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5785B1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5785B1 KR102695785B1 KR1020210183494A KR20210183494A KR102695785B1 KR 102695785 B1 KR102695785 B1 KR 102695785B1 KR 1020210183494 A KR1020210183494 A KR 1020210183494A KR 20210183494 A KR20210183494 A KR 20210183494A KR 102695785 B1 KR102695785 B1 KR 1026957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composition
- melt adhesive
- hot melt
- substrate
- wax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1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4629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QZCLKYGREBVARF-UHFFFAOYSA-N Acetyl tributyl citr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C(=O)OCCCC)(OC(C)=O)CC(=O)OCCCC QZCLKYGREBVARF-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RSWGJHLUYNHPMX-UHFFFAOYSA-N Abietic-Saeure Natural products C12CCC(C(C)C)=CC2=CCC2C1(C)CCCC2(C)C(O)=O RSWGJHLUYNHPM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7
- KHPCPRHQVVSZAH-HUOMCSJISA-N Rosin Natural products O(C/C=C/c1ccccc1)[C@H]1[C@H](O)[C@@H](O)[C@@H](O)[C@@H](CO)O1 KHPCPRHQVVSZAH-HUOMCSJI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KHPCPRHQVVSZAH-UHFFFAOYSA-N trans-cinnamyl beta-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CC1=CC=CC=C1 KHPCPRHQVVSZA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150000003505 terpe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07586 terpen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655 kraft pa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690 paraffinic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200 microcrystalline wa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808 microcrystalline w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compound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988 biodegrada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21 biodegradable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DQXBYHZEEUGOBF-UHFFFAOYSA-N but-3-enoic acid;ethene Chemical compound C=C.OC(=O)CC=C DQXBYHZEEUGO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WOZVHXUHUFLZGK-UHFFFAOYSA-N dimethyl terephtha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O)OC)C=C1 WOZVHXUHUFL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WERYXYBDKMZEQL-UHFFFAOYSA-N butane-1,4-diol Chemical compound OCCCCO WERYXYBDKMZE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84 tal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EKYPYSUBKSCAT-UHFFFAOYSA-N 3-hydroxy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O)CC(O)=O REKYPYSUBKSC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EMRFAOFKBGASW-UHFFFAOYSA-N Glyco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O)=O AEMRFAOFKBGA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KKEYFWRCBNTPAC-UHFFFAOYSA-N Tere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WNLRTRBMVRJNCN-UHFFFAOYSA-N adip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O)=O WNLRTRBMVRJN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32 aliphatic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01 bas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08 fractional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70 poly-3-hydroxybutyr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61 polybutylene succi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31 polybutylene succi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10 polycaprolac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32 polycaprolac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MHVJRKBZMUDEEV-APQLOABGSA-N (+)-Pimaric acid Chemical compound [C@H]1([C@](CCC2)(C)C(O)=O)[C@@]2(C)[C@H]2CC[C@](C=C)(C)C=C2CC1 MHVJRKBZMUDEEV-APQLOABGSA-N 0.000 description 1
- MHVJRKBZMUDEEV-UHFFFAOYSA-N (-)-ent-pimara-8(14),15-dien-19-oic acid Natural products C1CCC(C(O)=O)(C)C2C1(C)C1CCC(C=C)(C)C=C1CC2 MHVJRKBZMUDE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RWYFWZENXDZMU-UHFFFAOYSA-N 2-iodoquinoline Chemical compound C1=CC=CC2=NC(I)=CC=C21 FRWYFWZENXDZ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TXXTMOWISPQSJ-UHFFFAOYSA-N 4,4,4-trifluorobutan-2-one Chemical compound CC(=O)CC(F)(F)F BTXXTMOWISPQS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ACOLQNOUYJCE-FYZZASKESA-N Abietic acid Natural products CC(C)C1=CC2=CC[C@]3(C)[C@](C)(CCC[C@@]3(C)C(=O)O)[C@H]2CC1 BQACOLQNOUYJCE-FYZZASKE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GMSWPSAVZAMKR-UHFFFAOYSA-N Me ester-3, 22-Dihydroxy-29-hopanoic acid Natural products C1CCC(C(O)=O)(C)C2C1(C)C1CCC(=C(C)C)C=C1CC2 KGMSWPSAVZAM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41 Myl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GMSWPSAVZAMKR-ONCXSQPRSA-N Neoabietic acid Chemical compound [C@H]1([C@](CCC2)(C)C(O)=O)[C@@]2(C)[C@H]2CCC(=C(C)C)C=C2CC1 KGMSWPSAVZAMKR-ONCXSQPR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41 Pi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8 Pullu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3 Pullul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JWGYAHXMCUOOM-QHOUIDNNSA-N [(2s,3r,4s,5r,6r)-2-[(2r,3r,4s,5r,6s)-4,5-dinitrooxy-2-(nitrooxymethyl)-6-[(2r,3r,4s,5r,6s)-4,5,6-trinitrooxy-2-(nitrooxymethyl)oxan-3-yl]oxyoxan-3-yl]oxy-3,5-dinitrooxy-6-(nitrooxymethyl)oxan-4-yl] nitr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N+]([O-])=O)[C@H]1O[N+]([O-])=O)O[C@H]1[C@@H]([C@@H](O[N+]([O-])=O)[C@H](O[N+]([O-])=O)[C@@H](CO[N+]([O-])=O)O1)O[N+]([O-])=O)CO[N+](=O)[O-])[C@@H]1[C@@H](CO[N+]([O-])=O)O[C@@H](O[N+]([O-])=O)[C@H](O[N+]([O-])=O)[C@H]1O[N+]([O-])=O FJWGYAHXMCUOOM-QHOUIDNN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00 acrylic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61 adip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37 adip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82 aromatic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45 arom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92 aromat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LTPBRCUWZOMYOC-UHFFFAOYSA-N beryll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Be] LTPBRCUWZOMY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HQLHXKTPYFDCS-UHFFFAOYSA-N butane-1,4-diol;dimethyl benzene-1,4-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OCCCCO.COC(=O)C1=CC=C(C(=O)OC)C=C1 DHQLHXKTPYFDC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668 chain sci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93 chip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26 co-polymer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82 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24 cycloalk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4069 diterp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141 diterpe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050 ester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86 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49 fatt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0 fused silica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57 hot melt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1 hypa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33 l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6 microbi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658 monoterp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3 monoterpe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77 monoterp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601 oleo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6 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7 pap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31 pharmaceutical excipi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NGIFLGASWRNHJ-UHFFFAOYSA-L 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XNGIFLGASWRNH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3 pullul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4725 sesquiterp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354 sesquiterpe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1 silicon carb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35 tetraterp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657 tetraterp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35 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48 triterp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5 unsaturated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4 viscosity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분해도는 높으나, 강한 고분자 사슬간의 얽힘에 의한 높은 강성과 타 성분과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해 핫멜트 접착 조성물로 활용이 어려운,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를 공중합한 공중합체에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점착부여수지, 왁스 및 가소성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특정 중량부 비로 조합함으로써, 생분해도, 접착력, 접착 택타임 및 탄성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는 물체와 물체를 접합하는 특수한 성질을 가진 고분자 물질이다. 이 중 핫멜트 접착제는 일회용 부직포 제품,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 성인 요실금 제품 및 여성용 위생 제품뿐만 아니라, 감압 점착제, 목재의 접착, 식품용 필름 접착, 종이 제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150 내지 250℃의 고온에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기재에 적용한 후 냉각시킴에 따라 접착 성능을 나타내고, 간단한 공정으로 대량 생산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기존의 핫멜트 접착제는 기재에 대해 우수한 접착성, 도포성 및 용융 특성을 가지기는 하나, 생분해성이 없는 에티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오늘날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일회용품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구성하는 기재는 물론, 이들 기재를 접착하는 접착 조성물 역시 생분해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한편, 생분해성 고분자는 크게 천연물 합성계, 화학 합성계, 미생물 합성계의 3종류로 나뉘며, 식물체 등 천연물을 가소화, 단량체 및 축중합시키는 천연물 합성계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PLA(Poly lactic acid), TPS(Thermo plastics starch), AP(Aliphatic polyester), CA(Cellulose acetate), CDA(Cellulose di acetate) 등이 있으며, 화학 합성계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PBS(Poly butylene succinate), PCL(Poly capro lactone), PEU(Poly ester urethane), PGA(Ploy glycolic acid), PBAT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등이 있고, 미생물 합성계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PHA(Poly hydroxy alkanoic acid), PHB(Poly 3-hydroxybutyrate), PHV(Poly 3-hydroxy valerate), Pullulan(풀루란) 등이 있다.
이 중 석유 기반의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는 지방족 글리콜로서의 1,4-BD(1,4-Butanediol dimethyl terephthalate)와 방향족 성분인 DMT(Dimethyl terephthalate)을 원료로 하여 에스테르반응과 축중합반응을 거쳐 얻어진 중합물로, 생분해성이 우수하다.
이에,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를 생분해성 접착제의 주요 성분으로 포함시켜 생분해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어져 왔으나, PBAT의 강한 고분자 사슬간의 얽힘(entanglement)에 의한 높은 강성(stiffness)과 타 성분과의 상용성 등 문제로 인하여, 핫멜트 접착제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강한 고분자 사슬간의 얽힘에 의한 높은 강성과 타 성분과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해 핫멜트 접착 조성물로 활용이 어려운,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를 공중합한 공중합체에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점착부여수지, 왁스 및 가소성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특정 중량부 비로 조합함으로써, KS M ISO 14855-1에 따른 생분해도가 80% 이상이면서 우수한 접착력과 접착 택타임 및 탄성을 나타내는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Rubber)의 공중합체;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송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 왁스(wax) 및 가소성 오일(oil)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접착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고무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8 내지 24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80 내지 240 중량부, 왁스 및 가소성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8 내지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왁스는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microcrystalline wax),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마이드 왁스 및 피셔-트롭쉬 왁스(Fischer-Tropsch wax)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소성 오일은 파라핀계 오일(Paraffinic oil), 수소 처리(hydrotreated) 또는 탈왁스 처리(Dewaxed)된 화이트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석유계 광물유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촉 조성물의 접착 택타임(Tact Time)은 1초 내지 180초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 조성물의 박리 강도는 350 내지 4,000 g/25㎜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 조성물의 점도는 500 내지 30,000 cps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기재, 제2 기재 및 상기 제1 기재와 제2 기재의 계면에 형성되는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일회용 제품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일회용 제품은 펄프 박스, 페트(PET)병용 라벨지, 접착 테이프, 기저귀, 여성용 위생 제품 및 의료용 밴드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Rubber)의 공중합체;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송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 및 왁스(wax) 및 가소성 오일(oil)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1 기재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이 도포된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회용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1 기재 상에 도포하는 상기 b 단계는 80 내지 160℃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분해도는 높으나, 강한 고분자 사슬간의 얽힘에 의한 높은 강성과 타 성분과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해 핫멜트 접착 조성물로 활용이 어려운,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를 공중합한 공중합체에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점착부여수지, 왁스 및 가소성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특정 중량부 비로 조합함으로써, 생분해도, 접착력, 접착 택타임 및 탄성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은, KS M ISO 14855-1에 따른 생분해도가 80% 이상이면서 우수한 접착력과 접착 택타임 및 탄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하면서도 펄프 박스, 페트(PET)병용 라벨지, 접착 테이프, 기저귀, 여성용 위생 제품 및 의료용 밴드 등 다양한 1회용 제품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일회용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실제 제조된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실제 제조된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용,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내용,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생분해성이 없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여 제조됨으로써, 환경오염 문제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분해도가 낮은 EVA를 대체하기 위하여, 생분해도가 높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를 핫멜트 접착 조성물에 포함시키되, 강한 고분자 사슬간의 얽힘에 의한 높은 강성과 타 성분과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를 고무와 공중합하여 공중합체로 제조한 다음,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점착부여수지, 왁스 및 가소성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특정 중량부 비로 조합하는 경우, 생분해도가 높고, 피착체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과 빠른 접착 택타임 및 탄성도를 가지는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Rubber)의 공중합체;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송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 및 왁스(wax) 및 가소성 오일(oil)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는 화석연료 기반의 생분해성 폴리머 수지로서, 1,4-부탄디올(1,4-Butanediol), 아디프산(Adipic acid), 테레프탈산(Terephalic acid)의 공중합체이며, 생분해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는 우수한 인장 및 인열 강도, 일정기간 동안 내구성을 유지하는 특성 및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며, 현재 폴리유산(PLA) 개질제, 쇼핑백, 쓰레기 종량제 봉투, 롤백, 종이컵 코팅, 명함, 멀칭 필름, 일회용 제품(위생장갑, 식탁보)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는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 조성물의 일 구성으로 포함되어, 종래 EVA를 대체하여 접착 조성물의 물성을 개선하는 한편, 생분해도를 향상시킨다.
한편, 고무(rubber)는 상온에서 고무상(狀) 탄성을 나타내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물질이나 그 원료가 되는 고분자 물질을 가리키는 것으로, 크게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고무는 천연고무, 부타디엔고무 또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등의 일반 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접착성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니트릴부타디엔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등의 극성고무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무는 생분해도 향상을 위한 천연고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고무는 점착성을 개선하는 한편, 탄성도를 향상시켜 종이, 부직 웹, 직물 웹, 필름 및 탄성 스트랜드를 비롯한 각종 기재에 도포하여 접착 필름 또는 접착 테이프로 가공하기 용이하도록 물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와 고무(Rubber)의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고무를 1 : 0.3 ~ 0.5 중량부 비로 혼합/공중합 반응시켜 제조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는 무색 무향의 액체로, 물과 유기용매에 녹으며, 비닐 수지용 가소제, 유지 식품에 닿는 수지성 고분자 코팅, 종이/판지로 된 식품 접착 표면의 제조, 프탈레이트 대체 가소제, 식품 랩, 비닐 장난감, 의약품 부형제, 질산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가소제,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된다. 한편,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는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가 가진 강한 고분자 사슬간의 얽힘을 완화시키는 일종의 가소제로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가 상기 핫멜트 접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고분자 사슬 간 거리를 넓혀 마이크로브라운(microbrownian motion) 운동을 일으키기 쉽게 하는 한편, 유리전이 온도를 낮추어 고분자에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접착 조성물의 초기 도포 시 기재에 대한 초기 접착성을 증가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고무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 내지 24 중량부, 상세하게는 12 내지 20 중량부, 더욱 상세하게는 16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가 상기 중량부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고분자 사슬 간 거리를 효과적으로 넓혀 강한 고분자 사슬간의 얽힘을 완화시켜줌으로써, 핫멜트 접착 조성물로 사용하기 적합한 수준의 강성(stiffness)을 갖도록 하는 한편, 초기 접착 강도 확보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는 접착 조성물의 접착 특성 발현 및 물성 조절을 위해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로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수지 중 선택되는 1종 이상 일 수 있다.
로진(Rosin)은 소나무과의 나무가 손상을 입었을 때 분비되는 끈적끈적한 액체인 송진을 정제한 것으로서, 천연 로진은 통상적으로 7 또는 8 로진산 및 다른 부수적인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로진은 아비에트산를 주성분으로 하며, 네오아비에트산·레포피마르산·히드로아비에트산·피마르산·덱스톤산 등 수지산(樹脂酸)을 함유할 수 있다. 로진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올레오 수지의 분별 증류에 의해(검 로진), 소나무 그루터기의 추출에 의해(우드 로진) 또는 톨유의 분별 증류에 의해(톨유 로진) 얻을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의한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로진은 상술한 검 로진, 우드 로진 및 톨유 로진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로진계 수지는 젖음성(wettability)을 향상시켜, 부착도 및 흡착도를 증가시키므로, 접착 조성물의 접착력 및 접착 택타임을 보다 향상시킨다.
테르펜(Terpene)은 동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가연성의 불포화 탄화수소로서, 일반식 (C5H8)n (n≥2)을 갖는 탄수화물 및 이들 유도체를 총칭한다. 한편, 구조 상으로는 이소프렌 분자가 기본 단위인 이소프렌 법칙을 따르고, 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테르펜은 분자 내 이소프렌(C5H8) 단위체 수에 따라 분류하며, 모노테르펜(C10H16)은 2개, 세스퀴테르펜(C15H24)은 3개, 디테르펜(C20H32)은 4개, 트리테르펜(C30H48)은 6개, 테트라테르펜(C40H64)은 8개의 이소프렌 단위체를 각각 가진다. 테르펜은 향료의 원료나 의약품, 화학공업의 원료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테르펜계 수지는 접착 조성물의 용융 온도와 용융 점도를 감소시키는 한편, 접착 조성물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에, 로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수지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를 포함함으로써, 젖음성 및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진계 수지 또는 테르펜계 수지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뛰어나 균일 혼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이 기재에 도포될 때, 기재에 대한 밀착성 및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수지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고무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내지 240 중량부, 상세하게는 120 내지 200 중량부, 더욱 상세하게는 16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점착부여수지가 상기 중량부 비로 포함되는 경우, 접착 조성물을 기재와의 접촉시켰을 때, 충분한 밀착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우수한 접착력 및 접착 택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첨가제로서 왁스 및 가소성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왁스는 일종의 점도 조절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왁스는,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microcrystalline wax),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마이드 왁스 및 피셔-트롭쉬 왁스(Fischer-Tropsch wax)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왁스는 접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기타 고분자 수지들의 용융 온도를 낮추는 동시에, 유동성과 습윤성을 향상시키고, 접착 조성물의 응고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소성 오일(oil)은 석유계 광물유(mineral oil)일 수 있으며, 석유계 광물유는 원유를 석유로 정제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액체 부산물로서 액체 파라핀이라고도 불리며, 대표적으로 n-알칸을 기반으로 한 파라핀계 오일(paraffinic oil), 시클로알칸을 기반으로 한 나프텐계 오일(Naphthenic oil), 방향족 탄화수소를 기반으로 한 아로마틱계 오일(Aromatic oil)일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석유계 광물유는 상술한 오일 및 이를 개질한 오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유계 광물유는 촉매 존재 하에서 수소 처리(Hydrotreated) 및/또는 탈왁스 처리(Dewaxed)에 의해 개질된 화이트 오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소 처리 및/또는 탈왁스 처리에 의해 개질된 파라핀계 오일(Paraffinic oil)은 수소 처리된 중 파라핀 증류액(Hydrotreated heavy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64742-54-7) 또는 수소 처리된 경 파라핀 증류액(Hydrotreated light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64742-55-8), 용제-탈왁스화 된 중 파라핀 증류액(Solvent-dewaxed heavy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64742-65-0), 용제-탈왁스화 된 경 파라핀 증류액(Solvent-dewaxed light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64742-56-9), 수소 처리 및 탈왁스화 된 중 파라핀 증류액(Hydrotreated and dewaxed heavy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91995-39-0), 및 수소 처리 및 탈왁스화 된 경 파라핀 증류액(Hydrotreated and dewaxed light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91995-40-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왁스 및 가소성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고무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 내지 24 중량부, 상세하게는 12 내지 20 중량부, 더욱 상세하게는 16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왁스 또는 가소성 오일과 같은 첨가제가 상기 중량부 비로 포함되는 경우 접착 조성물을 기재와의 접촉시켰을 때, 유동성과 습윤성을 조절하여, 응고 속도를 기재 내지 접착 목적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충전재(filler) 등 기타 물성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접착 조성물이 페놀계 산화방지제, 방향족 아민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고온 내지 빛에 의한 고분자 사슬 절단 또는 가교 반응을 방지하여, 접착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접착 조성물이 무기 충전재 내지 유기 충전재를 더 포함하는 경우, 일례로 실리카, 용융 실리카, 클레이, 석고,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나, 산화베릴륨, 탄화규소, 질화규소 등 세라믹류, 알루미늄, 구리, 은, 금, 니켈, 크로뮴, 납, 주석, 아연, 팔라듐, 땜납 등 금속 내지 합금류, 카본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분말을 1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 접착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초기 점착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은, KS M ISO 14855-1에 따른 생분해도가 80%, 상세하게는 90% 이상일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높은 생분해 특성으로 인해 접착 조성물이 일정 기간 이후 미생물 등에 의해 자연 분해되므로, 매립, 소각 등 별도의 처리가 요구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한편, 상기 접착 조성물은 접착 택타임(Tact Time)이 1초 내지 180초, 상세하게는 1초 내지 60초일 수 있고, 인장강도 시험기를 이용한 박리 실험 시 박리 강도가 350 내지 4,000 g/25㎜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의 점도는 500 내지 30,000 cps 범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접착 조성물이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경우 핫멜트 접착 조성물로 활용하기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은 위생재, 부직포, 포장재, 소비재, 섬유, 가죽, 신발, 가구, 목공재, 운송 제품, 전자 제품, 인쇄/제본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조성물은 뛰어난 탄성도를 가지고 있어, 접착 필름 또는 접착 테이프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의 하나의 사용예로서,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일회용 제품에 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더 설명한다.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이용한 일회용 제품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제품은 제1 기재, 제2 기재 및 상기 제1 기재와 제2 기재의 계면에 형성되는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1 기재 및 제2 기재는 일회용 제품에서 사용되는 기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상기 기재는 일례로 신품 및 재생 크라프트(craft), 고밀도 및 저밀도 크라프트, 칩보드(chipoard), 폴리에틸렌, 마일러(mylar),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재질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내의 용어 "제1" 및 "제2" 등은 상호 구분을 위해 임의로 순번을 지정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일회용 제품은 산업용 작업복, 의료용 가운, 마스크, 배변 훈련용 팬츠, 수영복, 기저귀, 성인 요실금 제품, 여성용 위생 제품 및 의료용 밴드는 물론, 펄프 박스, 페트(PET)병용 라벨지, 접착 테이프 등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펄프 박스, 페트(PET)병용 라벨지, 접착 테이프, 기저귀, 여성용 위생 제품 및 의료용 밴드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품일 수 있다.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이용한 일회용 제품 제조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제품의 제조방법은 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Rubber)의 공중합체;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송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 왁스(wax) 및 가소성 오일(oil)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1 기재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이 도포된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Rubber)의 공중합체;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송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 왁스(wax) 및 가소성 오일(oil)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고, 니더 루더, 압출기, 믹싱 롤, 밴버리 믹서 등 공지의 혼합 장치를 이용하여 80 내지 160 ℃ 온도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b 단계는 상기 제조된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제1 기재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80 내지 160 ℃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포는 용융 상태로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분사하는 장치 내지 코팅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일례로, 글루건 등 분사하는 형태의 비접촉 방식으로 또는 슬롯 코터 등을 이용하여 기재 상에 직접 도포하는 접촉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c 단계는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이 도포된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접착시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b 단계의 도포 이후, 제2 기재를 도포된 접착 조성물 상에 적층하고 압착 롤러 등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거나, 냉각시킴으로써 접착 조성물을 경화시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핫멜트 접착 조성물은 일례로 핫멜트 도공법, T 다이법, 인플레이션법, 캘린더 성형법, 및 라미네이션법 등을 이용하여 시트상이나, 필름상으로 제조한 후, 가열 용융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내용, 작용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아래 표 1과 같은 조성(중량부 비)로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와 고무(Rubber)를 1 : 0.4 중량부 비로 공중합하여 얻은 공중합 수지,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TBC) 수지, 점착부여수지로서 로진 수지 또는 테르펜 수지, 파라핀 왁스(Shell GTL Sarawax SX 105, EVONIK)를 아래 조성비로 Brabender mixer에 첨가하여 160 ℃ 온도에서 2시간 혼합하여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비교예 1 | 비교예 2 |
EVA | - | - | 30 | - |
PBAT+Rubber 공중합체 |
30 | 30 | - | 35 |
ATBC | 5 | 5 | 5 | - |
로진 | 50 | - | 50 | 50 |
테르펜 | - | 50 | - | - |
왁스 | 15 | 15 | 15 | 15 |
Total (중량부) | 100 | 100 | 100 | 100 |
[실험: 접착 조성물의 상세 물성 측정]
1. 점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 조성물을 160 ℃ 온도에서 용융시켜 샘플을 채취한 후, BROOKFIELD DV TYPE 점도계를 사용하여 10rpm, 4spindle을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양은 200g으로 하여 측정에 사용하였다.
2. 접착 택타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 조성물을 160 ℃ 온도에서 용융시켜 샘플을 채취한 후, glass 위에 약 5g 떨어뜨리고, 표면이 경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손끝으로 만져 손에 묻어나지 않는 시간을 표시하며, 분위기 조건은 온도 25 ℃, 습도 50%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3. 수상 내 접착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 조성물을 160 ℃ 온도에서 용융시켜 3 X 3 X 0.5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제1 기재 및 제2 기재 사이에 도포 및 접착시켜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물 500ml에 1시간 침지시킨 후, 꺼내여 기재의 박리정도를 육안 관찰하여 점수로 평가하였다. 총 100개의 시편을 시험하여, 박리되지 않은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었다.
4. 박리 강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 조성물을 160 ℃ 온도에서 용융시켜 크라프트 재질의 제1 기재 및 제2 기재 사이에 도포 및 접착시켜 시편을 제조하고, 인장 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25℃에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 시험기의 한 쪽 지그를 제조된 시편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그를 300 ㎜/min의 속력으로 잡아당겨 가해지는 박리 강도를 10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5. 도포 균일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 조성물을 160 ℃ 온도에서 용융시켜 크라프트 재질의 기재에 도포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핫멜트 접착 조성물이 기재에 균일하게 도포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총 100개의 크라프트 재질의 기재에 도포하여, 스프레이 공정 시 필라멘트 형성 없이 접착 조성물이 기재에 균일하게 도포된 크라프트 재질의 기재 개수를 나타내었다.
6. 생분해도 측정
생분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시편을 준비하고, KS M ISO 14855-1에 따라 60일 경과 후 생분해도를 측정하였다.
성분 | 점도 (cps) |
접착 택타임 (s) |
접착성 (개) |
박리 강도 (g/25 ㎜) |
도포 균일성 (개) |
생분해도 (%) |
실시예 1-1 | 8,800 | 16 | 90 | 76.4±3.2 | 88 | 87 |
실시예 1-2 | 8,200 | 17 | 92 | 75.3±2.5 | 84 | 86 |
비교예 1 | 2,500 | 24 | 85 | 71.3±4.5 | 76 | 53 |
비교예 2 | 29,400 | 31 | 64 | 67.4±2.2 | 80 | 80 |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들 대비 접착력, 접착 택타임 및 도포 균일성 등 여러가지 물성 측면에서 동등 내지 그 이상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종래 사용하던 EVA를 대체함으로써, 생분해도 측면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접착 조성물 내에 고무를 포함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탄성도를 가져, 접착 필름 또는 접착 테이프 제품에 활용하기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Rubber)의 공중합체;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송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 및 왁스(wax) 및 가소성 오일(oil)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를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고무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12 내지 2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120 내지 200 중량부, 왁스 및 가소성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12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고무의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고무를 1 : 0.3 ~ 0.5 중량부 비로 공중합 반응시켜 제조한 공중합체이며,
상기 조성물은,
8,200 내지 30,000 cps의 점도;
1초 내지 180초의 접착 택타임(Tact Time); 및
350 내지 4,000 g/25㎜의 박리강도;
를 만족하는 것이며,
상기 점도는 상기 조성물을 160 ℃ 온도에서 용융시켜 샘플을 채취한 후, 브룩필드 디브이 타입(BROOKFIELD DV TYPE) 점도계를 사용하여 10rpm, 4 스핀들(spindle)의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고,
상기 접착 택타임은 상기 조성물을 160 ℃ 온도에서 용융시켜 샘플을 채취하여 유리 위에 5g 떨어뜨린 후 표면이 경화되어 손에 묻어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한 것이며,
상기 박리 강도는 상기 조성물을 160 ℃ 온도에서 용융시켜 크라프트 재질의 제1 기재 및 제2 기재 사이에 도포 및 접착시킨 후, 인장 강도 시험기의 한 쪽 지그를 제조된 시편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그를 300 ㎜/min의 속력으로 잡아당겨 가해지는 박리 강도를 측정한 것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microcrystalline wax),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마이드 왁스 및 피셔-트롭쉬 왁스(Fischer-Tropsch wax)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성 오일은 파라핀계 오일(Paraffinic oil), 수소 처리(hydrotreated) 또는 탈왁스 처리(Dewaxed)된 화이트 오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석유계 광물유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조성물의 접착 택타임(Tact Time)은 1초 내지 60초인,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1 기재, 제2 기재 및 상기 제1 기재와 제2 기재의 계면에 형성되는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일회용 제품.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제품은 펄프 박스, 페트(PET)병용 라벨지, 접착 테이프, 기저귀, 여성용 위생 제품 및 의료용 밴드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품인, 일회용 제품. - 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AT)와 고무(Rubber)의 공중합체;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송진(Rosin)계 및 테르펜(terpene)계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부여수지(tackifier resin); 및 왁스(wax) 및 가소성 오일(oil)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1 기재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이 도포된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회용 제품의 제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을 제1 기재 상에 도포하는 상기 b 단계는 80 내지 160℃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일회용 제품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3494A KR102695785B1 (ko) | 2021-12-21 | 2021-12-21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3494A KR102695785B1 (ko) | 2021-12-21 | 2021-12-21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4368A KR20230094368A (ko) | 2023-06-28 |
KR102695785B1 true KR102695785B1 (ko) | 2024-08-16 |
Family
ID=8699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3494A KR102695785B1 (ko) | 2021-12-21 | 2021-12-21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578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46231A (ja) | 2003-11-20 | 2005-06-09 | Sanyo Chem Ind Ltd |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
JP5971686B2 (ja) * | 2012-03-12 | 2016-08-17 | 滋賀県 | 樹脂組成物 |
CN108841352A (zh) * | 2018-07-13 | 2018-11-20 | 长沙乐远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可生物降解的聚乳酸热熔胶及其制备和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8635B1 (ko) * | 2001-08-01 | 2009-03-12 | 에이치.비.풀러 라이센싱 앤드 파이낸싱 인코포레이티드 | 통기성의 생분해성 핫멜트 조성물 |
KR20110008312A (ko) * | 2008-05-06 | 2011-01-26 | 메타볼릭스 인코포레이티드 | 생분합성 폴리에스테르 블렌드 |
KR20210043148A (ko) * | 2019-10-11 | 2021-04-21 | (주) 대양산업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
-
2021
- 2021-12-21 KR KR1020210183494A patent/KR1026957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46231A (ja) | 2003-11-20 | 2005-06-09 | Sanyo Chem Ind Ltd |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
JP5971686B2 (ja) * | 2012-03-12 | 2016-08-17 | 滋賀県 | 樹脂組成物 |
CN108841352A (zh) * | 2018-07-13 | 2018-11-20 | 长沙乐远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可生物降解的聚乳酸热熔胶及其制备和应用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POLYMER BULLETIN (2019) 76:2899-29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4368A (ko) | 2023-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47633B2 (ja) | 再剥離可能な自己接着ラベル用hmpsa | |
US5312850A (en) | Polylactide and starch containing hot melt adhesive | |
CA2079535C (en) | Poly hydroxybutyrate/hydroxy-valerate based hot melt adhesive | |
DE69714327T2 (de) | Sternförmiges Styrol-Isopren-Styrol enthaltender druckempfindlicher Klebstoff für Etiketten | |
CN107001899B (zh) | 热熔胶粘剂组合物及其用途 | |
CN104271695B (zh) | 热熔性粘合剂 | |
EP2092033B1 (de) | Schmelzhafklebstoffe mit einer haftung zu flexiblen substraten | |
CN102144013A (zh) | 基于茂金属催化的烯烃-α-烯烃共聚物的熔融粘合剂 | |
JP2004512419A (ja) | 低分子量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JP2011236422A (ja) | 脱着可能な自己接着性ラベル用hmpsa | |
AU2016332497B2 (en) | Non-reactive hot-melt adhesive with specific resin | |
KR102695779B1 (ko)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
KR102695785B1 (ko)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
KR102695789B1 (ko)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
KR102695778B1 (ko)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
KR102696431B1 (ko) | 생분해성 핫멜트 접착 조성물 | |
CN112639041B (zh) | 热熔胶组合物 | |
CN103333630A (zh) | 一种环保高粘性双面胶带 | |
US20230012550A1 (en) | Mineral oil-free pressure-sensitive adhesive | |
WO2022073006A1 (en) | Bio-based and compostabl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 |
CN116083013A (zh) | 一种高生物基含量热熔胶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