are listed. In the case of Fig. 6, the incoming melody is reproduced by "Reverb 1", and the effect is informed to the user that the effect is indicated by the numeric key "1". So if you want to change the effect type, just press the number key you want. The effect can also be turned OFF by pressing the numeric key "0".
한편, 도 5에서, 사용자가 오프후크 버튼을 누르면, 단계 S7의 판정 결과가 「YES」로 되어, 프로세스는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즉, CPU(1)는 오프후크 버튼 조작을 검출하여 악곡 재생부(12)로 착신 멜로디 정지 명령을 발생한다. 이 착신 멜로디 정지 명령을 받으면, 악곡 재생부(12)의 인터페이스(15)는 시퀀서(20)로 악음 발생 정지를 지시한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기의 스피커에 의한 착신 멜로디의 발음이 정지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 S11로 진행하고, CPU(11)는 전화 상대와의 통화에 관련된 여러가지 처리를 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오프후크 버튼을 누르기 전에 발신자측이 온후크 버튼을 조작하여 회선 절단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 단계 S6의 판정 결과가 「YES」로 되어, 프로세스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는 CPU(1)가 상술한 착신 멜로디 정지 명령을 악곡 재생부(12)로 발생하여, 휴대 전화기의 스피커에 의한 착신 멜로디의 발음이 정지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 5, when the user presses the off-hook butt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7 becomes "YES", and the process advances to step S10. That is, the CPU 1 detects off-hook button operation and issues an incoming melody stop command to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12. Upon receiving the incoming melody stop command, the interface 15 of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12 instructs the sequencer 20 to stop the sound generation. As a result, the pronunciation of the incoming melody by the speaker of the cellular phone is stopped.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 where the CPU 11 performs various processes related to the call with the telephone partner. If the caller side operates the on-hook button before the user presses the off-hook button, and the line disconn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6 becomes "YES",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 In step S12, the CPU 1 issues the above-mentioned incoming melody stop command to the music reproducing unit 12 so that the pronunciation of the incoming melody by the speaker of the cellular phone is stopped.
다음으로,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에 의한 가라오케 등의 악음 재생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7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user performs music reproduction processing such as karaoke by the cellular pho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상기한 악음 재생 처리에 앞서, 원하는 악음 데이터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휴대 전화기에 송신되고, 통신부(10)에 의해 수신된 후, RAM(3)에 다운로드된다. 또는 휴대 전화기를 인터페이스(5)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 등과 접속하고, 원하는 악음 데이터를 입력하여 RAM(3)에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원하는 악음 데이터를 ROM(2)에 사전에 기억해 둘 수도 있다.Prior to the above-described sound reproducing process, desired sou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via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then downloaded to the RAM 3. Alternatively, the cellular phone can be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or the like via the interface 5, input desired sound data, and can be downloaded to the RAM 3. In addition, desired sound data can also be stored in advance in the ROM 2.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로 가라오케 연주를 행하는 경우, 조작 입력부(4)에서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 도 7에 도시한 악음 재생 처리를 개시시킨다. 즉,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 악곡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한 선곡이 가능하게 된다. 단계 Sa1에서, 사용자가 악곡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악곡을 선택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a2로 진행한다. 즉, CPU(1)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악음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이 RAM(3)으로부터 판독되어, 악곡 재생부(12)로 보내진다. 악곡 재생부(12)의 인터페이스(15)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면 FIFO 메모리(16)로 전송하고, 악음 데이터를 수신하면 FIFO 메모리(19)로 전송한다. FIFO 메모리(16)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은 스트림 디코더(17)에 의해 순차적으로 판독되어 디코드된 후, 혼합 회로(22)로 보내진다. 한편, FIFO 메모리(19)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악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퀀서(20)가 음원 회로(21)를 구동시켜 디지털 악음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혼합 회로(22)로 보낸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악곡의 악음이 스피커에 의해 발음된다.When the user performs karaoke playing on the cellular phone, the operation input unit 4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start the sound reproduction processing shown in FIG. That is, a list of music piece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8, and selection of music by the user is possible. In step Sa1,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piece of music from the list of pieces of music,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a2. That is, the music data or audio data stream of the music selected by the CPU 1 is read from the RAM 3 and sent to the music reproducing unit 12. The interface 15 of the music reproducing unit 12 transmits the audio data stream to the FIFO memory 16 when receiving the audio data stream, and transmits the music data to the FIFO memory 19. The audio data stream temporarily stored in the FIFO memory 16 is sequentially read and decoded by the stream decoder 17 and then sent to the mixing circuit 22.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sound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FIFO memory 19, the sequencer 20 drives the sound source circuit 21 to generate a digital sound signal, and sends it to the mixing circuit 22. FIG. In this manner, the sound of the music selected by the user is pronounced by the speaker.
사용자가 스피커로 발음된 악음을 듣고, 그 이펙트를 변경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숫자 키를 누른다. 숫자 키가 눌러지면, 프로세스는 단계 Sa3으로부터 단계 Sa4로 진행하고, 여기서 눌러진 숫자 키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이펙트가 현재 발음되고 있는 악음에 부여된 이펙트를 대신하여 이펙터(23)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악곡의 악음에 부여되는 이펙트를 변경할 수 있다. 가라오케 악곡의 재생 시,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펙트 변경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가라오케 모드!」의 문자나, 재생 악곡의 타이틀 및 그 이펙트 종류가 표시된다. 또한, 각각의 숫자 키에 설정되어 있는 이펙트도 일람으로 표시된다. 또, 사용자가 숫자 키를 누르지 않는 경우, 재생 종료까지 단계 Sa3 및 단계 Sa5의 판정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진다.When the user hears the sound pronounced by the speaker and wants to change the effect, he presses a predetermined numeric key. When the numeric key is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a3 to step Sa4, in which the effect set in advance for the pressed numeric key is set in the effector 23 in place of the effect given to the currently sounding tone. In this way, the user can change the effect applied to the musical notes of the musical tune. When the karaoke music is reproduced, the effect change screen as shown in Fig. 8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8. Here, the words "Karaoke Mode!", The title of the music being played, and the type of effect thereof are displayed. In addition, the effects set on the respective numeric keys are also displayed in a list.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numeric key,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a3 and step Sa5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end of reproduc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이펙트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는 동일한 착신 멜로디라도 부여된 이펙트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용이하게 발신자를 식별하거나, 발신자가 속하는 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착신음의 발생 중에 적절하게 이펙트를 변경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different effects can be set to correspond to the telephone numbers of a plurality of callers, the user of the cellular phone can easily identify the caller by detecting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given even with the same incoming melody, You can determine which group you belong to. Also, the effect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during the generation of the ringing tone.
또한, 가라오케 모드 시에 있어서 적절하게 이펙트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는 다양한 음감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라오케 모드 시에 에코를 넣음으로써 사용자의 노래에 특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어, 가수로서의 기분을 고양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can be set or changed appropriately in the karaoke mod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can enjoy music with various sounds, for example, by adding an echo in the karaoke mode, it is possible to give a special effect to the user's song, and to enhance the mood as a singer.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이나 동작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악곡 재생은 가라오케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통상의 음악 감상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실현되는 휴대 전화기의 각종 처리에 대한 프로그램이나데이터 등을 다양한 기억 매체,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등의, 소위 디지털 기억 매체에 기억시켜, 통상의 휴대 전화기에 장착하여 본 실시예의 기능을 달성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music reproduction need not be limited to karaoke and can be applied to ordinary music listening. In addition, programs and data for various processes of the mobile phone realiz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in various storage media, for example, so-called digital storage media such as memory cards, and mounted on ordinary mobile phones. The function of this embodiment can also be achieved.
Claims (1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059001 | 2001-03-02 | ||
JP2001059001A JP3937734B2 (en) | 2001-03-02 | 2001-03-02 | Mobile terminal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0814A true KR20020070814A (en) | 2002-09-11 |
KR100468987B1 KR100468987B1 (en) | 2005-02-02 |
Family
ID=1891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9869A KR100468987B1 (en) | 2001-03-02 | 2002-02-25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effect apply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3937734B2 (en) |
KR (1) | KR100468987B1 (en) |
CN (1) | CN100508661C (en) |
HK (1) | HK1048719A1 (en) |
TW (1) | TWI246343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2064B1 (en) * | 2006-04-17 | 2009-02-10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Musical tone signal generationg apparatus |
KR100953631B1 (en) * | 2002-12-28 | 2010-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receiving sound therei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382619C (en) * | 2004-02-02 | 2008-04-16 | 英华达股份有限公司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changing telephone telesound function and related method |
JP3988741B2 (en) * | 2004-04-01 | 2007-10-10 | ヤマハ株式会社 | IP phone initial setting device, IP phone router, IP phone and IP phone modem |
JP2007033506A (en) * | 2005-07-22 | 2007-02-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Content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
JP4115483B2 (en) | 2005-12-20 | 2008-07-09 | シャープ株式会社 |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distribution apparatus,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46956A (en) * | 1999-11-16 | 2001-06-15 | 윤종용 | Method for informing caller id of mobile wireless phone |
KR20010057247A (en) * | 1999-12-20 | 2001-07-04 | 윤종용 | Method for classification alert melody that sender of a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phone |
KR20020037791A (en) * | 2000-11-15 | 2002-05-23 | 구자홍 | Method to discriminate the sender by a short message use of the mobile station of receive bell |
JP2002176679A (en) * | 2000-12-07 | 2002-06-21 | Toshiba Corp | Mobile wireless terminal |
-
2001
- 2001-03-02 JP JP2001059001A patent/JP393773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02-25 KR KR10-2002-0009869A patent/KR10046898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2-27 TW TW091103624A patent/TWI246343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2-28 CN CNB021067074A patent/CN10050866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1-28 HK HK03100698.2A patent/HK1048719A1/en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3631B1 (en) * | 2002-12-28 | 2010-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receiving sound therein |
KR100882064B1 (en) * | 2006-04-17 | 2009-02-10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Musical tone signal generatio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937734B2 (en) | 2007-06-27 |
CN100508661C (en) | 2009-07-01 |
JP2002261875A (en) | 2002-09-13 |
TWI246343B (en) | 2005-12-21 |
CN1374815A (en) | 2002-10-16 |
HK1048719A1 (en) | 2003-04-11 |
KR100468987B1 (en) | 2005-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719057B2 (en) | Telephon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
JP3975639B2 (en) | Telephone terminal device | |
JP3879323B2 (en) | Telephone terminal device | |
KR100555094B1 (en) | Portable telephone | |
JP2000224269A (en) | Telephone set and telephone system | |
KR100468987B1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effect apply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
WO2001056014A1 (en) | Portable telephone | |
JP3319976B2 (en) | Phone | |
JP2002156982A (en) |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lephone terminal, portable terminal system, and system and method for music information distribution | |
KR100328858B1 (en) | Method for performing MIDI music in mobile phone | |
JP2001339487A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
JP2002111804A (en) | Mobile telephone equipped with musical sound inputting keyboard and mobile telephone system | |
JP2000316038A (en) | Ring tone generator | |
JP4269475B2 (en) | Mobile phone and musical sound generation control method | |
JP3240000B1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ing tone play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 |
JP3893894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JP2001175300A (en) | Speech synthesizer for telephone terminal device | |
JPH1188211A (en) | Portable radio equipment and its incoming call tone generating method | |
JP3743357B2 (en) | Mobile phone | |
JP4345603B2 (en) | Telephone terminal device | |
JP3661627B2 (en) | Effector-equipped terminal device | |
JP3861716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JP3578132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KR200347084Y1 (en) | Apparatus for reproducing 1 poly bell sound using MIDI audio source | |
JP2001100747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