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040B1 -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 Google Patents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040B1
KR102556040B1 KR1020210136532A KR20210136532A KR102556040B1 KR 102556040 B1 KR102556040 B1 KR 102556040B1 KR 1020210136532 A KR1020210136532 A KR 1020210136532A KR 20210136532 A KR20210136532 A KR 20210136532A KR 102556040 B1 KR102556040 B1 KR 10255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lid member
tea leaf
teacup
leaf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230A (ko
Inventor
김태완
박정규
Original Assignee
김태완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완, 박정규 filed Critical 김태완
Priority to KR102021013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0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찻잔, 상기 찻잔의 상단에 올려지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차잎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그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구멍이 관통 형성된 차잎 거름대, 상기 차잎 거름대의 상단에 덮혀지는 두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껑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두껑부재의 상면으로 공급된 온수를 상기 차잎 거름대의 수용부로 흘러가도록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찻잔 위에 올려지는 차잎 거름대로 온수를 통과시키면도 차잎 거름대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주도록 하여 차잎의 향이 날아가지 않고 찻잔으로 떨어지는 차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함으로서 차잎이 가진 고유의 향을 함께 음미할 수 있어 고급스럽게 차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The cap of tea leaf filter installed in tea cup}
본 발명은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잎 거름대로 온수를 통과시키면도 차잎 거름대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주도록 하여 차잎의 향이 날아가지 않고 찻잔에 떨어지는 차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한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찻잔의 형태는 찻잔 본체, 찻잔 뚜껑, 찻잔 받침으로 이루어진다. 찻잔의 뚜껑이 있는 것을 개완(蓋椀)이라고 하며, 개완에는 받침(잔대)이 갖추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찻잔의 범위는 차를 우리는 다관의 용도부터 차나 커피 등 음료를 따라 마시는 잔으로서의 용도가 포함된다.
현대에는 커피, 녹차, 생강차. 쌍화차 등 다양한 차가 제공되고 있으나 옛 조상들과 사찰의 스님들이 즐겨 마시는 차는 녹차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를 통상적으로 차라고 호칭되어져 왔다.
또한, 차를 마시는 법을 다도라 하며 전통적인 다도는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구 역시 수십 가지에 이르며 조상들은 이러한 다도를 즐기면서 예의범절을 가르쳤다.
따라서 손님을 맞으면 간단한 인사를 한 후 차 마시기를 권하며 조용한 담소를 즐기면서 손님이 차를 다 마신잔에는 손님을 맞이하는 사람이 손님의 찻잔에 차를 조금씩 반복하여 채워주게 되는데, 이때 손님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차총이다.
이러한 차총은 여러 가지 의미가 담겨 있으나 그 중에서도 차를 마시는 자리에 볼거리를 제공하여 담소자리에 생동감을 불어 넣어 주고, 또 다른 의미로는 찻 자리에 함께한 손님들에게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편, 종래의 찻잔을 보면 다른 용기에서 찻잎을 우려낸 후에 찻잔에 옮겨 담은 후에 마시거나 혹은 차잎을 찻잔에 직접 넣어서 우려낸 다음에 찻잎을 넣은 용기를 꺼내어 찻잎을 분리한 다음에 찻물(차)만을 남겨서 마시게 된다.
그러나 차잎을 다른 용기에서 우려낸 상태에서 차를 마시거나 차잎을 찻잔에 직접 넣어서 우려낸 다음에 잎을 넣은 용기(거름망)를 꺼내어 찻 잎을 분리한 다음에 마시는 방법은 절차가 불편할 뿐 아니라, 특히 차잎이 가지고 있는 향이 금세 날아가 버려 차잎이 가진 고유의 향을 음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893175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찻잔 위에 올려지는 차잎 거름대로 온수를 통과시키면도 차잎 거름대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주도록 하여 차잎의 향이 날아가지 않고 찻잔으로 떨어지는 차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한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찻잔, 상기 찻잔의 상단에 올려지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차잎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그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구멍이 관통 형성된 차잎 거름대, 상기 차잎 거름대의 상단에 덮혀지는 두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껑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두껑부재의 상면으로 공급된 온수를 상기 차잎 거름대의 수용부로 흘러가도록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찻잔 위에 올려지는 차잎 거름대로 온수를 통과시키면도 차잎 거름대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주도록 하여 차잎의 향이 날아가지 않고 찻잔으로 떨어지는 차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함으로서 차잎이 가진 고유의 향을 함께 음미할 수 있어 고급스럽게 차의 맛을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찻잔, 차잎 거름대 및 두껑부재로 나뉘어 구성한다.
상기 찻잔(10)은 차잎에서 우려낸 찻물(이하, 차라 칭함)를 담아내는 용기로서, 상기 찻잔(10)은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차를 담을 수 있는 공간(12)이 마련되며 그 일측에는 찻잔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차잎 거름대(20)는 상기 찻잔(10)의 개방된 상단에 올려지며 차잎(70)을 보관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투입된 온수(70)와 차잎(80)이 섞이는 과정에서 차잎(80)은 걸러내고 차잎(80)에서 우려진 차(90)만 찻잔으로 떨어뜨리는 수단이다.
상기 차잎 거름대(20)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차잎(80)을 수용하는 수용부(22)가 마련되며 그 외곽에는 상기 찻잔(10)의 상단에 걸려지기 위한 테두리가 일체 형성된다.
상기 차잎 거름대(20)의 바닥면 중앙에는 미세구멍(2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미세구멍(24)은 상기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에 담겨진 차잎(80)에 온수(70)가 섞이는 과정에서 우려낸 차를 차잎 거름대(20)에서 아래의 찻잔(10)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두껑부재(30)는 상기 차잎 거름대(20)의 개방된 상단에 덮혀지며 차잎 거름대(20)에 차(90)가 우려지는 과정에서 차잎(80)이 가지는 향이 날아가지 않고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에 머물도록 하여 우려지는 차에 차잎(80)의 향이 녹아들어 차를 마시는 동안 차잎(80)이 가진 고유의 향을 음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두껑부재(30)가 차잎 거름대(20)의 개방된 상단에 덮혀지고 나면 두껑부재(30)의 외곽은 상기 차잎 거름대(20)의 상단 내주면에 걸려지게 되는 데, 이때 두껑부재(30)의 외곽과 차잎 거름대(20)의 사이에는 온수(70)가 흘러들어가기 위한 틈새(40)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상기 두껑부재(30)는 원통 형태로서 상면은 볼록 형태로 라운드지도록 굴곡면부(32)를 형성한다. 상기 굴곡면부(32)는 두껑부재(30)의 상면으로 온수를 부으면 온수가 굴곡면부(32)를 타고 두껑부재(30)의 외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두껑부재(30)의 외곽으로 흘러간 온수는 두껑부재(30)와 차잎 거름대(20) 사이 틈새(40)를 통해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로 흘러가게 된다.
상기 두껑부재(3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3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통과구멍(34)은 상기 두껑부재(30)의 상면으로 온수가 부어졌을 때, 온수의 일부를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로 곧바로 떨어뜨리도록 하며, 상기 통과구멍(34)을 통과하지 않고 잔류하는 온수는 언급한 바와 같이 두껑부재(30)의굴곡면부(32)를 통해 두껑부재(30)의 외곽으로 흘러간 후, 두껑부재(30)와 차잎 거름대(20) 사이 틈새(40)를 통과하여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로 흘러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는 사용시 차잎 거름대(20)를 찻잔(10) 위에 올려놓은 다음,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로 마시고자 하는 차잎(80)을 일정량 담은 다음, 차잎 거름대(20)의 개방된 상면을 두껑부재(30)로 덮어주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온수를 두껑부재(30)의 상면으로 붓게 되면 일부의 온수(70)는 두껑부재(30)의 통과구멍(32)을 통해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로 흘러가게 되고, 또한 남은 온수(70)는 두껑부재(30)의 상면 굴곡면부(32)를 타고 두껑부재(30)의 외곽쪽으로 흘러간 다음, 상기 두껑부재(30)의 외곽 및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 내면 사이의 틈새(40)를 통과하여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로 흘러가게 된다.
이와 같이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에서 차잎(80)과 온수(70)가 섞이게 되면 음용할 수 있는 차(90)가 우려지고, 우려진 차(90)는 차잎 거름대(2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구멍(24)을 통과한 후, 찻잔(10)으로 떨어져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차잎(80)과 온수(70)는 섞여 차(90)가 우려지는 과정에서 차잎(80)이 가지고 있는 향은 두껑부재(30)에 의해 외부로 날아가지 않고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에 머물며 우려지는 차(90)에 함께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되어 차잎(80)이 가진 고유의 향을 함께 음미할 수 있다.
10: 찻잔 20: 차잎 거름대
22: 수용부 24: 미세구멍
30: 두껑부재 32: 굴곡면부
34: 통과구멍

Claims (1)

  1. 차(90)를 담을 수 있는 공간(12)이 마련된 찻잔(10)의 상단에 올려지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차잎(80)과, 상기 차잎(80)에서 우려지는 차를 수용하는 수용부(22)가 마련되며 그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부에서 우려진 차를 아래의 찾잔의 공간으로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구멍(24)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차잎 거름대(20)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차잎 거름대(20)의 개방된 상단에 덮혀지며 상기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에 담겨진 차잎에서 차를 우려내는 과정에서 상기 차잎이 가지는 향이 날아가지 않고 상기 차잎 거름대의 수용부에 머물도록 하여 상기 수용부에서 우려지는 차에 차잎(80)의 향이 녹아들어 차를 마시는 동안 차잎(80)이 가진 고유의 향을 음미할 수 있도록 하는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에 있어서,
    상기 두껑부재(30)는 원통 형태로서 상면은 볼록 형태로 라운드지도록 굴곡면부(32)를 형성하며, 상기 굴곡면부(32)는 두껑부재(30)의 상면으로 온수를 부으면 온수가 굴곡면부(32)를 타고 두껑부재(30)의 외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며;
    상기 두껑부재(3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3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과구멍(34)은 상기 두껑부재(30)의 상면으로 온수가 부어졌을 때, 온수의 일부를 상기 차잎 거름대(20)의 수용부(22)로 곧바로 떨어뜨리도록 하며;
    상기 두껑부재(30)의 외곽은 상기 차잎 거름대(20)의 개방된 상단 내주면에 걸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두껑부재(30)의 외곽과 차잎 거름대(20)의 사이에는 온수(70)가 흘러들어가기 위한 틈새(40)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틈새(40)는 상기 두껑부재(30)의 상면으로 부어진 상태에서 상기 두껑부재(30)의 통과구멍(34)을 통과하는 일부의 온수를 제외한 나머지 잔류하는 온수를 상기 차잎 거름대(30)의 수용부(22)로 흘러가도록 통과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KR1020210136532A 2021-10-14 2021-10-14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KR10255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32A KR102556040B1 (ko) 2021-10-14 2021-10-14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32A KR102556040B1 (ko) 2021-10-14 2021-10-14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230A KR20230053230A (ko) 2023-04-21
KR102556040B1 true KR102556040B1 (ko) 2023-07-13

Family

ID=8609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532A KR102556040B1 (ko) 2021-10-14 2021-10-14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0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5078A (ja) * 2010-04-15 2011-11-24 Keigo Konishi 飲料用ポ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63B1 (ko) * 2006-05-30 2008-07-17 주식회사 비앤에스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KR101893175B1 (ko) 2017-10-11 2018-08-29 우제민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5078A (ja) * 2010-04-15 2011-11-24 Keigo Konishi 飲料用ポ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230A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1968A (en) Brewing pot
US20090250479A1 (en) Method &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US10405688B2 (en) Advanced mug cap apparatus
JP5668884B2 (ja) 飲料用ポット
KR102556040B1 (ko)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JP4476316B2 (ja)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JPH0642581Y2 (ja) コーヒーフィルター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JP3152879U (ja) 飲用溶液抽出器
CN209932278U (zh) 一种饮水杯
CN202277148U (zh) 一种具有下腔结构的茶壶
JP2021192886A (ja) ピッチャー機能を備えたドリッパー
KR200404021Y1 (ko) 여과기가 마련된 종이컵
JP3206626U (ja) お茶の浸出具セット
KR200418154Y1 (ko)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
JP5994046B2 (ja) ティーバッグ用蓋付き茶器
KR200297236Y1 (ko)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KR102464843B1 (ko) 여과기능이 구비된 용기
KR200334871Y1 (ko) 이중 여과망이 구비된 차 추출 용기
KR102337485B1 (ko)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JP3123356U (ja) 湯飲み
CN103082799B (zh) 一种具有下腔结构的茶壶
KR200446133Y1 (ko) 차 인퓨저
JP6474770B2 (ja) 抽出フィルタ及びホルダ
KR20080002523U (ko) 물따름 수단을 갖는 머그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